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224B1 -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 Google Patents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224B1
KR102655224B1 KR1020220077153A KR20220077153A KR102655224B1 KR 102655224 B1 KR102655224 B1 KR 102655224B1 KR 1020220077153 A KR1020220077153 A KR 1020220077153A KR 20220077153 A KR20220077153 A KR 20220077153A KR 102655224 B1 KR102655224 B1 KR 102655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power supply
electric vehic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0694A (ko
Inventor
안영광
조정한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2007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224B1/ko
Publication of KR20240000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with thermal interru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 전원단자 각각과 대응되도록 접촉되고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플러그단자 각각에 일대일 접속되어 전원부의 전원을 외부기기에 전달하는 접속단자, 전원단자의 과열을 감지시 전원부와 전원단자를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부, 및 전원단자의 일부와 차단부와 접속단자 일부, 또는 전원단자의 일부와 차단부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일체화하는 인서트사출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POWER-SUPPLY-SOCKET OF OUTLET CHARGE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차량용 아웃렛 커넥터에 구비되는 소켓의 내부에 차량의 전원부에 연결되는 전원단자, 외부기기의 플러그단자를 접속하는 접속단자, 및 바이메탈을 이용한 차단부를 인서트 이중 사출 성형함으로써 인서트사출케이스의 밀폐된 내부에서 전원단자 또는 접속단자의 과열기를 차단부에 직접적으로 집중 전달될 수 있음에 따라, 바이메탈의 열 센싱 효율을 증대함으로 인해, 소켓 내부에서 과열로 인한 오작동이나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차량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상용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탑재형 충전장치(On Board Charger, 이하, "OBC"라 약칭함)가 구비되어 있어,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전기 차량의 고압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차량의 충전을 위한 상용전원은 충전용 설비 또는 가정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며, 충전용 설비 또는 가정용 전원과 전기 차량을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충전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가정용 전원을 전기 차량으로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기 차량의 충전에 관한 제어 및 안전 기능을 수행하는 충전 제어 장치, 예컨대, ICCB(In-Cable Control Box)가 구비된 충전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충전 제어 장치는 전기 차량의 탑재형 충전장치로부터 전송된 충전 정보에 따라 상용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누설 전류를 검출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충전을 정지시키는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최근 캠핑, 레져 등을 즐기는 운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외부에 나가서도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외부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차량에 콘센트를 구비하여 콘센트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차량에도 소켓이 구비되어, 외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4867호(2017.06.30. 등록, 명칭: 전기 차량 및 그 외부기기 전원 공급 방법)가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기 차량의 인렛 하우징은 전원 공급을 위한 외부기기 접속 허용을 위해 소켓을 구비하는데, 외부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소켓은 내부에 과전류 또는 장기간의 전류의 흐름으로 과열되고, 및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 차량용 아웃렛 커넥터에 구비되는 소켓의 내부에 차량의 전원부에 연결되는 전원단자, 외부기기의 플러그단자를 접속하는 접속단자, 및 바이메탈을 이용한 차단부를 인서트 이중 사출 성형함으로써 인서트사출케이스의 밀폐된 내부에서 전원단자 또는 접속단자의 과열기를 차단부에 직접적으로 집중 전달될 수 있음에 따라, 바이메탈의 열 센싱 효율을 증대함으로 인해, 소켓 내부에서 과열로 인한 오작동이나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 상기 전원단자 각각과 대응되도록 접촉되고,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플러그단자 각각에 일대일 접속되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외부기기에 전달하는 접속단자; 상기 전원단자의 과열을 감지시,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전원단자를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전원단자의 일부와 상기 차단부와 상기 접속단자 일부, 또는 상기 전원단자의 일부와 상기 차단부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일체화하는 인서트사출케이스; 상기 전원단자를 일측으로 노출 안내하고, 상기 접속단자를 타측으로 노출 안내하며, 상기 인서트사출케이스를 감싸서 보호하는 외부절연하우징; 및 상기 외부절연하우징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접속단자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단자를 각각 삽입 안내하는 삽입구를 통공한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절연하우징은 차량의 전기 충전용 아웃렛 커넥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전원단자 각각에서 연장되고, 상기 인서트사출케이스 내부에서 대응되는 상기 접속단자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통전패드; 상기 인서트사출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통전패드 각각 또는 특정한 상기 통전패드에 인접되거나 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통전패드에서 설정치 이상의 과열을 감지하는 바이메탈센싱부재; 및 상기 바이메탈센싱부재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공급받아, 상기 통전패드가 설정치 이상으로 과열됨을 검출시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전원단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바이메탈센싱부재를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단자 각각은, 대응되는 상기 통전패드와 결속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플러그단자를 탄성 가압하며 접촉을 유지하는 탄성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외측에 마감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마감덮개는 상기 삽입구에 일대일 대응되는 단자홀을 통공하며, 상기 커버와 상기 마감덮개의 사이는 대응되는 상기 삽입구와 상기 단자홀을 연통하기 위해 안전개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개폐부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단자에 의해 미는 힘이 미발생시, 대응되는 상기 삽입구를 막고 있는 슬라이드블록; 및 외력 미발생시 상기 슬라이드블록이 상기 삽입구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고, 외력 발생시 상기 커버 또는 상기 마감덮개에 슬라이드 이동되며 대응되는 상기 삽입구와 상기 단자홀을 연통 안내하기 위해, 상기 커버 또는 상기 마감덮개에 대해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은 상기 단자홀을 통해 직진 이동되는 상기 플러그단자에 의해 자연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전기 차량용 아웃렛 커넥터에 구비되는 소켓의 내부에 차량의 전원부에 연결되는 전원단자, 외부기기의 플러그단자를 접속하는 접속단자, 및 바이메탈을 이용한 차단부를 인서트 이중 사출 성형함으로써 인서트사출케이스의 밀폐된 내부에서 전원단자 또는 접속단자의 과열기를 차단부에 직접적으로 집중 전달될 수 있음에 따라, 바이메탈의 열 센싱 효율을 증대함으로 인해, 소켓 내부에서 과열로 인한 오작동이나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을 구비한 아웃렛 커넥터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차단부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차단부의 배면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안전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을 구비한 아웃렛 커넥터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차단부의 전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차단부의 배면 전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의 안전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100)은 전원단자(110), 접속단자(120), 차단부(130), 인서트사출케이스(140), 외부절연하우징(150) 및 커버(16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소켓(100)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별도의 아웃렛 커넥터(3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편의상, 전원공급소켓(100)은 아웃렛 커넥터(30)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아웃렛 커넥터(30)는 전기차의 전원부(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공급소켓(100)에 전달하고, 전원공급소켓(100)은 티비나 선풍기 등 외부기기(10)의 플러그단자(12)를 접속 허용한다. 그래서, 외부기기(10)는 아웃렛 커넥터(30)와 전원공급소켓(100)을 통해 전기차의 전원부(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 가능 상태가 된다.
전원부(20)는 전기차의 주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아웃렛 커넥터(30)는 전기차의 전원부(20)의 전원을 외부기기(10)에 공급하는 기능만을 구비할 수도 있고, 전원부(20)의 전원을 외부기기(10)에 공급 가능한 기능 이외에 외부의 충전 스테이션(도시하지 않음)과 전기차의 전원부(20)를 연결하여 충전스테이션을 통해 전원부(20)를 충전 안내할 수도 있다.
이때, 아웃렛 커넥터(30)가 전기차의 전원부(20)의 전원을 외부기기(10)에 공급하는 기능과 함께 외부의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전원부(20)를 충전 가능한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경우, 외부기기(10)는 아웃렛 커넥터(30)를 통해 외부의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외부기기(10)가 전원공급소켓(100)을 통해 전기차에 구비된 전원부(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원단자(110)는 전원부(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를 위해, 전원단자(110)는 1개 이상 구비된다. 편의상, 전원단자(110)는 3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접속단자(120)는 전원단자(110) 각각과 일대일 대응되도록 접촉(접속)되고, 외부기기(10)와 연결되는 플러그단자(12) 각각에 일대일 접속된다. 그래서, 접속단자(120)는 전원부(20)의 전원을 해당되는 외부기기(10)에 공급 가능하게 된다.
한편, 차단부(130)는 전원단자(110)와 접속단자(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정치 이상으로 과열됨을 감지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응되는 전원부(20)와 전원단자(11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전원단자(110)와 접속단자(120)가 설정치 이하의 정상 범위 내로 온도를 유지할 경우, 차단부(130)는 해당되는 전원단자(110)와 접속단자(120)를 전기적 연결[switching]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인서트사출케이스(140)는 전원단자(110) 각각의 일부와 차단부(130)와 접속단자(120) 각각의 일부, 또는 전원단자(110) 각각의 일부와 차단부(130)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일체화한다. 그래서, 인서트사출케이스(140)는 전원단자(110) 각각의 일부와 차단부(130)와 접속단자(120) 각각의 일부, 또는 전원단자(110) 각각의 일부와 차단부(130)는 인서트사출케이스(140)의 내부의 밀폐된 공간에 구비된다. 이는, 차단부(130)가 전원단자(110)와 접속단자(120)의 온도 검출에 따른 신뢰성과 성능을 향상하기 위함이다. 인서트사출케이스(140)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인서트사출케이스(140)는 일측으로 전원단자(110) 각각의 나머지 부분을 돌출되게 구비하고, 타측으로 접속단자(120) 각각의 나머지 부분을 돌출되게 구비한다.
아울러, 외부절연하우징(150)은 인서트사출케이스(140)를 내부에 삽입 허용함으로써, 인서트사출케이스(140)를 감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외부절연하우징(150)은 일측으로 전원단자(110)를 노출 또는 돌출되게 구비하고, 타측으로 접속단자(120)를 노출 또는 돌출되게 구비한다.
물론, 인서트사출케이스(140)와 외부절연하우징(15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커버(160)는 외부기기(10)와 접속 허용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절연하우징(150)의 타측에 구비된다. 이때, 커버(160)는 외부절연하우징(150)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커버(160)는 인서트사출케이스(140)에서 일부 노출되는 접속단자(120) 각각에 대응되도록 삽입구(162)를 통공 형성한다. 그래서, 플러그단자(12)는 대응되는 삽입구(162)에 삽입된 후 접속단자(120)와 접촉(접속)된다.
한편, 차단부(130)는 통전패드(132), 바이메탈센싱부재(134), 스위치부(136) 및 보호캡(138)을 포함한다.
통전패드(132)는 전원단자(110) 각각에서 연장되고, 플레이트 또는 패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서트사출케이스(140) 내부에서 대응되는 접속단자(120)에 안정적으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통전패드(132)는 전원단자(110) 각각과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전원단자(110) 각각과 조립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물론, 통전패드(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통전패드(132)는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인서트사출케이스(140)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접속단자(120) 각각은 축 방향을 따라 일부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인서트사출케이스(140)의 내부에서 대응되는 통전패드(132)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바이메탈센싱부재(134)는 인서트 사출 성형됨에 따라, 인서트사출케이스(140) 내부에서, 통전패드(132) 각각 또는 특정한 통전패드(132)에 인접되거나 접하게 구비된다. 그래서, 바이메탈센싱부재(134)는 실시간으로 통전패드(132)에서 설정치 이상의 과열을 감지한다. 이때, 바이메탈센싱부재(134)는 인서트 사출 성형됨으로써 인서트사출케이스(14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메탈센서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메탈센서와 이를 감싸는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바이메탈센싱부재(134)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136)는 바이메탈센싱부재(134)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공급받아, 통전패드(132)가 설정치 이상으로 과열됨을 검출시, 전원부(20)에서 전원단자(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물론, 스위치부(136)가 전원단자(110)에서 대응되는 접속단자(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다. 특히, 스위치부(136)는 인서트사출케이스(1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부(136)는 바이메탈센싱부재(134)로부터 해당되는 통전패드(132)의 온도 신호를 전달받아, 정상치일 경우 전원부(20)에서 접속단자(12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유지하고, 과열 상태일 경우 전원부(20)에서 접속단자(12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며, 차단 후 온도가 정상 범위로 감온될 경우 전원부(20)에서 접속단자(120)로 전원이 재공급되도록 한다.
보호캡(138)은 인서트사출케이스(140)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바이메탈센싱부재(134)를 감싸서 보호한다. 즉, 바이메탈센싱부재(134)가 노출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며 인서트사출케이스(140)의 내부에 구비될 경우, 사출 성형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바이메탈센싱부재(134)가 손상될 수 있다. 그래서, 보호캡(138)이 바이메탈센싱부재(134)를 감싼 후 이중 사출 성형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바이메탈센싱부재(134)가 사출 성형 후 인서트사출케이스(140)의 외부로 노출될 경우, 보호캡(138)이 바이메알센싱부재(134)의 노출을 막은 후 인서트사출케이스(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120) 각각은, 베이스플레이트(122) 및 탄성플레이트(124)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22)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응되는 통전패드(132)와 면접된 채 볼팅이나 리벳팅 등에 의해 상호 결속된다. 물론, 베이스플레이트(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플레이트(124)는 베이스플레이트(12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대응되는 플러그단자(12)를 탄성 가압하며 접촉을 유지한다. 즉, 플러그단자(12)는 대응되는 한 쌍의 탄성플레이트(124) 사이에 강제 삽입됨에 따라, 탄성플레이트(124)는 플러그단자(12)를 탄성 가압한다.
이때, 한 쌍의 탄성플레이트(124)는 플러그단자(12)가 진입시 과도하게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외측면에 보강리브(125)를 구비한다. 보강리브(125)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탄성플레이트(124) 각각에 일체로 제작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커버(160)는 외측에 마감덮개(170)를 구비하고, 마감덮개(170)는 삽입구(162)에 일대일 대응되는 단자홀(172)을 통공한다. 이때, 커버(160)는 인서트사출케이스(140) 또는 외부절연하우징(1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마감덮개(170)는 커버(160) 또는 외부절연하우징(1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마감덮개(17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커버(160)와 마감덮개(170)의 사이는 대응되는 삽입구(162)와 단자홀(172)을 연통하기 위해 안전개폐부(180)를 구비한다.
즉, 안전개폐부(180)는 적어도 삽입구(162)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단자(12)가 단자홀(172)로 강제 진입되며 대응되는 삽입구(162)를 개방 유도한다.
이를 위해, 안전개폐부(180)는 슬라이드블록(182) 및 탄성스프링(184)을 포함한다.
슬라이드블록(182)은 플러그단자(12)에 의해 미는 힘이 미발생시, 삽입구(162)를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탄성스프링(184)은 일측이 슬라이드블록(182)을 탄성 지지하고, 타측이 커버(160) 또는 마감덮개(170)에 형성되는 지지부재(185)에 탄성 지지된다. 그래서, 탄성스프링(184)은 슬라이드블록(182)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미는 외력이 미발생시 슬라이드블록(182)이 삽입구(162)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물론, 지지부재(18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단자홀(172)에 삽입 후 대응되는 삽입구(162)에 삽입되기 위해 강제 전진 이동되는 플러그단자(12)에 의해 미는 힘이 미발생시, 슬라이드블록(182)은 대응되는 탄성스프링(184)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후진하며 삽입구(162)를 개방하게 된다. 이로써, 대응되는 단자홀(172)과 삽입구(162)는 연통되어 플러그단자(12)가 순서대로 진입 허용한다.
특히, 슬라이드블록(182)은 단자홀(172)을 통해 직진 이동되는 플러그단자(12)에 의해 자연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경사면(183)을 형성할 수 있다. 플러그단자(12)가 경사면(183)에 접한 채 계속 전진 이동시, 슬라이드블록(182)은 후진된다. 이때, 마감덮개(170) 또는 커버(160)는 슬라이드블록(182)의 직진 왕복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외부기기 12: 플러그단자
20: 전원부 30: 아웃렛 커넥터
100: 전원공급소켓 110: 전원단자
120: 접속단자 122: 베이스플레이트
124: 탄성플레이트 125: 보강리브
130: 차단부 132: 통전패드
134: 바이메탈센싱부재 136: 스위치부
138: 보호캡 140: 인서트사출케이스
150: 외부절연하우징 160: 커버
162: 삽입구 170: 마감덮개
172: 단자홀 180: 안전개폐부
182: 슬라이드블록 184: 탄성스프링

Claims (9)

  1.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
    상기 전원단자 각각과 대응되도록 접촉되고,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플러그단자 각각에 일대일 접속되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외부기기에 전달하는 접속단자;
    상기 전원단자의 과열을 감지시,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전원단자를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전원단자의 일부와 상기 차단부와 상기 접속단자 일부, 또는 상기 전원단자의 일부와 상기 차단부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일체화하는 인서트사출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전원단자 각각에서 연장되고, 상기 인서트사출케이스 내부에서 대응되는 상기 접속단자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통전패드;
    상기 인서트사출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통전패드 각각 또는 특정한 상기 통전패드에 인접되거나 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통전패드에서 설정치 이상의 과열을 감지하는 바이메탈센싱부재; 및
    상기 바이메탈센싱부재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공급받아, 상기 통전패드가 설정치 이상으로 과열됨을 검출시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전원단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를 일측으로 노출 안내하고, 상기 접속단자를 타측으로 노출 안내하며, 상기 인서트사출케이스를 감싸서 보호하는 외부절연하우징; 및
    상기 외부절연하우징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접속단자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단자를 각각 삽입 안내하는 삽입구를 통공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절연하우징은 차량의 전기 충전용 아웃렛 커넥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바이메탈센싱부재를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 각각은,
    대응되는 상기 통전패드와 결속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플러그단자를 탄성 가압하며 접촉을 유지하는 탄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외측에 마감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마감덮개는 상기 삽입구에 일대일 대응되는 단자홀을 통공하며,
    상기 커버와 상기 마감덮개의 사이는 대응되는 상기 삽입구와 상기 단자홀을 연통하기 위해 안전개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개폐부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단자에 의해 미는 힘이 미발생시, 대응되는 상기 삽입구를 막고 있는 슬라이드블록; 및
    외력 미발생시 상기 슬라이드블록이 상기 삽입구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고, 외력 발생시 상기 커버 또는 상기 마감덮개에 슬라이드 이동되며 대응되는 상기 삽입구와 상기 단자홀을 연통 안내하기 위해, 상기 커버 또는 상기 마감덮개에 대해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은 상기 단자홀을 통해 직진 이동되는 상기 플러그단자에 의해 자연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KR1020220077153A 2022-06-23 2022-06-23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KR102655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153A KR102655224B1 (ko) 2022-06-23 2022-06-23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153A KR102655224B1 (ko) 2022-06-23 2022-06-23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694A KR20240000694A (ko) 2024-01-03
KR102655224B1 true KR102655224B1 (ko) 2024-04-08

Family

ID=8953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153A KR102655224B1 (ko) 2022-06-23 2022-06-23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2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916B2 (ja) * 1992-09-29 2001-06-25 日清紡績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ポリカルボジイミド発泡体の製造方法
JP2005063766A (ja) * 2003-08-08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車載用コンセント
JP6197551B2 (ja) * 2013-10-04 2017-09-20 住友電装株式会社 給電用コネクタ
JP2021197366A (ja) * 2020-06-15 2021-12-27 台達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Delta Electronics, Inc. 電気自動車の電源アダプタ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916U (ja) * 2012-07-26 2012-10-04 ドングアン コ テック エレクトリカル ユーテンシ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感電防止用電源コンセ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916B2 (ja) * 1992-09-29 2001-06-25 日清紡績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ポリカルボジイミド発泡体の製造方法
JP2005063766A (ja) * 2003-08-08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車載用コンセント
JP6197551B2 (ja) * 2013-10-04 2017-09-20 住友電装株式会社 給電用コネクタ
JP2021197366A (ja) * 2020-06-15 2021-12-27 台達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Delta Electronics, Inc. 電気自動車の電源アダプタ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694A (ko)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690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multi-stage latching sequence
JP6797282B2 (ja) 電力コネクタシステム
CA2316881C (en) Power connector system for a ride-on vehicle
EP2423028B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5280229A (en) Charging device for rechargeable batteries
EP3079182B1 (en) Battery pack, charger and electric tool
KR101734670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EP0537751B1 (en) Switch connector assembly with waterproof structure
CN111668643B (zh) 用于连接和断开电气线路的插塞连接器装置
EP1826841B1 (en) Charging apparatus
KR102010288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KR102655224B1 (ko)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KR20100017480A (ko) 차량용 회로차단기
KR200493366Y1 (ko)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CN115742787A (zh) 用于车辆的充电系统的直流充电座和具有其的充电系统
JP3341227B2 (ja) 電池パックの充電端子短絡防止装置
CN215221103U (zh) 一种具有模块化组件的插排
CN215153984U (zh) 电动车辆及车辆充电装置
KR101681825B1 (ko)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CN215578265U (zh) 一种具有单面防水功能的手动维护开关
CN219144585U (zh) 插座
CN216598339U (zh) 一种集电器组件、滑触充电装置及立体车库
CN217062606U (zh) 一种接电组件
KR20240062447A (ko)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CN210404234U (zh) 航空插头及无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