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571B1 - 진단 스트립 - Google Patents

진단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571B1
KR102653571B1 KR1020210183198A KR20210183198A KR102653571B1 KR 102653571 B1 KR102653571 B1 KR 102653571B1 KR 1020210183198 A KR1020210183198 A KR 1020210183198A KR 20210183198 A KR20210183198 A KR 20210183198A KR 102653571 B1 KR102653571 B1 KR 102653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inlet
membrane
sample
membran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4051A (ko
Inventor
한다운
오혜리
쩡칵푸끄엉
김동욱
장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에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에스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에스택
Priority to KR1020210183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571B1/ko
Priority to PCT/KR2022/019831 priority patent/WO2023121066A1/ko
Publication of KR2023009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9Absorbents; Gels to retain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87Laminat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여 이격 배치된 제1투입구와 제2투입구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제2투입구 하단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패드와, 상기 멤브레인 패드에 접촉되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흡수 패드와, 상기 흡수 패드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멤브레인 패드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접촉이 해제되는 샘플 패드와, 상기 샘플 패드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샘플 용액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과, 상기 제2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워싱 용액의 투입 위치에 상기 샘플 용액이 흡수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단 스트립{Diagnosis strip}
본 발명은 진단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워싱 용액을 사용하여 세척시 백그라운드 시그널을 제거할 수 있는 진단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혈액·소변 등과 같은 신체의 체액에 존재하는 분석물질의 농도나 존재를 현장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진단 스트립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생체 특이적인 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면역센서 스트립, DNA 센서 스트립 등이 최근에 개발되고 있다.
측면유동면역 분석법 기반의 나노 입자를 이용한 진단 스트립은 가장 보편화된 일회용 현장진단 스트립으로, 항원 결합에 의한 나노 입자들이 뭉쳐지며 띠를 형성하여 육안으로 양성/음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낮은 농도의 항원 분석 시, 띠가 생기는 것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석 민감도의 한계가 있다. 낮은 농도에서 육안으로 띠가 구분될 수 있도록 민감도를 개선하는 방식이 있긴 하나, 재료적으로 한계가 있다. 또한, 형광이나 발광을 통해 이미지를 분석하여 민감도를 개선하는 방식도 있으나, 추가적인 이미지 분석용 장치가 필요하여 일회용 현장진단 키트에 적절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아울러, 발색된 띠를 일반 광학 또는 형광 이미지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디지털화 할 수 있으나, 추가적인 이미지 분석용 장치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낮은 농도의 항원을 분석하기위해 고민감도 전기화학분석법을 측면 유동면역 분석법에 접목시키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검출 항체에 결합된 효소의 촉매 역할을 통해 반응한 기질의 정량분석이 중요하므로 미반응 검출항체는 제거하는 워싱 단계와 이후 일정량의 기질 분주 단계가 필수로 수반된다.
워싱 단계는 비특이적으로 멤브레인 패드에 부착된 미반응 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이전 단계에서 샘플 용액의 멤브레인 패드 흡수 정도에 따라 세척에 의한 미반응 물질의 제거 정도가 결정된다.
도 1은 다양한 조건들에 따른 세척 정도의 비교도이다.
도 1의 i)에는 정상적인 세척이 이루어진 예를 도시하였다.
먼저, 샘플 패드(2)를 통해 멤브레인 패드(1)에 샘플 용액(L1)을 흡수시키고, 워싱 용액(W1)을 샘플 용액(L1)의 투입 부분 반대편의 멤브레인 패드(1)에 투입하여 멤브레인 패드(1)에 붙은 미반응 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샘플 용액(L1)의 흡수 확산이 멤브레인 패드(1)의 전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도 1의 ii))에는 미반응 물질의 제거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워싱 용액(W1)이 투입되는 멤브레인 패드(1)의 일부영역에는 샘플 용액(L1)이 흡수 확산되지 않은 상태여야 완전한 미반응 물질 제거가 이루어진다.
도 1의 iii)에는 샘플 용액(L1)과 워싱 용액(W1)의 투입 위치가 동일하고, 샘플 패드(2)와 흡수 패드(3)의 위치가 반대인 경우를 나타내나, 이는 고전적인 구조로서 역시 미반응 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어렵다.
도 1의 iv)에는 다른 흡수 패드(3-1)를 이용하여 샘플 용액(L1)과 워싱 용액(W1)의 투입 위치를 변경한 구조이며, 이때도 샘플 패드(2) 및 흡수 패드(3)에 의해 멤브레인 패드(1) 전체에 샘플 용액이 흡수 확산되어 있기 때문에, 미반응 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미반응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진단 스트립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6190395호(“단일 신호로 복수 피검체를 검출하는 방법 및 조성물”, 인비져블 센터널, 2017 08 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8876호(“항원 검출용 장치 및 이들의 용도”, 인비져블 센터널, 2017 08 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958호(“스트립센서 모듈, 그것을 이용한 스트립센서 기반의 분자진단 현장검사 장치”, 주식회사 제넷바이오, 2017 05 2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샘플 용액이 멤브레인 패드 전체에 흡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단 스트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진단 스트립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여 이격 배치된 제1투입구와 제2투입구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제2투입구 하단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패드와, 상기 멤브레인 패드에 접촉되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흡수 패드와, 상기 흡수 패드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멤브레인 패드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접촉이 해제되는 샘플 패드와, 상기 제2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워싱 용액의 투입 위치의 상기 멤브레인 패드에 일부 위치하여 샘플 용액이 흡수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 패드의 상기 흡수 패드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샘플 용액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과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은, 폴리바이닐 알콜, 폴리아크릴 산, 폴리바이닐피롤리돈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 패드와 상기 샘플 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방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샘플 패드는, 일부가 상기 방수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수 패드의 상부에 위치하며, 다른 일부는 멤브레인 패드의 상부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샘플 패드의 상기 멤브레인 패드 상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영역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누름부재에 의해 눌려 상기 멤브레인 패드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상기 샘플 패드가 이동하면서, 상기 누름부재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멤브레인 패드와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워싱 용액이 투입되는 위치에 샘플 용액이 흡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샘플 용액의 흡수 확산에 의한 분석 신호의 저하 현상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멤브레인 패드의 효과적인 세척을 위한 조건의 비교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 스트립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사용 상태에 따른 일부 구성 요소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 스트립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 스트립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진단 스트립(1)은 일반 사용자들이 혈액·소변 등과 같은 신체의 체액에 존재하는 분석물질의 농도나 존재를 간편하게 측정하고 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진단 키트이다.
본 발명의 진단 스트립(1)은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멤브레인 패드(20), 샘플 패드(30), 흡수 패드(40) 및 슬라이딩 부재(5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멤브레인 패드(20)는 흡수 패드(40)와의 접촉 부분에 형성된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70)과, 워싱 용액(W1)이 투입되는 영역에 형성된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진단 스트립(1)은, 내부에 수용공간(11)을 형성하고, 상면에 수용공간(11)과 외부공간을 연통하여 이격 배치된 제1투입구(12)와 제2투입구(13)를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제2투입구(13)에 노출되고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패드(20)와, 수용공간(11)에 멤브레인 패드(20)의 적어도 일면과 접촉되어 배치되고, 제1투입구(12)로 투입되는 샘플 용액(L1)을 흡수하는 샘플 패드(30)와, 상기 샘플 패드(30)가 상면에 접촉되어 위치하며, 저면 일부가 상기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 일부에 접촉되는 흡수 패드(40)와, 흡수 패드(40)를 파지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부재(50)와, 상기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 중앙측에 위치하는 전극부(60)와, 상기 멤브레인 패드(20)의 상기 흡수 패드(40) 접촉 부분에 형성된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70)과, 상기 제2투입구(13)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멤브레인 패드(2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진단 스트립(1)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10)은 진단 스트립(1)의 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1)을 형성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수용공간(11)에 멤브레인 패드(20), 샘플 패드(30), 흡수 패드(40) 및 슬라이딩 부재(50)를 수용한다.
하우징(10)은 수용공간(11)에 수용되는 각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상하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제1투입구(12)와 제2투입구(13)가 각각 이격 형성되며, 제1투입구(12)와 제2투입구(13) 사이에 도달 확인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투입구(12)와 제2투입구(13)는 샘플 용액(L1)과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을 수용공간(11)으로 각각 투입하기위한 관통구이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누름부재(15)가 형성되어 샘플 패드(30)의 끝단을 눌러 샘플 패드(30)의 일측 끝단부가 멤브레인 패드(20)에 접촉되도록 한다.
멤브레인 패드(20)는 하우징(10)의 내측 수용공간(11)에 배치되고, 제2투입구(13)의 하부측 바닥면에 고정되어 위치한다. 멤브레인 패드(20)는 끝단이 건조된 상태이며, 건조된 면을 통해 이후에 설명할 세척 용액을 흡수한다.
멤브레인 패드(20)는 니트로셀룰로오스(NC, Nitrocellulose) 패드(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멤브레인 패드(20)는 적어도 일부에 특정 타깃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포획 항체가 사전에 처리되어 있으며, 포획 항체에 결합된 항원에 2차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항체 및 포획 물질은 항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백질, 탄수화물, 뉴클레오타이드, 압타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 패드(20)는 니트로셀룰로오스 패드(21) 내 유체와 하우징(10) 사이의 상호 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커버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트로셀룰로오스 패드(21)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22)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 패드(20)는 유체에 의한 부식 반응 등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에 접착제가 형성된 부재일 수 있다.
특히 멤브레인 패드(20)는 일부가 수용성 폴리머로 코팅된 수용성 폴리머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폴리머는 폴리바이닐 알콜(PVA)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크릴 산(PAA), 폴리바이닐피롤리돈(PVP)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사용할 수 있다.
PVA는 필름 형성이 용이하고, 접착성이 우수하여 멤브레인 패드(20)의 일부에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70)과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80)을 형성하기 용이하다.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70)의 역할은 샘플 용액(L1)이 흡수 패드(40)에 흡수되는 것을 일정한 시간 동안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80)은 일정시간 동안 샘플 용액(L1)이 멤브레인 패드(20)에 흡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워싱 용액(W1)이 투입되는 시점에서 멤브레인 패드(20)의 워싱 용액(W1) 투입 위치에서 샘플 용액(L1)이 흡수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미반응 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이다.
멤브레인 패드(20)는 일단부가 제1투입구(12)로부터 투입된 샘플 용액(L1)을 샘플 패드(30)로부터 흡수할 수 있으며, 샘플 용액(L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도달 확인구(14)에 도달하였을 때 타단부에서 제2투입구(13)로 투입되는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80)은 용해되어 제거되며, 멤브레인 패드(20)에 투입된 워싱 용액(W1)에 의해 세척되고, 반응 용액(L2)을 흡수하여 전극부(60)에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80)은 샘플 용액(L1)이 멤브레인 패드(20)의 건조된 끝단까지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 패드(20)의 건조된 끝단은 워싱 용액(W1)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된 끝단이 샘플 용액(L1)을 흡수하는 경우 워싱 용액(W1)의 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80)을 사용하여 샘플 용액(L1)이 멤브레인 패드(20)의 도면상 좌측 끝단으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한다.
멤브레인 패드(20)는 일측면에 미리 결정된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포획 항체가 사전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멤브레인 패드(20)는 포획 항체에 결합된 항원에 2차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항체 및 포획 물질은 항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백질, 탄수화물, 뉴클레오타이드, 압타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 패드(20)는 일측면에 capture가 사전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capture와 detector가 항체라는 재료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멤브레인 패드(20)는 전극부(60)를 통해 표면에서 발생한 반응을 전기화학분석법으로 정량분석할 수 있다. 한편,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는 전극부(60)가 배치되고, 멤브레인 패드(20)의 일측에는 멤브레인 패드(20)와 접촉 및 분리되는 샘플 패드(30)가 배치된다.
전극부(60)는 제2투입구(13)로 투입되어 멤브레인 패드(20)에 흡수되는 반응 용액이 검출 항체의 효소에 의해 산화·환원되는 반응으로부터 신호를 얻는 것으로, 제2투입구(13)와 흡수 패드(40) 사이에 위치하는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60)는 전극이 패턴되어 있는 기판을 포함하며, 2개의 전극 또는 3개의 전극이 패턴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부(60)는 대전극(counter electrode)과,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과,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을 포함하여,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 누름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부(60)는 제1투입구(12) 및 제2투입구(13)로 투입되는 용액과 반응하여 산화·환원 반응을 일으켜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분석 물질의 농도나 존재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워싱 용액(W1)은 tween 등의 계면활성제가 일부 포함된 세척용 버퍼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반응 용액(L2)은 검출 항체에 결합된 효소(peroxidase, phosphatase 등)와 반응하는 기질이 포함된 용액을 예로 들 수 있다. 샘플 용액(L1)과,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은 제1투입구(12)와 제2투입구(13)를 통해 서로 상반되도록 투입될 수 있다. 제1투입구(12)와 제2투입구(13)는 샘플 용액(L1)과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이 투입되는 투입 방향을 상반되도록 구현하여 비특이적 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달 확인구(14)는 제1투입구(12)로 투입된 샘플 용액(L1)이 멤브레인 패드(20)를 타고 특정 위치로 도달한 것을 확인하기 위한 관통구로, 제1투입구(12)와 제2투입구(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달 확인구(14)는 제1투입구(12) 및 제2투입구(13)와 이격 형성되되 제1투입구(12) 보다 제2투입구(13)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흡수 패드(40)는 슬라이딩 부재(50)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부재(5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또한 흡수 패드(40)의 상면에는 방수층(41)이 형성되어 있다.
방수층(41)에 의해 샘플 패드(30)에 흡수된 샘플 용액(L1)이 직접 흡수 패드(40)에 흡수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방수층(41)의 상부 일부에는 샘플 패드(30)의 일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샘플 패드(30)의 다른 일부는 흡수 패드(40)의 측면 일부에서 돌출되며, 초기 상태에서 하우징(10)의 누름부재(15)에 의해 눌려 멤브레인 패드(20)의 일부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발명의 사용 상태에 따른 구조의 변화 및 그 변화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사용 상태에 따른 일부 구성 요소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설치 상태에서 제1투입구(12)를 통해 샘플 용액(L1)을 투입한다.
투입된 샘플 용액(L1)은 제1투입구(12)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샘플 패드(30)에 흡수되고, 샘플 패드(30)에 접촉된 멤브레인 패드(20) 측으로 흡수 확산 된다.
이때, 흡수 패드(40) 또한 멤브레인 패드(20)에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샘플 용액(L1)이 흡수 패드(40)에 흡수될 수 있으나, 흡수 패드(40)가 접촉되는 멤브레인 패드(20)에는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70)이 형성되어 있어, 샘플 용액(L1)이 흡수 패드(40)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80)에 의해 샘플 용액(L1)은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80)까지는 멤브레인 패드(20)를 따라 용이하게 확산되지만,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80)의 후단에 위치하는 멤브레인 패드(20)까지는 확산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달 확인구(14)를 통해 샘플 용액(L1)이 확인되면, 슬라이딩 부재(50)를 1차로 외측으로 당겨, 흡수 패드(40)와 샘플 패드(30)가 전극부(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 패드(30)의 끝단은 누름부재(15)에 의해 눌린 상태에서 벗어나 멤브레인 패드(20)와 접촉이 해제된다. 흡수 패드(40)는 멤브레인 패드(20)에 형성된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7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70)은 멤브레인 패드(20)에 흡수된 샘플 용액(L1)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 용해되어, 흡수 패드(40)의 일부가 멤브레인 패드(20)에 직접 접촉된다.
따라서 이때 부터는 흡수 패드(40)에 의한 흡수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80)도 샘플 용액(L1)에 일부 또는 전부 용해된다.
그 다음, 제2투입구(13)를 통해 워싱 용액(W1)과 반응 용액(L2)을 순차 투입한다.
투입된 워싱 용액(W1)은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80)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흡수 패드(40) 측으로 확산하면서, 미반응 물질들을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반응 물질의 제거 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워싱 용액이 투입되는 위치에 샘플 용액이 흡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비특이 반응 없이, 백그라운드 시그널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이후, 투입된 반응 용액(L2)은 멤브레인 패드(20)에 흡수되고, 전극부(60)를 지나 흡수 패드(40)에도 일부 흡수된다.
흡수 패드(40)는 반응 용액(L2)의 확산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50)를 외측으로 더 당겨서, 흡수 패드(40)가 멤브레인 패드(20)에 접촉되지 않도록 이동시킨다.
흡수 패드(40)가 계속 멤브레인 패드(20)에 접촉된 상태로 있으면, 전극부(60)에서 전기 화학 측정 과정에서 흡수 패드(40)에 의한 반응 용액(L2)의 흐름이 계속 발생하게 된다. 이는 분석물들이 전극부(60)를 지나 흡수 패드(40)에 흡수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신호 획득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흡수 패드(40)를 분리하여 반응 용액(L2)의 흐름 발생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신호 획득이 가능하게 된다.
위의 실시예들에서는 워싱 용액(W1)과 반응 용액(L2)의 투입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수동으로 워싱 용액(W1)과 반응 용액(L2)을 투입하거나, 자동 투입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진단 스트립 10: 하우징
11: 수용공간 12: 제1투입구
13: 제2투입구 14: 도달 확인구
15: 누름부재 20: 멤브레인 패드
30: 샘플 패드 40: 흡수 패드
50: 슬라이딩 부재 60: 전극부
70: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 80: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

Claims (7)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여 이격 배치된 제1투입구와 제2투입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제2투입구 하단에 배치되며, 제2투입구측 끝단이 건조되어 워싱 용액을 흡수하는 멤브레인 패드;
    상기 멤브레인 패드에 접촉되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흡수 패드;
    상기 흡수 패드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멤브레인 패드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접촉이 해제되는 샘플 패드;
    상기 제2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워싱 용액 투입 위치의 상기 멤브레인 패드 일부에 위치하여 샘플 용액이 건조된 상기 멤브레인 패드의 끝단으로 흡수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을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패드의 상기 흡수 패드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샘플 용액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성 폴리머 코팅층과 제2수용성 폴리머 코팅층은,
    폴리바이닐 알콜, 폴리아크릴 산, 폴리바이닐피롤리돈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스트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패드와 상기 샘플 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방수층을 더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드는,
    일부가 상기 방수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수 패드의 상부에 위치하며,
    다른 일부는 멤브레인 패드의 상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스트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드의 상기 멤브레인 패드 상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영역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누름부재에 의해 눌려 상기 멤브레인 패드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스트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상기 샘플 패드가 이동하면서, 상기 누름부재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멤브레인 패드와 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스트립.
KR1020210183198A 2021-12-20 2021-12-20 진단 스트립 KR102653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198A KR102653571B1 (ko) 2021-12-20 2021-12-20 진단 스트립
PCT/KR2022/019831 WO2023121066A1 (ko) 2021-12-20 2022-12-07 진단 스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198A KR102653571B1 (ko) 2021-12-20 2021-12-20 진단 스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051A KR20230094051A (ko) 2023-06-27
KR102653571B1 true KR102653571B1 (ko) 2024-04-02

Family

ID=8690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198A KR102653571B1 (ko) 2021-12-20 2021-12-20 진단 스트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3571B1 (ko)
WO (1) WO202312106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3414A (ja) 2002-08-14 2004-06-10 Cozart Bioscience Ltd 口腔液収集、転送および移送装置と方法
JP2006500595A (ja) 2002-09-26 2006-01-05 エフ ホフマン−ラ ロッシュ アクチェン ゲゼルシャフト 多重毛管センサ分析システム
KR101742958B1 (ko) 2017-03-31 2017-06-15 주식회사 제넷바이오 스트립센서 모듈, 그것을 이용한 스트립센서 기반의 분자진단 현장검사 장치
JP2020505616A (ja) 2017-01-06 2020-02-20 ディーエヌティー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サーチ,エルエルシーDnt Scientific Research, Llc 駆動流技術による迅速診断試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395U (ko) 1984-11-16 1986-06-12
KR20040018893A (ko) * 2002-08-27 2004-03-04 주식회사 바이오포커스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을 이용한 당화혈색소 진단 킷트 및분석 방법
US8012770B2 (en) 2009-07-31 2011-09-06 Invisible Sentinel, Inc. Device for detection of antigens and uses thereof
CA2977845C (en) * 2010-02-23 2020-08-04 Lumine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grated sample preparation, reaction and detection
KR101516563B1 (ko) * 2013-09-13 2015-05-04 전자부품연구원 진단 스트립 삽입형 리더기
KR101981862B1 (ko) * 2017-09-18 2019-05-23 주식회사 미코바이오메드 측면 흐름을 이용한 진단스트립
KR102138192B1 (ko) * 2018-12-28 2020-07-27 (주)프로테옴텍 다수 개의 검사선을 구비한 임신진단용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임신진단키트
KR20200128805A (ko) *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큐에스택 체액 진단 스트립
KR102261186B1 (ko) * 2019-06-28 2021-06-07 주식회사 지엠디바이오텍 자동신호증폭이 가능한 측방유동면역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3414A (ja) 2002-08-14 2004-06-10 Cozart Bioscience Ltd 口腔液収集、転送および移送装置と方法
JP2006500595A (ja) 2002-09-26 2006-01-05 エフ ホフマン−ラ ロッシュ アクチェン ゲゼルシャフト 多重毛管センサ分析システム
JP2020505616A (ja) 2017-01-06 2020-02-20 ディーエヌティー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サーチ,エルエルシーDnt Scientific Research, Llc 駆動流技術による迅速診断試験装置
KR101742958B1 (ko) 2017-03-31 2017-06-15 주식회사 제넷바이오 스트립센서 모듈, 그것을 이용한 스트립센서 기반의 분자진단 현장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1066A1 (ko) 2023-06-29
KR20230094051A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1393B2 (ja) 改善した試料クロージャを有する免疫測定装置
JP4891079B2 (ja) 免疫参照電極を有する免疫測定装置
KR101879526B1 (ko) 회전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카트리지
KR101445409B1 (ko) 유체 장치에서 광학 간섭의 감소
US5989840A (en) Estimation of active infection by heliobacter pylori
KR20080003941A (ko) 면역센서
WO2001090754A1 (fr) Biocapteur
Chuang et al. Disposable surface plasmon resonance aptasensor with membrane-based sample handling design for quantitative interferon-gamma detection
KR102261186B1 (ko) 자동신호증폭이 가능한 측방유동면역센서
WO2006080438A1 (ja) イムノクロマト用試験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定量方法
US8685714B2 (en) Immunosensor
US11154857B2 (en) Single-channel, hybrid biosensor and sensor system including the same
JP3298836B2 (ja) 検体分析用具
WO1998054563A1 (en) Estimation of active infection by helicobacter pylori
KR102653571B1 (ko) 진단 스트립
KR20150053386A (ko) 전기화학발광용 lfa형 진단 스트립, 이것의 리더기 및 이것을 이용한 측정방법
JP2012215420A (ja) 測定装置及び測定プログラム
CN105074444A (zh) 电化学检测系统空气清洗
KR102492978B1 (ko) 진단 스트립
KR20230094050A (ko) 진단 스트립
KR102568066B1 (ko) 다중 검출이 가능한 진단 카트리지
KR102085985B1 (ko) 혈액을 포함한 체외진단용 분석 키트
KR102591005B1 (ko) 용액 공급장치를 이용한 진단 스트립
US20230398534A1 (en) Diagnostic cartridge capable of automatic solution supply and multiple detection
CN218331595U (zh) IgG抗体亚型检测试剂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