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66Y1 -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66Y1
KR200493366Y1 KR2020200001658U KR20200001658U KR200493366Y1 KR 200493366 Y1 KR200493366 Y1 KR 200493366Y1 KR 2020200001658 U KR2020200001658 U KR 2020200001658U KR 20200001658 U KR20200001658 U KR 20200001658U KR 200493366 Y1 KR200493366 Y1 KR 200493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ocking
switch
unit
safet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치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치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치이엔씨
Priority to KR2020200001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잠금 플러그 및 안전잠금 플러그와 결합하는 안전잠금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안전잠금 플러그는 안전잠금 콘센트에 삽입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가 돌출 형성되는 플러그헤드 전면에 플러그 단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는 록킹홀이 돌출 방향과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안전잠금 콘센트는 벽체에 매립되고, 한 쌍의 전원인입부가 구비된 케이스, 케이스의 전면을 커버하고, 전면에 플러그헤드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 플러그 삽입홈이 형성되고,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도록 상응하게 플러그 단자 삽입공이 형성되고, 록킹부가 삽입되도록 상응하게 록킹부 삽입공이 형성되는 전면커버, 전면커버의 배면에 플러그 삽입홈에 인접하여 한 쌍의 플러그 단자 삽입공으로 한쌍의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면 각각 접촉하는 제1플러그 접속단자와 제2플러그 접속단자, 플러그 삽입홈에 인접하도록 전면커버에 구비되어 안전잠금 플러그를 록킹 및 통전시키는 통전결정부 및 전원인입부와 연결되어 록킹부의 록킹부 삽입공에 삽입 여부에 따라 제1플러그 접속단자 및 통전결정부를 차례로 통전시키는 전원인입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The Plug and Socket with Safety Locking Function}
본 고안은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안전잠금 플러그의 통전여부를 단속가능한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각종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전원은 전기기기의 전원을 끄더라도 전기기기의 플러그와 콘센트와의 접속이 유지되는 이상 대기전력이 발생한다. 대기전력으로 인한 손실은 국가차원에서,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하는 데에 드는 비용 및 에너지를 낭비하고, 이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발생으로 인하여 기후환경에도 부담이 된다. 또한, 각 가정의 차원에서는 불필요한 전기료가 발생하게 된다. 각 가정에서 대기전력으로 인한 손실 대략 6 ~ 11%로 추정된다.
또한, 통전 상태의 콘센트에서는 플러그를 분리하여도 콘센트는 여전히 통전 상태로, 전기의 위험성을 숙지하지 못한 아동이 전가락 등과 같은 도전(導電)물체를 플러그 수용부 내부의 단자 삽입구에 끼우는 행동으로 이어지면 큰 인명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기전력손실, 미세 전류 누설 및 누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자주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컴퓨터, 세탁기 및 건조기와 같은 전기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플러그의 접속 또는 분리를 반복적으로 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는 이와 같은 의무적인 전원 차단을 무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플러그 삽입홈 별로 전원의 온/오프 스위치 방식을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8678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4)를 회전하여 콘센트의 통전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은 공간이 협소하여 플러그(14)를 회전시킬 수 없거나, 상측 플러그 삽입구(12)에 위치하는 플러그(14)와 하측 플러그 삽입구(12)에 위치하는 플러그(14)가 각각의 고유한 형상에 의해 서로 회전하는 데에 장해가 되어 회전하지 못할 경우 콘센트(10)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플러그는 그 헤드의 형상이 다양하고 통일되어 있지 않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0962098호에서 개시된 발명은, 플러그헤드(100)를 눌러 플러그 접촉단자(210,210a)에 삽입시켜 통전시키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헤드(100)의 형상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8678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209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콘센트에 플러그를 삽입 한 후, 통전여부를 단속할 수 있는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 2 목적은, 플러그와 콘센트가 완전히 결합해야만 전원인입부를 통한 전류가 콘센트에 통전될 수 있는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잠금 플러그 및 안전잠금 플러그와 결합하는 안전잠금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잠금 플러그는 상기 안전잠금 콘센트에 삽입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가 돌출 형성되는 플러그헤드 전면에 상기 플러그 단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는 록킹홀이 돌출 방향과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잠금 콘센트는 벽체에 매립되고, 한 쌍의 전원인입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커버하고, 전면에 상기 플러그헤드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 플러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도록 상응하게 플러그 단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가 삽입되도록 상응하게 록킹부 삽입공이 형성되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배면에 상기 플러그 삽입홈에 인접하여 한 쌍의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공으로 한쌍의 상기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면 각각 접촉하는 제1플러그 접속단자와 제2플러그 접속단자, 상기 플러그 삽입홈에 인접하도록 상기 전면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잠금 플러그를 록킹 및 통전시키는 통전결정부 및 상기 전원인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록킹부의 상기 록킹부 삽입공에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1플러그 접속단자 및 상기 통전결정부를 차례로 통전시키는 전원인입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인입스위칭부는 상기 록킹부가 상기 록킹부 삽입공에 삽입 여부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작동로드,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스위칭되어 제1전원인입부와 상기 제1플러그 접속단자를 접속시키는 제1스위치,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스위칭되어 제2전원인입부와 상기 통전결정부를 접속시키는 제2스위치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후방에 배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를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관통하여 일측 단부가 노출되어 상기 록킹부와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스위칭 하는 접점부, 상기 탄성스프링이 안착되도록 상기 탄성스프링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타측단부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로드부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제1스위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스위치와 1차 접촉되는 제1접점부 및 상기 제1접점부와 대향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제2스위치와 2차 접촉되는 제2접점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잠금 플러그는 록킹부를 구비하고, 안전잠금 콘센트는 전면커버 외측에서 스위칭 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작부와 연결된 록킹삽입구가 록킹부에 접속해야만 안전잠금 플러그가 통전되는 구조로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어야만 콘센트를 통전시키는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구비하는 구조로 아동이 도전물체를 삽입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잠금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잠금 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원인입스위칭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잠금 플러그가 도 2에 도시된 안전잠금 콘센트에 결합되기 전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원인입스위칭부 내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전잠금 플러그가 도 2에 도시된 안전잠금 콘센트에 결합된 후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원인입스위칭부 내부 평면도이다.
본문은 한국 규격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안전잠금 플러그(10) 및 콘센트(100)의 세부적인 접지단자와 배선, 감전예방 안전장치 및 접지극 등의 도시는 통상적인 콘센트 및 플러그와 동일한 것으로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잠금 플러그(10)와 결합하는 안전잠금 콘센트(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잠금 플러그(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잠금 콘센트(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안전잠금 플러그(10) 및 콘센트(100)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잠금 플러그(10)는 플러그헤드(11)의 평면에 돌출되어 안전잠금 콘센트(100)와 결합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12)와 록킹부(13)를 포함한다.
안전잠금 콘센트(100)에 삽입되는 플러그헤드(11) 전면에 한 쌍의 플러그 단자(12)가 돌출 형성된다. 록킹부(13)는 플러그헤드(11) 전면에 플러그 단자(12)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록킹부(13)는 판 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부(13)의 단부에는 록킹홀(131)이 돌출 방향과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잠금 콘센트(100)는 케이스(110), 전면커버(120), 전원인입스위칭부(160) 및 통전결정부(130), 한 쌍의 플러그 접속단자(140) 및 한쌍의 전원인입부(P1, P2)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체에 매립되어 한 쌍의 전원인입부(P1, P2)가 구비된다. 전면커버(120)는 케이스(110)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고, 플러그 삽입홈(121), 스위칭홀(123) 및 위치변경로드(125)를 포함한다.
플러그 삽입홈(121)은 플러그헤드(11)가 안착되도록 플러그헤드(11)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전면커버(120)의 전면에 형성된다. 플러그 삽입홈(121)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12)가 삽입되도록 플러그 단자(12)와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의 플러그 단자 삽입공(1211)이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플러그 단자 삽입공(1211)의 상측에는, 록킹부(13)가 삽입되도록 록킹부(13)와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의 록킹부 삽입공(1213)이 형성된다.
스위칭홀(123)은 플러그 삽입홈(121)에 인접하도록 전면커버(120)에구비된다.
위치변경로드(125)는 스위칭홀(123)의 하측에서 전면커버(12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통전결정부(130)가 지지됨과 동시에 위치변경로드(125)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전원인입스위칭부(160)는 전원인입부(P1, P2)와 연결되어 록킹부(13)의 록킹부 삽입공(131)에 삽입 여부에 따라 제1플러그 접속단자(141) 및 통전결정부(130)를 차례로 통전시킨다.
통전결정부(130)는 플러그 삽입홈(121)에 인접하도록 전면커버(120)에 구비되어 안전잠금 플러그(10)를 록킹 및 통전시킨다. 한 쌍의 플러그 접속단자(140)는 상기 전면커버(120)의 배면에 상기 플러그 삽입홈(121)에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공(1211)으로 한 쌍의 상기 플러그 단자(11)가 삽입되면 각각 접촉하는 제1플러그 접속단자(141)와 제2플러그 접속단자(142)로 구성된다. 제1플러그 접속단자(141)는 후술할 제1스위치(166)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제1스위치(166)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제1접속편(1411)이 구비된다. 제2플러그 접속단자(142)는 후술할 플러그전원인입부(135)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플러그전원인입부(135)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제2접속편(1421)이 구비된다.
한 쌍의 전원인입부(P1, P2)는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입한다. 제1전원인입부(P1)는 제1스위치(166)를 경유하여 제1플러그 접속단자(141)와 접속된다. 제2전원인입부(P2)는 제2스위치(167)를 경유하여 제2플러그 접속단자(142)와 접속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원인입스위칭부(1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인입스위칭부(160)는 스위치 작동로드(163), 탄성스프링(165), 제1스위치(166), 제2스위치(167) 및 하우징(16)을 포함한다.
스위치 작동로드(163)는 록킹부(13)의 록킹부 삽입공(1213)에 삽입 여부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 작동로드(163)의 양측에 배치된 각각의 제1스위치(166) 및 제2스위치(167)와 차례로 접속 및 분리된다.
제1스위치(166)는 스위치 작동로드(163)의 일측 특히, 제1플러그 접속단자(141)와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스위치 작동로드(163)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스위칭되어 제1전원인입부(P1)와 제1플러그 접속단자(141)를 접속시킨다. 따라서 제1스위치(166)는 SPDT (Normally Closed)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스위치(166)의 접점을 스위칭하는 제1레버(1661)는 레버형으로 스위치 작동로드(163)를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제2스위치(167)는 스위치 작동로드(163)의 타측 측히, 통전결정부(130)와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스위치 작동로드(163)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스위칭되어 제2전원인입부(P2)와 통전결정부(130)를 접속시킨다. 제2스위치(167) 또한, SPDT(Normally Closed)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스위치(167)의 접점을 스위칭하는 제2레버(1671)는 롤러 레버형으로 스위치 작동로드(163)를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탄성스프링(165)은 일측 단부가 스위치 작동로드(163)의 후방에 배치된다. 록킹부(13)에 의해 압축되고,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 작동로드(163)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하우징(16)은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러그 삽입홈(121)과 플러그 삽입홈(121)의 후방에 구비된다. 하우징(16) 내부에는 스위치 작동로드(163), 제1스위치(166), 제2스위치(167) 및 탄성스프링(165)이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개방된 상면은 하우징 커버(1611)가 커버되어 케이스(110) 내부에서 독립적인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원인입스위칭부(160)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독립된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제1스위치(166) 및 제2스위치(167)에 존재하는 전류와 케이스(110) 내부에 존재하는 전류가 합선 등으로 인해 서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록킹부 삽입공(1213)에 대응되는 영역의 하우징(16) 전면은 후술할 로드부(1631)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로드부(1631)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의 로드통과홀(1613)이 구비된다. 하우징(16)의 배면에는 로드통과홀(1613)에 대응되는 영역이 하우징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원통형의 스프링고정돌기가 구비된다. 그뿐만 아니라, 하우징(16)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배선이 자유롭게 출입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배선홀(1617)이 구비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잠금 플러그(10)가 도 2에 도시된 안전잠금 콘센트(100)에 결합되기 전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원인입스위칭부(160) 내부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전잠금 플러그(10)가 도 2에 도시된 안전잠금 콘센트(100)에 결합된 후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원인입스위칭부(160) 내부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결정부(130)는 조작부(131), 이동부(133), 플러그전원인입부(135) 및 록킹삽입구(137)를 포함한다.
조작부(131)는 스위칭홀(123)을 통해 전면커버(120)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된 통전결정부(130)의 상측 단부 영역이다. 사용자가 좌우로 위치를 전환시킴에 따라 안전잠금 플러그(10)의 록킹 및 통전여부가 결정된다. 조작부(131) 위치에 따른 상태를 설명하자면, 전면커버(120)의 전면을 바라보는 기준으로, 조작부(131)가 좌측에 위치하면, 안전잠금 플러그(10)는 록킹 및 통전이 해지된 상태이다. 조작부(131)가 우측에 위치하면, 안전잠금 플러그(10)는 록킹 및 통전이 된 상태이다.
이동부(133)는 조작부(131)와 연결되어 위치변경로드(125)와 대응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통전결정부(130)의 영역이다. 또한, 조작부(131), 플러그전원인입부(135) 및 록킹삽입구(137)를 연결한다.
록킹삽입구(137)는 통전결정부(130)의 측면에서 록킹홀(131)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조작부(131)의 위치 전환에 따라 록킹홀(131)에 삽입되거나 분리된다.
플러그전원인입부(135)는 이동부(133) 하측 단부에서 제2플러그 접속단자(14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제2스위치(167)를 경유하여 제2전원인입부(P2)와 연결된다. 따라서 록킹삽입구(137)가 록킹홀(131)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2플러그 접속단자(142)를 접촉하여 통전시킨다.
플러그전원인입부(135)를 제외한 조작부(131), 이동부(133) 및 록킹삽입구(137)는 비도전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작동로드(163)는 로드부(1631), 접점부(C) 및 스프링 안착홈(1635)를 포함한다.
로드부(1631)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로드통과홀(1613)을 관통하여 하우징(16) 외측으로 노출된 일측 단부가 록킹부(13)와 직접 접촉되거나 분리된다.
접점부(C)는 로드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스위치 작동로드(163)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166) 및 제2스위치(167)를 스위칭 한다. 접점부(C)는 제1접점부(C1)와 제2접점부(C2)를 포함한다. 제1접점부(C1)는 로드부(1631)의 길이방향에서 제1스위치(166)측으로 돌출되어 제1레버(1661)와 1차 접촉한다. 제2접점부(C2)는 제1접점부(C1)와 대향되도록 돌출되어 제2레버(1671)와 2차 접촉한다. 제1접점부(C1)는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로 형성되고, 제2접점부(C2)는 만곡된 면으로 형성된다.
스프링 안착홈(1635)은 상기 탄성스프링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스위치 작동로드(163)의 타측단부에 형성되어탄성스프링(165)의 일측 단부가 안착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이하, 안전잠금 플러그(10)가 안전잠금 콘센트(100)에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안전잠금 플러그(10)가 안전잠금 콘센트(100)와 결합하기 전의 콘센트(100) 내부 구성요소의 초기상태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조작부(131)는 스위칭홀(123)의 좌측에 위치한 상태이다. 따라서, 록킹삽입구(137)는 록킹홀(131)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다. 플러그전원인입부(135)는 제2플러그 접속단자(142)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다. 로드부(1631)의 일측 단부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플러그 삽입홈(121)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상태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제1접점부(C1) 및 제2접점부(C2)는 각각 제1레버(1661) 및 제2레버(1671)와 분리된 상태이다.
전술한 상태에서, 플러그헤드(11)가 플러그 삽입홈(121)에 삽입되면, 한 쌍의 플러그 단자(12)는 각각 제1플러그 접속단자(141) 및 제2플러그 접속단자(142)에 삽입된다. 그와 동시에 록킹부(13)에 의해 스위치 작동로드(163)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제1접점부(C1)가 제1레버(1661)을 누르고, 차례로 제2접점부(C2)가 제2레버(1671)를 누른다.제1레버(1661)가 눌리면서 제1스위치(166)는 N.C. 접점에서 N.O. (Normally Open)접점으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제1스위치(166)와 연결된 제1전원인입부(P1)에서 인입되는 전원이 제1스위치(166)를 경유하여 제1접속편(1411)을 통해 제1플러그 접속단자(141)에 도달하게 된다.
제2레버(1671)가 눌리면서 제2스위치(167)는 N.C. 접점에서 N.O.(Normally Open) 접점으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제2스위치(167)와 연결된 제2전원인입부(P2)에서 인입되는 전원이 제2스위치(167)를 경유하여 플러그전원인입부(135)에 도달하게 된다.
전술한 단계에서는 안전잠금 플러그(10)에 연결된 전기기기는 통전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조작부(131)를 우측으로 전환시키면, 이동부(133)가 록킹부(13)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록킹 삽입구(17)가 록킹홀(131)에 삽입된다. 그와 동시에 플러그전원인입부(135)가 제2플러그 접속단자(142)의 제2접속편(1421)을 접촉하여 안전잠금 플러그(10)는 완전 통전된다.
이와 같이, 록킹부(13)가 록킹홀(131)에 완전히 삽입되어야만 안전잠금 플러그(10)가 통전되는 구조로, 전기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록킹부(13)를 체결하지 않음으로써, 안전잠금 플러그(10)와 연결된 전기기기에 대기전력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잠금 플러그(10)를 안전잠금 콘센트(100)에 완전히 삽입해야만, 록킹되어 통전될 수 있는 구조로, 안전잠금 플러그(10)가 꼽히지 않은 상태의 안전잠금 콘센트(100)는 비(非)통전 상태로 안전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안전잠금 플러그(10)
플러그 헤드(11)
플러그 단자(12)
록킹부(13)
록킹홀(131)
안전잠금 콘센트(100)
케이스(110)
전면커버(120)
플러그 삽입홈(121)
플러그 단자 삽입공(1211)
록킹부 삽입공(1213)
스위칭홀(123)
위치변경로드(125)
통전결정부재(130)
조작부(131)
이동부(133)
플러그전원인입부(135)
록킹삽입구(137)
플러그 접속단자(140)
제1플러그 접속단자(141)
제1접속편(1411)
제2플러그 접속단자(142)
제2접속편(1421)
전원인입부(P1, P2)
전원인입스위칭부(160)
하우징(161)
하우징커버(1611)
로드통과홀(1613)
스프링고정돌기(1615)
스위칭 작동로드(163)
로드부(1631)
접점부(C)
제1접점부(C1)
제2접점부(C2)
스프링 안착홈(1635)
탄성스프링(165)
제1스위치(166)
제2스위치(167)

Claims (5)

  1. 안전잠금 플러그 및 안전잠금 플러그와 결합하는 안전잠금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잠금 플러그는,
    상기 안전잠금 콘센트에 삽입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가 돌출되는 플러그헤드 전면에 록킹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잠금 콘센트는,
    벽체에 매립되고, 한 쌍의 전원인입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커버하고, 전면에 상기 플러그헤드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 플러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도록 상응하게 플러그 단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가 삽입되도록 상응하게 록킹부 삽입공이 형성되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배면에 상기 플러그 삽입홈에 인접하여 한 쌍의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공으로 한쌍의 상기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면 각각 접촉하는 제1플러그 접속단자와 제2플러그 접속단자;
    상기 플러그 삽입홈에 인접하도록 상기 전면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잠금 플러그를 록킹 및 통전시키는 통전결정부; 및
    상기 전원인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록킹부의 상기 록킹부 삽입공에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1플러그 접속단자 및 상기 통전결정부를 차례로 통전시키는 전원인입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인입스위칭부는,
    상기 록킹부가 상기 록킹부 삽입공에 삽입 여부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작동로드;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스위칭되어 제1전원인입부와 상기 제1플러그 접속단자를 접속시키는 제1스위치;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스위칭되어 제2전원인입부와 상기 통전결정부를 접속시키는 제2스위치;
    일측 단부가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후방에 배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를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 및
    내부에 상기 스위칭 작동로드,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탄성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홈의 후방에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관통하여 일측 단부가 노출되어 상기 록킹부와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스위칭 하는 접점부;
    상기 탄성스프링이 안착되도록 상기 탄성스프링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타측단부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로드부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제1스위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스위치와 1차 접촉되는 제1접점부; 및
    상기 제1접점부와 대향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제2스위치와 2차 접촉되는 제2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결정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홈에 인접하도록 상기 전면커버에 구비된 스위칭홀을 통해 일측 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일측 단부의 좌우 위치 전환에 따라 타측 단부가 상기 안전잠금 플러그를 록킹 및 통전시키고,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통전결정부가 지지되고,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위칭홀의 하측에서 배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위치변경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통전결정부는,
    상기 스위칭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통전결정부의 상측 단부 영역으로, 사용자가 좌우로 조작하여 상기 안전잠금 플러그의 록킹 및 통전여부를 결정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고, 상기 위치변경로드와 대응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통전결정부의 측면에서 상기 록킹홀에 상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의 위치 전환에 따라 상기 록킹홀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록킹삽입구; 및
    상기 이동부 하측 단부에서 제2플러그 접속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2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제2전원인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록킹삽입구가 상기 록킹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플러그 접속단자를 접촉하여 통전시키는 플러그전원인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플러그 단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록킹홀은 상기 록킹부의 돌출방향에 수직하게 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KR2020200001658U 2020-05-18 2020-05-18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KR200493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658U KR200493366Y1 (ko) 2020-05-18 2020-05-18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658U KR200493366Y1 (ko) 2020-05-18 2020-05-18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66Y1 true KR200493366Y1 (ko) 2021-03-18

Family

ID=7523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658U KR200493366Y1 (ko) 2020-05-18 2020-05-18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613B1 (ko) * 2021-08-11 2022-03-30 인텍전기전자주식회사 직류 배선용 접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6559U (ko) * 1992-05-08 1993-12-28 대우전자 주식회사 콘센트와 코드의 쇄정장치
KR0130067Y1 (ko) * 1995-03-31 1998-12-15 배순훈 사용자 보호용 전원 코넥터
KR20070038678A (ko) 2005-10-06 2007-04-11 이광선 회전 스위치형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원 차단시스템
KR100962098B1 (ko) 2007-12-01 2010-06-09 김태연 누름스위치형 절전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6559U (ko) * 1992-05-08 1993-12-28 대우전자 주식회사 콘센트와 코드의 쇄정장치
KR0130067Y1 (ko) * 1995-03-31 1998-12-15 배순훈 사용자 보호용 전원 코넥터
KR20070038678A (ko) 2005-10-06 2007-04-11 이광선 회전 스위치형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원 차단시스템
KR100962098B1 (ko) 2007-12-01 2010-06-09 김태연 누름스위치형 절전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613B1 (ko) * 2021-08-11 2022-03-30 인텍전기전자주식회사 직류 배선용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6500B1 (en) Power socket device with enabling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908109B1 (ko) 가동 스위치를 구비한 파워 소켓 장치
US6780033B2 (en) Easily operable universal safety adaptor
US7997352B2 (en) Electric power tool
US10348034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4328405A (en) Trigger switch and printed circuit board arrangement for a portable tool
KR200493366Y1 (ko) 안전잠금 플러그 및 콘센트
KR20130127309A (ko)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KR101017580B1 (ko) 전원 일괄제어 장치
GB2396489A (en) Switched electric socket
KR102655224B1 (ko)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KR200170054Y1 (ko) 전기제품 전원단속용 파워스위치
CN215600292U (zh) 一种开关滑块、机芯和电磁锁安全开关
CN108288568B (zh) 电源断路器及家用电器
CN219144585U (zh) 插座
CN215911351U (zh) 一种新型开关滑块、机芯和电磁锁安全开关
KR102127895B1 (ko)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장치
KR101800730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200205038Y1 (ko)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
KR970000290Y1 (ko) 매립형 콘센트
JP2024081015A (ja) 端子装置
CN114824966A (zh) 一种安全插座开关
KR100760697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콘센트구조
KR200453107Y1 (ko) 전원 플러그
JPH11312555A (ja) プラ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