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825B1 -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825B1
KR101681825B1 KR1020150014846A KR20150014846A KR101681825B1 KR 101681825 B1 KR101681825 B1 KR 101681825B1 KR 1020150014846 A KR1020150014846 A KR 1020150014846A KR 20150014846 A KR20150014846 A KR 20150014846A KR 101681825 B1 KR101681825 B1 KR 101681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witching
plug
switch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918A (ko
Inventor
김재순
박병철
김진태
김민구
박노준
김남영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8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comprising a separated limit switc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상기 콘센트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전핀; 일측은 상기 통전핀의 일부를 감싸며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통전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전기 기구의 플러그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홀과 상기 통전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통전핀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상기 플러그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전환부; 및 상기 전환부의 전력 전달 또는 차단을 위해 전환부를 변위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콘센트에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물리적인 힘으로 삽입 또는 분리하지 않아도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의 조작부를 통하여 누구나 손쉽게 콘센트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전기 기구의 플러그에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으며,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사용하고, 하우징의 홀에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마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위험성을 줄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하우징의 내부에 전달부분과 연결된 소거부를 마련하여 전달부분과 전환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POWER TRANSMISSION AND B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는 실용화된 19세기 이후 전기가 갖는 조작의 편리성과 다른 에너지로의 변환 용이성, 환경 보존 및 상대적인 안전성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그 이용 영역을 무한히 확장하여 인류 문화의 급속한 변모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와 같이, 전기에 의한 인류의 시간, 공간 및 능력의 확장은 사회의 전 부문에 그 파급효과를 가져와 오늘날 모든 분야에서 인간의 욕망을 실현하는 견인차로, 경제 발전의 원동력으로서 전기에너지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에너지는 콘센트를 통하여 플러그에 전달되어 플러그가 구비된 전기 기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플러그는 콘센트로부터 쉽게 꽂거나 빠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전기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물리적으로 분리시켜야만 전력낭비를 막을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0030721호(출원일 : 1998.07.29, 공고일 : 2000.02.15,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도 플러그에 온/오프 시키는 전원 스위치가 마련된 플러그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플러그에 연결된 2개의 전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선에 스위치를 부착하여 접촉 상태를 개폐하므로 전원의 공급을 개폐하는 기술적 구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모든 전기 기구의 플러그에 스위치를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기존에 사용하던 일반적인 전기 기구의 플러그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사용하던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전기 기구의 플러그에 별도로 스위치를 마련하지 않고도 콘센트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전기 기구의 플러그로 전달 또는 차단이 용이하므로,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의 방치로 인한 대기 전력을 편리하게 차단하는 기술을 제공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는, 전력이 공급되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상기 콘센트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전핀; 일측은 상기 통전핀의 일부를 감싸며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통전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전기 기구의 플러그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홀과 상기 통전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통전핀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상기 플러그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전환부; 및 상기 전환부의 전력 전달 또는 차단을 위해 전환부를 변위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전핀은,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는 삽입부분; 및 상기 삽입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전환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환부로 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전달부분과 상기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체부분; 및 상기 전달부분과 상기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을 분리시키는 부도체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도체부분과 상기 부도체부분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달부분과 상기 전환부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방지하기 위한 소거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전환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1스위치; 및 상기 전환부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스위치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될 경우,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2스위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2스위치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도체부분이 상기 전달부분과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될 경우,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1스위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스위치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부도체부분이 상기 전달부분과 접촉된다.
한편,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전환부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일측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환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전환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부의 타측에 빗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버튼부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부분의 하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환부를 이동시키며, 일면에 빗면이 형성되는 빗면부분; 상기 빗면부분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환스프링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전환부의 빗면을 고정하는 고정홈; 및 상기 빗면부분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조작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조작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분을 하강시킬 경우, 상기 빗면부분에 의해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전환스프링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스프링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전환부의 빗면이 상기 고정홈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도체부분이 상기 전달부분과 접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콘센트에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물리적인 힘으로 삽입 또는 분리하지 않아도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의 조작부를 통하여 누구나 손쉽게 콘센트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전기 기구의 플러그에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둘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사용하고, 하우징의 홀에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마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섯째,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위험성을 줄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하우징의 내부에 소거부를 마련하여 전달부분과 전환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의 동작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의 동작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의 구성요소 및 동작형태에 관한 설명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100)는 통전핀(110); 하우징(120); 전환부(130); 조작부(140); 소거부(150);를 포함한다.
통전핀(110)은 전력이 공급되는 콘센트(미도시)에 삽입되어 콘센트(미도시)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전핀(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콘센트(미도시)에 삽입되는 삽입부분(111) 및 삽입부분(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삽입부분(111)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아래에서 설명될 전환부(130)로 전달하는 전달부분(11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콘센트(미도시)에서 공급받은 전력은 삽입부분(111)으로 전달되고, 삽입부분(111)의 전력은 전달부분(112)을 매개하여 전환부(130)로 전달된다.
또한, 삽입부분(111)과 전달부분(112)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가 삽입되기 위해 하우징(120)의 일 측면은 통전핀(1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H)이 마련되어 있고, 하우징(120)의 타 측면은 통전핀(110)의 일부를 감싸며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20)에 플러그(P)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120)의 일 측면에 있는 홀(H)의 개수는 플러그(P) 핀의 개수와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부(130)는 하우징(120) 내부의 전달부분(112)과 하우징(120)의 홀(H) 사이에 위치하며, 통전핀(110)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플러그(P)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환부(130)는 전달부분(112)과 플러그(P)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도체부분(131) 및 전달부분(112)과 플러그(P)를 전기적으로 분리시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부도체부분(132)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체부분(131)은 자유전자가 많아서 전력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되고, 반면에 부도체부분(132)은 자유전자가 없어서 전력을 전달할 수 없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환부(130)는 전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기 위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도체부분(132)과 도체부분(131)이 순차적으로 번갈아 가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140)는 전환부(130)가 전달부분(112)의 전력을 플러그(P)로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전환부(130)를 제어하여 변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40)는 전환부(13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1스위치(141) 및 전환부(130)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2스위치(142)를 포함한다.
소거부(150)는 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전달부분(112)과 전환부(13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를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스파크로 인해 전달부분(112)과 전환부(130)가 접하는 부분이 소모, 변형 및 융착이 될 수 있고, 표면에 산화 접촉저항 증가 및 접촉 불량으로 인해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으므로, 이와 같이 소거부(150)는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100)의 동작형태를 설명하면,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100)에 플러그(P)를 삽입하여 전력 전달이 차단되는 도2의 (a) 및 전력이 전달되는 도2의 (b)로 구분된다.
먼저, 도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100)내 전환부(130)는 제2스위치(142)가 하우징(120) 내부로 인입되어 부도체부분(132)이 전달부분(112)과 하우징(120)의 홀(H)에 삽입된 플러그(P)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전달부분(112)을 통해 유입된 전력은 부도체부분(132)에 의해 플러그(P)로 전달이 차단된다.
여기서, 가압에 의해 제1스위치(141)가 하우징(120) 내부로 인입될 경우,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부(130)는 제2스위치(142)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스위치(142)의 일부가 하우징(120)의 일 측면으로 돌출되고, 도체부분(131)과 전달부분(112)이 접촉함으로써, 전달부분(112)을 통해 유입된 전력은 도체부분(131)에의해 플러그(P)로 전달된다.
또한,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위치(142)를 가압하여 내부로 인입시킬 경우, 전환부(130)는 제1스위치(14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스위치(141)의 일부가 하우징(120)의 타 측면으로 돌출되고, 부도체부분(132)과 전달부분(112)이 접촉함으로써, 도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전달부분(112)을 통해 유입된 전력은 부도체부분(132)에 의해 플러그(P)로 전달이 차단된다.
2.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의 구성요소 및 동작형태에 관한 설명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20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200)는 통전핀(210); 하우징(220); 전환부(230); 조작부(240); 소거부(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200)의 통전핀(210), 하우징(220) 및 소거부(250)의 구성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100)의 통전핀(110), 하우징(120) 및 소거부(150)의 구성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전핀(210)은 삽입부분(211) 및 전달부분(212)을 포함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가 삽입되기 위해 하우징(220)의 일 측면은 통전핀(2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H)이 마련되어 있고, 하우징(220)의 타 측면은 통전핀(210)의 일부를 감싸며 결합된다.
그리고, 전환부(230)는 하우징(220) 내부의 전달부분(212)과 하우징(220)의 홀(H) 사이에 위치하며, 통전핀(210)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플러그(P)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도체부분(231), 부도체부분(232) 및 전환스프링(2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환스프링(233)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부(230)의 일측과 하우징(220)의 내부일측 사이에 위치하며, 전환부(230)의 이동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부(230)의 타측에 빗면이 형성되어 전환부(23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240)는 전환부(230)가 전달부분(212)의 전력을 플러그(P)로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전환부(230)를 제어하여 변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분(241), 빗면부분(242), 고정홈(243) 및 조작스프링(244)을 포함한다.
여기서, 버튼부분(241)은 하우징(220) 일 측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조작부(24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버튼부분(241)은 하우징(220) 일 측면의 어느 부분을 가압하더라도 조작부(2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우징(220)의 일 측면에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빗면부분(242)은 하우징(220)내부에 위치하며, 버튼부분(241)의 하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전환부(23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면부분(242)은 일면에 빗면이 형성되어 전환부(230)의 빗면을 밀어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고정홈(243)은 빗면부분(242)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환스프링(233) 방향으로 이동된 전환부(230)의 빗면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조작스프링(244)은 빗면부분(242)의 하부와 하우징(220)의 내부일측 사이에 위치하며, 조작부(240)의 상승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조작스프링(244)은 조작부(240)가 상승할 수 있도록 전환스프링(233)보다 탄성이 더 강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200)의 동작형태를 설명하면,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200)에 플러그(P)를 삽입하여 전력 전달이 차단되는 도4의 (a) 및 전력이 전달되는 도4의 (b)로 구분된다.
여기서, 도4의 (a)에 도시된 버튼부분(241)을 하강시킬 경우, 빗면부분(242)에 의해 전환부(230)는 전환스프링(233) 방향으로 이동되고, 조작부(240)는 조작스프링(244)에 의해 상승하여 전환부(230)의 빗면이 고정홈(243)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도체부분(231)이 전달부분(212)과 접촉된다.
즉,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분(212)을 통해 유입된 전력은 도체부분(231)에 의해 플러그(P)로 전달된다.
그리고, 도4의 (b)에 도시되어 있는 하강된 버튼부분(241)을 가압하여 상승시킬 경우, 조작부(240)가 하강하여 전환부(230)의 빗면이 고정홈(243)에서 고정이 해제되고, 조작부(240)는 조작스프링(244)에 의해 상승되며, 전환부(230)는 전환스프링(233)에 의해 빗면부분(242)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부도체부분(232)이 전달부분(212)과 접촉된다.
즉,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분(212)을 통해 유입된 전력은 부도체부분(232)에 의해 플러그(P)로 전달이 차단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110 : 통전핀
111 : 삽입부분 112 : 전달부분
120 : 하우징
H : 홀
130 : 전환부
131 : 도체부분 132 : 부도체부분
140 : 조작부
141 : 제1스위치 142 : 제2스위치
150 : 소거부
200 :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210 : 통전핀
211 : 삽입부분 212 : 전달부분
220 : 하우징
H : 홀
230 : 전환부
231 : 도체부분 232 : 부도체부분
233 : 전환스프링
240 : 조작부
241 : 버튼부 242 : 빗면부분
243 : 고정홈 244 : 조작스프링
250 : 소거부
P : 플러그

Claims (10)

  1.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로서,
    전력이 공급되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상기 콘센트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전핀;
    일측은 상기 통전핀의 일부를 감싸며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통전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전기 기구의 플러그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홀과 상기 통전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통전핀을 통해 전달된 전력을 상기 플러그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전환부; 및
    상기 전환부의 전력 전달 또는 차단을 위해 가압에 의해 전환부를 변위시키는 조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는 상기 전기 기구의 플러그와 상기 전력이 공급되는 콘센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통전핀은,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는 삽입부분; 및
    상기 삽입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환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환부로 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전달부분과 상기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체부분; 및
    상기 전달부분과 상기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을 분리시키는 부도체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도체부분과 상기 부도체부분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달부분과 상기 전환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를 방지하기 위한 소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전환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1스위치; 및
    상기 전환부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될 경우,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2스위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2스위치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도체부분이 상기 전달부분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될 경우,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1스위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스위치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부도체부분이 상기 전달부분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전환부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일측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환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전환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부의 타측에 빗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버튼부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부분의 하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환부를 이동시키며, 일면에 빗면이 형성되는 빗면부분;
    상기 빗면부분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환스프링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전환부의 빗면을 고정하는 고정홈; 및
    상기 빗면부분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일측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조작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조작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분을 하강시킬 경우, 상기 빗면부분에 의해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전환스프링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스프링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전환부의 빗면이 상기 고정홈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도체부분이 상기 전달부분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KR1020150014846A 2015-01-30 2015-01-30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KR101681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846A KR101681825B1 (ko) 2015-01-30 2015-01-30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846A KR101681825B1 (ko) 2015-01-30 2015-01-30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918A KR20160093918A (ko) 2016-08-09
KR101681825B1 true KR101681825B1 (ko) 2016-12-01

Family

ID=5671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846A KR101681825B1 (ko) 2015-01-30 2015-01-30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744B1 (ko) * 2020-09-22 2021-01-26 (주)한동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사물 인터넷 통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086Y1 (ko) 2000-12-29 2001-09-26 오교선 전력차단용 이동콘센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7829A (ko) * 1996-05-21 1997-12-12 이말호 안전콘센트
KR19990034736U (ko) * 1999-03-19 1999-09-06 김종묵 코오드플러그절전좌우접속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086Y1 (ko) 2000-12-29 2001-09-26 오교선 전력차단용 이동콘센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918A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3942B (zh) 无起火和电击危险的具有电压感测机构的线性固态照明
AU763159B2 (en) Multipolar circuit-protection assembly for a collector rail system
TWI407647B (zh) 插入式連接器、接收式連接器及連接器單元
US70219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electric arcs in connectors feeding power loads and connector used
US7931484B2 (en) Latchable power outlet
CZ290311B6 (cs) Elektromechanické spojovací zařízení
CN104321933A (zh) 电气串联端子
US9660392B2 (en) Electrical plug and energy transmission arrangement
CN113224590B (zh) 电源电路切断装置
CN109671598B (zh) 用于保护模块的电源隔离开关及包括隔离开关的保护模块
US8878091B2 (en) Switch device and connector
CN106953214B (zh) 兼具两组不同电流插针组的连接器插头
US112769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load-free disconnection of a plug-in connection
KR101681825B1 (ko)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KR20180061244A (ko) 식별 수단을 갖는 리셉터클
ATE136694T1 (de) Elektrische steckdose mit verbesserter trennchartakteristik
US20040147163A1 (en) Electrical socket
CN107644793A (zh) 手自一体瞬间脱钩开关
US11201443B2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KR20170018684A (ko) 인터로크 스위치 부착형 직류용 콘센트-플러그 및 그 방법
US3131012A (en) Safety locking electrical cable connector body and cap
JPH0787691A (ja) 無結線給電システム
CN110198861A (zh) 具有内置闭锁功能的电连接设备
CN102782957A (zh) 用于接通电触点的连接装置
KR101189128B1 (ko) 커패시터 내장 기기용 방전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