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447A -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2447A KR20240062447A KR1020220143575A KR20220143575A KR20240062447A KR 20240062447 A KR20240062447 A KR 20240062447A KR 1020220143575 A KR1020220143575 A KR 1020220143575A KR 20220143575 A KR20220143575 A KR 20220143575A KR 20240062447 A KR20240062447 A KR 202400624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electric vehicle
- power socket
- connector
- upper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779 heat-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는: 케이싱, 축 방향을 따라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부의 전원플러그와 접속 허용하는 외부전원소켓부, 축 방향을 따라 케이싱의 타측에 구비되고 외부전원소켓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렛커넥터와 접속 안내되는 충전전원소켓부, 및 외부전원소켓부를 케이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량의 인렛커넥터에 일측에 접속되고 외부의 전원플러그가 타측에 접속되는 아웃렛 충전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차량의 인렛커넥터를 활용하여 충전시 그리고 외부에서 전기차량의 배터리를 활용한 전력을 사용할 수 있고, 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외부전원소켓부를 아웃렛 충전커넥터의 케이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유지 보수성을 증대하며, 케이싱에서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외부전원소켓부를 씰부재를 구비한 커버로써 보호함에 따라 외부전원소켓부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외부전원소켓부를 구비하는 케이싱의 일측 가장자리 상면의 접선에 대해 외부전원소켓부의 표면을 수직되게 배치함으로써 외부전원소켓부에 접속되는 전원플러그의 케이블의 꺾임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자동차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해 원료로 사용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에너지의 이용 방법과 이용률에 따라 EV(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V), HEV(Hybrid EV)로 나눌 수 있다.
먼저, HEV(Hybrid EV)란 내연기관과 전기모터 두 종류의 동력을 조합한 자동차로서,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고연비, 고효율을 실현한 것이 특징이다. PHEV(Plug-in Hybrid EV)는 HEV의 배터리를 외부에서 충전해서 쓸 수 있도록 설계한 자동차를 말하며, EV(Electric Vehicle)는 배터리와 전기모터로만 구동되는 차를 말한다.
특히, HEV, PHEV 및 EV 자동차는 공통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차량구동에 활용하게 되는데, HEV는 전기에너지를 차량 내에서 발전하여 사용하며, PHEV와 EV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급속 충전부와 완속 충전부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는 급속 충전기 또는 완속 충전기로 충전할 수 있는데, 급속 충전기란 삼상 교류의 380V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충전기로서 30분 이내에 배터리의 충전을 마칠 수 있다. 급속 충전기는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부에 연결하여 사용하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에 곧바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인가한다. 그리고, 완속 충전기란 단상 교류의 220V 전원을 이용하는 충전기로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약 6시간가량이 소요된다. 완속 충전기는 전기 자동차의 완속 충전부에 연결하여 사용하며, 전기 자동차 내부에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거쳐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인가한다.
최근 상용화된 전기 자동차의 증가로 인해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프라 문제가 이슈가 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기는 보통 주유소 혹은 전기 자동차 전용 충전소 등에 설치되며, 완속 충전기는 주차장이나 쇼핑몰 등 장시간 주차가 예상되는 장소에 세워진다. 급속, 완속 충전기 모두 배터리 제조사와 종류에 관계없이 충전 가능토록 설계되었다.
관련 기술로는 미국특허공개공보 US 2016-0347191호(공개일: 2016.03.15., 발명의 명칭: ELECTRIC VEHICLE DOCKING STATION WITH EMBEDDED EVSE CONTROLLER)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중 아웃렛 충전커넥터 특히 북미형 아웃렛 충전커넥터는 인렛 충전커넥터에 접속 후 과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차단해주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외부 플러그 접속용 소켓을 외부 환경에 노출되게 구비함으로써 물기 등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쇼트 발생이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차량의 인렛커넥터에 일측에 접속되고 외부의 전원플러그가 타측에 접속되는 아웃렛 충전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차량의 인렛커넥터를 활용하여 충전시 그리고 외부에서 전기차량의 배터리를 활용한 전력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외부전원소켓부를 아웃렛 충전커넥터의 케이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유지 보수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에서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외부전원소켓부를 씰부재를 구비한 커버로써 보호함에 따라 외부전원소켓부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커버를 닫은 상태로 씰부재를 통해 전원플러그의 케이블을 외부로 인출 안내하여 충전 중에도 외부전원소켓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전원소켓부를 구비하는 케이싱의 일측 가장자리 상면의 접선에 대해 외부전원소켓부의 표면을 수직되게 배치함으로써 외부전원소켓부에 접속되는 전원플러그의 케이블의 꺾임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는: 케이싱;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부의 전원플러그와 접속 허용하는 외부전원소켓부;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전원소켓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렛커넥터와 접속 안내되는 충전전원소켓부; 상기 외부전원소켓부를 상기 케이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결합부; 및 상기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충전전원소켓부와 상기 인렛커넥터가 접속시 상기 인렛커넥터를 구속하는 래치핀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둘레면 중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어퍼케이스; 및 상기 어퍼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어퍼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대응되도록 둘레면 중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로어케이스를 포함한다.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어퍼케이스의 타측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로어케이스의 타측은 상기 충전전원소켓부를 감싸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케이스는 손잡이 역할을 위해 외측 둘레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케이스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 막음판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케이스는 축 방향으로 길이가 상기 어퍼케이스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어퍼케이스와 대응되는 타측 단부끼리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전원소켓부는 상기 어퍼케이스에 의해 보호된 채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로어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케이스는 노출되는 상기 외부전원소켓부를 막기 위해 커버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커버는 막음유지부에 의해 상기 어퍼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어퍼케이스에 결합시 상기 막음판과 일직선상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는 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씰부재는 상기 외부전원소켓부에 접속된 상기 전원플러그에서 연장되는 케이블을 외부로 연장 허용하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씰부재는, 상기 커버가 상기 어퍼케이스에 결합시, 상기 커버의 개방된 타측으로 노출되는 테두리가 상기 막음판의 대향하는 테두리에 면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막음유지부는, 상기 커버의 개방측 가장자리에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어퍼케이스의 해당되는 내부로 삽입되는 걸림편; 상기 걸림편이 상기 어퍼케이스의 내부에 삽입시, 상기 어퍼케이스의 대향하는 내측면을 향하는 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대응되는 상기 걸림홈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어퍼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를 당기는 외력 작용시 대응되는 걸림홈부로부터 강제 이탈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결합부는, 상기 케이싱에 복수 개 구비되는 체결안내부재; 상기 외부전원소켓부에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체결안내부재에 접하는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에 삽입되거나 나사 결합되고, 상기 체결안내부재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외부전원소켓부를 상기 체결안내부재에 고정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전원소켓부는 충전과정 중에 과온 발생시 전력을 차단하는 바이메탈스위치를 연결하고, 상기 충전전원소켓부와 전기적 접속을 안내하기 위해 접속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방된 일측에 반대되는 상기 어퍼케이스의 타측 둘레면은 접선 방향이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로어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외부전원소켓부의 표면의 접선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전원소켓부는 캡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충전전원소켓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캡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캡과 커넥팅부재로써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케이스는, 절연 재질의 로어이너케이스; 및 상기 로어이너케이스의 둘레면을 감싼 채 상기 로어이너케이스에 고정되는 로어아우터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로어이너케이스와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너커버; 및 상기 이너커버의 둘레면을 감싼 채 상기 이너커버에 고정되는 아우터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막음판은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전기차량의 인렛커넥터에 일측에 접속되고 외부의 전원플러그가 타측에 접속되는 아웃렛 충전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차량의 인렛커넥터를 활용하여 충전시 그리고 외부에서 전기차량의 배터리를 활용한 전력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외부전원소켓부를 아웃렛 충전커넥터의 케이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유지 보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에서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외부전원소켓부를 씰부재를 구비한 커버로써 보호함에 따라 외부전원소켓부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커버를 닫은 상태로 씰부재를 통해 전원플러그의 케이블을 외부로 인출 안내하여 충전 중에도 외부전원소켓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전원소켓부를 구비하는 케이싱의 일측 가장자리 상면의 접선에 대해 외부전원소켓부의 표면을 수직되게 배치함으로써 외부전원소켓부에 접속되는 전원플러그의 케이블의 꺾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가 인렛커넥터에 접속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로어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커버가 어퍼케이스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에 전원플러그를 접속하는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로어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커버가 어퍼케이스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에 전원플러그를 접속하는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가 인렛커넥터에 접속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로어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의 커버가 어퍼케이스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에 전원플러그를 접속하는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100)는 케이싱(200), 외부전원소켓부(300), 충전전원소켓부(400), 커버(700) 및 캡(90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100)는 외부 전원을 접속하여 차량에 충전 안내하거나, 또는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제품을 작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케이싱(200)은 아웃렛 충전커넥터(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때, 케이싱(20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충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케이싱(200)은 외부전원소켓부(300)와 충전전원소켓부(400) 등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어퍼케이스(210)와 로어케이스(220)로 나뉘어지는 것으로 한다.
어퍼케이스(210)는 둘레면 중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편의상, 어퍼케이스(210)는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로어케이스(220)는 어퍼케이스(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어퍼케이스(210)의 개방된 일측에 대응되도록 둘레면 중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로어케이스(220)는 어퍼케이스(210)의 하부 개방에 대응하여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어퍼케이스(210)와 로어케이스(220)는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전원소켓부(300)는 축 방향을 따라 케이싱(2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부의 전원플러그(10)와 접속 허용한다.
아울러, 충전전원소켓부(400)는 축 방향을 따라 케이싱(200)의 타측에 구비되고, 외부전원소켓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렛커넥터(20)와 접속 허용한다. 이때, 충전전원소켓부(400)는 차체에 고정되는 인렛커넥터(20)에 접속될 수 있도록 케이싱(200)의 타측으로 일부 돌출되게 구비된다. 물론, 충전전원소켓부(400)는 케이싱(200)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축 방향을 따라 어퍼케이스(210)의 타측과, 이에 대응되는 로어케이스(220)의 타측은 충전전원소켓부(400)를 감싸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어퍼케이스(210)의 타측 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로어케이스(220)의 타측 단부는 대략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충전전원소켓부(400)가 인렛커넥터(20)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케이싱(200)은 래치핀(600)을 구비한다. 래치핀(600)은 케이싱(2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충전전원소켓부(400)와 인렛커넥터(20)가 접속시 인렛커넥터(20)를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래치핀(600)은 피벗핀(610)에 의해 케이싱(200) 특히 어퍼케이스(210)에 대해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래치핀(600)은 축 방향을 따라 피벗핀(610)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이 탄성부재(620)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동 안내된다. 이로써, 충전전원소켓부(400)가 인렛커넥터(20)에 접속 후, 래치핀(600)은 일측이 인렛커넥터(20)를 결속한다. 사용자가 래치핀(600)의 타측을 누를 경우, 래치핀(600)의 일측은 인렛커넥터(20)와의 결속을 해제하게 된다.
물론, 래치핀(60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로어케이스(220)는 손잡이 역할을 위해 외측 둘레면에 오목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로어케이스(220)는 둘레면 중 개방된 타측에 대응되는 일측 둘레면에 오목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오목부(222)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외부전원소켓부(300)는 전원플러그(10)와 접속될 수 있도록 케이싱(200)의 일측으로 일부가 노출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외부전원소켓부(300)는 빗물 등 외부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전원플러그(10)와 접속시 감전, 내구성 저하 등의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어퍼케이스(210)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 막음판(214)을 형성하고, 로어케이스(220)는 축 방향으로 길이가 어퍼케이스(210)의 축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어퍼케이스(210)와 대응되는 타측 단부끼리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이때, 축 방향으로 로어케이스(220)의 일측 단부보다 더 연장되는 어퍼케이스(210)의 일측 가장자리는 연장부(212)라고 한다.
그리고, 충전전원소켓부(400)는 어퍼케이스(210)의 연장부(212)에 의해 케이싱(200)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된 채, 축 방향을 따라 로어케이스(220)의 일측으로 직접적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외부전원소켓부(300)는 분리결합부(500)에 의해 어퍼케이스(210) 또는 로어케이스(2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분리결합부(500)는 체결안내부재(510), 체결편(520) 및 결합부재(530)를 포함한다.
체결안내부재(510)는 케이싱(200)에 복수 개 구비된다. 이때, 체결안내부재(510)는 어퍼케이스(210) 또는 로어케이스(220)의 내측면에 블록 형태 또는 슬리브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편(520)은 외부전원소켓부(300)에 구비되어, 대응되는 체결안내부재(510)에 접한다. 물론, 체결편(5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결합부재(530)는 체결편(520)에 삽입되거나 나사 결합되고, 대응되는 체결안내부재(51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외부전원소켓부(300)를 체결안내부재(510)에 고정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결합부재(530)는 볼트나 스크류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외부전원소켓부(300)는 케이싱(200)의 일측으로 일부 노출되게 구비되고, 어퍼케이스(210)의 연장부(212)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보호되며, 분리결합부(500)에 의해 케이싱(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외부전원소켓부(300)는 연장부(212)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보호되지만, 전방 및 하부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로어케이스(220)는 노출되는 외부전원소켓부(300)를 막기 위해 커버(70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즉, 로어케이스(220)는 축 방향으로 일측에 커버(700)를 힌지 연결한다.
그리고, 커버(700)는 막음유지부(710)에 의해 어퍼케이스(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커버(700)는 로어케이스(220)와 마찬가지로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어퍼케이스(210)의 연장부(2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가 막음판(214)과 접하게 된다. 이로써, 전원플러그(10)와 케이블(12) 일부를 수용하는 커버(700)는 내부가 외부와 구획 처리된다.
한편, 막음유지부(710)는 걸림편(712), 걸림홈부(714) 및 걸림돌기(716)를 포함한다.
걸림편(712)은 커버(700)의 개방측 가장자리에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어퍼케이스(210)의 해당되는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걸림홈부(714)는 걸림편(712)이 어퍼케이스(210)의 연장부(212)의 내부에 삽입시, 어퍼케이스(210) 특히 연장부(212)의 대향하는 내측면을 향하는 측면에 함몰 형성된다.
아울러, 걸림돌기(716)는 대응되는 걸림홈부(714)에 수용되도록 어퍼케이스(210) 특히 연장부(21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걸림편(712)이 연장부(212)의 내부로 삽입 완료시, 걸림돌기(716)는 대응되는 걸림홈부(714)에 수용된다. 따라서, 커버(700)는 연장부(212)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커버(700)를 당기는 외력 작용시, 걸림돌기(716)는 대응되는 걸림홈부(714)로부터 강제 이탈된다. 이로써, 커버(700)는 연장부(212)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외부전원소켓부(300)가 외부로 노출된다. 특히, 외부전원소켓부(300)는 로어케이스(220)의 위치하게 된다.
물론, 커버(7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외부전원소켓부(300)는 전원플러그(10)와 접속되어 충전과정 등에 의해 과온 발생시 화재를 방지하도록 전력을 차단하는 바이메탈스위치(310)를 연결한다.
그리고, 외부전원소켓부(300)는 충전전원소켓부(400)와 전기적 접속을 안내하기 위해 접속커넥터(320)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어퍼케이스(210)와 로어케이스(220)는 1겹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때, 외부전원소켓부(300)가 내부에 위치하는 로어케이스(220)는 내열성과 강도 보강을 위해 2겹 등으로 이루어져 겹쳐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로어케이스(220)는 로어이너케이스(224) 및 로어아우터케이스(226)를 포함한다.
로어이너케이스(224)는 외부전원소켓부(300)를 수용함에 따라, 절연 재질 및 내열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로어아우터케이스(226)는 로어이너케이스(224)의 둘레면을 감싼 채 로어이너케이스(224)에 고정된다. 이때, 로어아우터케이스(226)는 로어이너케이스(224)에 이중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로어이너케이스(224)에 조립될 수도 있다.
이때, 로어아우터케이스(226)는 절연 재질 및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강도 향상을 위해 내충격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로어아우터케이스(226)는 촉감이 우수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목부(222)는 로어아우터케이스(226)에 형성되고, 로어이너케이스(224)는 로어아우터케이스(226)에 대응되게 형성되거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700)는 이너커버(704) 및 아우터커버(706)를 포함한다.
이너커버(704)는 로어이너케이스(224)와 직접적으로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아우터커버(706)는 이너커버(704)의 둘레면을 감싼 채 이너커버(704)에 고정된다.
이때, 이너커버(704)는 절연 재질 및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아우터커버(706)는 절연 재질과 내열성 재질 및 촉감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아우터커버(706)는 이너커버(704)에 이중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이너커버(70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너커버(704) 또는 아우터커버(706)가 막음유지부(710)에 의해 어퍼케이스(210)의 연장부(212)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
한편, 커버(700)는 내부에 위치하는 전원플러그(10)에 연결되는 케이블(12)을 외측으로 인출 안내하면서 내부를 밀봉 처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커버(700)는 어퍼케이스(210)에 결합시 막음판(214)과 일직선상에 개방부(702)를 형성한다. 즉, 이너커버(704)와 아우터커버(706)는 포개져 상호 고정된 상태에서 동일 위치에 개방부(702)를 형성한다. 이때, 커버(700)가 연장부(212)에 결합되어 닫힘 상태의 경우, 커버(700)의 후측면은 막음판(214)에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개방부(702)는 패킹처리를 위해 씰부재(800)를 구비한다. 이때, 씰부재(800)는 이너커버(704)의 개방부(702) 측 또는 아우터커버(706)의 개방부(702)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이너커버(704)의 개방부(702) 측과 아우터커버(706)의 개방부(702) 측에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씰부재(8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커버(7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씰부재(800)는 외부전원소켓부(300)에 접속된 전원플러그(10)에서 연장되는 케이블(12)을 외부로 연장 허용하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절개부(810)를 형성한다.
그래서, 케이블(12)은 절개부(810)에 의해 변형되는 씰부재(800)에 삽입되며 커버(700)의 외부로 인출이 허용된다.
아울러, 씰부재(800)는, 커버(700)가 어퍼케이스(210)의 연장부(212)에 결합시, 커버(700)의 개방된 타측(상측)으로 노출되는 테두리가 막음판(214)의 대향하는 테두리에 면접되어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즉, 커버(700)가 연장부(212)에 결합시, 연장부(212)의 해당되는 테두리와 막음판(214)의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씰부재(800)를 개방부(702)의 내부 바닥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아울러, 연장부(212)의 해당되는 테두리와 막음판(214)의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씰부재(800)의 대응되는 테두리와 면접됨에 따라, 커버(700)가 연장부(2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기 등 외부의 이물질이 커버(7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된다.
또한, 개방된 일측(하측)에 반대되는 어퍼케이스(210)의 타측(상측) 둘레면은 접선 방향이 축 방향을 따라 로어케이스(220)의 일측(후측)으로 노출되는 외부전원소켓부(300)의 표면의 접선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개방된 일측(하측)에 반대되는 어퍼케이스(210)의 타측(상측) 둘레면은 접선 방향이 막음판(214)의 접선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로써, 충전전원소켓부(400)가 차체의 인렛커넥터(20)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플러그(10)와 접속된 외부전원소켓부(300)가 어퍼케이스(210)의 연장부(212)에 의해 상측이 빗물 등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개방된 일측(하측)에 반대되는 어퍼케이스(210)의 타측(상측) 둘레면의 접선 방향에 수직한 막음판(214)과 외부전원소켓부(300)가 수직 또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이물질이 연장부(212)를 타고 커버(7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연장부(212)의 하측 테두리가 씰부재(800)와 접함으로써 커버(7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된다.
그리고, 케이싱(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전원소켓부(400)는 미사용시 캡(900)에 의해 보호된다. 캡(900)은 충전전원소켓부(400)의 일부를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물론, 캡(90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케이싱(200)은 충전전원소켓부(400)로부터 분리된 캡(90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캡(900)과 커넥팅부재(910)로써 연결한다. 즉, 커넥팅부재(910)는 로어이너케이스(224) 또는 로어아우터케이스(226)와 캡(900)을 연결한다. 이때, 커넥팅부재(910)는 로어이너케이스(224) 또는 로어아우터케이스(226)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커넥팅부재(9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싱(200) 특히 어퍼케이스(210) 또는 막음판(214)은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스위치(110)를 구비할 수 있다. 단속스위치(110)는 외부전원소켓부(300)와 충전전원소켓부(400)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 충전커넥터(100)는 규격화된 전기차량의 인렛커넥터(20)를 그대로 활용하여 충전시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전기차량의 배터리를 활용한 전력을 사용하고자 할 때, 인렛커넥터(20)에 접속하여 전력을 외부의 전자제품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원플러그 20: 인렛커넥터
100: 충방전커넥터 200: 케이싱
210: 어퍼케이스 212: 연장부
214: 막음판 220: 로어케이스
222: 오목부 224: 로어이너케이스
226: 로어아우터케이스 300: 외부전원소켓부
310: 바이메탈스위치 320: 접속커넥터
400: 충전전원소켓부 500: 분리결합부
510: 체결안내부재 520: 체결편
530: 결합부재 600: 래치핀
610: 피벗핀 620: 탄성부재
700: 커버 702: 개방부
704: 이너커버 706: 아우터커버
710: 막음유지부 712: 걸림편
714: 걸림홈부 716: 걸림돌기
800: 씰부재 810: 절개부
900: 캡 910: 커넥팅부재
100: 충방전커넥터 200: 케이싱
210: 어퍼케이스 212: 연장부
214: 막음판 220: 로어케이스
222: 오목부 224: 로어이너케이스
226: 로어아우터케이스 300: 외부전원소켓부
310: 바이메탈스위치 320: 접속커넥터
400: 충전전원소켓부 500: 분리결합부
510: 체결안내부재 520: 체결편
530: 결합부재 600: 래치핀
610: 피벗핀 620: 탄성부재
700: 커버 702: 개방부
704: 이너커버 706: 아우터커버
710: 막음유지부 712: 걸림편
714: 걸림홈부 716: 걸림돌기
800: 씰부재 810: 절개부
900: 캡 910: 커넥팅부재
Claims (18)
- 케이싱;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부의 전원플러그와 접속 허용하는 외부전원소켓부;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전원소켓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렛커넥터와 접속 안내되는 충전전원소켓부; 및
상기 외부전원소켓부를 상기 케이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충전전원소켓부와 상기 인렛커넥터가 접속시 상기 인렛커넥터를 구속하는 래치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둘레면 중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어퍼케이스; 및
상기 어퍼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어퍼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대응되도록 둘레면 중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로어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3항에 있어서,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어퍼케이스의 타측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로어케이스의 타측은 상기 충전전원전원부를 감싸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케이스는 손잡이 역할을 위해 외측 둘레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케이스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 막음판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케이스는 축 방향으로 길이가 상기 어퍼케이스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어퍼케이스와 대응되는 타측 단부끼리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전원소켓부는 상기 어퍼케이스에 의해 보호된 채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로어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케이스는 노출되는 상기 외부전원소켓부를 막기 위해 커버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커버는 막음유지부에 의해 상기 어퍼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어퍼케이스에 결합시 상기 막음판과 일직선상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는 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씰부재는 상기 외부전원소켓부에 접속된 상기 전원플러그에서 연장되는 케이블을 외부로 연장 허용하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씰부재는, 상기 커버가 상기 어퍼케이스에 결합시, 상기 커버의 개방된 타측으로 노출되는 테두리가 상기 막음판의 대향하는 테두리에 면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유지부는,
상기 커버의 개방측 가장자리에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어퍼케이스의 해당되는 내부로 삽입되는 걸림편;
상기 걸림편이 상기 어퍼케이스의 내부에 삽입시, 상기 어퍼케이스의 대향하는 내측면을 향하는 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대응되는 상기 걸림홈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어퍼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를 당기는 외력 작용시 대응되는 걸림홈부로부터 강제 이탈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결합부는,
상기 케이싱에 복수 개 구비되는 체결안내부재;
상기 외부전원소켓부에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체결안내부재에 접하는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에 삽입되거나 나사 결합되고, 상기 체결안내부재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외부전원소켓부를 상기 체결안내부재에 고정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원소켓부는 충전과정 중에 과온 발생시 전력을 차단하는 바이메탈스위치를 연결하고, 상기 충전전원소켓부와 전기적 접속을 안내하기 위해 접속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3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된 일측에 반대되는 상기 어퍼케이스의 타측 둘레면은 접선 방향이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로어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외부전원소켓부의 표면의 접선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원소켓부는 캡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충전전원소켓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캡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캡과 커넥팅부재로써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케이스는,
절연 재질의 로어이너케이스; 및
상기 로어이너케이스의 둘레면을 감싼 채 상기 로어이너케이스에 고정되는 로어아우터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로어이너케이스와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너커버; 및
상기 이너커버의 둘레면을 감싼 채 상기 이너커버에 고정되는 아우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막음판은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3575A KR20240062447A (ko) | 2022-11-01 | 2022-11-01 |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KR1020240106290A KR20240125898A (ko) | 2022-11-01 | 2024-08-08 |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3575A KR20240062447A (ko) | 2022-11-01 | 2022-11-01 |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06290A Division KR20240125898A (ko) | 2022-11-01 | 2024-08-08 |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2447A true KR20240062447A (ko) | 2024-05-09 |
Family
ID=910752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3575A KR20240062447A (ko) | 2022-11-01 | 2022-11-01 |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KR1020240106290A KR20240125898A (ko) | 2022-11-01 | 2024-08-08 |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06290A KR20240125898A (ko) | 2022-11-01 | 2024-08-08 |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40062447A (ko) |
-
2022
- 2022-11-01 KR KR1020220143575A patent/KR20240062447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24
- 2024-08-08 KR KR1020240106290A patent/KR20240125898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5898A (ko) | 2024-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61668B2 (en) |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junction box | |
EP2423028B1 (en)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 |
US8579635B2 (en) | Funnel shaped charge inlet | |
US5385480A (en) | Electrical connector inlet assembly with break-away mechanism for electric vehicle | |
US5220268A (en) | Battery charging system and connection apparatus therefore | |
WO2015101283A1 (zh) | 电池包、充电器以及电动工具 | |
US10017061B2 (en) | Charging system with luminescent portion | |
WO1995006970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specially for electric vehicle | |
CN102686442A (zh) | 车辆 | |
KR102010288B1 (ko) |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 |
US20120164489A1 (en) | Power source apparatus equipped with a service plug and vehicle carrying that power source apparatus | |
KR102093597B1 (ko) |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기 | |
KR20140067346A (ko) | 급속 및 완속 충전 일체형 전기자동차 충전 인렛 장치 | |
KR20240062447A (ko) | 전기차량용 충방전커넥터 | |
KR102067267B1 (ko) |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 |
KR20240061802A (ko) | 전기차량용 멀티소켓 타입의 충방전커넥터 | |
EP2796353B1 (en) | Saddle-type electric vehicle | |
KR101380573B1 (ko) |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 |
KR102128324B1 (ko) |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 |
EP4302381A1 (en) | Power tool battery charger | |
KR102655226B1 (ko) | 전기자동차용 아웃렛 충전기 | |
KR101646336B1 (ko) | 전기자동차용 고전압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 |
KR20240016633A (ko) |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커넥터 | |
KR102655224B1 (ko) |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 |
KR102655227B1 (ko) |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