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750B1 - 차량 조향 휠 - Google Patents

차량 조향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750B1
KR102649750B1 KR1020187016440A KR20187016440A KR102649750B1 KR 102649750 B1 KR102649750 B1 KR 102649750B1 KR 1020187016440 A KR1020187016440 A KR 1020187016440A KR 20187016440 A KR20187016440 A KR 20187016440A KR 102649750 B1 KR102649750 B1 KR 102649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p
presence sensor
steering wheel
sensor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365A (ko
Inventor
조나단 보티오
파브리스 무와나르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80083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2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electric or capacitive fiel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5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osition of specific human body parts, e.g. face, eyes or h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Air Bag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프, 사용자의 손과 후프 사이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도록 각각 배열된 복수의 존재 센서들,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를 덮고, 상기 후프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임으로 재봉된 외측 외장(outer sheath)을 포함하는 차량 조향 휠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는 동일한 지지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존재 센서는 공통의 차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조향 휠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되어, 운전자가 조향 휠을 잡고 있는지 아니면 조향 휠을 방치하고 있는지를 검출하여 예를 들어 만약 후자의 경우에는 경고를 보내기 위한 존재 센서를 구비한 차량 조향 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조향 휠은 문서 US2004267422에 개시된 바와 같은 그러한 존재 센서가 장착된 후프를 구비한 것으로 공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이 제안하는 다수의 센서들은 조향 휠에 배치되기 어렵고 제조 과정에서 제 위치에 고정되기 어려운 특별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존재 센서는 눈에 띄지 않아야 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하므로, 후프의 외측 표면 아래에 배치되어야 하고, 피복재(예 : 가죽) 아래에 위치하거나, 또는 심지어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어 폴리우레탄)로 매립되거나 몰딩되어 있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다수의 존재 센서는 조향 휠의 제조상의 난점이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서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며, 특히, 몇가지 존재 센서를 갖지만 간편하게 제조될 수 있는 차량 조향 휠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 후프,
- 각각 배치된 복수의 존재 센서로서, 각각의 존재 센서는,
- 복수의 별개의 검출 영역 중 하나의 검출을 후프 상에 정의하고,
- 사용자의 손(limb)과 상기 검출 영역 사이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존재 센서, 및
- 복수의 존재 센서를 덮는 외측 외장(sheath)을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는 동일한 지지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존재 센서를 갖는 지지체는 제 1 면 상에서 예를 들어 적어도 니켈에 의해 덮인 폴리아미드 얀(yarn)으로 형성되는 상기 존재 센서를 지지하고 제 2 면상에서 예를 들어 적어도 니켈로 코팅된 폴리아미드 얀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지 전기 전도성 필름 또는 패브릭을 지지하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전기 절연체에 의해 형성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검출 층을 형성하며, 상기 검출 층은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에 대한 접지 전기 전도성 필름 또는 패브릭을 포함한다.
즉, 접지 전기 전도성 필름 또는 패브릭은 복수의 존재 센서에 대해 공통이거나 공유된다.
상기 존재 센서 및/또는 접지 전도성 필름은 시트 또는 필름 형태이며, 직포 또는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형성된 검출 층은 가요성을 가진다(예를 들어, 가죽에 의해 덮이면 보이지 않도록 신축성 또는 압축성을 갖기 위해 후프 둘레로 감길 수 있고 변형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에 단일 및 공통인 접지 전도성 필름 또는 패브릭(보호부 또는 차폐부라고도 함)은 검출 층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차량에 대한 연결부의 수를 제한하며, 그것이 연결되는 전자 장치를 단순화한다. 사실, 모든 존재 센서에는 하나의 접지 연결만으로 충분하다. 이렇게 하면, 허브 내부 및/또는 덮개 아래에서 다수의 접지 전기 전도체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 또한 모든 센서에 동일한 접지 요소가 사용되기 때문에 접지 도체에 연결된 전자 장치가 다중화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조향 휠과 관련된 전자 장치가 더 간단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체는 하나의 접지 전기 전도성 필름 또는 패브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외장(sheath)은 상기 후프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임으로써 재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존재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시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시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시임의 양측면 상에 연장되는 검출 영역을 한정하도록 상기 외측 외장의 시임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조향 휠(후프를 덮는 재봉된 외측 외장을 가짐)은 여러 개의 센서를 포함하지만, 이들은 하나의 동일한 지지체와 일체로 되며, 이는 제조 동안 조작 및 유지를 간단하게 한다. 또한, 존재 센서 중 하나는 후프 둘레에서 연장되는 외측 외장의 시임을 향하게 된다.
이러한 시임은 상기 후프 상에서 상기 외측 외장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외측 외장의 2 개의 종방향 에지를 서로 연결한다. 실제로, 조향 휠에 체결하기 전에, 상기 외측 외장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재료로 된 부재인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직사각형은 두 개의 종방향 에지를 가지며, 그 길이는 예를 들어 에지와 에지가 서로 재봉되게 되는 상기 후프의 내부 둘레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왜냐하면 시임은 허브를 향하는 후프의 안쪽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직사각형은 2 개의 측면 에지를 가지며, 그 길이는 실질적으로 스티어링 칼럼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후프 부분의 둘레 길이이다. 상기 시임은 후프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측 외장은 후프의 외측 주위에 미리 배치된 다음 내측으로 접혀서 그 측면 에지는 후프의 내부를 향하게 된다.
다시 외측 외장의 시임과 대면하는 존재 센서로 되돌아 가서, 이것은 상기 시임을 따라 그리고 그 양쪽에 연장되어, 시임을 둘러싸고 이러한 시임들 어디를 따라서도 연장되는 검출 영역과 근접 및/또는 접촉 하는 것을 검출 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후프 내부(허브를 향한 부분)상에서 조향 휠을 터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단일 센서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또한 전체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성을 향상시킨다. 단지 하나의 존재 센서만으로 충분하고 시임 및 그 양측(시임의 종 방향에 대해)에서 근접 및/또는 접촉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존재 센서의 에지들 사이의 공간으로 인해 검출이 불가능한 시임에 배열된 결합 영역(센서의 에지가 터치 않고도 만나는 곳)을 갖는, 후프를 둘러싸는 존재 센서를 포함하는 조향 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단 하나의 존재 센서로써, 시임에서 검출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환언하면, 본 발명은 2 개의 검출 영역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결합 영역을 위치시킨다. 이렇게 하면 검출 영역의 적용 범위가 최적화 된다.
바람직하게는, 시임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가 존재 센서는 항상 시임의 동일 측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갖는다. 이 센서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센서의 일측 또는 양측은 시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렇게 하면 시임에서 총 감도를 유지하면서 센서의 절단 평면과 센서 지지체를 동시에 최적화할 수 있다. 상기 시임이 후프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센서 지지체는 후프의 내부, 전면 또는 후면에 미리 배치된 다음, 측면 에지가 후프의 외측, 앞면 또는 뒷면과 마주 보도록 접히게 된다. 즉, 상기 센서 지지체는 외측 외장에 대하여 90도 반대로 또는 역전되어 위치되는데 그 이유는 외측 외장이 시임에서 후프 내부를 폐쇄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는 용량성 타입 센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임은 상기 외측 외장을 통과한다. 이 실시예는 시임을 향하는 존재 센서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차량의 조향 휠에 관한 것으로,
- 후프,
- 각각이 배치된 복수의 존재 센서로서, 각각의 존재 센서는:
- 복수의 개별 검출 영역 중 하나의 검출 영역을 후프 상에 정의하고,
- 사용자의 손과 상기 검출 영역 사이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존재 센서,
-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에 의해 후프에 연결된 허브,
- 적어도 복수의 존재 센서를 덮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외피(outer skin)를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는 하나의 지지체 상에 장착되고,
존재 센서를 갖는 지지체는 제 1 면 상에서 예를 들어 적어도 니켈에 덮인 폴리아미드 얀으로 형성되는 상기 존재 센서를 지지하고 제 2 면 상에서 예를 들어 적어도 니켈로 코팅된 폴리아미드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지 전기 전도성 필름 또는 패브릭을 지지하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전기 절연체에 의해 형성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검출 층을 형성하고, 상기 검출 층은 복수의 존재 센서에 대한 접지 전기 전도성 필름 또는 패브릭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접지 전기 전도성 필름 또는 패브릭은 복수의 존재 센서에 대해 공통이거나 공유된다.
상기 존재 센서 및/또는 접지 도전성 필름은 시트 또는 필름 형태이며, 직포 또는 부직포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형성된 검출 층은 가요성을 가진다(그것은 후프 둘레로 감길 수 있고, 예를 들어, 가죽에 의해 덮이면 보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스트레칭 또는 압축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에 단일이고 공통인 접지 전도성 필름 또는 패브릭(보호부 또는 차폐부 라고도 함)은 차량에 대한 연결부 수를 제한하기 위해 검출 층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그것이 연결되는 전자 장치를 단순화한다 연결. 사실, 모든 존재 센서에 대하여 하나의 접지 연결만으로 충분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외장 아래에 및/또는 허브 내부에서 다수의 접지 전기 전도체를 연결할 필요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든 센서에 동일한 접지 요소가 사용되기 때문에 접지 도체에 연결된 전자 장치가 다중화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조향 휠과 관련된 전자 장치가 더 간단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는 하나의 접지 도전성 필름 또는 패브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존재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주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내주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검출 영역을 한정하도록 상기 허브에 대면하는 상기 후프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조향 휠(부드럽고 연속적인 외피가 있는 또는 후프 주위의 시임이 없고 후프를 덮고 복수의 존재 센서를 오버 몰딩 또는 내장함)은 여러 개의 센서를 포함하지만 이들은 제조시에 조작을 간편하고 하고 일정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간편하게 하는 하나의 동일한 지지체와 일체로 된다. 또한, 상기 존재 센서들 중 하나는 후프의 내주면부(허브를 향하는 부분)에 배치된 후, 이러한 내주면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 및 양측부 둘레로 연장되어, 상기 내주면부를 둘러싸며 상기 내주면부의 측면상에서 연장되는 검출 영역 사이에서 근접 및/또는 접촉을 허용한다. 즉, 운전자가 후프의 내부(허브를 마주 보는 부분) 상에서 조향 휠을 터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단일 센서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또한 전체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성을 향상시킨다. 하나의 존재 센서만으로 충분하여, (내주면의 종방향에 대해) 내주면부 상에서 그리고 그 양측면에서 근접 및/또는 접촉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존재 검출부을 갖지 않는 구역에서 재봉된 외장 또는 시임없는 외장을 갖는 조향 휠에 대한 검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조향 휠은,
- 사용자의 손과 후프의 내부에 배치된 제 1 검출 영역 간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도록 배치된 제 1 존재 센서,
- 사용자의 손과 상기 후프의 외측부의 제 1 절반부(first half)에 배치 \된 제 2 검출 영역 사이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도록 배치 된 제 2 존재 센서,
- 사용자의 손과 후프의 외측부의 제 2 절반부에 배치된 제 3 검출 구역 사이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도록 배치된 제 3 존재 센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향 휠은 사용자의 그립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의 그립이 후프의 안쪽 부분에 있는 조향 휠을 터치하고 있다면, 제 1 존재 센서가 이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후프 바깥쪽에 있는 오른손으로만 조향 휠을 터치하면, 제 2 또는 제 3 존재 센서 중 하나가 이를 감지한다. 마지막으로, 운전자가 후프 바깥쪽에서 왼손으로만 조향 휠을 터치하면, 다른 제 2 또는 제 3 존재 센서가 이를 감지한다. 분명히, 검출은 왼쪽과 오른쪽을 구별하기 위해 조향 휠의 회전을 고려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조향 휠은 상기 후프를 허브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존재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를 둘러싸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를 둘러싸도록 절개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포크에 의해 분리되는 내주면부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커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존재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에 의해 분리된 상기 내주면부의 각각의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 중 각각의 존재 센서는 사용자의 손과 그 각각의 검출 영역 사이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검출 층 및/또는 상기 존재 센서를 구비한 지지체는 두 개의 종방향 에지 및 두 개의 측방향 에지를 갖는 후프 주위에 배치되기 전에 길고 평평한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향 휠 후프는 실질적으로 반경 R의 원에 대해 상기 후프의 섹션을 회전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토러스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에지는 반경 R의 원의 둘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측방향 에지는 후프의 섹션의 둘레(조향 휠 또는 허브 또는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통한 단면 또는 절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 층은 길이 방향으로 2 개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2개의 길이방향 에지를 구비하고, 복수의 존재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지 도전성 필름 또는 패브릭이 각각 연결부를 갖고, 연결부는 동일한 종방향 에지를 다라 모두 배치되는 길다란 형상을 가진다. 이 실시예는 검출 층의 동일한 측상의 모든 연결부로써 검출 층의 전기 접속을 단순화한다. 또한, 모든 센서에 공통된 접지 필름 또는 패브릭이 하나만 있다면, 공용 접지 필름 또는 패브릭의 표면이 필연적으로 이러한 종방향 에지에 접하거나 공통이기 때문에, 하나의 종방향 에지를 따라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향 휠의 층을 차량의 온보드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것이 더 쉽게 된다. 연결부는 센서 부분, 즉 센서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이는 검출 층이 다른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과도하게 두껍게 만들어지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는 후프와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 사이의 연결 영역에 위치된다. 상기 연결 영역은 조향 휠의 바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6시 방향 영역이라고도 하다. 이를 통해 감지 영역과 관련하여 연결 영역의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센서의 연결부와 상기 제 3 센서의 연결부는 상기 제 1 센서의 양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센서의 연결부는 제 2 센서와 제 3 센서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핸들은 상기 후프를 허브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의 제 1 측방향 에지는 후프를 제 1 곡률 반경에 연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의 제 2 측방향 에지는 후르를 제 1 곡률 반경보다 큰 제 2 곡률 반경에 연결하며,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존재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의 일부분을 덮으며,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의 폭에 대해 상기 제 1 측방향 에지를 향하여 오프셋된 절개부를 갖는다. 이 실시예는 가장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측방향 에지의 절개부를 가져옴으로써, 검출 층의 주형 또는 평면 형태의 절개를 용이하게 한다. 이것은 또한 조향 휠 상에서 템플릿의 외장을 용이하게 하고 주름 형성의 위험을 제한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차량의 조향 휠에 관한 것으로,
- 후프,
- 각각 배치된 복수의 존재 센서로서, 각각의 존재 센서는,
- 후프 상에 복수의 개별 검출 구역들 중 하나의 검출 구역을 한정하고,
- 사용자의 손과 상기 검출 영역 사이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도록 배치되는, 존재 센서,
-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를 덮고 상기 후프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임으로 재봉된 외측 외장을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는 동일한 지지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존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측 외장의 시임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적어도 하나의 시임에 대한 횡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임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검출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조향 휠(후프를 덮는 재봉된 외장을 가짐)은 몇 개의 센서를 포함하지만, 이는 하나의 동일한 지지체와 일체로 되며, 이는 제조 동안 조작 및 고정을 간단하게 한다. 게다가, 존재 센서들 중 하나는 후프 둘레에서 연장되는 외측 외장의 시임을 향한다.
이러한 시임은 상기 후프 상에서 상기 외장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외측 외장의 2 개의 종방향 에지를 연결한다. 사실, 조향 휠에 체결하기 전에, 상기 외측 외장은 일반적으로 모양이 직사각형인 재료 부재이다. 이러한 직사각형은 두 개의 종방향 에지를 가지며, 그 길이는 예를 들어 에지-대-에지 간에 서로 재봉되게 되는 후프의 내주면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상기 시임이 후프의 내부에 있고 허브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또한, 이러한 직사각형은 2 개의 측면 에지를 가지며, 그 길이는 실질적으로 스티어링 칼럼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후프 부분의 둘레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외측 외장의 시임과 대면하는 존재 센서로 다시 되돌아 와서, 상기 존재 센서는 시임을 따라 그리고 그 양측에 또한 연장되어 시임을 둘러싸며 이러한 시임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는 검출 영역과의 근접 및/또는 접촉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즉, 운전자가 후프의 내부(허브를 마주 보는 부분) 상에서 조향 휠을 터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단일 센서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전체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성을 향상시킨다. 단지 하나의 존재 센서만으로 충분하고 시임 및 그 양측(시임의 종 방향에 대해)에서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할 수 있다.
존재 센서의 에지들 사이의 공간으로 인해 검출이 불가능한 시임에 배치 된 결합 영역(센서의 에지가 터치되지 않고 만나는 영역)을 갖는 후프를 둘러싸는 존재 센서를 포함하는 조향 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단 하나의 존재 센서를 갖는 시임에서 검출 이점을 제공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은 결합 영역을 위치시키기 위해 2 개의 검출 영역 사이의 공간을 이용한다. 이렇게 하면 감지 영역의 적용 범위가 최적화 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는 용량성 유형의 센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시임은 상기 외측 외장을 통과한다. 이 실시예는 시임을 향하는 존재 센서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차량 조향 휠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 조향 휠은,
- 후프,
- 각각이 배치된 복수의 존재 센서로서, 각각의 존재 센서는,
- 후프 상에서 복수의 개별 검출 영역 중 검출 영역을 한정하고,
- 사용자의 손과 상기 검출 영역 사이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존재 센서,
-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로 후프에 연결된 허브,
- 적어도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를 덮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외피를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는 하나의 지지체 상에 장착되고,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주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주면부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주면부의 양측 상에서 연장되는 검출 영역을 한정하도록 상기 허브에 대향하는 상기 후프의 내주면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조향 휠(부드럽고 연속적인 외피를 가지거나 후프 주위에 시임이 없으며, 후프를 덮고 복수의 존재 센서를 오버 몰딩 또는 내장 함)은 여러 개의 센서를 포함하지만 이들은 제조 과정에서의 조작과 유지가 간단한 하나의 동일한 지지체와 일체로 된다. 또한, 상기 존재 센서들 중 하나는 후프의 내주면부(허브를 향하는 부분)에 배치된 후, 이 내주면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 및 양측 둘레로 연장되어, 상기 내주면부를 둘러싸고 이러한 내주면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검출 영역 간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허용한다. 즉, 운전자가 후프의 내부(허브를 마주 보는 부분)의 조향 휠을 터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단일 센서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또한 전체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를 향상시킨다. 하나의 존재 센서만으로 충분하고, 내주면부 및 그 둘레상의(내 주연의 길이 방향에 대한) 근접 및/또는 접촉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존재 검출부을 갖지 않는 구역에서 재봉된 외장 또는 시임없는 외장을 갖는 조향 휠에 대한 검출부을 제공한다.
분명히, 위의 모든 독립적인 양태들은 함께 결합되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전술한 양태에 따른 조향 휠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의 문서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특히, 몇가지 존재 센서를 갖지만 간편하게 제조될 수 있는 차량 조향 휠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비 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사용자의 손과 후프 사이의 근접 및/또는 접촉의 3 개의 검출 영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핸들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조향 휠의 II-II 축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면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3 개의 검출 영역을 정의하는 검출 층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검출 층의 다른 선택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1은 3 개의 스포크(21, 22, 23)에 의해 후프(10)에 연결된 허브(30)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휠을 나타낸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죽의) 외측 외장(16) 아래에 배치 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향 휠은 복수개의 존재 센서(41, 42, 43)을 포함한다.
제조시에, 상기 외측 외장(16)은 조향 휠에 배치되고 특히 후프(10)에 배치되며, 이어서 도 2에 도시되고 있고 후프(10) 주위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임(15)으로써 자체적으로 재봉되게 된다.
복수의 존재 센서(41, 42, 43) 중 각각의 존재 센서는 사용자의 손과 후프(10) 간의 근접 및/또는 접촉에 대한 검출 영역(11, 12 및 13)을 정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 영역(11)은 상기 후프(10)의 내측부 상에, 즉 허브(30)를 향하는 부분 상에 배치된다. 이것은 상기 검출 영역(11)이 외측 외장(16)의 시임(15)를 둘러싸고,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또한 시임(15)의 양측을 연장하여 허브(30)를 향하는 후프(10)의 내부 전체를 덮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외측 외장(16) 아래에 있는 검출 층(40)을 도시하는 도 1에 도시 된 선 II-II를 따른 단면도이다. 이러한 검출 층(40)은 존재 센서(41)에 대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재 센서(41, 42 및 43)가 장착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도 2는 3시 방향, 즉 운전자의 반대편에 배치된 결합부를 구비한 후프(10)의 상부 섹션에서, 검출 층(40)이 후프(10) 둘레로 권취된 것을 도시한다. 영역 III에 의해 둘러싸인 이 섹션은 도 3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있다. 3시 방향 주변에서의 폐쇄와 관련하여, 검출 층(40)은 조립 중에 9시 방향 주변(즉, 조향 휠의 전방면)에 배치되어, 측면 에지는 3시 방향으로 조향 휠의 뒤쪽을 향해 접힌다. 검출 층(40)의 초기 위치는 결합부가 9시 방향과 3시 방향 사이에, 즉 도 3의 상부에 있는 한 변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후프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검출 층의 종방향 에지가 서로 마주하는 결합 영역은 일반적으로 구성 요소가 조향 휠의 후프 상에 외장될 때와 같이 시임(15) 아래에 있지 않다. 이 결합 구역은 각도 상으로 오프셋되어, 연속적인 하나의 감지 영역(11)을 정의하기 위해 단지 하나의 존재 센서(41)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시임 아래에 결합 영역을 갖는 일반적인 지식에 따른 실시예는 필연적으로 시임 아래에 감지되지 않은 영역을 생성할 것이다. 상기 검출 층(40)의 에지는 터치하지 않거나 이들 에지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없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 2는 스포크(21)와 후프(10)의 연결 지점에서 검출 층(40)이 스포크(21)의 일부를 덮고 있음을 보여준다. 스포크(21, 22, 23) 사이의 연결 반경으로 인해, 동일한 템플릿에 의해 덮이는 이들 스포크 부분에 대한 검출 층(40)에는 절개부가 제공된다. 스포크(22)에 관해서, 두 개의 상이한 연결 반경(R1 및 R2)이 있는 경우, 제조 시에 검출 층(40)의 접힘을 제한하기 위해 최소 반경 측에 절개부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절개부는 스포크(22)의 폭과 관련하여, 반경 R2보다 반경 R1에 가까운 도 1에 도시된 라인(47)에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부는 운전자에 반대편인 조향 휠의 후면에 있는 검출 층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도 4는 검출 층(4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존재 센서(41, 42, 43), 접지 필름 또는 패브릭(44) 및 존재 센서(41,42,43,44) 사이에 배치된 지지체(미도시)를 모두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존재 센서(41, 42, 43) 및 접지 필름 또는 패브릭(44)은 니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 얀을 포함하는 시트 또는 필름 또는 패브릭이다. 즉, 존재 센서(41, 42, 43)는 용량성 센서이며, 검출 층(40)은 결과적으로 샌드위치 형상 또는 복합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는 전기 절연체이며, 예를 들어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임(15)의 장래의 위치는 일점 쇄선(46)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41)는 긴 변이 시임(15)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긴 변은 항상 시임(15)의 동일한 측면 상에 있게 된다. 상기 센서(41)의 절단면은 센서를 절단하는 낭비가 없기 때문에 최적화된다. 상기 시임은 후프의 내측에 위치하며, 센서 지지체는 후프의 내부에 미리 배치된 다음, 외측으로 접혀서 측면 에지는 후프의 외측을 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센서 지지체는 후프의 내부에서 닫히기 때문에 외측 외장에 대해 반대로 배치되는데 그 이유는 그것은 후프의 내부에서 폐쇄되는 반면 센서 지지체는 후프의 외부에서 폐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존재 센서(41, 42, 43) 및 접지 필름 또는 패브릭(44)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구역(45)에서, 부분은 차량 온보드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조립을 단순화하기 위해, 여기서의 경우처럼 직사각형인 경우에, 모든 연결부는 종방향 에지 중 하나인 검출 층(40)의 동일한 에지 상에 배치된다. 여기에 도시된 형상은 스케치이며,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층(40)은 조향 휠의 스포크(21, 22, 23)를 둘러싸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이 경우, 존재 센서(41)의 연결부는 다른 두 개의 존재 센서(42, 43) 사이에 배치된다. 하부의 스포크(21)(6시 방향에 위치됨)에서 온보드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고려되면, 조향 휠의 좌측 또는 우측 외부에서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존재 센서(42, 43)가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검출 층(40)의 양 단부는 조향 휠 상에서 12시 방향에 배치될 것이다. 일점 쇄선(46) 반대편에서 종방향 측 상에 연결 영역(45)을 배치함으로써, 일단 검출 층이 스포크(21) 위에서 조향 휠 상에 외장되면 이러한 연결 영역은 조향 휠 상에 배치된다. 상기 검출 층을 상기 허브에 연결하기 위해 스포크(21)가 케이블 다발에 의해 통과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량에 대한 후속 연결은 단순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든 연결은 하나의 간단한 케이블 다발을 형성하는 하나의 동일한 스포크에서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는 존재 센서(41')가 존재 센서(42')의 연결부와 존재 센서(43')의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층(40')의 단부에 제공 될 수 있다. 명백하게, 상기 존재 센서(41')의 연결부 및 접지 필름 또는 패브릭(44')의 연결부가 또한 단부에 있고, 항상 연결 층(40')의 동일한 종방향 측면 상에 있다. 일점 쇄선(46)에 가장 근접한 종방향 측면 상에 연결 영역(45')을 위치 시키고, 검출 층이 스포크(21) 아래의 조향 휠 상에 피복되면, 조향 휠 상에 이러한 연결 영역이 위치된다. 상기 검출 층을 허브에 연결하기 위해 케이블 다발이 스포크(21)를 통과하거나 둘러쌀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도 모든 연결이 하나의 동일한 스포크에서 이루어 지므로 매우 간단한 케이블 다발이 만들어지게 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또는 개선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10: 후프
16: 외측 외장
21, 22, 23:스포크
41, 42, 43: 존재 센서

Claims (9)

  1. - 후프(10);
    - 복수의 존재 센서(41, 42, 43)로서, 각각의 존재 센서는,
    상기 후프(10) 상에서 복수의 개별 검출 영역(11, 12, 13) 중 하나의 검출 영역을 정의하고,
    사용자의 손과 상기 검출 영역 간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도록 배치된, 존재 센서(41, 42, 43); 및
    -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41, 42, 43)를 덮는 외측 외장(16);을 포함하는 차량의 조향 휠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41, 42, 43)는 공통 지지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존재 센서(41, 42, 43)를 갖는 상기 지지체는 제 1 표면 상에서 적어도 니켈로 덮인 폴리아미드 얀으로 형성된 상기 존재 센서(41, 42, 43)를 지지하고, 제 2 표면 상에서 적어도 니켈로 덮인 폴리아미드 얀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차폐 필름 또는 패브릭(44)을 지지하는 전기 절연체에 의해 형성된 공통 지지체를 포함하는 검출 층(40)을 형성하며,
    상기 검출 층(40)은 복수의 존재 센서(41, 42, 43)에 공통되는 차폐 필름 또는 패브릭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지지체는 적어도 하나의 차폐 필름 또는 패브릭(44)과 존재 센서(41, 42, 4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휠.
  2. 삭제
  3. - 후프(10);
    - 복수의 존재 센서(41, 42, 43)로서, 각각의 존재 센서는,
    후프(10) 상에서 복수의 개별 검출 영역(11, 12, 13) 중 하나의 검출 영역을 정의하고,
    사용자의 손과 상기 검출 영역 사이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도록 배치된, 존재 센서(41, 42, 43);
    -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21, 22, 23)에 의해 후프(10)에 연결된 허브; 및
    - 적어도 복수의 존재 센서(41, 42, 43)를 덮으며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외 피;를 포함하는 차량의 조향 휠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41, 42, 43)는 공통 지지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존재 센서(41, 42, 43)를 갖는 상기 지지체는 제 1 표면 상에서 적어도 니켈로 덮인 폴리아미드 얀으로 형성된 상기 존재 센서(41, 42, 43)를 지지하고, 제 2 표면 상에서 적어도 니켈로 덮인 폴리아미드 얀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차폐 필름 또는 패브릭을 지지하는 전기 절연체에 의해 형성된 공통 지지체를 포함하는 검출 층(40)을 형성하며,
    상기 검출 층(40)은 복수의 존재 센서(41, 42, 43)에 공통되는 차폐 필름 또는 패브릭(44)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지지체는 적어도 하나의 차폐 필름 또는 패브릭(44)과 존재 센서(41, 42, 4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휠.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과 상기 후프(10)의 내부에 배치된 제 1 검출 영역(11) 간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도록 배치된 제 1 존재 센서(41);
    사용자의 손과 상기 후프(10)의 외측부의 제 1 절반부에 배치된 제 2 검출 영역(12) 간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도록 배치된 제 2 존재 센서(42); 및
    사용자의 손과 상기 후프(10)의 외측부의 제 2 절반부에 배치된 제 3 검출 영역(13) 간의 근접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도록 배치된 제 3 존재 센서(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휠.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층(40)은 종방향으로 2 개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2 개의 종 방향 에지를 갖는 길다란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상기 존재 센서(41, 42, 43)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차폐 필름 또는 패브릭은 각각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모두 동일한 측면 에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존재 센서(42)의 연결부와 상기 제 3 존재 센서(43)의 연결부는 상기 제 1 존재 센서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휠.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존재 센서(41)의 연결부는 상기 제 2 존재 센서(42) 및 상기 제 3 존재 센서(4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휠.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프(10)를 허브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21, 22, 23)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21, 22, 23)의 제 1 측면 에지는 상기 후프(10)를 제 1 곡률 반경으로 연결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21, 22, 23)의 제 2 측면 에지는 상기 후프(10)를 상기 제 1 곡률 반경보다 큰 제 2 곡률 반경으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체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존재 센서(41, 42, 43)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포크(21, 22, 23)의 부분을 덮으며,
    상기 지지체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존재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21, 22, 23)의 폭에 대하여 상기 제 1 측면 에지를 향하여 오프셋된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휠.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조향 휠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187016440A 2015-11-11 2016-11-11 차량 조향 휠 KR102649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60778 2015-11-11
FR1560778A FR3043381B1 (fr) 2015-11-11 2015-11-11 Volant de vehicule
PCT/EP2016/077447 WO2017081262A1 (fr) 2015-11-11 2016-11-11 Volant de vehicu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688A Division KR20180075679A (ko) 2015-11-11 2016-11-11 차량 조향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365A KR20180083365A (ko) 2018-07-20
KR102649750B1 true KR102649750B1 (ko) 2024-03-20

Family

ID=550729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688A KR20180075679A (ko) 2015-11-11 2016-11-11 차량 조향 휠
KR1020187016440A KR102649750B1 (ko) 2015-11-11 2016-11-11 차량 조향 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688A KR20180075679A (ko) 2015-11-11 2016-11-11 차량 조향 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1136057B2 (ko)
EP (2) EP3374248B1 (ko)
JP (2) JP6985261B2 (ko)
KR (2) KR20180075679A (ko)
CN (2) CN108349519B (ko)
FR (1) FR3043381B1 (ko)
WO (1) WO2017081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3675B2 (en) 2008-07-18 2010-11-02 Ali Kermani Drifting kart
USD761700S1 (en) * 2009-07-20 2016-07-19 Ali Kermani Drifting kart
USD793912S1 (en) 2014-05-09 2017-08-08 Razor Usa Llc Drifting kart
USD771196S1 (en) 2014-06-03 2016-11-08 Razor Usa Llc Drifting kart
USD774981S1 (en) 2015-03-19 2016-12-27 Razor Usa Llc Drifting kart
USD793481S1 (en) 2016-05-17 2017-08-01 Razor Usa Llc Drifting kart
US11981380B2 (en) 2016-08-15 2024-05-14 Razor Usa Llc Kart
JP6800120B2 (ja) * 2017-09-20 2020-12-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状況検出装置
WO2019207883A1 (ja) * 2018-04-23 2019-10-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極接続構造体および電極接続方法
CN109969248A (zh) * 2019-04-29 2019-07-05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车辆方向盘
DE102019119860A1 (de) * 2019-07-23 2021-01-28 ZF Automotive Safety Germany GmbH Lenkvorrichtungssensor, messsystem, bediensystem und lenkvorrichtung
FR3100018B1 (fr) * 2019-08-23 2021-07-23 Autoliv Dev Volant de véhicule
WO2021127409A1 (en) 2019-12-20 2021-06-24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ed proximate sensing in a vehicle
KR102222855B1 (ko) * 2020-03-03 2021-03-04 유니텔전자 (주)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는 조향 보조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조향 제어 방법
KR20210157733A (ko) * 2020-06-22 2021-1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명령 입력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722050B (zh) * 2021-01-15 2022-07-15 安闻汽车技术(天津)有限公司 一种方向盘传感器及一种方向盘
JP2022134603A (ja) * 2021-03-03 2022-09-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接触検知センサ及び接触検知装置
JP7191149B2 (ja) * 2021-03-24 2022-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3105693A (ja) * 2022-01-19 2023-07-3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076A (ja) * 1998-10-22 2000-08-08 Seiren Co Ltd 物体・人体検知システム用電極材
US20140224040A1 (en) * 2013-02-13 2014-08-14 Tk Holdings, Inc. Steering wheel hand detection systems
WO2014123222A1 (ja) * 2013-02-08 2014-08-14 株式会社フジクラ 静電容量センサ及びステア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79918A (en) 1956-08-31 1957-07-24 Lawrence Frank Fulham Improvements in electrical heaters for steering wheels
JPH0627494Y2 (ja) * 1987-09-26 1994-07-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センサ
JP3886113B2 (ja) * 2002-03-29 2007-02-28 山口県 生体信号計測センサーとその装置
DE20309877U1 (de) 2003-06-26 2003-10-30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sicherheitssystem
DE102004021979A1 (de) 2004-05-04 2005-11-24 Eichenauer Heizelemente Gmbh & Co. Kg Verfahren zum elektrischen Isolieren eines elektrischen Funktionselements und derart isolierte Funktionselemente aufweisende Einrichtung
JP4814594B2 (ja) * 2005-09-14 2011-11-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載設備の操作装置
JP5061190B2 (ja) 2006-09-04 2012-10-3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装置
DE102008062421A1 (de) 2008-12-17 2010-07-08 Autoliv Development Ab Lenkradeinheit
JP2010250980A (ja) * 2009-04-10 2010-11-04 Toyota Boshoku Corp 導電布接続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着座センサ並びに車載用近接センサ
JP5360203B2 (ja) * 2009-05-08 2013-12-04 富士通株式会社 操作者状態検知装置およびハンドル
EP2258603B1 (en) 2009-06-01 2012-10-10 Autoliv Development A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teering wheel
AT508952B1 (de) * 2009-11-11 2011-12-15 Wollsdorf Leder Schmidt & Co Ges M B H Verfahren zur belederung von fahrzeugrauminnenteilen
US20110240628A1 (en) * 2010-03-19 2011-10-06 Sandro Goretti Glow plug with permanent displacement resistant probe tip joint
DE102010053354A1 (de) * 2010-12-03 2011-08-25 Daimler AG, 70327 Lenkrad für ein Fahrzeug
JP5232889B2 (ja) * 2011-03-30 2013-07-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EP2511153A1 (en) 2011-04-06 2012-10-17 Autoliv Development AB A Steering Wheel
EP2511154B1 (en) * 2011-04-06 2013-05-29 Autoliv Development AB A steering wheel
WO2012177902A2 (en) * 2011-06-22 2012-12-27 Tk Holdings Inc. Sensor system for steering wheel for vehicle
KR101836518B1 (ko) 2012-08-23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열부를 갖는 스티어링휠 및 그 스티어링휠의 발열부 설치방법
JP6328127B2 (ja) * 2012-10-31 2018-05-23 デルファイ・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遮蔽されたワイヤケーブルをスプライス接続する(splicing)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DE102012024903A1 (de) * 2012-12-20 2014-06-26 W.E.T. Automotive Systems Ag Flächengebilde mit elektrischen Funktionselementen
KR101500062B1 (ko) * 2013-03-07 2015-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건강체크 시스템용 핸들 커버
FR3005926B1 (fr) 2013-05-27 2017-01-13 Autoliv Dev Volant de vehicule
FR3006976B1 (fr) 2013-06-14 2016-02-26 Autoliv Dev Volant de vehicule
JP6482760B2 (ja) * 2014-02-07 2019-03-13 株式会社フジクラ 静電容量センサ及びステアリング並びに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CN105253188A (zh) 2014-07-15 2016-01-20 奥托立夫开发公司 一种汽车方向盘
US20160097154A1 (en) * 2014-10-01 2016-04-07 Autoliv Asp, Inc. Engineered leather for airbag, steering wheel, and seatbelt applications
FR3040965B1 (fr) 2015-09-15 2018-08-03 Autoliv Development Ab Volant de vehicule
DE102015218424A1 (de) * 2015-09-24 2017-03-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kleideten Lenkrads für ein Fahrzeug sowie mit dem Verfahren herstellbares Lenkrad
US10814899B2 (en) * 2018-06-27 2020-10-27 Rivian Ip Holdings, Llc Steering wheel having a cover with a layered se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076A (ja) * 1998-10-22 2000-08-08 Seiren Co Ltd 物体・人体検知システム用電極材
WO2014123222A1 (ja) * 2013-02-08 2014-08-14 株式会社フジクラ 静電容量センサ及びステアリング
US20140224040A1 (en) * 2013-02-13 2014-08-14 Tk Holdings, Inc. Steering wheel hand detec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55047A1 (en) 2020-08-13
EP3374248B1 (fr) 2021-03-03
WO2017081262A1 (fr) 2017-05-18
EP3374248A1 (fr) 2018-09-19
US10822014B2 (en) 2020-11-03
US11136057B2 (en) 2021-10-05
US20210394811A1 (en) 2021-12-23
FR3043381B1 (fr) 2018-04-27
FR3043381A1 (fr) 2017-05-12
CN109017964B (zh) 2021-10-22
JP2018533519A (ja) 2018-11-15
CN108349519B (zh) 2021-07-23
JP2018184165A (ja) 2018-11-22
CN109017964A (zh) 2018-12-18
KR20180083365A (ko) 2018-07-20
US11654951B2 (en) 2023-05-23
JP6719165B2 (ja) 2020-07-08
EP3838717A1 (fr) 2021-06-23
CN108349519A (zh) 2018-07-31
US20180251146A1 (en) 2018-09-06
JP6985261B2 (ja) 2021-12-22
KR20180075679A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9750B1 (ko) 차량 조향 휠
JP6398994B2 (ja) ハンドルの手検出システム
US9821832B2 (en) Fabric with electrical function element
EP3173309B1 (en) Heater device, steering wheel, and transportation device
JP6642703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製造方法
US11211931B2 (en) Sensor mat providing shielding and heating
US20200001911A1 (en) Steering wheel having a cover with a layered seam
US20200156688A1 (en) Steering apparatus
JP6992951B2 (ja) ステアリング体
JP201921366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699902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生体検出センサ
US20220388562A1 (en) Electrode structure and grip sensor
CN115123368B (zh) 车辆的转向装置
JP7454651B2 (ja) 車両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9196114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20082790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0082805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24070816A1 (ja) 接触検知装置
KR102373928B1 (ko) 림 바디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방법
JP2019095229A (ja) 静電容量センサ及びステアリング
JP2023143288A (ja) ハンドル
JP2023105693A (ja) ステアリング
JP2018192952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24022348A (ja) 検出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