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385B1 -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385B1
KR102651385B1 KR1020220028517A KR20220028517A KR102651385B1 KR 102651385 B1 KR102651385 B1 KR 102651385B1 KR 1020220028517 A KR1020220028517 A KR 1020220028517A KR 20220028517 A KR20220028517 A KR 20220028517A KR 102651385 B1 KR102651385 B1 KR 10265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container
wrapping
suppor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1527A (ko
Inventor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특수인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특수인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특수인쇄
Priority to KR1020220028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385B1/ko
Publication of KR2023013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B65C3/10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horizon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2Label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안제가 수용되며 상부에 출구를 갖는 몸체 및 이의 출구 측에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진 용기에서 상기 몸체와 상기 캡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라벨에 대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각의 랩핑부 및 이의 일측 상단에 돌출되게 그립부를 형성하도록 수축 필름을 재단하여 라벨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라벨의 표면에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 상기 라벨의 랩핑부에서 상기 몸체와 상기 캡의 경계에 대응되는 영역에 가로지르는 형태로 수평절취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라벨의 랩핑부에서 상기 그립부 일단을 시작으로 상기 수평절취라인과 인접한 영역까지 세로지르는 형태로 제1수직절취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라벨의 랩핑부 일단에 형성하되, 상기 용기에 부착 시 랩핑부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겹침에 따라 상기 제1수직절취라인과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 세로지르는 형태로 제2수직절취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라벨의 랩핑부 이면에서 상기 수평절취라인을 포함하는 제1영역과, 상기 라벨의 랩핑부 이면에서 상기 제1영역의 우단부를 시작으로 랩핑부의 하단까지 이어지는 제2영역과, 상기 라벨의 랩핑부 이면에서 상기 제1영역의 좌단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상하로 교차되게 이어지는 제3영역 각각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절취라인을 따라 절취하여 캡 개봉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OPS 수축 필름에 대한 인쇄 효과가 뛰어나 용기의 몸체 외주면에 남아 있는 라벨 일부에 인쇄된 다양한 제품 정보(제품명, 점안제 사용 시 유의사항, 성분 등)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BEL AND AN APPARATUS FOR APPLYING A LABEL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점안제 용기에 부착되는 라벨에 대한 재질을 PVC 계열에서 친환경의 OPS 계열의 수축 필름으로 대체하고, 절취라인 및 점착제 도포층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절취가 용이하도록 한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액상 내용물을 담아 저장하는 용기에 부착되는 라벨을 제조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14490호 (2009.08.21.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폴리우레탄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라벨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라벨』이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1은 폴리우레탄수지 65~69중량%, 폴리우레탄품 15~19중량%, 경화제 5.3중량%, 안료 10~14중량%, 우레탄 및 실리콘 혼합오일 0.05중량%의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혼합물의 탈포단계; 문자 및 도형이 형성된 금형에 상기 혼합물을 주사기에 넣어 주입하는 인젝션단계; 상기 금형에 주입된 혼합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냉각시키는 단계; 및 금형에서 상기 혼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혼합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고, 제조단계를 간소화하여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을 줄인 폴리우레탄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라벨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라벨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1-0126809호 (2021.10.21.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친환경 용기 라벨 및 친환경 용기 제조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2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의 일면에 적층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제1레이어; 상기 인쇄층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표면에 적층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제2레이어; 및 상기 제1레이어 및 제2레이어 사이에 적층되어, 상기 접착층 및 인쇄층을 접착하는 중간 기재층을 포함함으로써, 산소 및 수분에 대한 차단력을 가지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단일 재질로 형성한 친환경 용기 라벨 및 친환경 용기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78429호 (2018.07.09.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형광성을 갖는 열수축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라벨 용기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3은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고 90℃의 온도에서 10초 동안 열처리 시에 면내 제 1 방향에 대해 50~90%의 열수축률을 갖는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형광 증백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필름이 제공됨으로써, 충분한 열수축률을 보유하면서도 형광에 의해 자외선을 흡수하여 단파장의 가시광선을 방출하고, 용기 등에 장착 시에 제조 공정에서의 라벨 결함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형광성을 갖는 열수축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라벨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14490호 (2009.08.21.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1-0126809호 (2021.10.21.공개) 문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78429호 (2018.07.09.등록)
본 발명은 용기 전체에 대한 부착이 가능하고 굴곡면에도 접착이 가능하며 인쇄 효과가 뛰어난 친환경적인 OPS 수축 필름을 재질로 한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용기에 대한 라벨 부착 시 이를 자동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은,
점안제가 수용되며 상부에 출구를 갖는 몸체 및 이의 출구 측에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진 용기에서 상기 몸체와 상기 캡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라벨에 대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각의 랩핑부 및 이의 일측 상단에 돌출되게 그립부를 형성하도록 수축 필름을 재단하여 라벨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라벨의 표면에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
상기 라벨의 랩핑부에서 상기 몸체와 상기 캡의 경계에 대응되는 영역에 가로지르는 형태로 수평절취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라벨의 랩핑부에서 상기 그립부 일단을 시작으로 상기 수평절취라인과 인접한 영역까지 세로지르는 형태로 제1수직절취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라벨의 랩핑부 일단에 형성하되, 상기 용기에 부착 시 랩핑부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겹침에 따라 상기 제1수직절취라인과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 세로지르는 형태로 제2수직절취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라벨의 랩핑부 이면에서 상기 수평절취라인을 포함하는 제1영역과, 상기 라벨의 랩핑부 이면에서 상기 제1영역의 우단부를 시작으로 랩핑부의 하단까지 이어지는 제2영역과, 상기 라벨의 랩핑부 이면에서 상기 제1영역의 좌단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상하로 교차되게 이어지는 제3영역 각각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는,
상부 입구와 하부 출구를 갖는 내부 공간에 일렬로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피더;
상기 피더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더에 수용된 최하단의 용기를 받치게 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를 후퇴시켜 상기 피더의 출구 측을 개방하고 다시 전진시켜 상기 피더의 출구 측을 차단하도록 상기 지지체를 진퇴(進退) 동작케 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피더의 출구에서 빠져나온 용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슬로프를 갖는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의 슬로프에 의해 안내된 상기 용기에 상기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는,
친환경적의 OPS 수축 필름을 이용해 재단한 후, 절취라인 및 점착제 도포층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절취라인을 따라 절취하여 캡 개봉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OPS 수축 필름에 대한 인쇄 효과가 뛰어나 용기의 몸체 외주면에 남아 있는 라벨 일부에 인쇄된 다양한 제품 정보(제품명, 점안제 사용 시 유의사항, 성분 등)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을 보여주기 위한 표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이면 구성도,
도 3은 용기에 라벨이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4는 용기를 감싸는 형태로 양단이 서로 접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라벨의 입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착 장치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6은 부착유닛을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7은 부착유닛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8은 부착유닛을 나타낸 배면 구성도,
도 9 내지 도 11은 부착유닛에 의해 라벨이 부착되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은,
점안제가 수용되며 상부에 출구를 갖는 몸체(1a) 및 이의 출구 측에 결합되는 캡(1b)으로 이루어진 용기(1)에서 상기 몸체(1a)와 상기 캡(1b)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라벨(2)에 대한 제조 방법으로서,
크게 라벨 제작 단계, 인쇄 단계, 절취라인 형성 단계, 점착제 도포 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별로 살펴보면,
상기 라벨 제작 단계는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랩핑부(2a) 및 이의 일측 상단에 돌출되게 그립부(2b)를 형성하도록 수축 필름을 재단하여 라벨(2)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인쇄 단계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벨(2)의 표면에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절취라인 형성 단계는
도 1 내지 도 4,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벨(2)의 랩핑부(2a)에서 상기 몸체(1a)와 상기 캡(1b)의 경계에 대응되는 영역에 가로지르는 형태로 수평절취라인(2c)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라벨(2)의 랩핑부(2a)에서 상기 그립부(2b) 일단을 시작으로 상기 수평절취라인(2c)과 인접한 영역까지 세로지르는 형태로 제1수직절취라인(2d)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라벨(2)의 랩핑부(2a) 일단에 형성하되, 상기 용기(1)에 부착 시 랩핑부(2a)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겹침에 따라 상기 제1수직절취라인(2d)과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 세로지르는 형태로 제2수직절취라인(2e)을 형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결국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그립부(2b)를 잡고 아래로 당기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수직절취라인(2d, 2e)을 따라 절취되고, 이후 좌측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수평절취라인(2c)을 따라 절취됨으로써, 상기 용기(1)의 몸체(1a)에만 라벨(2) 일부만 남고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 점착제 도포 단계는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벨(2)의 랩핑부(2a) 이면에서 상기 수평절취라인(2c)을 포함하는 제1영역과, 상기 라벨(2)의 랩핑부(2a) 이면에서 상기 제1영역의 우단부를 시작으로 랩핑부(2a)의 하단까지 이어지는 제2영역과, 상기 라벨(2)의 랩핑부(2a) 이면에서 상기 제1영역의 좌단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상하로 교차되게 이어지는 제3영역 각각에 점착제(2f)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라벨(2)은 원재로서 수축 필름을 사용하게 되는데, 기존 PVC 수축 필름은 환경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기에 본 발명에서의 라벨(2)은 OPS(Oriented Poly styrene) 재질의 수축 필름을 사용한다.
이러한 OPS 수축 필름은 용기 전체에 라벨 부착이 가능하여 광고효과가 뛰어나며, 굴곡면에도 접착이 가능하고, 인쇄 효과가 뛰어나며, 유통 중에 라벨이 쉽게 떨어지지 않아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아울러 OPS 수축 필름은 PET 등의 수축 필름 대비 약 10~20%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한 알콜계열 용제를 사용하므로 라벨 표면이 인체에 안전하고 인쇄 현장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라벨 분리 시 용기와 함께 수조의 물에 넣게 되면 용기와 비중차에 의해서 물에 뜨므로 분리 제거가 용이하고, 굴곡이 심한 부위의 수축 시 필름 말림이나 주름 없이 깨끗하게 수축이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는,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2)을 용기(1)에 부착하는 장치로서,
크게 피더(10), 지지체(20), 구동유닛(30), 테이블(40) 및 부착유닛(5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피더(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입구와 하부 출구를 갖는 내부 공간에 일렬로 상기 용기(1)가 수용되는 관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피더(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용기(1)가 눕혀진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예각(銳角)을 이루는 형태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하여 내부에 수용된 용기(1)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더(10)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더(10)에 수용된 최하단의 용기(1)를 받치게 되는 것으로,
사각의 블록 구조로 이루어지되, 낙하된 용기(1)가 쉽게 미끄러져 나갈 수 있도록 상면에 경사부(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유닛(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20)를 후퇴시켜 상기 피더(10)의 출구 측을 개방하고 다시 전진시켜 상기 피더(10)의 출구 측을 차단하도록 상기 지지체(20)를 진퇴(進退) 동작케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체(20)에 연결되는 구동피스톤(31), 그리고
상기 구동피스톤(31)이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상기 구동피스톤(31)을 진퇴케 하는 구동공압실린더본체(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구동공압실린더본체(32)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서 상기 구동피스톤(31) 후퇴 시 상기 피더(10)의 출구 측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피더(10)에 수용된 용기(1)가 빠져나오게 되고, 용기(1)가 빠져나옴과 동시에 상기 구동피스톤(31) 전진 시 상기 지지체(20)에 의해서 상기 피더(10)의 출구 측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피더(10)에 수용된 용기(1)가 순차적으로 상기 부착유닛(5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30)이 설치되며 상기 피더(10)의 출구에서 빠져나온 용기(1)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슬로프(41)를 갖는 테이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유닛(50)은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40)의 슬로프(41)에 의해 안내된 상기 용기(1)에 상기 라벨(2)을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51),
상기 하우징(51)의 전면(前面) 중앙 영역에 회전케 장착되며 후방 피니언기어(521)와 전방 구동기어(522)를 갖는 구동기어체(52),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에서 상기 구동기어체(52)의 상부 측에 회전케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522)와 상호 맞물리는 종동기어(531) 및 이에 연결되는 전방 종동디스크(532)를 갖는 종동기어체(53A),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에서 상기 구동기어체(52)의 좌측에 회전케 장착되는 로터(53B),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에서 상기 구동기어체(52)의 우측에 고정 장착되는 서포트(53C),
상기 종동기어체(53A)의 종동디스크(532)에서 편심(偏心)된 위치에 회전케 결합되는 종동롤러(54A),
상기 로터(53B)의 중앙 영역에 고정 결합되는 로터롤러(54B),
상기 서포트(53C)의 중앙 영역에 회전케 결합되는 서포트롤러(54C),
상기 로터(53B)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로터구동부(55),
상기 구동기어체(52)의 피니언기어(521)와 상호 맞물리는 래크기어(56),
상기 래크기어(56)를 진퇴 동작케 하는 기어구동부(57), 그리고
상기 하우징(51)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터롤러(54B)와 상기 서포트롤러(54C)에 의해 지지된 용기(1) 측으로 상기 라벨(2)을 공급하는 컨베이어(5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체(53A)는 상기 구동기어체(52)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동작을 하게 되고, 상기 로터(53B)는 상기 로터구동부(55)에 의해 회전 동작을 하게 되며, 상기 서포트(53C)는 상기 하우징(51)에 고정 장착됨에 따라 비(非)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롤러(54A)와 서포트롤러(54C)는 자유 회전 동작을 하게 되고, 상기 로터롤러(54B)는 상기 로터(53B)에 고정 결합됨에 따라 상기 로터(53B) 회전 시 함께 회전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로터구동부(55)는 상기 로터(55B)에 연결되는 로터구동축(551)과, 상기 로터구동축(551)을 갖는 로터구동모터(552)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로터구동축(551) 회전 시 상기 로터(55B)가 함께 회전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기어구동부(57)는 상기 래크기어(56)에 연결되는 기어피스톤(571)과, 상기 기어피스톤(571)이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상기 기어피스톤(571)을 진퇴 동작케 하는 기어공압실린더본체(572)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래크기어(56)가 전진 시 이에 맞물린 상기 피니언기어(52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기어체(52) 및 이에 맞물린 상기 종동기어체(53B)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종동기어체(53B)에 마련된 종동롤러(54A)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로터롤러(54B)와 상기 서포트롤러(54C)에 의해 지지된 용기(1)를 함께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용기(1)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로터구동부(55)에 의해 상기 로터(53B) 회전 시 상기 로터롤러(54B)가 상기 용기(1)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에 공급된 라벨(2)이 용기(1)의 몸체(1a)와 캡(1b)의 외면을 따라 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서포트(53C)에는 상기 서포트롤러(54C) 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라벨(2)의 인입을 안내하는 가이드(533)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로터롤러(54B)의 외주면을 따라 슬립방지부재(541)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슬립방지부재(541)는 상기 용기(1)를 강제 회전시킬 때에 미끄러지거나 변형되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터롤러(54B)의 외주면에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을 형성함에 따라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미끄럼 방지의 특성이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티렌-부타디엔(SBR) 고무 또는 니트릴-부타디엔(NBR) 고무 60 내지 70 중량부, 논슬립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로터롤러(54B)의 외주면에 평균 50 내지 80㎛의 두께가 되도록 딥 코팅을 통해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논슬립제로 질화규소(Si3N4) 분말 및 탄화규소(SiC) 분말을 6: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 경우 논슬립제의 부가에 의해 미끄럼 방지 특성이 향상되며 코팅층의 내구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50 내지 200℃에서의 내열 특성이나 수분이 남아 있는 대상물에 대한 그립 특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첨가제로는 통상의 고무 조성물에 사용되는 첨가제를 적당량 사용할 수 있는데, 충진제로 실리카 2 내지 5 중량부, 가교제인 황 2 내지 5 중량부, 가교촉진제인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 1 내지 2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착 장치는 이젝팅(ejecting)유닛(60) 및 발열체(7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이젝팅유닛(6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에 대한 상기 라벨(2)의 부착이 완료되면 상기 로터롤러(54B)와 상기 서포트롤러(54C)에 의해 지지된 용기(1)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동기어체(52)의 중심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이젝팅홀(61),
상기 이젝팅홀(61)을 드나들게 배치되는 이젝팅헤드(62),
상기 이젝팅헤드(62)에 연결되는 이젝팅피스톤(63), 그리고
상기 이젝팅피스톤(63)이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상기 이젝팅피스톤(63)을 진퇴 동작케 하는 이젝팅공압실린더본체(6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이젝팅공압실린더본체(64)에 의해 상기 이젝팅헤드(62) 전진 시 상기 이젝팅홀(61)을 지나 상기 로터롤러(54B)와 상기 서포트롤러(54C)에 의해 지지된 용기(1)의 바닥면을 밀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발열체(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1)에 설치되며 상기 로터(53B)와 상기 서포트(53C)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히팅봉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발열체(7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용기(1)에 부착된 라벨(2)을 수축시키게 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라벨 부착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6에서와 같이, 용기(1)가 공급되면 상기 로터롤러(54B)와 상기 서포트롤러(54C)에 의해 지지되고,
도 9에서와 같이, 기어구동부(57)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체(52) 및 이에 동력을 전달 받은 상기 종동기어체(53B)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종동롤러(54A)가 회전하여 되어 용기(1)를 지지하게 되며,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로터구동부(55)에 의해 상기 로터(53B) 회전 시 상기 로터롤러(54B)에 의해서 상기 용기(1)가 강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컨베이어(58)를 통해서 상기 라벨(2)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라벨(2)이 상기 용기(1)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용기(1)에 부착된다.
이때에 상기 발열체(70)를 통해 상기 라벨(2)을 수축시켜 최종적으로 부착을 완료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젝팅유닛(60)의 이젝팅헤드(62)를 이용해 부착 완료된 상기 용기(1)를 밀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용기
1a : 몸체
1b : 캡
2 : 라벨
2a : 랩핑부
2b : 그립부
2c : 수평절취라인
2d : 제1수직절취라인
2e : 제2수직절취라인
2f : 점착제
10 : 피더
20 : 지지체
21 : 경사부
30 : 구동유닛
31 : 구동피스톤
32 : 구동공압실린더본체
40 : 테이블
41 : 슬로프
50 : 부착유닛
51 : 하우징
52 : 구동기어체
521 : 피니언기어
522 : 구동기어
53A : 종동기어체
531 : 종동기어
532 : 종동디스크
53B : 로터
53C : 서포트
533 : 가이드
54A : 종동롤러
54B : 로터롤러
541 : 슬립방지부재
54C : 서포트롤러
55 : 로터구동부
551 : 로터구동축
552 : 로터구동모터
56 : 래크기어
57 : 기어구동부
571 : 기어피스톤
572 : 기어공압실린더본체
58 : 컨베이어
60 : 이젝팅유닛
61 : 이젝팅홀
62 : 이젝팅헤드
63 : 이젝팅피스톤
64 : 이젝팅공압실린더본체
70 : 발열체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사각의 랩핑부(2a) 및 이의 일측 상단에 돌출되게 그립부(2b)를 형성하도록 수축 필름을 재단하여 라벨(2)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라벨(2)의 표면에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
    상기 라벨(2)의 랩핑부(2a)에서 몸체(1a)와 캡(1b)의 경계에 대응되는 영역에 가로지르는 형태로 수평절취라인(2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라벨(2)의 랩핑부(2a)에서 상기 그립부(2b) 일단을 시작으로 상기 수평절취라인(2c)과 인접한 영역까지 세로지르는 형태로 제1수직절취라인(2d)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라벨(2)의 랩핑부(2a) 일단에 형성하되, 용기(1)에 부착 시 랩핑부(2a)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겹침에 따라 상기 제1수직절취라인(2d)과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 세로지르는 형태로 제2수직절취라인(2e)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라벨(2)의 랩핑부(2a) 이면에서 상기 수평절취라인(2c)을 포함하는 제1영역과, 상기 라벨(2)의 랩핑부(2a) 이면에서 상기 제1영역의 우단부를 시작으로 랩핑부(2a)의 하단까지 이어지는 제2영역과, 상기 라벨(2)의 랩핑부(2a) 이면에서 상기 제1영역의 좌단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상하로 교차되게 이어지는 제3영역 각각에 점착제(2f)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축 필름은 OPS(Oriented Poly styrene)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가 수용되며 상부에 출구를 갖는 몸체(1a) 및 이의 출구 측에 결합되는 캡(1b)으로 이루어진 용기(1)에서 상기 몸체(1a)와 상기 캡(1b)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라벨(2)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2)을 용기(1)에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부 입구와 하부 출구를 갖는 내부 공간에 일렬로 상기 용기(1)가 수용되는 피더(10);
    상기 피더(10)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더(10)에 수용된 최하단의 용기(1)를 받치게 되는 지지체(20);
    상기 지지체(20)를 후퇴시켜 상기 피더(10)의 출구 측을 개방하고 다시 전진시켜 상기 피더(10)의 출구 측을 차단하도록 상기 지지체(20)를 진퇴(進退) 동작케 하는 구동유닛(30);
    상기 구동유닛(30)이 설치되며 상기 피더(10)의 출구에서 빠져나온 용기(1)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슬로프(41)를 갖는 테이블(40); 및
    상기 테이블(40)의 슬로프(41)에 의해 안내된 상기 용기(1)에 상기 라벨(2)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유닛(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유닛(50)은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전면(前面) 중앙 영역에 회전케 장착되며 후방 피니언기어(521)와 전방 구동기어(522)를 갖는 구동기어체(52)와,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에서 상기 구동기어체(52)의 상부 측에 회전케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522)와 상호 맞물리는 종동기어(531) 및 이에 연결되는 전방 종동디스크(532)를 갖는 종동기어체(53A)와,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에서 상기 구동기어체(52)의 좌측에 회전케 장착되는 로터(53B)와,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에서 상기 구동기어체(52)의 우측에 고정 장착되는 서포트(53C)와,
    상기 종동기어체(53A)의 종동디스크(532)에서 편심(偏心)된 위치에 회전케 결합되는 종동롤러(54A)와,
    상기 로터(53B)의 중앙 영역에 고정 결합되는 로터롤러(54B)와,
    상기 서포트(53C)의 중앙 영역에 회전케 결합되는 서포트롤러(54C)와,
    상기 로터(53B)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로터구동부(55)와,
    상기 구동기어체(52)의 피니언기어(521)와 상호 맞물리는 래크기어(56)와,
    상기 래크기어(56)를 진퇴 동작케 하는 기어구동부(57)와,
    상기 하우징(51)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터롤러(54B)와 상기 서포트롤러(54C)에 의해 지지된 용기(1) 측으로 상기 라벨(2)을 공급하는 컨베이어(58)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53C)에는 상기 서포트롤러(54C) 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라벨(2)의 인입을 안내하는 가이드(533)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1)에 대한 상기 라벨(2)의 부착이 완료되면 상기 로터롤러(54B)와 상기 서포트롤러(54C)에 의해 지지된 용기(1)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팅(ejecting)유닛(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
KR1020220028517A 2022-03-07 2022-03-07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 KR10265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517A KR102651385B1 (ko) 2022-03-07 2022-03-07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517A KR102651385B1 (ko) 2022-03-07 2022-03-07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527A KR20230131527A (ko) 2023-09-14
KR102651385B1 true KR102651385B1 (ko) 2024-03-26

Family

ID=8801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517A KR102651385B1 (ko) 2022-03-07 2022-03-07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3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1140A (ja) 2003-06-09 2005-01-06 Sii P & S Inc 感熱性粘着シートの印字および熱活性化装置と、印字および熱活性化方法
KR100859351B1 (ko) 2007-05-25 2008-09-19 최영식 라벨링기
JP4511651B2 (ja) 1999-06-08 2010-07-28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フィルム装着装置
JP6308776B2 (ja) * 2013-12-25 2018-04-11 株式会社フジシール 熱収縮性巻付けラベ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5335A (en) * 1981-04-23 1982-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leaner
KR100914490B1 (ko) 2008-01-18 2009-08-27 오경선 폴리우레탄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라벨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라벨
KR101878429B1 (ko) 2017-10-25 2018-07-1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형광성을 갖는 열수축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라벨 용기의 제조방법
KR20210126809A (ko) 2020-04-10 2021-10-21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친환경 용기 라벨 및 친환경 용기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1651B2 (ja) 1999-06-08 2010-07-28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フィルム装着装置
JP2005001140A (ja) 2003-06-09 2005-01-06 Sii P & S Inc 感熱性粘着シートの印字および熱活性化装置と、印字および熱活性化方法
KR100859351B1 (ko) 2007-05-25 2008-09-19 최영식 라벨링기
JP6308776B2 (ja) * 2013-12-25 2018-04-11 株式会社フジシール 熱収縮性巻付けラ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527A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0784T3 (es) Recipiente multicapa.
KR102409119B1 (ko)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AU2010224411B2 (en) Container with enhanced display
KR102651385B1 (ko) 점안제 용기의 친환경 수축 라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벨 부착 장치
CN1914018A (zh) 由两种或多种材料制成的预成型件及其获得方法
CN1484577A (zh) 在塑料物件内模塑双凸透镜板材时保护油墨并提供增强接合的方法
US20070090568A1 (en) Clamped quantized feed system for solid freeform fabrication
Ghosh Technology of polymer packaging
JPH07500782A (ja) 金型内ラベルフィルム及び方法
CN103174376A (zh) 具有增加的耐气候老化性的玻璃纤维加强型塑料产品、系统及方法
JP2005324560A (ja) 可撓性チューブ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中間プラスチック物品
US20070264070A1 (en) Low Friction Cassette
CN101878158A (zh) 包装容器用的切断刃以及包装容器
MX2011000505A (es) Película plástica para uso en la fabricación de un manguito termorretráctil, rompible, así como un manguito termoretráctil hecho a partir de dicha película..
KR20060004692A (ko) 성형품의 제조 방법
JP6738550B2 (ja) 複合容器、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CN107660156A (zh) 用于医疗注射装置的壳体
CN102065962A (zh) 一种气球
JP7446701B2 (ja) 複合容器およびこの製造方法、ならびに複合容器の製造方法に用いる金型
JP6508561B2 (ja) ビール用複合容器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ビール用複合容器、内側ラベル部材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2019531781A (ja) 一体的に射出成形される層スリーブを備えたペンシル
JP6681036B2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製部材ならびに複合プリフォーム
JP6413571B2 (ja) 複合容器の製造方法、複合容器の充填方法および複合容器の充填装置
KR101066834B1 (ko) 그라데이션 효과가 연출되게 한 립글로스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장치
JP2009143143A (ja) 熱収縮性ラベ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