KR20190095581A -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581A
KR20190095581A KR1020180007901A KR20180007901A KR20190095581A KR 20190095581 A KR20190095581 A KR 20190095581A KR 1020180007901 A KR1020180007901 A KR 1020180007901A KR 20180007901 A KR20180007901 A KR 20180007901A KR 20190095581 A KR20190095581 A KR 20190095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bled
vehicle
tag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윤상
최재혁
이재준
윤희호
강유진
강태훈
오유나
Original Assignee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7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5581A/ko
Publication of KR2019009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차량을 감지하면 차단기가 동작하여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고 장애인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정보가 저장된 무선태그; 상기 무선태그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태그리더부; 상기 태그리더부로부터 상기 태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애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차량이 기등록된 장애인 차량인지를 인증하는 인증부; 장애인 주차구역의 입구에 설치되면 상기 인증부에서의 인증결과에 따라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으로의 차량 진입을 허가 또는 차단하는 차단부; 및 자체적으로 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태그리더부, 인증부 및 차단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Parking managemen system for handicappe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애인 차량을 감지하면 차단기가 동작하여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주차장에는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이 확보되어 있다. 하지만 비장애인 운전자들이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불법주차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불법주차로 인해 장애인 운전자가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불법주차 단속에도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장애인 주차구역에 이동식 주차금지 표지판이 설치되어 비장애인들의 주차를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주차장관리자가 자리를 비울 경우나 상주하지 않을 경우 장애인들이 직접 장애인 주차구역에서 이동식 주차금지 표지판을 옮긴 후 주차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옮기더라도 차량에서 내리거나 타는 작업이 오래 걸려 주차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비장애인들이 주차금지 표지판을 다른 곳으로 옮긴 후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가 있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장애인 전용주차장에 비장애인의 주차를 금지하고 장애인 여부를 확인하여 장애인만 효율적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애인 주차 관리에 대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67102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0004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106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장애인 차량을 감지하면 차단기가 동작하여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고 장애인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정보가 저장된 무선태그; 상기 무선태그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태그리더부; 상기 태그리더부로부터 상기 태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애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차량이 기등록된 장애인 차량인지를 인증하는 인증부; 장애인 주차구역의 입구에 설치되면 상기 인증부에서의 인증결과에 따라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으로의 차량 진입을 허가 또는 차단하는 차단부; 및 자체적으로 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태그리더부, 인증부 및 차단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통신은 무선식별(RFID),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통신(NFC),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중 선택된 통신방식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증부는 미리 등록된 복수의 장애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장애인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애인 정보를 비교하여 장애인 차량 여부를 인증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장애인 정보가 추출되면 외부의 인증서버로 상기 장애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장애인 차량 여부의 인증결과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량의 진입을 위해 상승하고 상기 차량의 진입 차단을 위해 하강하는 차단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이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입구에 정지하였음을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증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입구에 차량의 정지를 검출한 이후에 상기 리더태그로부터 수신된 태그정보로부터 장애인 정보를 추출하여 장애인 차량 여부를 인증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증부의 인증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인 여부를 확인하여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므로 비장애인의 장애인 주차구역의 주차를 방지하고 장애인을 위한 주차구역 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인 확인에 따른 차단기의 동작만으로 장애인이 쉽게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하도록 하므로 설치비용이 적고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원을 확보하므로 전원시설이 없는 곳에서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 불법주차하는 차량을 무인 시스템으로 단속할 수 있어 장애인에 대한 주차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관리 시스템이 장애인 주차구역에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관리 시스템이 장애인 주차구역에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무선태크(110), 태그리더부(120), 인증부(130), 차단부(140), 센서부(150), 표시부(160) 및 전원공급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태그(110)는 장애인 차량(10)에 부착되며 해당 차량(10)이 장애인 차량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이를 위해 장애인은 사전에 장애인 등록 및 장애인 차량 등록을 한 후 무선태크(110)을 발급받을 수 있다. 이때, 무선태크(110)에 저장되는 정보는 장애인 정보, 차량 정보 등이다. 무선태크(110)는 후술하는 태그리더부(12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태그리더부(120)는 무선태그(110)와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태그(11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태그리더부(120)에서 무선태그(110)로부터 수신된 태그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은 예컨대 무선식별(RFID),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통신(NFC),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공지의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인증부(130)는 이와 같이 태그리더부(120)에서 수신된 태그정보를 바탕으로 그 무선태그(110)가 탑재된 차량(10)이 장애인 차량인지를 확인하여 장애인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인증부(130)는 일례로 자체적인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서 장애인 정보를 확인하여 장애인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즉, 장애인이 사전에 등록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한 후, 이후에 차량이 주차구역(20) 앞에 도착하면 태그리더부(120)에서 태그정보를 수신하면 그 태그정보에 포함된 장애인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장애인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증부(130)는 외부의 인증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장애인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인증서버는 사전에 장애인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인증부(130)는 태그리더부(120)으로부터 수신된 태그정보에서 추출된 장애인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인증서버로 요청한다. 그러면 인증서버는 인증부(130)로부터 수신된 장애인 정보와 내부에 미리 저장된 장애인 정보를 비교하여 장애인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증서버에서 인증결과를 다시 인증부(13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인증부(130)에서 장애인 여부가 인증된 정보는 차단부(140)로 전송된다. 차단부(140)는 장애인 주차구역(20)의 입구에 설치되어 장애인 주차구역(20)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차단해제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차단부(140)는 차단기(14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차단기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차단기(141)는 바람직하게는 장애인 주차구역(20)의 사각면 중 진입부 입구에 설치되며, 이는 일반차량이 차단기 앞까지 주차하는 것을 미리 차단하기 위함이다.
초기상태에는 차단기(141)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의 진입을 막는다. 이후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이 장애인 차량이 확인되면 차단기(141)를 상승시켜 장애인 차량이 주차구역(20)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차단부(140)는 인증부(130)에서 장애인으로 인증되면 차단기(141)를 상승시켜 장애인 차량이 주차구역(20) 내부로 진입하도록 하고 장애인으로 인증되지 않으면 차단기(141)는 계속 하강 상태로 유지하여 차량 진입을 막는다.
센서부(150)는 차량이 장애인 주차구역(20) 앞에 도착하였는지를 검출한다. 이는 장애인 차량이 장애인 주차구역(20)에 주차를 하기 위해 주차구역(20)의 입구에 도착하면 센서부(150)에서 이를 감지하도록 한다. 센서부(150)의 감지결과는 인증부(130)로 전송된다. 그러면 인증부(130)는 센서부(150)로부터 차량 감지결과가 수신된 상태에서 태그리더부(120)로부터의 태그정보를 기초로 장애인 차량을 인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인증부(130)에서 차량의 감지결과를 장애인 차량의 인증에 이용하는 이유는 장애인 차량이 주차구역(20) 입구를 지나가는 경우에도 태그리더부(120)가 무선태그(110)로부터 태그정보를 읽음으로써 차단기(141)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차량이 주차구역(20)을 지나가는 경우가 아니라 주차구역(20) 입구에 정지한 경우에만 인증을 수행하고 차단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표시부(160)는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한다. 특히 장애인 인증여부를 화면으로 표시하고, 그외에도 차량번호, 주차시간, 주차가능여부 등을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70)는 자체적으로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여 동작을 위해 전원을 필요로 하는 복수의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전원공급부(17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부(170)는 태양광 패널과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성되며, 태양광 패널은 태양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여 에너지 저장장치를 충전하도록 한다. 에너지 저장장치는 저장된 전력은 각종 장치의 구동전원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장애인 주차구역(20) 앞에 장애인 차량이 진입하면 차량에 부착된 무선태그(110)를 태그리더부(120)에서 인식하여 무선태그(110)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태그리더부(120)에서 수신된 정보는 인증부(130)로 전송되어 해당 무선태그(110)가 탑재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인증하도록 한다. 이때, 인증부(130)에서의 장애인 차량 인증은 자체적으로 구축된 DB를 이용할 수도 있고, 외부의 인증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에, 인증부(130)에서 장애인 차량으로 인증이 완료되면 차단부(140)는 차단기(141)를 동작시켜 차단기(141)가 상승하도록 한다. 이로써 장애인 차량이 주차구역(20)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되고 장애인은 장애인 주차구역(20)에 주차를 완료한다.
이때, 표시부(160)에는 차량이 장애인 주차구역(20)에 도착하는 시점부터 주차를 완료한 이후까지 각종 안내를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는 장애인 차량(10)이 장애인 주차구역(20)에 도착하였는지를 센서부(150)에서 검출한다(S101).
차량이 장애인 주차구역(20)의 입구에 도착한 것으로 검출되면 주차구역(20)의 입구에 설치된 태그리더부(120)에서 차량에 탑재된 무선태그(110)와의 통신을 통해 무선태그(110)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한다(S103).
인증부(130)에서는 센서부(150)로부터 차량 검출신호와 태그리더부(120)로부터 태그정보가 수신하여 태그정보에 포함된 장애인 정보 또는 장애인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를 인증한다(S105).
이러한 인정결과 장애인 차량으로 인증되면 차단부(140)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S107), 차단기(141)가 상승하도록 한다(S109). 그러면 차량이 주차구역(20) 내로 진입할 수 있다(S111).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장애인 차량이 장애인 주차구역에 안전하게 주차할 수 있게 되며, 비장애인인 경우는 무선태그가 없으므로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아 비장애인이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무선태그 120 : 태그리더부
130 : 인증부 140 : 차단부
141 : 차단기 150 : 센서부
160 : 표시부 170 : 전원공급부

Claims (8)

  1. 차량에 탑재되고 장애인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정보가 저장된 무선태그;
    상기 무선태그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태그리더부;
    상기 태그리더부로부터 상기 태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애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차량이 기등록된 장애인 차량인지를 인증하는 인증부;
    장애인 주차구역의 입구에 설치되면 상기 인증부에서의 인증결과에 따라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으로의 차량 진입을 허가 또는 차단하는 차단부; 및
    자체적으로 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태그리더부, 인증부 및 차단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은 무선식별(RFID),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통신(NFC),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중 선택된 무선통신방식을 이용ㅎ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미리 등록된 복수의 장애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장애인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애인 정보를 비교하여 장애인 차량 여부를 인증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장애인 정보가 추출되면 외부의 인증서버로 상기 장애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장애인 차량 여부의 인증결과를 수신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량의 진입을 위해 상승하고 상기 차량의 진입 차단을 위해 하강하는 차단기를 포함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이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입구에 정지하였음을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입구에 차량의 정지를 검출한 이후에 상기 리더태그로부터 수신된 태그정보로부터 장애인 정보를 추출하여 장애인 차량 여부를 인증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에서의 인증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KR1020180007901A 2018-01-22 2018-01-22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KR20190095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01A KR20190095581A (ko) 2018-01-22 2018-01-22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01A KR20190095581A (ko) 2018-01-22 2018-01-22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581A true KR20190095581A (ko) 2019-08-16

Family

ID=6780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901A KR20190095581A (ko) 2018-01-22 2018-01-22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55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668A (ko) * 2022-03-24 2023-10-05 주식회사 퍼스트씨앤디 장애인 전용의 간편 주차 등록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102B1 (ko) 2011-05-27 2011-09-26 아이리얼 주식회사 장애인 전용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1200044B1 (ko) 2010-08-30 2012-11-22 이기영 장애인 전용 주차시스템
KR101610663B1 (ko) 2014-07-18 2016-04-11 주식회사 넥스엠앤이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044B1 (ko) 2010-08-30 2012-11-22 이기영 장애인 전용 주차시스템
KR101067102B1 (ko) 2011-05-27 2011-09-26 아이리얼 주식회사 장애인 전용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1610663B1 (ko) 2014-07-18 2016-04-11 주식회사 넥스엠앤이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668A (ko) * 2022-03-24 2023-10-05 주식회사 퍼스트씨앤디 장애인 전용의 간편 주차 등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2515C2 (ru) Управление доступом, используя портативные электро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US8589216B2 (en) Intelligent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 parking lot
US115212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to parking zone
EP3656603A1 (en) Charging station and system with vehicle presence sensor and authentication function
US20210056790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n access control system
WO2016067105A2 (en) Smart parking barrier
KR102270322B1 (ko) 운전자 식별 장치 및 운전자 식별 신호 송신기를 포함하는 차량
CN107620268B (zh) 地锁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4006248A1 (es) Sistema de aparcamiento regulado automatico y procedimiento
KR20110011893A (ko) 지정주차공간의 주차관리 및 이동 유도장치
CN111028365A (zh) 一种基于射频识别技术的园区非机动车管理系统
CN105059245B (zh) 一种车辆控制方法和装置
KR100757012B1 (ko) 거주자 지정 주차시스템 및 방법
CN106940922B (zh) 用于针对交通工具检测所携带的物体的系统和方法
US10417853B2 (en) Park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arking system
KR102437111B1 (ko)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0619401A (zh) 访客信息车辆管理方法及管理系统
KR20140103885A (ko) Ic 카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목적층 자동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102092836B1 (ko)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KR20200139031A (ko) 다중 사물인터넷 장치를 이용한 지하철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5581A (ko)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KR10191363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의 주차유도방법
Sushma et al. Reservation based vehicle parking system using GSM and RFID technology
US8869448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crossing gate by sensing light
KR102006802B1 (ko)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 관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