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414Y1 -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 Google Patents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414Y1
KR200262414Y1 KR2020010024056U KR20010024056U KR200262414Y1 KR 200262414 Y1 KR200262414 Y1 KR 200262414Y1 KR 2020010024056 U KR2020010024056 U KR 2020010024056U KR 20010024056 U KR20010024056 U KR 20010024056U KR 200262414 Y1 KR200262414 Y1 KR 200262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natural stone
layer
natur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홍길
현명택
최경현
강창익
조경호
조일형
Original Assignee
현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명택 filed Critical 현명택
Priority to KR2020010024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4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414Y1/ko

Links

Landscapes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층에 자연석을 부착시킨 자연석부착 합성수지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에는
합성수지층과;
상기 합성수지층의 전면에 공극사이로 고온의 합성수지가 가압됨으로서 스며들어 고착되는 자연석층을 포함하는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plastic panel with stone layer }
본 고안은 합성수지 판재에 자연석을 부착시킨 자연석부착 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를 용융시키고, 용융된 상태의 합성수지를 판재로 형성하면서 표면에 자연석을 부착되도록 하는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판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의 마감재로 미감을 살리기 위하여 자연석을 이용하고자하나, 구조물 본체에 자연석을 부착시키는 방법이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흔히 시공되고 있지 못하다.
또한, 인공어초등의 구조물에는 해초의 종묘부착을 위하여 구조물 표면에 자연석을 부착시키는 방법이 연구개발되고 있지만 마찬가지의 이유로 제대로 시공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또한, 인도에 보도블록을 시공하거나, 아스콘 포장을 하고 있으나, 자연미를 더욱 추구하기 위하여 자연석을 깔 필요를 느끼고 있으나, 이와 같이 자연석을 깔 경우에는 자연석들이 도로로 넘어오게 될 수 있으며 유실의 염려가 다분히 존재하여 자연석을 인도상에 고정시킬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축물, 인공어초, 인도등의 표면에 자연석을 부착시킬 필요를 느끼게 되는 경우는 흔히 발생되지만 인건비, 시설비등을 고려하여 시공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구조물, 인공어초, 인도등, 자연석을 표면에 부착시킬 필요를 많이 느끼게 되는 장소의 마감재로 활용하기 위한 자연석부착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가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가압에 의하여 생성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가압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하여 생성된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이다.
도 7은 도 6의 원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을 생성하기 위한 제 3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의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4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인공수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 - 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이 설치된 인공어초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합성수지층과;
상기 합성수지층의 전면에 공극사이로 고온의 합성수지가 가압됨으로서 스며들어 고착되는 자연석층을 포함하는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후면에는 원통형상의 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자연석층에는 단턱부를 갖는 길이방향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홈에 탄성부재가 외부에서 압삽되어 상기 단턱부에 의해 빠지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자연석층에 단턱부를 갖는 반추형상의 홀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홀에 외부에서 탄성부재가 압살될 때 상기 단턱부에 의하여 고정지지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단부에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삽입봉을 구비하며 해조류 형상을 이루고 있는 인공수초대;
상기 인공수초대의 삽입봉이 압삽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홀이 복수개 형성되는 인공수초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형성하고자하는 패널크기의 바닥을 갖는 용기에 자연석들, 바람직하기로는 자갈을 일정높이로 균일하게 배치시켜 자연석층을 형성시키고(S10), 자연석층위에 용융되거나, 겔상태의 합성수지를 분포시켜 합성수지층을 형성시킨다(S11). 합성수지층을 가압하게 되면(S13), 합성수지층의 합성수지가 자연석층의 자갈들의 공극 사이로 충진되게 되고, 이를 냉각시켜 경화시키면 합성수지층에 자갈들이 고착되게 된다. 본 고안에서 합성수지는 폐플라스틱, 폐비닐등의 폐자재를 200℃ 내지 700℃로 용융시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가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제 1 실시예의 가압에 의하여 생성된 패널의 단면도이다.
합성수지층을 가압하는 프레스(10)의 가압판(11)의 저면에는 도 3의 구조물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12)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착부 형상과 대응되게 부착부 형성홈(13)들이 형성되어져 있고, 부착부(12)에 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정 홈의 소정 깊이에 핀(14)이 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층(15)을 가압하게 되면, 합성수지는 자연석층(16)의 공극사이로 밀려들어가 자연석층을 충진시킴과 동시에 부착부 형성홈(13) 사이에도 밀려들어가게 되고, 핀(14)들을 부착부(12)로부터 빼내면 도 3의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20)의 완성품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은 완성품의 저면은 자연석과 합성수지가 혼재되어 매끈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즉, 합성수지면으로부터 자연석들이 돌출되지 못하고 하나의 매끄러운 평면을 이루게 되어, 저면을 구조물을 외장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자연석만이 존재하는 자연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는 인공어초의 구조물의 마감재로 사용할 경우에 해조류의 종묘 부착에 일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제 1 실시예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자 하는 것이 후술되는 제 2 실시예에 의한 방법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는 다르게 자연석층을 형성하기 전과정으로 자연석층의 공극보다 작은 공극을 형성하여 가압되는 합성수지가 더 이상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는 불투성 재료층을 갖는다. 불투성 재료로는 재료비가 저렴하게 들고, 합성수지가 더 이상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며, 합성수지가 미량 불투성 재료층에 침투하여도 자연석층과 색상면에서 크게 문제되지 않기 때문에 모래가 바람직하다.
불투성 재료층인 모래층을 형성하고(S21), 그 위에 자갈로 이루어진 자연석층을 형성한다(S22). 이때 자연석층을 이루는 자갈은 모레속에 일부가 박히도록 배치시키고, 그 위에 용상태 또는 겔 상태의 합성수지층을 형성하고(S23), 합성수지층을 프레스로 가압한 후에 합성수지층의 부착부에 박힌 핀을 제거한다(S24).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가압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하여 생성된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층이 프레스(10)에 의하여 가압되게 되면 합성수지는 자연석층을 통과하여 모래에 도달되게 되지만 모래층에서는 공극이 작아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도 6과 같이 자연석층이 합성수지가 침투되는 부분보다 돌출되게 된다.
도 7은 도 6의 원부분의 확대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의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30)의 저면을 이루는 자연석층의 자갈들은 모래층에 묻히게 되고, 합성수지들이 프레스의 가압에 의하여 자갈들의 공극사이에 충진되게 되지만 모래와 만나는 부분에서 더 이상 침투되지를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30)을 들어내게 되면 최저면의 자갈(71)과 자갈(72) 사이에서와 같이 모래가 합성수지에 붙게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하고, 이 보다 작은 공극에서, 자갈(72)과 자갈(73) 사이, 자갈(73)과 자갈(74) 사이와 같이, 모래가 붙지 않은 상태에서 더 이상 합성수지가 침투되지 않은 상태로 경화된다.
제 2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30)은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될 때는 그 최저면에 합성수지층으로부터 자갈이 돌출되어 자연미를 더욱 창출할 수 있으며, 인공어초의 구조물의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해조류의 종묘가 부착되기 용이한 상태로 종래의 인공어초보다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을 생성하기 위한 제 3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 3 실시예는 폐플라스틱, 폐비닐등의 폐합성수지등을 용융시켜 판재형상으로 경화시키고(S31), 합성수지와 자연석의 종류에 따라 접착력이 확보되는 접착제를 선정하여 합성수지상에 도포시키고(S32), 그 위에 자연석들을 골고루 배치하여 고착시킴으로써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S32). 이러한 실시예의 변형예로 합성수지층을 형성한 후, 합성수지층을 접착제 용액에 가라앉히고, 그 위에 자연석을 함침시키되, 자연석의 일부만 접착제 용액중에 함침되도록 접착제 용액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은 건축물의 지붕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9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은 벽체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생성하기 위하여 양측면에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을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91)의 부착부들(93), (94)에 형성된 철근 삽입홀에 철근(95)를 관통시켜 고정시킨다. 마찬가지로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92)의 부착부(96), (97)에형성된 철근 삽입홀에 철근(98)을 관통시켜 삽입한다. 부착부들(93), (94), (96), (97)이 서로 대향되게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91)과 (92)를 배치, 고정시키고 이들을 콘크리트 보강 철근들을 철근 삽입홀에 삽입된 철근(95), (98)에 서로 연결하여 거푸집을 만든다. 이와 같이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들(91), (92)을 이용하여 거푸집이 완성되면 내부에 시멘트를 충진시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벽체는 철근 삽입홀에 삽입된 철근(95), (98)과 함께 경화되므로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91), (92)는 벽체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착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의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 4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인공수초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 - 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 4의 실시예는 제 1 내지 제 3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되는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 또는 통상의 합성수지 패널에 인공수초를 삽입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인공수초(100), (110)은 인공수초(100), (110)들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절개된 인공수초 삽입홈(101), (102)에 압삽된다. 인공수초(100)는 지지몸체(103)와 지지몸체(103)에 형성된 삽입홀(106)에 압삽되는 인공수초대(104), (105)들로 구성된다. 인공수초대(104)는 중심줄기와 다양한 형상을 갖는 잎등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중심줄기의 단부는 삽입홀(106)에 압삽되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삽입홀의단턱부(106')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원통형상의 하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반경이 확장되어 연설되는 원추형상의 삽입봉을 갖는다. 인공수초대(104)의 삽입봉이 압삽되는 삽입홀(106)은 원추형상의 홀과 원추형상의 홀로부터 내경이 축소됨으로써 단턱부(106')를 구성하도록 하여 지지몸체(103)의 상면으로 통하는 홀로 이루어진다. 인공수초대(104)의 중심줄기는 삽입봉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공수초대(105)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삽입봉과 중심줄기는 평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몸체(103)은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삽입홀(106)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삽입홈(101)의 반원추형상부분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반원추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원추부의 상면에는 삽입홈(101)의 단턱부(101')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원추부의 상면보다 폭이 좁아진 길이방향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띠가 연설되어져 삽입홈(101)에 압입된다.
도 13은 본 고안의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이 설치된 인공어초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소정의 형상을 갖는 인공어초의 골조물(130)의 벽면에 삽입홈(101)이 형성된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131)을 부착시키고, 삽입홈(101)에 인공수초(132)들을 압삽시키고 이를 해저에 설치도록 한다. 도 13에는 골조물(130)의 일벽면에 특정 형상을 갖는 인공수초가 도시되어져 있으나, 골조물(130)의 형상은 무수한 형상을 예상할 수 있으며, 인공수초의 형상도 수많은 변형예가 가능하다.
도 14는 본 고안의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을 콘크리트 골조물에 부착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을 콘크리트 벽체(140)에 부착시키기 위하여는 그 끝이 갈라져 틈새를 갖는 원통형상의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못(141), (142)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틈새는 못이 들어가는 과정에서는 좁혀져 못이 압입하기가 쉽게하고, 완전히 들어간 후에는 외향으로 탄발되도록 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콘크리트 벽체(140)에는 못이 압입될 수 있는 홀들(143), (144)이 형성되고, 자연석 부착 판재(145) 관통홀(146), (14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홀들(143), (144), (146), (147)에 못(141), (142)이 압입되어 자연석 부착 판재(145)는 콘크리트 벽체(140)에 고정 부착되게 된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1)건축물의 마감재로 자연미를 추구할 수 있는 자연석을 용이하게 구조물에 부착할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하며, 더욱이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폐자재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며,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2)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을 인공어초의 벽면에 부착시키면 해조류의 종묘의 활착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을 인공수초가 삽입,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어류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소위 해양목장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5)

  1. 합성수지층과;
    상기 합성수지층의 전면에 공극사이로 고온의 합성수지가 가압됨으로서 스며들어 고착되는 자연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후면에는 원통형상의 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석층에는 단턱부를 갖는 길이방향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홈에 탄성부재가 외부에서 압삽되어 상기 단턱부에 의해 빠지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석층을 이루는 자연석들은 상기 합성수지가 스며드는 층보다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패널.
  5. 삭제
KR2020010024056U 2001-08-08 2001-08-08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KR200262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056U KR200262414Y1 (ko) 2001-08-08 2001-08-08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056U KR200262414Y1 (ko) 2001-08-08 2001-08-08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866A Division KR100430394B1 (ko) 2001-07-12 2001-07-12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414Y1 true KR200262414Y1 (ko) 2002-03-18

Family

ID=7310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056U KR200262414Y1 (ko) 2001-08-08 2001-08-08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4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658B1 (ko) * 2002-02-08 2005-01-24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골재 패널
KR100777962B1 (ko) 2006-10-13 2007-11-21 송정환 자연석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용 마감패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658B1 (ko) * 2002-02-08 2005-01-24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골재 패널
KR100777962B1 (ko) 2006-10-13 2007-11-21 송정환 자연석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용 마감패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8347B2 (ja) 構造物及び建造物用の光伝達構成要素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100501024C (zh) 一种现浇钢筋砼成孔用构件
CA1286123C (en) Structural assembly for producing walls
KR200262414Y1 (ko)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KR100900155B1 (ko) 양면 자연석블록의 제조방법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0430394B1 (ko)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KR100671959B1 (ko) 옹벽의 축조방법
KR200307195Y1 (ko)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KR102240949B1 (ko) 벽체 외관 개선을 위한 장착구조
CN1982626A (zh) 一种现浇钢筋砼成孔用构件
KR100264386B1 (ko) 자연석만을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구축공법및 그 구축구조
KR100951635B1 (ko)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JPH02308061A (ja) タイル付き有孔板とその製造方法
KR101363978B1 (ko) 사면 보강용 암벽조경물의 시공방법
KR102240951B1 (ko) 벽체 외관 개선을 위한 장착구조
JPH0892906A (ja) 化粧板
JPH08105185A (ja) 化粧板
JP2010268764A (ja) コンクリート壁面緑化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CN213329061U (zh) 植生混凝土板
KR100938829B1 (ko) 옹벽 조립체
KR100774020B1 (ko) 노출 콘크리트벽
KR101506862B1 (ko) 조립형 인조현무암 돌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4501A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KR20090093519A (ko)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