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955B1 -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 - Google Patents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955B1
KR102650955B1 KR1020230161761A KR20230161761A KR102650955B1 KR 102650955 B1 KR102650955 B1 KR 102650955B1 KR 1020230161761 A KR1020230161761 A KR 1020230161761A KR 20230161761 A KR20230161761 A KR 20230161761A KR 102650955 B1 KR102650955 B1 KR 102650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rear part
attachment
inser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국
Original Assignee
김관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국 filed Critical 김관국
Priority to KR102023016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a plurality of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2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 E01C23/093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rotary, e.g. circular-saw joint c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50Methods or devices for preventing dust by spraying or su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은, 작업장비의 결합을 위한 삽입체가 암 선단에 구비된 스키드로더; 상기 삽입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수용체가 구비되어 상기 스키드로더에 장착되고, 후타부의 콘크리트 및 철근을 함께 절단하기 위한 디스크형 커터를 포함하여, 상기 스키드로더에 의해 이동하면서 후타부의 콘크리트 및 철근을 절단하는 절단형 어태치먼트; 및 상기 삽입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수용체가 구비되어 상기 스키드로더에 장착되고, 다수의 파쇄비트가 원통형 드럼의 외주면에 분산된 구조로 형성된 파쇄드럼을 포함하여, 상기 절단형 어태치먼트에 의해 절단된 콘크리트 및 철근을 파쇄 또는 절삭하여 제거하는 절삭형 어태치먼트;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후타부를 타격하지 않고 절단과 절삭을 통해 후타부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후타부 제거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진동 및 비산먼지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후타부 콘크리트 및 철근의 절단과 절삭 작업의 기계화를 통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차량 통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Cutting system for removing post-casting part of expansion joint and method for removing the post-casting par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노후된 신축이음장치의 교체를 위하여 신축이음장치 주변의 후타부를 제거함에 있어서, 후타부의 절단 및 파쇄 또는 절삭를 통해 주변 콘크리트의 손상 없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후타부를 제거할 수 있는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상판은 온도 변화 및 하중에 의한 탄성 변형으로 인하여 교축 방향으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되므로, 교량의 구성을 위하여 이웃하게 배치되는 두 상판은 수축과 팽창을 고려하여 교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교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상판의 사이에는 틈새부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부는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저하시키고 소음 발생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므로, 상판의 신축 거동에 상관없이 틈새부를 메우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다수의 핑거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및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는 돌출된 핑거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판 사이에 형성된 틈새부를 메우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체에는 각각의 핑거플레이크가 상판에 일체화되어 함께 거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앵커부재는 신축이음장치와 상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후타부의 철근과 결속되고 콘크리트에 매립된다.
상기와 같은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주행 차량의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고, 교대의 수평 변위에 의한 협착이 발생하면 신축이음장치로써의 기능이 상실되는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잦은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요구된다.
한편,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교체를 위해서는, 후타부에 매립되어 철근과 연결된 앵커부재를 철근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후타부의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주철근과 앵커부재를 연결하는 철근을 절단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브레이커(Breaker)를 사용하여 후타부를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콘크리트를 깨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였으나, 브레이커를 이용한 후타부 콘크리트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강한 충격이나 진동이 주변 상판으로 그대로 전달됨에 따라, 주변 상판에 균열이 발생하고, 작업자는 콘크리트를 깨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비산먼지에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소음 및 비산먼지로 인한 주변 거주인의 민원으로 인해 원활한 공사의 진행이 곤란한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작업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한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1130호(2021.01.27.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가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교체를 위한 후타부 콘크리트 제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디스크형 절삭커터가 구비되어 후타부 콘크리트를 설정된 깊이로 절삭하는 절삭부(1) 및 상기 절삭부(1)에 의해 형성된 절삭면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치핑부(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문헌 1의 후타부 콘크리트 제거장치는, 후타부 콘크리트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어, 신축이음장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콘크리트 치핑작업에 따른 구조물의 직접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구조물의 건전도 유지 및 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의 후타부 콘크리트 제거장치는 후타부의 표층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만을 제거하게 되므로, 신축이음장치의 교체를 위해서는 나머지 콘크리트를 추가적으로 제거하고, 철근을 절단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1130호(2021. 01. 2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시공을 위해 후타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소음, 진동 및 비산먼지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및 철근의 절단과 파쇄 또는 절삭 작업을 기계화한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타부의 절단 및 절삭을 위한 어태치먼트가 장착된 스키드로더의 전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은, 작업장비의 결합을 위한 삽입체(12)가 암(11) 선단에 구비된 스키드로더(10); 상기 삽입체(1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수용체(23)가 구비되어 상기 스키드로더(10)에 장착되고, 후타부(100)의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을 함께 절단하기 위한 디스크형 커터(21)를 포함하여, 상기 스키드로더(10)에 의해 이동하면서 후타부(100)의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을 절단하는 절단형 어태치먼트(20); 및 상기 삽입체(1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수용체(33)가 구비되어 상기 스키드로더(10)에 장착되고, 다수의 파쇄비트(312)가 원통형 드럼(311)의 외주면에 분산된 구조로 형성된 파쇄드럼(31)을 포함하여, 상기 절단형 어태치먼트(20)에 의해 절단된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을 파쇄 또는 절삭하여 제거하는 절삭형 어태치먼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체(12)는 상호 이격된 좌측 삽입체(12a)와 우측 삽입체(12b)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체(23,33)는 좌측 삽입체(12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좌측 수용체(23a,33a) 및 우측 삽입체(12b)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우측 수용체(23b,33b)로 분할되며, 상기 좌,우측 수용체(23a,33a,23b,33b)의 사이로 툴 하우징(22,32)의 후단이 돌출되어 좌측 삽입체(12a)와 우측 삽입체(12b)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형 커터(21)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디스크형 커터(21)는 교축 방향(D1)으로 연장되도록 배근된 철근(102)을 동시에 여러 개의 마디로 절단하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을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은, 상기 절삭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교량 상판과 후타부(100)의 경계영역을 절단하는 경계부 커팅단계(S10); 상기 절단형 어태치먼트(20)를 스키드로더(10)에 장착하여, 스키드로더(10)의 주행에 의해 절단형 어태치먼트(20)가 후타부(100) 상에서 이동하면서 후타부(100)의 콘크리트(101)와 철근(102)을 함께 절단하는 후타부 커팅단계(S20); 상기 절단형 어태치먼트(20)에 의해 절단된 콘크리트(101)와 철근(102)을 파쇄 또는 절삭하기 위한 절삭형 어태치먼트(30)를 스키드로더(10)에 장착하여, 스키드로더(10)의 주행에 의해 절삭형 어태치먼트(30)가 후타부(100) 상에서 이동하면서 콘크리트(101)와 철근(102)을 파쇄 또는 절삭하여 제거하는 후타부 파쇄 또는 절삭 단계(S30); 및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의 제거 후, 잔여 콘크리트 및 철근을 제거하고 정리하는 마무리 및 주변 정리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타부 커팅단계(S20)는 다수의 디스크형 커터(21)를 이용하여 철근(102)을 여러 개의 마디로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타부 커팅단계(S20) 및 후타부 파쇄 또는 절삭 단계(S30)는, 절단형 어태치먼트(20) 및 절삭형 어태치먼트(30)가 교축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 및 절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에 의하면, 후타부를 타격하지 않고 절단과 파쇄 또는 절삭을 통해 후타부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후타부 제거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이 현저히 감소되며, 주변 상판에 균열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후타부 제거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비산먼지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쾌적한 작업환경의 구현이 가능하며, 민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타부 콘크리트 및 철근의 절단과 파쇄 또는 절삭 작업의 기계화를 통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차량 통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절단형 어태치먼트와 절삭형 어태치먼트의 장착 구조 개선을 통해 스키드로더의 전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신축이음장치의 교체작업을 위하여 차선을 순차적으로 통제하는 과정에서, 통제되는 차선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절삭형 어태치먼트에 의해 파쇄 또는 절삭되어 제거되는 후타부의 바닥면은 평탄하므로, 마무리 및 주변 정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면 정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타부 콘크리트 제거장치를 이용한 작업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시스템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체가 스키드로더의 암 선단에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어태치먼트의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어태치먼트의 배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어태치먼트가 스키드로더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어태치먼트가 교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정렬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어태치먼트에 의해 후타부 콘크리트 및 철근이 절단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어태치먼트의 측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어태치먼트의 배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타부 제거 공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커팅장비가 상판과 후타부의 경계영역을 절단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어태치먼트에 의해 후타부 콘크리트 및 철근이 파쇄 또는 절삭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은 스키드로더(10)를 기반으로 하여 후타부 콘크리트 및 철근의 제거 작업을 기계화한 것으로, 스키드로더(10)에 장착되어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절단형 어태치먼트(20) 및 스키드로더(10)에 장착되어 파쇄 또는 절삭 작업을 수행하는 절삭형 어태치먼트(3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스키드로더(10), 절단형 어태치먼트(20) 및 절삭형 어태치먼트(30)는, 어태치먼트가 장착된 스키드로더(10)의 전장(L)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장착구조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키드로더(10)는 절단형 어태치먼트(20) 또는 절삭형 어태치먼트(30)의 결합을 위한 삽입체(12)가 암(11) 선단에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체(12)는 좌측 삽입체(12a)와 우측 삽입체(12b)로 분할되고, 상기 좌측 삽입체(12a)와 우측 삽입체(12b)는 절단형 어태치먼트(20) 및 절삭형 어태치먼트(30)에 구비되는 툴 하우징(22,32)의 폭에 상응하는 사이 간격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며, 후단부가 연결부재(1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다.
한편, 상기 좌측 삽입체(12a)와 우측 삽입체(12b)는 수직에 근접한 자세를 갖는 판재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단부에는 수용체(2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쐐기형 돌출부(121)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수용체(23)의 바닥에 안착되는 안착부(1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좌측 삽입체(12a)와 우측 삽입체(12b)에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123)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안착부(122)의 하부로 돌출되어 수용체(23)에 걸림 결합되는 돌출편(124)이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어태치먼트(20)는, 후타부(100)의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을 함께 절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스크형 커터(21), 저면이 개방된 박스형 구조로 상기 디스크형 커터(21)의 상단부를 감싸 소음 및 비산먼지의 확산을 방지하는 툴 하우징(22) 및 상기 삽입체(12)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툴 하우징(22)의 외측에 구비되는 수용체(23)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형 커터(21)는 툴 하우징(22)에 수평한 자세로 지지된 구동축(211)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축(211)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한 번의 커팅작업을 통해 철근(102)을 여러 개의 마디로 절단할 수 있도록 다수의 디스크형 커터(21)가 구동축(211) 상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211)은 스키드로더(1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도록 절단형 어태치먼트(20)에 구비되는 유압모터(24)와 연결되어 회전하거나, 절단형 어태치먼트(20)에 별도로 탑재되는 엔진과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수용체(23)는 좌측 삽입체(12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좌측 수용체(23a) 및 우측 삽입체(12b)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우측 수용체(23b)로 분할되며, 좌측 수용체(23a)와 우측 수용체(23b)는 그 사이에 툴 하우징(22)이 위치하되, 툴 하우징(22)의 후단이 좌측 수용체(23a)와 우측 수용체(23b)의 사이로 돌출되도록, 툴 하우징(22)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 수용체(23a)와 우측 수용체(23b)는 삽입체(12)의 쐐기형 돌출부(12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231)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삽입체(12)의 안착부(122)가 안착되는 받침편(232)이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124)이 걸림 결합되는 걸림공(233)이 받침편(232)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툴 하우징(22)의 후단이 좌,우측 수용체(23a,23b)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절단형 어태치먼트(20)에 의하면, 스키드로더(10)의 암(11)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절단형 어태치먼트(20)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절단형 어태치먼트(20)가 장착된 스키드로더(10)의 전장(L)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장(L)의 길이가 감소된 스키드로더(10)의 경우, 교축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되기 위하여 요구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최소한의 차선만을 통제하면서 후타부(100)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통제되는 차선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어태치먼트(30)는, 후타부(100)의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의 파쇄 또는 절삭을 위한 파쇄드럼(31), 저면이 개방된 박스형 구조로 상기 파쇄드럼(31)의 상단부를 감싸 소음 및 비산먼지의 확산의 방지하는 툴 하우징(32) 및 상기 삽입체(12)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툴 하우징(32)의 좌우측에 각기 돌출 형성된 좌측 수용체(33a)와 우측 수용체(33b)로 이루어지는 수용체(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툴 하우징(32)과 수용체(33)의 구성은 상술한 절단형 어태치먼트(20)의 툴 하우징(22) 및 수용체(23)와 동일하므로, 절삭형 어태치먼트(30)의 툴 하우징(32) 및 수용체(33)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파쇄드럼(31)은 원통형 드럼(311) 및 다수의 파쇄비트(312)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원통형 드럼(311)은 툴 하우징(32)에 수평한 자세로 지지된 구동축(312)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축(312)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파쇄비트(312)는 원통형 드럼(311)의 외주면에 분산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312)은 스키드로더(1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도록 절삭형 어태치먼트(30)에 구비되는 유압모터(34)와 연결되어 회전하거나, 절삭형 어태치먼트(30)에 별도로 탑재되는 엔진과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타부 제거 공법은, 경계부 커팅단계(S10), 후타부 커팅단계(S20), 후타부 파쇄 또는 절삭 단계(S30) 및 마무리 및 주변 정리 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 시스템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부 커팅단계(S10)는 본격적인 후타부 제거작업에 앞서 교량 상판과 후타부(100)의 경계영역을 절단하는 공정으로, 교축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커팅장비(40)를 이동시켜 상판과 후타부(100)의 경계영역에 위치한 포장면을 일정한 깊이로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판과 후타부(100)의 경계영역을 미리 절단하여 분리시킴으로써, 후타부(100)의 제거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이 상판의 포장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계부 커팅단계(S10)는 포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101) 또는 아스팔트만을 커팅하게 된다.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타부 커팅단계(S20)는 절단형 어태치먼트(20)를 이용하여 후타부(100)를 절단하는 공정으로, 절단형 어태치먼트(20)를 스키드로더(10)의 암(11) 선단에 장착하고, 스키드로더(10)의 주행에 의해 절단형 어태치먼트(20)를 이동시키면서 절단 작업을 진행하되, 절단형 어태치먼트(20)가 교축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타부(100)의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을 함께 절단하도록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후타부 커팅단계(S20)는 후타부(100)의 콘크리트(101)와 철근(102)을 함께 절단하되, 교축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철근(102)을 여러 개의 마디로 절단하여 분리시킴으로써, 후타부(100)의 결속력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이후 진행되는 후타부 파쇄 또는 절삭 단계(S30)에서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의 동시 파쇄 또는 절단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절단형 어태치먼트(20)에 다수의 디스크형 커터(21)가 구비되는 경우, 한 번의 커팅작업을 통해 후타부(100)의 철근(102)을 여러 개의 마디로 절단할 수 있으므로, 커팅작업의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타부 파쇄 또는 절삭 단계(S30)는 절삭형 어태치먼트(30)를 이용하여 후타부(100)를 파쇄 또는 절삭하는 공정으로, 스키드로더(10)에 장착된 절단형 어태치먼트(20)를 분리하고, 절삭형 어태치먼트(30)를 장착하여, 스키드로더(10)의 주행에 의해 절삭형 어태치먼트(30)를 이동시키면서 파쇄 또는 절삭 작업을 진행하되, 절삭형 어태치먼트(30)가 교축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타부(100)의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을 함께 파쇄 또는 절삭하도록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마무리 및 주변 정리 단계(S40)는 후타부 파쇄 또는 절삭 단계(S30) 이후에, 작업자가 후타부의 잔여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을 제거하고 정리하여 후타부의 면을 고르게 하고, 주변을 정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후타부 커팅단계(S20) 및 후타부 파쇄 또는 절삭 단계(S3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디스크형 커터(21) 및 파쇄드럼(31)을 이용하여 절단 및 절삭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종래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후타부의 콘크리트를 깨는 작업 방식에 비해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후타부 주변의 콘크리트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소음 발생으로 인한 민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디스크형 커터(21) 및 파쇄드럼(31)은 툴 하우징(22,32)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절단 및 파쇄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소음 및 비산먼지의 확산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쾌적한 작업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며, 소음 및 비산먼지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단형 어태치먼트(20) 또는 절삭형 어태치먼트(30)를 스키드로더(10)에 장착하고, 장착된 어태치먼트를 교축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어태치먼트의 개선된 장착구조로 인하여 스키드로더(10)의 전장(L)이 감소함으로써, 원활한 작업의 진행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차선 통제 범위를 줄여 작업구간으로 인한 교통흐름의 악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키드로더 12: 삽입체
12a: 좌측 삽입체 12b: 우측 삽입체
11: 암 20: 절단형 어태치먼트
21: 디스크형 커터 22: 툴 하우징
23: 수용체 23a: 좌측 수용체
23b: 우측 수용체 30: 절삭형 어태치먼트
31: 파쇄드럼 311: 원통형 드럼
312: 파쇄비트 32: 툴 하우징
33: 수용체 33a: 좌측 수용체
33b: 우측 수용체 100: 후타부
101: 콘크리트 102: 철근

Claims (6)

  1. 작업장비의 결합을 위한 삽입체(12)가 암(11) 선단에 구비된 스키드로더(10);
    상기 삽입체(1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수용체(23)가 구비되어 상기 스키드로더(10)에 장착되고, 후타부(100)의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을 함께 절단하기 위한 디스크형 커터(21)를 포함하여, 상기 스키드로더(10)에 의해 이동하면서 후타부(100)의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을 절단하는 절단형 어태치먼트(20); 및
    상기 삽입체(1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수용체(33)가 구비되어 상기 스키드로더(10)에 장착되고, 다수의 파쇄비트(312)가 원통형 드럼(311)의 외주면에 분산된 구조로 형성된 파쇄드럼(31)을 포함하여, 상기 절단형 어태치먼트(20)에 의해 절단된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을 절삭하여 제거하는 절삭형 어태치먼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12)는 상호 이격된 좌측 삽입체(12a)와 우측 삽입체(12b)를 포함하되, 절단형 어태치먼트(20) 및 절삭형 어태치먼트(30)에 구비되는 툴 하우징(22,32)의 폭에 상응하는 간격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며,
    상기 좌측 삽입체(12a)와 우측 삽입체(12b)는 수직에 근접한 자세를 갖는 판재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단부에는 수용체(2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쐐기형 돌출부(121)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수용체(23)의 바닥에 안착되는 안착부(122)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체(23,33)는 좌측 삽입체(12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좌측 수용체(23a,33a) 및 우측 삽입체(12b)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우측 수용체(23b,33b)로 분할되어, 상기 좌,우측 수용체(23a,33a,23b,33b)의 사이로 툴 하우징(22,32)의 후단이 돌출되어 좌측 삽입체(12a)와 우측 삽입체(12b)의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커터(21)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디스크형 커터(21)는 교축 방향(D1)으로 연장되도록 배근된 철근(102)을 동시에 여러 개의 마디로 절단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4.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기 위하여 제1항의 절삭 시스템을 이용하여 후타부(100)를 제거하는 공법에 있어서,
    교량 상판과 후타부(100)의 경계영역을 절단하는 경계부 커팅단계(S10);
    상기 절단형 어태치먼트(20)를 스키드로더(10)에 장착하여, 스키드로더(10)의 주행에 의해 절단형 어태치먼트(20)가 후타부(100) 상에서 이동하면서 후타부(100)의 콘크리트(101)와 철근(102)을 함께 절단하는 후타부 커팅단계(S20);
    상기 절단형 어태치먼트(20)에 의해 절단된 콘크리트(101)와 철근(102)을 파쇄 또는 절삭하기 위한 절삭형 어태치먼트(30)를 스키드로더(10)에 장착하여, 스키드로더(10)의 주행에 의해 절삭형 어태치먼트(30)가 후타부(100) 상에서 이동하면서 콘크리트(101)와 철근(102)을 파쇄 또는 절삭하여 제거하는 후타부 파쇄 또는 절삭 단계(S30); 및
    콘크리트(101) 및 철근(102)의 제거 후, 잔여 콘크리트 및 철근을 제거하고 정리하는 마무리 및 주변 정리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을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타부 커팅단계(S20)는 다수의 디스크형 커터(21)를 이용하여 철근(102)을 여러 개의 마디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을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타부 커팅단계(S20) 및 후타부 파쇄 또는 절삭 단계(S30)는, 절단형 어태치먼트(20) 및 절삭형 어태치먼트(30)가 교축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 및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을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
KR1020230161761A 2023-11-21 2023-11-21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 KR102650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1761A KR102650955B1 (ko) 2023-11-21 2023-11-21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1761A KR102650955B1 (ko) 2023-11-21 2023-11-21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955B1 true KR102650955B1 (ko) 2024-03-26

Family

ID=9047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1761A KR102650955B1 (ko) 2023-11-21 2023-11-21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9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130B1 (ko) 1996-11-28 1999-07-15 류정열 화물차 점검원의 보호를 위한 차단장치
KR20200021307A (ko) * 2018-08-20 2020-02-28 (주) 옥당산업 콘크리트 다면 커팅과 파쇄를 병용하는 신축이음장치 후타부 콘크리트 해체 장치
KR102140529B1 (ko) * 2019-10-04 2020-08-03 황일규 스키드 로더의 슬라이더형 어태치먼트
KR102211130B1 (ko) * 2020-05-27 2021-02-03 주식회사 칠성건설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교체를 위한 후타부 콘크리트 제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130B1 (ko) 1996-11-28 1999-07-15 류정열 화물차 점검원의 보호를 위한 차단장치
KR20200021307A (ko) * 2018-08-20 2020-02-28 (주) 옥당산업 콘크리트 다면 커팅과 파쇄를 병용하는 신축이음장치 후타부 콘크리트 해체 장치
KR102140529B1 (ko) * 2019-10-04 2020-08-03 황일규 스키드 로더의 슬라이더형 어태치먼트
KR102211130B1 (ko) * 2020-05-27 2021-02-03 주식회사 칠성건설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교체를 위한 후타부 콘크리트 제거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9037B2 (ja) 合成桁の床版撤去方法
US7338134B2 (en) Flighting and tool holder
US4335921A (en) Cutting head for a paved roadway resurfacing apparatus
JP6826872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撤去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の新設方法
KR102650955B1 (ko) 후타부 제거를 위한 절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타부 제거 공법
CN103205923B (zh) 一种桥面铺装混凝土快速、微震破除方法
KR102052963B1 (ko) 탄성 보강재를 이용한 신축이음 보수 공법
JP6046479B2 (ja) 連接軌道ブロック、及び、連接軌道ブロック支持用工事桁の架設方法
JP4543130B2 (ja) トンネル拡幅装置
JPH09158124A (ja) 床版の撤去工法
KR102108785B1 (ko) 암반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반제거방법
JP2004218422A (ja) 既設伸縮装置撤去工法
EP2742210B1 (en) Cutter tool
RU2731967C2 (ru) Разруш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и способ разрушения горных пород
CN107034776A (zh) 一种桥面铺装混凝土的破除方法
JP3206524U (ja) アスファルト切削不陸層の剥離爪装置
JP6626863B2 (ja) 舗装版取り壊し用バケット並びにそのバケットを用いた建設機械および舗装版取り壊し方法
US2004004025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part of concrete structure
CN112855205B (zh) 一种适用于岩石隧道破石开挖的设备和方法
JP4690764B2 (ja) 伸縮継手の撤去方法
JP7244967B1 (ja) 既設ジョイント装置の撤去方法
JP2007046291A (ja) 構造物表面の一部を除去する切断方法
JP6602928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切除方法
JPS6370719A (ja) 伸縮継手装置における裏込部斫り工法
KR102055588B1 (ko) 도로포장의 보수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