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244B1 -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244B1
KR102649244B1 KR1020230020508A KR20230020508A KR102649244B1 KR 102649244 B1 KR102649244 B1 KR 102649244B1 KR 1020230020508 A KR1020230020508 A KR 1020230020508A KR 20230020508 A KR20230020508 A KR 20230020508A KR 102649244 B1 KR102649244 B1 KR 102649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lug
adhesive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민
Original Assignee
손기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민 filed Critical 손기민
Priority to KR1020230020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과산화벤조일을 포함하는 경화조성물; 및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isononyl phtalte)를 포함하고, 경화조성물은 경화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과산화벤조일(Benzoyl Peroxide)을 25 ~ 30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칼블럭의 다수의 구멍으로부터 방출된 후 건물 벽체의 틈새에 스며들어 경화되면서 칼블럭을 건물 벽체에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dhesive composition for porous screw anch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태평양 지진대 주변 지역뿐만 아니라 환태평양 지진대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도 작고 큰 지진이 자주 발생하면서 여러 나라에서 내진 시공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칼블럭은 건물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건물 외벽면이 겹겹이 분리되거나 붕괴되어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외벽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벽을 강하게 고정시켜 내진 보강할 수 있는 건축 자재로,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내진 시공 제품이다.
그러나, 건물 외벽면을 천공하여 만든 구멍인 천공홀 내부에 단순히 칼블럭을 삽입하는 방법으로만 내진 시공을 하기에는, 칼블럭과 천공홀과의 지속적인 마찰로 인해 천공홀의 내부가 마모되면서, 천공홀의 내부가 처음보다 넓어져 칼블럭이 천공홀에서 쉽게 탈락할 위험이 있다. 이 때문에 칼블럭과 외벽간의 고정력 향상을 위해 칼블럭에 접착액을 도포한 후 삽입하는 방식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칼블럭용 접착제는 칼블럭의 플러그에 나사를 삽입할 때 좁은 칼블럭의 틈에서 유연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낮은 점도를 가짐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건물 외벽에서 이탈되지 않기 위해 강한 접착력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높은 접착제는 접착력이 약하고, 유동성이 낮은 접착제는 접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두 특징을 모두 가진 접착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10-1063776호 “인젝션 타입 속경화 케미컬 앵커 조성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다수 함유한 주제와 벤조일퍼옥사이드를 다수 함유한 경화제를 포함하는 앵커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높은 접착력과 빠른 경화가 가능한 접착제이지만, 상온(25℃)에서 점도가 0.5~10 poise 로 높은 점도를 가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므로 완성된 앵커조성물 역시 점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점도조절제로 애타풀자이트(Attapulgite)를 첨가하지만, 애타풀자이트는 점도를 증가시키는 증점제에 가까운 물질로 접착제의 점도를 낮추기에는 어렵다. 이 때문에 유동성과 젖음성이 낮은 접착제가 제조될 수 있어, 칼블럭의 다수의 미세한 구멍에서 방출된 접착제가 칼블럭이 삽입되는 콘크리트벽 불규칙한 내경면의 요철에 고루 스며들기에는 어려울 수 있다. 이로 인해 칼블럭을 고정시키기 위한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아 해당 칼블럭에 사용하는 접착제로는 적합하지 않다.
칼블럭의 내부에 도포된 후 플러그에 나사 삽입 시 칼블럭의 외부로 방출된 후 천공홀의 불규칙하고 미세한 틈새에도 균일하고 깊게 스며들뿐만 아니라, 칼블럭의 돌기공을 통해 쉽게 방출되며, 강한 접착력을 가진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은 칼블럭의 다수의 구멍으로부터 방출된 후 건물 벽체의 틈새에 스며들어 경화되면서 상기 칼블럭을 상기 건물 벽체에 접착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조성물에 있어서, 과산화벤조일을 포함하는 경화조성물; 및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 isononyl phtalte)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조성물은 경화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과산화벤조일(Benzoyl Peroxide)을 25 ~ 3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화조성물은 과산화벤조일, 탄산칼슘, 황산칼슘, 무수실리카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화조성물은 과산화벤조일 25 ~ 30 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 40 ~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조성물은 과산화벤조일 25 ~ 30 중량부에 대해 황산칼슘 15 ~ 3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조성물은 과산화벤조일 25 ~ 30 중량부에 대해 무수실리카겔 10 ~ 2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는 상기 경화조성물 62 ~ 68 중량부에 대해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32 ~ 38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조성물은 주제를 포함하며, 상기 주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조성물은 상기 경화제 18 ~ 4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주제 50 ~ 8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조성물은 상기 경화조성물 62 ~ 68 중량부에 대해 카본블랙 0.2 ~ 1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조성물이 상기 칼블럭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칼블럭의 다수의 구멍으로부터 방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건물 벽체의 틈새에 스며들어 경화되면서 상기 건물 벽체에 접착 결합될 수 있다.
칼블럭의 내부에 도포된 후 플러그에 나사 삽입 시 칼블럭의 외부로 방출된 후 천공홀의 매우 미세한 틈새에도 균일하고 깊게 스며들뿐만 아니라, 칼블럭의 돌기공을 통해 쉽게 방출되며, 강한 접착력을 가진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착조성물을 사용하여 칼블럭을 외벽에 강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지진, 풍력 하중, 지반 침하, 자체 하중 등에 의한 건물 외벽의 균열을 방지하고,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되는 천공홀 마모 현상을 방지하여 건물 외벽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효과가 도출될 수도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조성물이 도포되는 칼블럭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칼블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칼블럭의 나사못의 제 2 나사산부 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내진 보강 공법의 각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높은 유동성과 강한 접착력으로 인해 칼블럭의 슬롯부 및 돌기공을 통해 칼블록의 외부로 쉽게 방출되어 건물 외벽의 천공홀 내주면과 매우 강하게 결합함으로써 건물 내진 보강 시공이 가능한 건물 외벽 보강용 칼블럭 접착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조성물(300)은 칼블럭의 다수의 구멍으로부터 방출된 후 건물 벽체의 틈새에 스며들어 경화되면서 칼블럭을 건물 벽체에 접착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조성물(300)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조성물(300)을 간단히 “접착제” 또는 “접착액”으로도 호칭할 수 있다.
접착조성물(300)은 주제, 과산화벤조일을 포함하는 경화조성물 및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주제는 접착제의 핵심 요소이고 경화제는 주제의 경화를 돕는 역할을 하는 부재료이므로, 주제와 경화제 중 주제의 비율이 좀 더 높은 비율로 혼합된다. 주제는 주요 성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며,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제와의 혼합으로 인해 경화가 접착조성물(300)이 피접착물과 접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착조성물(300)의 주제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에스테르 합성수지 40 ~ 46 중량부, 세피오라이트 2 ~ 3 중량부, 이산화규소(SiO2) 48 ~ 53 중량부, 이산화티타늄 안료 0.1 ~ 0.2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그 외에도 접착조성물(300)의 탈취를 도와주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DPM)을 5 ~ 7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제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합성수지는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접착제의 주요 성분으로 사용되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레진과 스티렌 모노머로 이루어진다. 폴리에스테르 합성수지의 중량부가 4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46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재료의 낭비를 초래한다.
세피오라이트는 접착제의 흡착력과 결합력을 증진시켜주며 세피오라이트 클레이, 4차 암모늄염, 결정질 실리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피오라이트가 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흡착력과 결합력 증진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많은 양을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산화규소는 접착제에서 필러 역할을 하며, 이산화티타늄 안료는 접착제에 백색의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안료로 첨가된다. 이산화규소는 필러이기 때문에 해당 중량부보다 적은 양을 사용할 경우 가격이 비싼 접착성 물질을 더욱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많은 양을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물질의 양이 적어져 접착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 안료는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미려한 백색이 나타나기 어려울 수 있으며, 0.2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안료의 낭비일 수 있다.
경화제는 주제와 혼합되어 접착제를 이루며, 주제 중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합성수지를 경화시키는 물질이다. 경화제는 경화조성물과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isononyl phtalte, DINP)로 이루어지며, 미려한 색상을 위한 안료인 카본블랙이 첨가될 수 있다. 경화제는 경화제 18 ~ 40 중량부에 대해 주제 50 ~ 8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경화조성물은 과산화벤조일(Benzoyl Peroxide), 탄산칼슘, 황산칼슘, 무수실리카겔(anhydrous silica amorphous)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경화조성물은 DINP, 카본블랙과 혼합되어 경화제를 이룬다. 본 발명에 의한 경화조성물은 접착조성물(300)을 이루는 경화제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말한다. 경화조성물은 경화제에서 가장 경화에 기여하는 핵심 물질인 과산화벤조일을 포함한다. 경화조성물은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해 경화조성물 62 ~ 68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과산화벤조일은 페록사이드 디벤조일(peroxide dibenzoyl),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라고도 하며, 발포성 폴리스틸렌(EPS), 아크릴수지, 아세트산비닐수지의 중합 개시제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의 경화제로 자주 사용되는 물질이다. 경화조성물은 경화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과산화벤조일을 25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만일 과산화벤조일이 2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경화속도가 느리거나 경화가 어려울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과산화벤조일을 다량 첨가하는 만큼 강력한 경화성 및 접착성은 가질 수 있지만, 과산화벤조일이 더 함유되는 만큼 상대적으로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의 양은 줄어들어 칼블럭에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은 높은 점도의 접착조성물(300)이 제조될 우려가 있다.
탄산칼슘(CaCO3)은 과산화벤조일의 필러로 자주 사용되는 물질이며, 접착조성물(300)의 경화성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필러란, 접착제에서 피착물 또는 접착제의 다른 성분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면서, 접착제의 물성을 개선하거나, 분산성과 젖음성을 용이하게 만들어 취급이 용이한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정량의 탄산 칼슘을 접착제 필러로써 첨가하면 접착 강도, 경도, 내열성, 치수 안정성을 높이고 경화 수축 및 선팽창 계수를 줄일 수 있다.
일 예로, 필러를 사용한 접착제는 필러를 사용하지 않는 유리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강력하며, 접합 조인트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표면 경도, 열전도율을 높이고 충격 인성과 내마모성을 높일 수 있어 접착제의 내구성을 높이는 데에 탁월한 역할을 한다. 경화조성물에서 탄산칼슘은 과산화벤조일 25 ~ 30 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 40 ~ 5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칼슘을 4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탄산칼슘이 필러 역할을 충분히 하기 어렵고, 50 중량부를 초가하여 첨가하면 투입한 탄산칼슘의 양 대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탄산칼슘은 제조 방법에 따라 단순히 물리적 가공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중질탄산칼슘(Ground Calcium Carbonate), 화학적으로 재결정화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침강성 탄산칼슘(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또는 경질탄산칼슘의 2가지로 크게 구분된다. 이 중 중질 탄산칼슘은 증점효과 및 충전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주 사용되므로 본 발명의 접착제에도 중질 탄산칼슘을 사용한다.
황산칼슘(calcium carbonate)은 탄산칼슘과 마찬가지로 충진제로써의 역할을 위해 첨가한다. 황산칼슘은 난연성도 가지고 있는 물질로, 난연 필러의 역할도 가능하다. 또한 황산칼슘은 흡습성도 가지고 있어, 접착제의 경화를 방해하는 요소인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또는 습기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여 접착제의 빠른 경화를 도울 수 있다. 특히 여름의 잦은 강우와 높은 습기로 인해 외벽 내부로 침투한 수분에 이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이 때 수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균열, 칼블럭 이탈 등의 악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황산칼슘은 경화조성물에서 과산화벤조일 25 ~ 30 중량부에 대해 황산칼슘 15 ~ 35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1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난연 필러 또는 흡습성 필러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할 우려가 존재하며, 35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황산칼슘의 낭비를 초래하므로 적절하지 않다.
무수실리카겔은 경화조성물에서 과산화벤조일 25 ~ 30 중량부에 대해 무수실리카겔 10 ~ 28 중량부가 포함되며, 1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시 경화조성물의 필러로서의 역할을 하기 어려우며, 28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할 시 접착조성물(300)에서 경화 역할을 하는 과산화벤조일 대비 필러의 양이 너무 많아 경화성이 약화될 수 있다.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 경화조성물, 카본블랙과 혼합되어 경화제를 이룬다. 가소제는 접착제의 점도를 증가시켜주어 흐름성이 좋은 접착제를 만들기 위해 첨가된다. 그러나, 가소제를 첨가하는 만큼 접착력을 강화하는 다른 성분들의 첨가량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각 물질의 비율을 맞추어 최적의 조건을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는 경화조성물 62 ~ 68 중량부에 대해 32 ~ 38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가 3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접착제의 유연성이 적어 칼블럭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260)로 방출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38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과도하게 낮은 점도로 인해 칼블럭에 접착조성물(300)을 도포할 시 흐를 수 있어 시공이 어렵기 때문에 언급한 범위 내의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카본블랙은 경화제 또는 접착제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하며, 접착제의 색상이 어떠한 경우라도 상관없는 경우 첨가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카본블랙은 경화조성물 62 ~ 68 중량부에 대해 카본블랙 0.2 ~ 1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카본블랙을 경화조성물 62 ~ 68 중량부에 대해 0.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접착제의 중량 대비 안료의 중량이 적어 카본블랙을 통해 얻고자 하는 미려한 검정색을 얻기 힘드며,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초과한 만큼 얻을 수 있는 특별한 효과가 없어 해당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접착조성물은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260)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건물 벽체(400)의 천공홀(410)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200)에 도포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건물 벽체(400)의 천공홀(410) 내부에 삽입된 플러그(200) 내부에 접착액(300)이 위치한 상태에서 플러그(200)의 내부에 나사못(100)이 삽입되고, 플러그(200) 외주면의 복수의 돌기(260) 각각에는 플러그(200)의 원통형 바디 및 각 돌기(260)를 차례대로 관통하는 돌기공(263)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못(100)이 플러그(200) 내부의 접착액(300)이 위치한 상태에서 플러그(2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플러그(200) 내부의 접착액(300)은 나사못(100)에 의해 플러그(200) 외주면의 복수의 돌기(260) 각각에 형성된 돌기공(263)을 통해 방출되어 칼블럭은 건물 벽체(400)에 강하게 접착된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조성물이 도포되는 칼블럭의 구성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조성물이 도포되는 칼블럭은 나사못(100)과 플러그(200)로 구성된다. 도 1에는 나사못(100)과 플러그(200)가 결합되기 전에 분리된 상태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나사못(100)과 플러그(200)가 결합된 상태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나사못(100)은 건물 외벽(400)의 천공홀(410) 내부에 삽입된 플러그(200) 내부에 접착조성물(300)이 위치한 상태에서 플러그(200)의 내부에 삽입된다. 플러그(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260)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건물 외벽(400)의 천공홀(410) 내부에 삽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나사못(100)은 헤드(110), 제 1 나사산부(120), 몸통부(130) 및 제 2 나사산부(140)로 구성된다.
헤드(110)는 나사못(100)에서 가장 직경이 넓은 상단 부분으로 나사못(100)이 플러그(200)의 내부에 삽입될 때에 플러그(200)의 입구에 걸리게 되는 부분이다.
제 1 나사산부(120)는 헤드(110)에 이어진 부분으로 그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나사산부(140)는 플러그(200)에 나사못(100)을 삽입할 때 가장 먼저 플러그(200)에 삽입되는 나사못(100)의 하측 부분으로 제 1 나사산부(120)와 유사하게 그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130)는 제 1 나사산부(120)와 제 2 나사산부(140)의 사이에 위치한 부분으로 플러그(200)의 중간평탄부(24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 1 나사산부(120), 제 2 나사산부(140)와 달리 나사산이 없는 부분이며 매끈한 외관을 가진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러그(200)는 입구부(210), 제 1 요철부(220), 슬롯부(230), 중간평탄부(240), 및 제 2 요철부(250)로 구성된다. 플러그(200)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나사못(100) 삽입 전 내주면에는 접착조성물(300)이 도포된다.
입구부(210)는 나사못(100)이 가장 먼저 삽입되는 부분이며, 입구부(210)를 통해 플러그(200) 내부에 삽입된 나사못(100)은 제 1 요철부(220), 슬롯부(230), 중간평탄부(240) 및 제 2 요철부(250)를 차례로 지나면서 플러그(200)에 완전히 체결된다.
제 1 요철부(220)는 입구부(210)에 이어진 부분으로 그 외주면에는 플러그(200) 표면의 전체 돌기(260) 중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요철부(250)는 플러그(200)의 하측 부분으로 그 외주면에는 플러그(200) 표면의 전체 돌기(260) 중 나머지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요철부(220)와 제 2 요철부(250) 각각에는 플러그(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패인 두 개의 절개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절개홈(221)이 형성될 수도 있고, 더 많은 개수의 절개홈(2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나사못(100)이 플러그(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 1 요철부(220)와 제 2 요철부(250) 각각의 절개홈(221)은 플러그(200)의 내경과 나사못(100)의 외경 차이에 의해 갈라지면서 제 1 요철부(220)와 제 2 요철부(250)는 방사형으로 펴지게 된다.
제 1 요철부(220)와 제 2 요철부(250)는 나사못(100)을 플러그(200)에 삽입하기 전에는 원형의 파이프 모습을 유지하지만, 나사못(100)이 플러그(200)에 삽입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요철부(220)와 제 2 요철부(250)에 형성된 절개홈(221)이 갈라져 트여지면서 방사형으로 확장된 모습이 된다.
이와 같이, 제 1 요철부(220)와 제 2 요철부(250)는 방사형으로 펴지면서 제 1 요철부(220)와 제 2 요철부(250)의 돌기(260)들은 천공홀 내주면에 압입되고 돌기(260)들로부터 접착액이 흘러나옴에 따라 제 1 요철부(220)와 제 2 요철부(250)의 돌기(260)들은 천공홀 내주면에 압입된 상태에서 강하게 접착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지진 등 강한 진동에도 칼블럭의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플러그(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260), 즉 제 1 요철부(220)와 제 2 요철부(250)의 돌기(260)들은 플러그(200) 외주면의 둘레방향에 해당하는 행 방향 및 플러그(200) 외주면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열 방향을 따라 행렬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돌기(260) 중 일부는 복수의 중공형 돌기(261)이고, 나머지는 복수의 홈형 돌기(262)이다. 복수의 중공형 돌기(261)는 플러그(200)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열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홈형 돌기(262)는 복수의 중공형 돌기(261)의 서로 이웃하는 열 사이에 플러그(200)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열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행렬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돌기(260)에 의해 칼블럭 전체가 건물 외벽(400)의 천공홀(410)에 균일하게 결합될 수 있고, 칼블럭의 고정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복수의 중공형 돌기(261) 각각은 상단이 평평한 사각뿔 형태로 형성되며, 그 각각에는 플러그(200)의 원통형 바디 및 각 돌기(260)를 차례대로 관통하는 돌기공(263)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못(100)이 플러그(200) 내부에 접착조성물(300)이 위치한 상태에서 플러그(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플러그(200) 내부의 접착조성물(300)은 나사못(100)에 의해 플러그(200) 외주면의 복수의 돌기(260) 각각에 형성된 돌기공(263)을 통해 방출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200) 외주면의 복수의 돌기(260) 중 일부에 해당하는 복수의 중공형 돌기(261)는 플러그(200)의 원통형 몸체를 관통한 후에 각 돌기(260)의 높이 방향으로 각 돌기(260)를 관통하는 돌기공(263)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음에 따라, 각 돌기공(263)은 플러그(200) 내부에 도포된 접착조성물(300)이 나사못(100)이 삽입될 때 각 돌기(260)의 상단 부분에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각 돌기공(263)은 플러그(200)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접착조성물(300)이 천공홀(410)의 고르지 못한 외벽의 미세한 틈새까지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건물 외벽(400)의 천공홀(410)은 천공 과정에서 그 내주면이 아주 매끈하지 않으며 다소 울퉁불퉁하게 형성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6397호 “접착액이 내장된 칼브럭” 등 종래의 칼블럭의 외주면과 천공홀 내주면 간격은 일정하지 않고 다른 부분에 비해 상당히 크게 벌어진 부분들이 존재한다. 종래의 칼블럭의 외주면과 천공홀 내주면 사이에 접착액이 도포되더라도 칼블럭의 외주면과 천공홀 내주면을 결합시키지 못하고 칼블럭의 외주면과 천공홀 내주면 어느 한 쪽에서만 굳어진 접착액이 군데군데 발견되었다. 이로 인해 칼블럭이 지진이나 지속적인 건물 진동에 의해 천공홀로부터 이탈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왔다. 때문에 접착액()이 뭉치거나 고르게 분포되지 않기 위해 점도가 조절된 접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200) 외주면의 복수의 돌기(260)가 종래의 칼블럭에 비해 울퉁불퉁한 천공홀 내주면에 매우 근접하거나 접촉된 상태에서 플러그(200) 외주면의 복수의 돌기(260) 각각에 형성된 돌기공(263)을 통해 접착액이 방출됨에 따라 플러그(200) 외주면의 복수의 돌기(260) 부분은 건물 외벽(400)의 천공홀(410) 내주면과 매우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칼블럭이 건물 외벽(400)의 천공홀(410)에 강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이러한 칼블럭의 고정력 향상에 따라 건물 외벽의 보강이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각 중공형 돌기(261)의 꼭대기로부터 접착액이 방출됨에 따라 각 중공형 돌기(261)가 건물 외벽의 천공홀 내주면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홈형 돌기(262) 각각은 상단이 평평한 사각뿔 형태로 형성되며, 그 각각에는 플러그(200) 외주면의 둘레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돌기홈(264)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200) 내부의 접착조성물(300)은 복수의 홈형 돌기(262)의 각각의 돌기홈(264)을 통해 복수의 중공형 돌기(261)의 서로 이웃하는 열 사이의 플러그 외주면 부위에 방출된다. 이와 같이, 접착조성물(300)은 중공형 돌기(261)뿐만 아니라 홈형 돌기(262)를 통해서도 방출된다.
각 중공형 돌기(261) 꼭대기로부터 접착조성물(300)이 방출됨에 따라 중공형 돌기(261) 사이의 플러그 외주면 부위에는 접착조성물(300)이 부족할 수 있다. 복수의 홈형 돌기(262) 각각에 형성된 돌기홈(264)을 통해 접착조성물(300)이 흘러나오게 되면, 중공형 돌기(261) 사이의 플러그 외주면 부위에 접착조성물(300)이 충분하게 도포될 수 있어 칼블럭 전체가 건물 외벽(400)의 천공홀(410)에 보다 균일하고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슬롯부(230)는 제 1 요철부(220)과 제 2 요철부(250)의 사이에 위치한 부분으로 그 외주면에 플러그(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형태의 두 개의 슬롯(231)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200) 내부에 도포된 접착조성물(300)은 적어도 하나의 슬롯(231)을 통해 몸통부(130)의 외주면 부위에 방출된다. 슬롯부(230)를 통해 플러그(200)에서 가장 많은 양의 접착조성물(300)이 방출된다. 천공홀(410)이 형성된 외벽(400)의 여러 층 중 슬롯부(230)와 맞닿는 부분은 스티로폼 재질의 단열층(430) 부분이며, 슬롯부(230)에서 방출되는 접착조성물(300)으로 인해 단열층(430)과 칼블록 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단열층(430)은 그 재질의 특성상 접착조성물(300)이 스며드는 특성을 갖고 있어 많은 양의 접착조성물(300)이 요구된다.
중간평탄부(240)는 제 1 요철부(220)과 제 2 요철부(250)의 사이에 외주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나사못(100)의 몸통부(13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중간평탄부(240)는 스티로폼 재질의 천공홀 단열층(430) 부분에 위치하여, 충격에 약한 스티로폼 재질의 단열층(430)이 다수의 돌기(260)로 인해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한다. 슬롯부(230)는 제 1 요철부(220)에 이어진 부분이고, 중간평탄부(240)는 제 2 요철부(250)에 이어진 부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칼블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러그(200) 내부에 도포된 접착조성물(300)은 나사못(100)의 회전과 삽입으로 인해 돌기공(263)과 돌기홈(264)으로부터 플러그(200) 밖으로 나오게 되어 플러그(200)의 외주면과 천공홀(410)의 내주면 사이에 채워진다. 나사못(100)이 플러그(200)의 내부로 더욱 삽입하여 나사못(100)이 플러그(200)로부터 돌출되도록 완전히 삽입되면, 돌기공(263)과 돌기홈(264)으로부터 지진 등 강한 진동에도 칼블럭의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의 접착조성물(300)이 방출될 수 있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내진 보강 공법의 각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내진 보강 공법은 천공단계, 접착액주입단계, 플러그삽입단계, 및 나사못삽입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내진 보강 공법의 천공단계 완료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천공단계에서는 드릴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400)를 천공함으로써 건물 외벽(400)에 천공홀(410)을 형성한다. 천공홀(410)의 길이는 플러그(200) 길이보다 길고, 나사못(100) 길이보다 좀 더 긴 정도가 바람직하다. 외벽(400)에 설치 위치를 표시한 후 예를 들어 함마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홀(41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천공홀(410) 생성 후 천공홀(410) 내부의 부스러기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건물 외벽(400)는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층(420), 단열층(430), 및 내벽층(440)의 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외벽층(420)은 벽돌 재료로 이루어지고, 단열층(430)은 스티로폼 재료로 이루어지고, 및 내벽층(440)은 콘크리트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내진 보강 공법에서 플러그를 삽입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접착액주입단계에서는 플러그(200)를 외벽(400)에 삽입하기 전, 플러그(200)의 내부에 접착조성물(300)을 주입한다. 플러그삽입단계에서는 접착조성물(300)이 주입된 플러그(200)를 건물 외벽(400)의 천공홀(410)에 삽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0)는 제 1 요철부(220)가 벽돌 재질의 외벽층(420) 부분에 위치되고, 몸통부(130)가 스티로폼 재질의 단열층(430) 부분에 위치되고, 제 2 요철부(250)가 콘크리트 재질의 내벽층(440) 부분에 위치되도록 건물 외벽(400)의 천공홀(410) 내부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스티로폼 재질의 단열층(430) 부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내진 보강 공법에서 나사못을 삽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나사못삽입단계에서는 접착조성물(300)이 주입된 플러그(200)가 건물 외벽(400)의 천공홀(410)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못(100)을 접착조성물(300)이 주입된 플러그(200) 내부에 삽입한다. 나사못(100)을 플러그(200) 내부에 삽입하면서 제 1 요철부(220)와 제 2 요철부(250)가 방사방향으로 젖혀지고, 다수의 돌기(260)가 천공홀(410)에 밀착되며, 플러그(200)의 내주면에 도포된 접착조성물(300)이 돌기공(263)으로부터 방출된 후 경화되어 천공홀(410)에 플러그(200)와 나사못(100)이 고정된다. 플러그(200) 외주면의 복수의 돌기(260) 각각에 형성된 돌기공(263)을 통해 방출된 접착액에 의해 플러그(200) 외주면의 복수의 돌기(260)는 건물 외벽(400)의 외벽층(420), 단열층(430), 및 내벽층(440)과 접착 결합된다.
도 6에는 나사못(100)이 플러그(200)의 절반 정도의 깊이로 삽입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나사못(100)의 삽입으로 인해 다수의 절개홈(221)이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요철부(220)와 제 2 요철부(250)가 방사방향으로 젖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나사못(100)의 삽입에 따라 플러그(200) 내부의 접착조성물(300)은 플러그(200) 내부의 다른 곳에서 밀려나거나 플러그(200) 내부에서 외부로 밀려나면서 플러그(200)의 내부와 외부에 고르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돌기공(263)에서도 접착조성물(300)이 흘러나와 불규칙한 요철이 있는 천공홀(410) 사이 및 틈새에 접착조성물(300)이 채워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내진 보강 공법의 나사못삽입단계완료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0) 내부로의 나사못(100) 삽입에 의해 제 1 요철부(220) 및 제 2 요철부(250)가 방사형으로 펴짐에 따라 제 1 요철부(220) 및 제 2 요철부(250)의 돌기(260)들은 천공홀(410) 내주면에 압입되고 접착조성물(300)이 흘러나오면서 제 1 요철부(220) 및 제 2 요철부(250)의 돌기(260)들은 천공홀(410) 내주면에 강하게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진 등 강한 진동에도 칼블럭의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외벽(400)에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홀(410)을 형성하면, 천공홀(410) 내주면은 울퉁불퉁하고 불규칙적이며, 이러한 불규칙적인 면에는 작은 틈새가 다수 존재한다. 또한, 층 구조로 이루어진 벽인 경우 각 층의 이루고있는 재료에 따라 그 요철의 정도가 제각각이다. 이러한 요철과 틈새로 인해 칼블럭을 설치하더라도 금방 탈락할 가능성이 높다. 칼블럭을 건물 외벽(400)에 끼우는 과정에서 제 1 요철부(220)과 제 2 요철부(250)가 벌어져 1차적으로 고정된다. 그 후, 벌어진 제 1 요철부(220)과 제 2 요철부(250) 상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260)가 천공홀(410) 내주면의 울퉁불퉁하고 불규칙적인 요철에 끼워져 2차적으로 고정된다. 이어서, 3차적으로 요철에 다수의 돌기공(263)에서 새어나오는 접착조성물(300)이 주입됨으로써 칼블럭은 매우 강력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나사못삽입단계 이후 추가적으로 나사못(100)의 헤드(110)이 벽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마감재로 덮어주는 마감작업을 실시하여 더욱 고정력을 높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조성물을 이용한 칼블럭의 강한 고정력으로 인해 지진, 풍력 하중, 지반 침하, 자체 하중 등에 의한 건물 외벽(400)의 균열을 방지하고,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되는 천공홀(410) 마모 현상을 방지하여 건물 외벽(40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외벽(400) 천공 후 천공홀(410)에 칼블럭을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내진 보강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건물 외벽(400)에 대한 내진 보강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300)은 실시예 1~3의 조성물 및 조성비로 제조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 표 1과 같이 제조되었다.
[표 1]
<실시예 1>
실시예 1의 접착조성물에서 주제는 폴리에스테르 합성수지 45 중량부, 세피오라이트 3 중량부, 이산화규소 50 중량부, DPM 5 중량부, 이산화티타늄 안료 0.1 중량부로 이루어진 주제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제는 경화조성물 62 중량부, DINP 38 중량부, 카본블랙 0.7 중량부로 이루어진 경화제를 사용하였으며, 주제 60 중량부에 경화제 4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접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경화조성물은 과산화벤조일 25 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 42 중량부, 황산칼슘 16 중량부, 무수실리카겔 21 중량부를 혼합하여 경화조성물을 제조한 후,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해 경화조성물 65 중량부로 이루어진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과산화벤조일을 27 중량부, DINP를 36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착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과산화벤조일을 30 중량부, DINP를 34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착제를 제작하였다.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의 실시예 1~3에 대한 비교예 1~4은 다음 표 2와 같은 조성물과 조성비로 제조되었다.
[표 2]
<비교예 1>
과산화벤조일의 중량부에 따른 변화를 실험하기 위해 과산화벤조일을 15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착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과산화벤조일의 중량부에 따른 변화를 실험하기 위해 과산화벤조일을 4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착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DINP의 중량부의 따른 변화를 실험하기 위해 DINP를 27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접착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DINP의 중량부의 따른 변화를 실험하기 위해 DINP를 43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접착제를 제작하였다.
<시험예1>
표 3은 실시예 1~3과 비교예 1~4에 대해 접착조성물의 침투 깊이 측정 실험을 진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외벽체와 유사한 콘크리트 블럭에 해머, 드릴 등을 사용하여 균열폭 0.1 ~ 0.5mm인 제 1~3의 균열을 생성한 후 균열이 생성된 콘크리트 블럭을 공시체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는 칼블럭에 사용하는 접착조성물로, 콘크리트에 천공홀을 형성한 후 실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깊이를 용이하게 관찰하고 다양한 크기의 균열을 쉽게 제조하기 위해 편의상 콘크리트에 강한 충격을 가하여 생기는 균열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 때 제 1 균열은 폭 0.1mm, 제 2 균열은 폭 0.3mm, 제 3 균열의 폭은 0.5mm으로, 모두 콘크리트 블록 외면에서 내면으로 들어갈수록 균열의 폭은 좁아지는 형태이다. 또한 제 1~3 균열은 각 깊이가 최소 25mm 이상인 균열로 실험하였다. 실시예 1~3과 비교예 1~4를 모두 시험하기 위해 제 1~3 균열을 모두 가진 공시체를 7개 제작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경화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접착조성물을 제 1~3 균열에 충분히 도포한 후 1일 뒤 접착조성물이 완전히 경화되면 공시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그 단면을 통해 접착제가 침투한 깊이를 확인하였다.
[표 3]
표 3에 따르면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접착조성물은 제 1~3 균열에서 각각 다른 침투 깊이를 나타내었다. 침투 깊이는 제 1~3 균열이 발생한 공시체의 외면에서부터 시작하여 그 깊이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 모두 가장 폭이 좁은 제 1 균열에서 침투 깊이가 가장 얕았고, 가장 폭이 넓은 제 3 균열에서 침투 깊이가 가장 넓었다. 제 1~3 균열은 모두 위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좁은 폭을 가지기 때문에 접착조성물을 도포하였을 때 각 균열에서 가장 폭이 넓은 얕은 부분에는 전체에 침투하나, 아래로 내려갈수록 그 폭이 좁아 부분적으로 상단에만 침투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3에 따르면 침투 깊이는 DINP의 양과 관련이 깊다. DINP가 상대적으로 적은 중량부가 첨가되는 경우 침투 깊이가 얕으며, 많은 중량부가 첨가되는 경우 침투 깊이가 깊은 편이다. 침투 깊이를 비교하기 위해 각 실시예 및 비교예 침투 깊이의 평균값을 비교해 본 결과, 전체 중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DINP의 첨가량이 높은 비교예 4는 가장 깊은 침투 깊이를 나타냈으며, 반대로 DINP 첨가량이 낮은 비교예 3은 가장 낮은 침투 깊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DINP가 접착제의 점도를 낮추고 좁은 틈새까지 젖음성이 좋기 때문이다. 즉, 침투 깊이가 깊을수록 접착제의 유연성이 높고 칼블럭을 삽입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형성한 천공홀의 내부면의 미세한 요철공간에 접착제가 고루 스며들어 경화될 수 있어 접착강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시험예2>
표 4는 실시예 1~3과 비교예 1~4에 대해 접착인장강도 실험을 진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접착강도는 콘크리트 공시체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를 통해 제조한 접착제를 도포한 후 박리 시험기를 사용하여 박리 속도 30cm/min으로 접착제를 박리시키는 시험을 진행하여 접착인장강도(N/cm2)를 도출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도시하였다.
[표 4]
표 4에 따르면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접착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접착인장강도를 나타낸 표이다. 일반적으로 접착인장강도가 15N/cm2 이상의 값이면 우수한 접착인장강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1~3 중에서는 과산화벤조일을 가장 다량 첨가한 실시예 3의 접착인장강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으며, 반대로 과산화벤조일을 가장 적게 첨가한 실시예 1의 접착인장강도가 가장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과산화벤조일을 다량 첨가할수록 접착인장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인장강도가 가장 우수한 비교예 2는 실험예 1의 침투 깊이 실험에서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침투 깊이보다 낮은 값이 도출되었다. 조성비를 살펴보면 비교예 2는 과산화벤조일의 함량이 높고 상대적으로 DINP의 함량은 낮은 편이다. 접착조성물의 경화와 접착력에 기여하는 과산화벤조일의 중량부가 높기 때문에 점도는 올라가고 유동성이 낮아짐으로써 좁은 틈새에는 깊게 침투되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대되는 경우로 비교예 1은 과산화벤조일이 적어 접착인장강도가 낮으나, 이에 따라 DINP의 중량비는 상대적으로 높아져, 침투깊이는 깊은 편이다.
한편 비교예 3은 과산화벤조일은 본 발명에서 제시한 중량부 범위 내의 양을 첨가하였지만, DINP는 그보다 적은 양을 첨가하였는데 접착강도시험과 침투 깊이 시험 모두에서 낮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4는 과산화벤조일은 본 발명에서 제시한 중량부 범위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였지만, DINP는 그보다 과다한 양을 첨가하여서 침투 깊이는 가장 뛰어나지만, 접착인장강도는 매우 낮은 수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험예 1과 실험예 2를 통해 실시예 1~3의 조성비를 가진 접착제의 좁은 요철 및 틈새에 대한 침투력과 접착인장강도가 모두 우수한 수치임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2의 조성비를 가진 접착제의 성능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나사못
110 ... 헤드
120 ... 제 1 나사산부
130 ... 몸통부
140 ... 제 2 나사산부
200 ... 플러그
210 ... 입구부
220 ... 제 1 요철부
221 ... 절개홈
230 ... 슬롯부
231 ... 슬롯
240 ... 중간평탄부
250 ... 제 2 요철부
260 ... 돌기
261 ... 중공형 돌기
262 ... 홈형 돌기
263 ... 돌기공
264 ... 돌기홈
300 ... 접착조성물
400 ... 벽체
410 ... 천공홀
420 ... 외벽층
430 ... 단열층
440 ... 내벽층

Claims (10)

  1. 칼블럭의 다수의 구멍으로부터 방출된 후 건물 벽체의 틈새에 스며들어 경화되면서 상기 칼블럭을 상기 건물 벽체에 접착 결합시키기 위한 칼블럭용 접착조성물에 있어서,
    주제;
    과산화벤조일(Benzoyl Peroxide)을 포함하는 경화조성물; 및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isononyl phtalte)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조성물은 경화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과산화벤조일을 25 ~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는 상기 경화조성물 62 ~ 68 중량부에 대해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32 ~ 3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조성물은 과산화벤조일, 탄산칼슘, 황산칼슘 및 무수실리카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조성물은 과산화벤조일 25 ~ 30 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 40 ~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조성물은 과산화벤조일 25 ~ 30 중량부에 대해 황산칼슘 15 ~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조성물은 과산화벤조일 25 ~ 30 중량부에 대해 무수실리카겔 10 ~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조성물과 상기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경화제 18 ~ 4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주제 50 ~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조성물 62 ~ 68 중량부에 대해 카본블랙 0.2 ~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10.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260)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건물 벽체(400)의 천공홀(410)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200); 및
    상기 건물 벽체(400)의 천공홀(410) 내부에 삽입된 플러그(200) 내부에 제 1 항의 접착액(300)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나사못(100)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200) 외주면의 복수의 돌기(260) 각각에는 상기 플러그(200)의 원통형 바디 및 상기 각 돌기(260)를 차례대로 관통하는 돌기공(26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못(100)이 상기 플러그(200) 내부에 제 1 항의 접착액(300)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200) 내부의 접착액(300)은 상기 나사못(100)에 의해 상기 플러그(200) 외주면의 복수의 돌기(260) 각각에 형성된 돌기공(263)을 통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 보강용 칼블럭.
KR1020230020508A 2023-02-16 2023-02-16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649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508A KR102649244B1 (ko) 2023-02-16 2023-02-16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508A KR102649244B1 (ko) 2023-02-16 2023-02-16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244B1 true KR102649244B1 (ko) 2024-03-19

Family

ID=9048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508A KR102649244B1 (ko) 2023-02-16 2023-02-16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2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7283B2 (ja) * 1995-12-06 2010-07-2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固定用カプセル
KR20130091988A (ko) * 2012-02-09 2013-08-20 주식회사 조은데코 펄라이트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건축용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46359A (ko) * 2013-06-17 2014-12-26 강남화성 (주) 타일 접착 공법
KR102308206B1 (ko) * 2021-02-18 2021-10-06 두정산업개발 주식회사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갖는 경계석 블록 제조용 고성능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의 시공방법
KR102368708B1 (ko) * 2021-08-17 2022-02-28 (주)신개산업 조적 보강 시공방법과 그 조적보강을 위한 내진 보강구
KR102400176B1 (ko) * 2021-10-08 2022-05-20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앵커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벽체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7283B2 (ja) * 1995-12-06 2010-07-2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固定用カプセル
KR20130091988A (ko) * 2012-02-09 2013-08-20 주식회사 조은데코 펄라이트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건축용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46359A (ko) * 2013-06-17 2014-12-26 강남화성 (주) 타일 접착 공법
KR102308206B1 (ko) * 2021-02-18 2021-10-06 두정산업개발 주식회사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갖는 경계석 블록 제조용 고성능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의 시공방법
KR102368708B1 (ko) * 2021-08-17 2022-02-28 (주)신개산업 조적 보강 시공방법과 그 조적보강을 위한 내진 보강구
KR102400176B1 (ko) * 2021-10-08 2022-05-20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앵커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벽체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6832A (en) Connectors used in making highly insulated composite wall structures
US5673525A (en) Insulating connector rods used in making highly insulated composite wall structures
AU2013239111A1 (en) Building block, as well as an insert piece to be applied in such a building block
JP5608931B2 (ja) 既設タイル張り仕上げ壁の落下防止構造及び落下防止工法
KR102649244B1 (ko) 다공형 칼블럭용 접착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JP5896978B2 (ja) ピンニング工法
DE3638750A1 (de) Reaktionssatz und mehrkammerpatrone fuer die klebverankerung von befestigungselementen
JP2016160634A (ja) 補修壁、補修天井及びコテ仕上げ面体の補修方法
CA2516866A1 (en) Shim having through openings
KR101182016B1 (ko) 시각 장애인 유도블록
US4198793A (en) Method of planting rod-shaped member in foundation
JP6985717B2 (ja) ピンニング工法
JP2007146412A (ja) 湿式仕上げ構造
CN113944293B (zh) 镶板
EP2374768B1 (de) Fußbodenuntergrund
JP4888964B2 (ja) 拡張型アンカーの埋設固定方法
KR101959104B1 (ko) 타일 갭의 줄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일 갭의 줄눈 시공방법
CA2237793C (en) Insulating connector rods used in making highly insulated composite wall structures
JP3330360B2 (ja) 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295871B (zh) 盲导标示及安装方法
KR200262414Y1 (ko)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AU2019203672A1 (en) Tactile Marker and Installation Method
JP6903346B2 (ja) 外壁の浮き補修工法、及び注入口付きアンカーピン
RU2164990C1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панель или плитка
KR101224506B1 (ko) 흙패널의 시공방법 및 보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