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170B1 -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170B1
KR102649170B1 KR1020207037955A KR20207037955A KR102649170B1 KR 102649170 B1 KR102649170 B1 KR 102649170B1 KR 1020207037955 A KR1020207037955 A KR 1020207037955A KR 20207037955 A KR20207037955 A KR 20207037955A KR 102649170 B1 KR102649170 B1 KR 102649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ing
density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evoh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8346A (ko
Inventor
다이스케 츠치모토
고 오오타
카츠미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2027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235222A1/ja
Publication of KR20210018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0Applications used for bott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및 산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 질량부당, 상기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35∼90 질량부 및 상기 산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10∼35 질량부의 양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또한, 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사출 성형체에도 관한 것이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이하, EVOH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는, 산소 배리어성이 우수한 수지로서 알려져 있고, 산소에 의한 내용물의 산화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와의 조합으로 용기 등의 포장재의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올레핀계 수지와 EVOH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사출 성형체 등의 성형체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에서 제안되어 있는 성형체에서는, 올레핀계 수지의 매트릭스 내에서 EVOH가 배향하여 층형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한 산소 배리어성을 나타낸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EVOH와 올레핀계 수지는 접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층간 박리를 발생시키기 쉽고, 이 때문에, 표면을 미끄럼 마찰시켰을 때, 균열을 발생시키거나, 표면이 마모되어 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고, 특히 캡이나 스파우트와 같이,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상호 미끄럼 마찰되는 제품에 적용된 경우, 이러한 문제가 현저하게 발생하고 있어, 그 용도가 제한되고 있었다. 이것은, 상기 특허문헌에서는, 균열이나 표면 벗겨짐에 대한 평가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도 이해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상기 수지 조성물에, 말레산 변성된 변성 올레핀이나 변성 엘라스토머를 상용화제로서 배합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용화제는, 올레핀계 수지와 EVOH의 접착제로서 알려져 있고, 상기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올레핀계 수지와 EVOH의 계면에 분포되고, 이에 의해, 양자의 밀착성이 높여지고, 기계적 물성이 높여진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캡이나 스파우트 등의 포장재에서는, 소위 핫팩 충전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나 나사부에서의 슬립성을 고려하여, 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전술한 사출 성형용의 수지 조성물 중의 올레핀계 수지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용화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의 향상 효과가 매우 부족하고, 따라서,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캡이나 스파우트에서는, 상용화제의 배합에 의해, 균열이나 표면 마모의 문제가 해소되지 않아, EVOH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실용화가 저지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49595호 공보 특허문헌 2: WO 2014/16314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균열이나 표면 벗겨짐 등의 문제가 유효하게 해결된 사출 성형체를 성형할 수 있는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사출 성형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에 대해, 많은 실험을 행하여 검토한 결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무수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에 의해 변성한 변성 폴리머를 배합함으로써,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접착성이 개선되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에 의한 산소 배리어성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균열이나 표면 벗겨짐 등의 문제가 유효하게 해결된 사출 성형체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및 산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 질량부에 대해, 상기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35∼90 질량부 및 상기 산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10∼35 질량부의 양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1)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42 g/㎤ 이상의 범위에 있고, 또한 190℃에서의 MFR이 0.1∼10 g/10 min의 범위에 있고, 상기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210℃에서의 MFR이 20∼100 g/10 min의 범위에 있고, 상기 산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190℃에서의 MFR이 0.1∼10 g/10 min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에 의해 성형된 사출 성형체가 제공된다.
상기 사출 성형체로서는, 특히 캡 또는 스파우트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를 함유하고 있고, 이러한 성분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EVOH가 층형(또는 띠형)으로 분포되어, 우수한 산소 배리어성이 발휘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에 더하여, 산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산변성 LLDPE)이 배합되어 있는 것에 현저한 특징을 갖는 것이다.
즉, HDPE와 EVOH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사출 성형체에 있어서는, 표면이 마찰되었을 때의 균열이나 표면 마모가 큰 문제로 되어 있고, 이 때문에, 그 실용화가 저지되고 있는 것이지만, 상기와 같은 산변성 LLDPE를 배합함으로써, EVOH에 의한 산소 배리어성이 손상되는 일없이, 균열이나 표면 마모가 유효하게 해결된 사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균열 또는 표면 마모의 방지 효과는,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산변성한 산변성 LLDPE를 배합함으로써 발휘되는 것이며,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통상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SEBS 등의 엘라스토머 등을 산변성하여 얻어지는 변성 폴리머, 또한 이온 가교 올레핀계 수지(아이오노머) 등을 이용한 경우에는, 이러한 방지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후술하는 실시예 참조).
이러한 산변성 LLDPE를 이용함으로써, 균열이나 표면 마모의 방지 효과가 발현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이 추정하고 있다.
즉,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은, 다른 폴리에틸렌과 비교하여 인장 강도 등의 특성이 우수하고, 내찰상성도 양호하고, 내열성이나 슬립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캡이나 스파우트와 같은 성형체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지만, 반면, EVOH는 강성이 높아 캡이나 스파우트에는 부적합한 재료이다. 따라서, HDPE와 EVOH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사출 성형체에서는, 표면이 마찰되었을 때, HDPE의 변형에 EVOH가 추종하지 않고, 이 결과, 균열이나 표면 마모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런데,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소량의 α-올레핀(예컨대 1-부텐 등)을 공중합시킨 것이며,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비해서 짧은 분기를 가지고 있고, 직선성이 높고, 높은 유연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LLDPE를 산변성한 것은, 층형 또는 띠형으로 분포되어 있는 EVOH의 주위에 분포되어 양자의 접착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높은 유연성을 나타낸다. 이 결과, 이 성형체의 표면이 마찰되었을 때, 표층부의 변형에 내부도 추종하고, 이 때문에, HDPE와 EVOH의 계면 박리가 유효하게 회피되어, 균열이나 표면 마모가 유효하게 방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LLDPE는, 직선성이 높기 때문에, 사출성 성형을 행하였을 때, 산변성 LLDPE는, 유동 방향으로 배향되기 쉽고, 층형 또는 띠형으로 분포되어 있는 EVOH의 주위에 분포되기 쉽고, 이 결과, HDPE와 EVOH의 접착성이 더욱 높여져, 이것도 균열이나 표면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요인의 하나가 아닌지 추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사출 성형체는, 산소에 대한 배리어성이 우수하며, 표면을 마찰시켰을 때의 균열이나 마모에 대하여 높은 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포장 재료의 분야에 있어서 특히 적합하게 사용되고, 예컨대, 캡이나 스파우트 등으로서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산소 배리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합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를 부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고, 이러한 기본 성분에 더하여, 산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산변성 LLDPE)이 배합되어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주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은, 밀도가 0.942 g/㎤ 이상으로 높고, 분지를 거의 갖지 않고, 결정성이 높은 폴리에틸렌이며, 기계적 강도나 표면 슬립성이 우수하고, 특히 나사산 등을 갖는 캡이나 스파우트 등의 성형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재료이다. 이러한 HDPE에 의해 성형된 캡이나 스파우트는, 높은 기계 강도를 갖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나사부에서의 슬립성이 높고, 우수한 나사 결합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에이셉틱 살균 충전용의 캡이나 스파우트로서도 적합한 재료이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또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를 층형 또는 띠형이 되도록 배향 분산시켜 높은 산소 배리어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사출 성형체를 제조하는 용도에 사용된다. 이 때문에, 상기 HDPE로서는, 소위 사출 성형 그레이드의 것이 사용되고, 예컨대, 190℃에서의 MFR(멜트 플로우 레이트)이 0.1∼10 g/10 min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MFR이 지나치게 크면, 유동성이 높아, EVOH가 층형(띠형)이 되지 않고, 또한 지나치게 작으면, 유동성이 부족하여 사출 성형에서는 사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는, 주지와 같이, 산소 배리어성 수지로서 대표적인 것이며, 사출 성형체에 산소 배리어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EVOH로서는, 일반적으로, 에틸렌 함량이 20∼60 몰%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도가 96 몰% 이상, 특히 99 몰% 이상이 되도록 비누화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체를 성형하기 때문에, 이러한 EVOH도 사출 그레이드의 MFR을 갖는 것이 사용되지만,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 전술한 HDPE 내에서 층형 또는 띠형으로 배향 분산시키기 위해, 210℃에서의 MFR이 20∼100 g/10 min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즉, HDPE에 대하여 적절한 유동성을 갖는 EVOH를 사용함으로써, EVOH를 층형 또는 띠형으로 배향 분산시켜 높은 산소 배리어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예컨대, EVOH의 MFR이 상기 범위 외인 경우에는, 사출 성형은 가능하다고 해도, EVOH가 HDPE 내에 균일 또는 입상으로 분산되어 버려, 이 결과, 산소 배리어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EVOH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 질량부당, 35∼90 질량부, 특히 45∼70 질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EVOH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EVOH를 층형 또는 띠형으로 배향 분산시키기 어려워져, 높은 산소 배리어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한편, EVOH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도, 당연히, 산소 배리어성이 저하해 버린다.
<산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산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산변성 LLDPE)은, HDPE와 EVOH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상용화제로서 기능한다.
이 산변성에 제공되는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반복 단위의 에틸렌에 약간량의 α-올레핀(예컨대, 1-부텐, 1-헥센, 4-메틸펜텐-1,1-옥텐 등)을 공중합시킨 것이며, 짧은 분기가 랜덤으로 도입되어 있고, LDPE에 비해서 짧은 분기를 포함하고 있고, 밀도가 낮고(예컨대 0.910∼0.925 g/㎤), 분자의 직선성이 높다고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높은 유연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LLDPE를 산변성함으로써 얻어진 산변성 LLDPE를 사용함으로써, 균열이나 표면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며, 예컨대, 통상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산변성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균열이나 표면 마모를 방지할 수는 없다. 즉, LDPE는, 에틸렌쇄가 장쇄의 분기를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밀도가 낮고, 또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지만, 장쇄의 분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선성이 낮아, 사출 성형에 있어서, 유동 방향으로 배향하기 어려워, 층형 또는 띠형으로 분포되어 있는 EVOH의 주위로 배향한 분포 구조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HDPE와 EVOH 사이에서 계면 박리가 생기기 쉽게 되어 있고, 이 결과로서, 균열이나 표면 마모를 방지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LLDPE의 산변성에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말레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산무수물이 사용되고, 이러한 산을 이용한 변성에 의해, LLDPE 중에 카르보닐기(>C=O)가 도입되고, HDPE 및 EVOH에 대하여 높은 접착성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비용이나 입수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말레산 또는 무수 말레산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직선성이나 유연성 등의 LLDPE에 특유의 성질을 유지하면서 변성하기 위해, 이들 산은 그라프트 공중합에 의해 도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산변성도(LLDPE당의 산 질량%)는, 1.10∼0.8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출 성형에 의해 산변성 LLDPE를 EVOH의 주위로 배향 분산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 이 산변성 LLDPE의 MFR(190℃)은, 0.1∼10 g/10 min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산변성 LLDPE의 배합량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 질량부에 대해, 10∼35 질량부, 특히 15∼30 질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배합량이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EVOH에 의한 산소 배리어성이 손상되어 버리고,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EVOH와 HDPE 사이에서 계면 박리가 생기기 쉬워져, 균열이나 표면 마모를 방지할 수 없다.
<다른 성분>
본 발명의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사출 성형체에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그 자체 공지의 각종 배합제, 예컨대, 자외선 흡수제, 안료, 염료, 충전재 등을, 전술한 각 성분에 의해 발휘되는 소정의 특성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의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사출 성형체>
전술한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사출 성형에 의해, 소정의 형태로 성형된다.
사출 조건은, HDPE를 매트릭스로 하여, EVOH가 매트릭스 내에 층형 또는 띠형으로 분포된 구조가 형성되도록 설정되고, 예컨대, 소정의 사출 성형기의 혼련부에 수지 조성물을 투입하여 160∼240℃의 온도로 유지하여, 10∼50℃ 정도의 온도로 유지된 금형 내에, 5∼80 ㎜/초의 속도로 사출 충전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성형체는, 표면을 마찰시켰을 때의 균열이나 표면 마모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산소 배리어성과 함께, 나사부와 같은 미끄럼 마찰부를 갖는 제품, 예컨대, 병 등의 용기, 캡, 스파우트 등으로서 적합하고, 특히 스파우트나 캡(특히 나사캡)인 것이 최적이다.
또한, 이러한 성형체는, 공사출이나 인서트 성형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다층 구조로 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중간층으로서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사출 성형체는, 표면을 마찰시켰을 때의 균열이나 표면 마모가 유효하게 방지되고 있기 때문에, 이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만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단층 구조로 할 수 있고, 이것은, 본 발명의 큰 이점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를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 이용한 각종 재료 및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게이요폴리에틸렌사 제조 B5803R
밀도: 0.958 g/㎤
MFR(190℃): 0.3 g/10 min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니혼고세이가가쿠고교사 제조 K3850B
에틸렌 함량: 38 몰%
MFR(210℃): 50 g/10 min
상용화제;
A. 말레산 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말레산 변성 LLDPE)
듀퐁사 제조 41E710
변성도: 1%
MFR(190℃): 2.7 g/10 min
B. 말레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말레산 변성 LDPE)
미쓰비시케미컬사 제조 L553
MFR(190℃): 1.5 g/10 min
C. 말레산 변성 고밀도 폴리에틸렌(말레산 변성 HDPE)
듀퐁사 제조 4033
변성도: 1%
MFR(190℃): 2.0 g/10 min
D.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말레산 변성 PP)
듀퐁사 제조 50E806
변성도: 0.5%
MFR(230℃): 25 g/10 min
E. 말레산 변성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말레산 변성 SEBS)
아사히카세이사 제조 M1943
MFR(230℃): 8.0 g/10 min
F. 아이오노머
미쓰이·듀퐁폴리케미컬사 제조 1855
MFR(190℃): 1.0 g/10 min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조제된 수지 조성물의 각종 평가는, 그 조성물에 의해 스파우트(구경: 11 ㎜, 몸통부 두께: 2 ㎜, 높이: 32 ㎜)를 사출 성형하고, 이 스파우트의 통형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폴리프로필렌제 나사캡(표면 경도: 로크웰 경도 90)을 장착하여, 이하의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
(마모성)
성형된 스파우트에, 상기 폴리프로필렌제 나사캡을 소정의 권취 체결 각도로 캡핑하고, 핫팩 충전을 상정한 열수에 의한 샤워 처리를 하였다. 그 후, 캡을 개방 및 폐쇄하는 조작을 20회 반복하여 행하여, 스파우트의 통형 본체의 마모를 눈으로 보아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 마모가 인정되지 않음.
×: 마모가 인정됨.
(균열성)
성형된 스파우트에, 상기 폴리프로필렌제 나사캡을 소정의 권취 체결 각도로 캡핑하여, 핫팩 충전을 상정한 열수에 의한 샤워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캡을 개방하여, 스파우트의 통형 본체에 균열이 발생하였는지를 눈으로 보아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 균열이 인정되지 않음.
×: 균열이 인정됨.
(산소 배리어성)
성형된 스파우트의 입구부에 알루미늄 필름을 접착하여 측정 샘플로 하고, 산소 투과율 측정 장치 「MOCON사 제조 OX-TRAN(등록 상표) 2/21」을 이용하여, 측정 온도 23℃의 조건에서 1일당에 투과하는 산소량을 측정하였다.
○: 0.002 ㏄/〔pkg-day〕 미만
×: 0.002 ㏄/〔pkg-day〕 이상
<실시예 1>
60 질량부의 HDPE에, EVOH를 30 질량부 및 상용화제 A(말레산 변성 LLDPE)를 10 질량부 블렌드하여,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100 질량부의 HDPE에, EVOH를 50 질량부 및 상용화제 A(말레산 변성 LLDPE)를 16.7질량부 블렌드하여,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행하고, 전술한 형태의 스파우트를 성형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와 같다.
마모성: ○
균열성: ○
산소 배리어성: ○
<실시예 2>
55 질량부의 HDPE에, EVOH를 30 질량부 및 상용화제 A(말레산 변성 LLDPE)를 15 질량부 블렌드하여,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100 질량부의 HDPE에, EVOH를 54.5 질량부 및 상용화제 A(말레산 변성 LLDPE)를 27.3 질량부 블렌드하여,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행하고, 전술한 형태의 스파우트를 성형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와 같다.
마모성: ○
균열: ○
산소 배리어성: ○
<비교예 1>
50 질량부의 HDPE에, EVOH를 30 질량부 및 상용화제 A(말레산 변성 LLDPE)를 20 질량부 블렌드하여,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100 질량부의 HDPE에, EVOH를 60 질량부 및 상용화제 A(말레산 변성 LLDPE)를 40 질량부 블렌드하여,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행하고, 전술한 형태의 스파우트를 성형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와 같다.
마모성: ○
균열성: ○
산소 배리어성: ×
<비교예 2>
상용화제 A를 상용화제 B(말레산 변성 LDPE)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행하고, 전술한 형태의 스파우트를 성형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와 같다.
마모성: ○
균열성: ×
산소 배리어성: ○
<비교예 3>
상용화제 A를 상용화제 C(말레산 변성 HDPE)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행하고, 전술한 형태의 스파우트를 성형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와 같다.
마모성: ×
균열성: ○
산소 배리어성: ○
<비교예 4>
상용화제 A를 상용화제 D(말레산 변성 PP)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행하고, 전술한 형태의 스파우트를 성형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와 같다.
마모성: ×
균열성: ×
산소 배리어성: ○
<비교예 5>
상용화제 A를 상용화제 E(말레산 변성 SEBS)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행하고, 전술한 형태의 스파우트를 성형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와 같다.
마모성: ×
균열성: ×
산소 배리어성: ○
<비교예 6>
상용화제 A를 상용화제 F(아이오노머)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행하고, 전술한 형태의 스파우트를 성형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와 같다.
마모성: ×
균열성: ×
산소 배리어성: ○

Claims (4)

  1.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및 산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캡 또는 스파우트로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 질량부당, 상기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35∼90 질량부 및 상기 산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10∼35 질량부의 양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또는 스파우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0.942 g/㎤ 이상의 밀도 및 0.1∼10 g/10 min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를 갖고 있고,
    상기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20∼100 g/10 min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210℃)를 갖고 있고,
    상기 산변성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0.1∼10 g/10 min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를 갖고 있는 캡 또는 스파우트.
  3. 삭제
  4. 삭제
KR1020207037955A 2018-06-08 2019-05-22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 KR102649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0067 2018-06-08
JP2018110067 2018-06-08
JPJP-P-2018-153118 2018-08-16
JP2018153118A JP6621505B2 (ja) 2018-06-08 2018-08-16 射出成形体
PCT/JP2019/020278 WO2019235222A1 (ja) 2018-06-08 2019-05-22 射出成形用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346A KR20210018346A (ko) 2021-02-17
KR102649170B1 true KR102649170B1 (ko) 2024-03-18

Family

ID=6891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955A KR102649170B1 (ko) 2018-06-08 2019-05-22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59450B2 (ko)
JP (1) JP6621505B2 (ko)
KR (1) KR102649170B1 (ko)
CN (1) CN1125437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0050B (zh) * 2022-01-22 2023-06-23 杭州恒峰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抗油剂渗透的农药瓶及其制备方法
KR102505054B1 (ko) * 2022-04-26 2023-03-02 (주)연암 재활용성이 향상된 파우치용 필름 및 그 필름으로 제조된 스파우트 캡 파우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1024B2 (ja) * 1990-08-30 1998-07-02 関西チューブ 株式会社 肩部バリヤー性の向上したラミネートチューブ容器
WO2005105437A1 (ja) * 2004-04-28 2005-11-10 Kuraray Co., Ltd. 多層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8229A (en) * 1990-02-01 1994-01-11 Nippon Gohse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olyolefin composition and the use thereof
JPH07112865B2 (ja) * 1991-07-26 1995-12-06 関西チューブ株式会社 ガスバリヤー性キャップ
JP3686240B2 (ja) * 1996-11-19 2005-08-24 株式会社クラレ 樹脂組成物および多層構造体
CN1088077C (zh) 1996-11-19 2002-07-24 可乐丽股份有限公司 树脂组合物和多层结构
CA2235534A1 (en) * 1997-04-23 1998-10-23 Mitsui Chemicals, Incorporated Multilayered article, vessel and resin composition based on polyethylene
EP1548052B1 (en) * 1997-09-04 2008-08-06 Kuraray Co., Ltd. Thermoplastic scrap recycling method
US7182986B1 (en) * 1998-07-09 2007-02-27 Kuraray Co., Ltd. Container cap
JP2002249595A (ja) 2001-02-22 2002-09-06 Toray Ind Inc 射出成形品
US20080003390A1 (en) 2005-04-27 2008-01-03 Nahoto Hayashi Multi-Layer Structur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4961202B2 (ja) * 2006-12-28 2012-06-27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圧力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521905A (ja) * 2009-03-30 2012-09-20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ゲーエムベーハー 接着促進剤中間層を含有する多層化複合プラスチック材料
CN101735537A (zh) * 2009-12-22 2010-06-16 广州鹿山新材料股份有限公司 乙烯-乙烯醇共聚物与高密度聚乙烯共混材料及其制备方法
US10351680B2 (en) 2013-04-04 2019-07-16 Nippon Closures Co., Ltd. Formed body having a layer of thermoplastic resin
PL3532292T3 (pl) * 2016-10-28 2021-07-19 Basf Se Folie kurczliwe z pa 6/6.6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1024B2 (ja) * 1990-08-30 1998-07-02 関西チューブ 株式会社 肩部バリヤー性の向上したラミネートチューブ容器
WO2005105437A1 (ja) * 2004-04-28 2005-11-10 Kuraray Co., Ltd. 多層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43787A (zh) 2021-03-23
JP6621505B2 (ja) 2019-12-18
KR20210018346A (ko) 2021-02-17
US20210214534A1 (en) 2021-07-15
CN112543787B (zh) 2024-02-27
US11459450B2 (en) 2022-10-04
JP2019214695A (ja)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5993B2 (ja) 多層構造容器
KR102649170B1 (ko)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
JP6079139B2 (ja) ダイレクトブロー成形容器
HU229496B1 (en) Injection moulding
US20140076928A1 (en) Material composition, laminate tub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EP0970893B1 (en) Container cap
JP201408438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容器
JP5569517B2 (ja) 非油性内容物熱間充填包装体
EP3805310B1 (en) Resin composition for injection molding
KR101871072B1 (ko) 이지필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00537220C (zh) 多层模塑制品
JP5428615B2 (ja) 内容物による着色が抑制されたプラスチック容器
JP7184932B2 (ja) 多層構造体並びにそれを備える包装材及び縦製袋充填シール袋
JP3899787B2 (ja) 光沢と耐衝撃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ブローボトル
JPH09183190A (ja) 積層構造体及びその用途
JP4622198B2 (ja) 軽量多層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009667A1 (en) Tubular shoulder for container
JP2008019003A (ja) ポリプロピレン製キャップ
JP3894822B2 (ja) 樹脂組成物及び延伸成形体
JP2023161690A (ja) 蓋体、及び蓋付き容器
CA2328700C (en) Injection moulding
JP7349772B2 (ja) 外観と強度に優れる中空成形体
JP2023161691A (ja) 蓋体、及び蓋付き容器
JP5560683B2 (ja) 中空容器
JPH0770378A (ja) 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