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430B1 - 캔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캔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430B1
KR102653430B1 KR1020230175651A KR20230175651A KR102653430B1 KR 102653430 B1 KR102653430 B1 KR 102653430B1 KR 1020230175651 A KR1020230175651 A KR 1020230175651A KR 20230175651 A KR20230175651 A KR 20230175651A KR 102653430 B1 KR102653430 B1 KR 10265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s
cleaning
unit
recycling devic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훈
정현성
정예안
Original Assignee
조기훈
정현성
정예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훈, 정현성, 정예안 filed Critical 조기훈
Priority to KR102023017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2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oaking alone
    • B08B9/24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oaking alone and hav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08B9/3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and hav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10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캔을 재활용시 재질이 다른 부분을 분리하고 이물질을 제거가 용이하도록, 캔을 투입시 컨베이어 밸트로 이동시키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통해 공급된 캔의 양측을 한쌍의 파지수단으로 잡아주고 캔의 양측면을 절단수단으로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된 캔에 투입되는 세척솔 사이에 관통시킨 배출공을 통해 세척액을 분출시키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를 통과해 이동하는 캔이 담겨져 초음파 세척을 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를 통과해 이동하는 캔을 한 쌍의 분쇄롤에 투하하여 분쇄하는 분쇄부로 이루어져, 재활용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캔 재활용 장치{Can recycling device}
본 발명은 캔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캔을 재활용시 재질이 다른 부분을 분리하고 이물질을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 캔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은 은백색의 가볍고 부드러운 금속으로서 가공이 쉽고, 전성과 연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음료용 캔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은 비중이 2.7 이고, 660℃ 의 융점을 갖고 있으며, 전도성과 주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여러 가지 금속의 합금재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경합금의 주성분이기도 하다.
또한, 알루미늄은 대기중에서 쉽게 부식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관계로 재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알루미늄 캔은 그 표면에 도장이 착색되어 있고, 먹다 남은 내용물 및 이물질 등이 묻어 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재활용 하기는 어렵다.
더욱이, 캔의 내부와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은 세척과정에서 씻어낼수 있지만, 표면에 착색된 도장은 제거가 어렵다.
특히, 알루미늄 캔에 착색된 도장은 점차 가열에 의한 전착도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를 벗겨 내기가 더욱 어렵다.
종래에는 수작업으로 알루미늄 캔의 표면에 착색된 도장을 제거하였다.
즉, 작업자가 사포나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캔의 표면에 착색된 도장을 일일이 벗겨 내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빈 캔을 수거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캔의 표면에 착색된 도장을 제거하는 것이므로 많은 시간과 작업인원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인건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빈 캔을 수거하여 이를 노 내에 투입한 뒤 용융시키므로서 용용과 함께 캔의 표면에 착색된 도장과 이물질 등이 용융시의 고열에 의해 연소 및 제거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캔의 표면에 착색된 도장이 연소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연소와 동시 캔으로부터 분리되어 슬래그(Slag) 형태로 노 내에 잔류하므로서 이 분순물로 인해 재생물의 순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즉, 캔의 표면에 접착된 도장과 라벨 및 접착제 등의 일부가 그대로 용해되거나 또는 연소되고 남은 재의 일부가 상기 용융물에 그대로 잔류하게 되어 원자재인 잉곳(Ingot)이나 샤시 및 캔 등에 잔류하므로서 이들 원자재로 부터 얻어지는 재생품의 순도가 떨어져 재활용이 어렵거나 활용범위에 제한을 받게 되고, 품질저하 및 품질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80598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캔 투입구가 정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일정한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캔의 파쇄조각을 수용하는 파쇄조각수집부와, 상기 투입구와 파쇄조각수집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캔을 이송시키는 이송관을 구비한 캔의 재활용을 위한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한 캔의 투입을 감지하는 캔센서부와;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알루미늄캔만을 분리하여 상기 파쇄조각수집부를 향하도록 하는 마그네틱분리부와; 상기 이송관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알루미늄캔을 비교적인 작은 크기의 조각으로 파쇄시키는 파쇄부와; 상기 캔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감지된 캔의 수를 카운터하여 기준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파쇄부를 구동하기 위한 파쇄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경고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용량초과를 알리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재질이 다른 부분을 모두 분쇄하기 때문에 재료를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야하고 이물질이 포함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제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캔을 재활용시 재질이 다른 부분을 분리하고 이물질을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캔을 투입시 컨베이어 밸트로 이동시키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통해 공급된 캔의 양측을 한쌍의 파지수단으로 잡아주고 캔의 양측면을 절단수단으로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된 캔에 투입되는 세척솔 사이에 관통시킨 배출공을 통해 세척액을 분출시키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를 통과해 이동하는 캔이 담겨져 초음파 세척을 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를 통과해 이동하는 캔을 한 쌍의 분쇄롤에 투하하여 분쇄하는 분쇄부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리부는 상부가 개구된 보관함에 초음파세정액을 투입하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캔외측의 코팅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솔을 캔에 삽입되도록 다단으로 늘어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캔 재활용 장치는 캔을 재활용시 재질이 다른 부분을 분리하고 이물질을 제거가 용이하도록, 캔을 투입시 컨베이어 밸트로 이동시키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통해 공급된 캔의 양측을 한쌍의 파지수단으로 잡아주고 캔의 양측면을 절단수단으로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된 캔에 투입되는 세척솔 사이에 관통시킨 배출공을 통해 세척액을 분출시키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를 통과해 이동하는 캔이 담겨져 초음파 세척을 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를 통과해 이동하는 캔을 한 쌍의 분쇄롤에 투하하여 분쇄하는 분쇄부로 이루어져, 재활용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캔 재활용 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캔 재활용 장치의 투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캔 재활용 장치의 절단부와 세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캔 재활용 장치의 분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캔 재활용 장치의 분쇄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캔 재활용 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캔 재활용 장치의 투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캔 재활용 장치의 절단부와 세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캔 재활용 장치의 분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캔 재활용 장치의 분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캔 재활용 장치 1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투입부 100, 절단부 200, 세척부 300, 분리부 400, 분쇄부 500로 이루어진다.
이때, 투입부 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캔 C을 투입시 컨베이어 밸트 110로 이동시킨다. 이때, 투입부 100는 절단부 200, 세척부 300, 분리부 400, 분쇄부 500에 각각 캔 C을 공급시 투입부 100를 이용한다.
또한, 절단부 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부 100를 통해 공급된 캔 C의 양측을 한쌍의 파지수단 210으로 잡아주고 캔 C의 양측면을 절단수단 220으로 절단시킨다.
여기서, 파지수단 210은 집게형태가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나아가, 파지수단 210의 상부에는 캔 C의 크기를 측정하는 센서 230가 설치된다. 나아가, 파지수단 210이 설치된 이송부재 250가 안내관 240에 설치되어 캔 C의 크기에 맞추어 조절한다.
그리고 세척부 300는 상기 절단된 캔 C에 투입되는 세척솔 310 사이에 관통시킨 배출공 311을 통해 세척액을 분출시킨다. 여기서, 세척솔 310을 캔 C에 삽입되도록 다단으로 늘어나는 연장관 320을 더 포함하여 캔 C의 내부에 세척솔 310을 삽입하고 세척액을 통해 캔 C의 내벽을 청소한다.
아울러, 분리부 400는 상기 세척부 300를 통과해 이동하는 캔 C이 담겨져 초음파 세척을 한다. 특히, 상기 분리부 400는 상부가 개구된 보관함 410에 초음파세정액을 투입하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캔 C외측의 코팅을 분리한다.
더불어, 분쇄부 500는 상기 분리부 400를 통과해 이동하는 캔 C을 한 쌍의 분쇄롤 510에 투하하여 파쇄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캔 재활용 장치 10는 캔을 재활용시 재질이 다른 부분을 분리하고 이물질을 제거가 용이하도록, 캔 C을 투입시 컨베이어 밸트 110로 이동시키는 투입부 100와, 상기 투입부 100를 통해 공급된 캔 C의 양측을 한쌍의 파지수단 210으로 잡아주고 캔 C의 양측면을 절단수단 220으로 절단시키는 절단부 200와, 상기 절단된 캔 C에 투입되는 세척솔 310 사이에 관통시킨 배출공 311을 통해 세척액을 분출시키는 세척부 300와, 상기 세척부 300를 통과해 이동하는 캔 C이 담겨져 초음파 세척을 하는 분리부 400와, 상기 분리부 400를 통과해 이동하는 캔 C을 한 쌍의 분쇄롤 510에 투하하여 파쇄하는 분쇄부 500로 이루어져, 재활용 효율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캔
10 : 캔 재활용 장치
100 : 투입부 110 : 밸트
200 : 절단부 210 : 파지수단
220 : 절단수단
300 : 세척부 310 : 세척솔
311 : 배출공 320 : 연장관
400 : 분리부 410 : 보관함
500 : 분쇄부 510 : 분쇄롤

Claims (3)

  1. 캔을 투입시 컨베이어 밸트로 이동시키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통해 공급된 캔의 양측을 한쌍의 파지수단으로 잡아주고 캔의 양측면을 절단수단으로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된 캔에 투입되는 세척솔 사이에 관통시킨 배출공을 통해 세척액을 분출시키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를 통과해 이동하는 캔이 담겨져 초음파 세척을 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를 통과해 이동하는 캔을 한 쌍의 분쇄롤에 투하하여 파쇄하는 분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솔을 캔에 삽입되도록 다단으로 늘어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지수단의 상부에는 캔의 크기를 측정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파지수단이 설치된 이송부재가 안내관에 설치되어 캔의 크기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재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부가 개구된 보관함에 초음파세정액을 투입하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캔외측의 코팅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재활용 장치.
  3. 삭제
KR1020230175651A 2023-12-06 2023-12-06 캔 재활용 장치 KR10265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5651A KR102653430B1 (ko) 2023-12-06 2023-12-06 캔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5651A KR102653430B1 (ko) 2023-12-06 2023-12-06 캔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430B1 true KR102653430B1 (ko) 2024-04-01

Family

ID=9066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5651A KR102653430B1 (ko) 2023-12-06 2023-12-06 캔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4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592B1 (ko) * 2017-11-17 2018-06-01 서용현 폐 캔 재활방법
KR101908048B1 (ko) * 2017-06-08 2018-10-15 배종철 음료캔용 세정 살균장치
KR102076074B1 (ko) * 2019-08-14 2020-02-10 최호선 전동식 젖병 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048B1 (ko) * 2017-06-08 2018-10-15 배종철 음료캔용 세정 살균장치
KR101863592B1 (ko) * 2017-11-17 2018-06-01 서용현 폐 캔 재활방법
KR102076074B1 (ko) * 2019-08-14 2020-02-10 최호선 전동식 젖병 세척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제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93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empty aluminum cans
KR101428507B1 (ko) 폐 알루미늄캔 및 알루미늄 칩을 이용한 제강용 탈산제 제조방법
EP16166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rting, and collecting data pertaining to recyclables at a material recovery facility
KR102653430B1 (ko) 캔 재활용 장치
US54076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raw plastics for reuse
JP2007190481A (ja) 廃プラスチックの破砕方法及び破砕装置
FI112720B (fi) Menetelmä kuvaputkia sisältävien elektroniikkatuotteiden purkamiseksi ja materiaalien kierrättämiseksi
CN108179443A (zh) 铝电解极上保温料多级破碎、除铁及加料方法
US117955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waste metal batch composition
CN107324340B (zh) 一种回收金刚线切割硅粉废料的设备和方法
CN203779735U (zh) 一种废旧轮胎的粉碎分离装置
JP2014140792A (ja) 多結晶シリコン中の粒状石英ガラスの除去方法
CN110508379B (zh) 一种钢化玻璃的破碎装置
CN209093943U (zh) 固态危废的rdf预处理系统
GB2365803A (en) Fragmentiser
JPH08215590A (ja) 空きびん等の分別破砕処理装置
CN213469566U (zh) 一种可均匀进料的冶金粉末加料装置
CN210995306U (zh) 一种用于碎玻璃的风选去杂装置
CN110227575A (zh) 一种用于破碎硅边料的破碎机
CN220784609U (zh) 一种变压器骨架去披锋装置
JP4027592B2 (ja) 空缶処理方法
CN219855961U (zh) 一种带废料切断回收的吹膜机
KR20150126074A (ko) 폐알루미늄으로부터 알루미늄분리방법
CN204724323U (zh) 出磨水泥一体化自动除渣装置
JPH11262733A (ja) 選別装置及び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