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500B1 - 접이식 안전방호통로 - Google Patents

접이식 안전방호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500B1
KR102648500B1 KR1020220159115A KR20220159115A KR102648500B1 KR 102648500 B1 KR102648500 B1 KR 102648500B1 KR 1020220159115 A KR1020220159115 A KR 1020220159115A KR 20220159115 A KR20220159115 A KR 20220159115A KR 102648500 B1 KR102648500 B1 KR 102648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roof
adjacent
safety protection
br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헌
이보베
안성일
Original Assignee
김의헌
(주)브릿지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헌, (주)브릿지팩토리 filed Critical 김의헌
Priority to KR102022015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09Temporary tunnels specially adapted against falling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접이식 안전방호통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는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및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기둥부, 기둥부와 인접한 기둥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고정하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접히도록 마련되어 기둥부와 인접한 기둥부가 밀착되도록 하는 브레이싱부, 기둥부의 상단부에 마련되되 기둥부와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지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안전방호통로{FOLDING SAFETY PROTECTION PASSAGE}
본 발명은 접이식 안전방호통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 조립 및 해체가 용이 하도록 접이식 구조로 마련되며, 상부 낙하물로부터 2중 방호 및 2중 충격 완충이 가능한, 접이식 안전방호통로에 관한 것이다.
토목공사 또는 건축공사와 같은 건설공사 현장에는 수많은 위해요인이 잠재되어 있으며, 건설공사 현장에서 작업 등을 위해 통행하는 작업자나 일반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방호통로가 마련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낙하물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1) 작업장의 바닥, 도로 및 통로 등에서 낙하물이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보호망을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고, 2) 작업으로 인하여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는 경우 낙하물 방지망, 수직보호망 또는 방호선반의 설치 등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설치를 해야 한다.
또한 상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통로의 설치도 규정하고 있는데, 작업장으로 통하는 장소 또는 작업장 내에 근로자가 사용할 안전한 통로를 설치하고 항상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여야 하는 등 안전방호통로 설치를 의무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방호통로 설치에 관하여 국내등록 특허 제10-1996341호가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특허는 (A) 지면에 일정 길이 및 너비를 갖는 바닥판을 안착 배치하되, 바닥판을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 및 안전통로를 형성하도록 양측면부로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양측면부에 위치되는 바닥판 상에 하단 플랜지부를 갖는 파이프 구조의 기둥부재를 체결하여 직립 설치 및 길이방향으로 간격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파이프 구조의 기둥부재 측 상단에 걸림단턱을 갖는 연결부재를 끼워 고정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으로 아치형 구조의 지붕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연속 체결하여 고정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아치형 구조의 지붕프레임 상면으로 지붕보호막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기둥부재 측 양측면 외측방향으로 측면보호막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기둥부재 측 최전방과 최후방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안전통로를 표시하는 입간판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H) 상기 지붕프레임의 하측에 위치 및 기둥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제1와이어망을 수평 설치하는 단계; (I)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꽃을 비롯한 관상식물이 심겨진 화분을 안착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도 1a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 종래특허는 조립식 구성으로 설치가 종래에 비해 용이한 면이 있지만, 여전히 그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이동도 어려우며, 일반 강체 구조로 형성되어 도 1b와 같이 강한 충격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붕괴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안전방호통로의 주 목적은 도심지 공사현장에 인접한 보행로의 보행자 안전방호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낙하물로부터의 보행자를 보호하는 것이다. 통상 공사현장에서 낙하 될 수 있는 자재, 부품, 공구 및 파편들은 그 형태와 중량, 그리고 낙하고에 의해 낙하 시 파괴력이 있다. 일반적인 골조와 판넬로 구성된 종래의 안전방호통로의 구조로는 낙하물에 의해 판넬에 뚫림이 발생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6341(2019.07.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이식으로 마련되면서 2중 방호, 2중 완충을 수행할 수 있는, 접이식 안전방호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는,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및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와 인접한 기둥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고정하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접히도록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와 상기 인접한 기둥부가 밀착되도록 하는 브레이싱부; 및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기둥부와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지붕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싱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및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가동부; 및 상기 기둥부의 상기 고정부와 인접한 기둥부의 상기 가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경 보다 크게 마련되며 기둥형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가동본체; 및 상기 가동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돌출부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가 결합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 중 일자형 연결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부와 탄성적으로 결합하며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기둥 연결부; 상기 기둥연결부의 양 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붕 프레임; 및 상기 지붕 프레임과 인접한 지붕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 프레임은 판넬에 의해 1차적으로 보강되고, 와이어 메쉬에 의해 2차적으로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지붕 프레임과 인접한 지붕 프레임이 접힘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싱부의 연결부가 접힘으로써, 상기 기둥부와 인접한 기둥부의 간격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 프레임과 인접한 지붕 프레임이 펴짐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싱부의 연결부가 펴지고 상기 브레이싱부의 연결부 중 일자형 연결부가 상기 브레이싱부의 가동부에 고정연결됨으로써, 상기 기둥부와 인접한 기둥부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부의 상부 또는 상기 지붕부의 기둥 연결부의 하부에 돌출기둥이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돌출기둥에는 스프링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낙하물이 떨어질 때 상기 지붕부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되고, 상기 기둥부와 상기 브레이싱부로 형성되는 트러스 시스템의 변형 및 스프링부의 완충작용에 의해 2차적으로 완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통로가 접이식으로 마련되어 제작, 운반, 설치가 용이하며 현장 설치 시 최소한의 장비-인력으로 단시간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중 방호 2중 완충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방호통로를 통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방호통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안전방호통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안전방호통로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가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의 지붕부와 기둥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발췌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의 기둥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의 측면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의 기둥부의 결합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충격 발생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의 완충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가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의 지붕부와 기둥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발췌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의 기둥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의 측면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의 기둥부의 결합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충격 발생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의 완충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는, 기둥부(110), 가이드 프레임(120), 브레이싱부(130), 지붕부(140), 표지간판(150), 펜스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기둥부(110)가 가이드 프레임(120)의 가이드에 의해 인접한 기둥부(110)와의 거리가 이격되면서 브레이싱부(130)가 펴지게 되고 지붕부(140) 또한 브레이싱부(130)에 연동하여 펴지게 된 후, 기둥부(110)와 인접한 기둥부(110)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브레이싱부(130)에 의해 기둥부(110)와 인접한 기둥부(110)가 고정됨에 따라 보행자 안전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접이식 안전방호통로는 도 4와 같이, 브레이싱부(130)의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기둥부(110)가 가이드 프레임(120)의 가이드에 의해 인접한 기둥부(110)와 거리가 좁혀지게 되고 브레이싱부(130)와 지붕부(140)가 연동되어 접히게 되어 보관 및 이동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기둥부(110)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프레임(120)의 가이드에 의해 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한다.
기둥부(110)는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되, 좌우 한쌍으로 마련되며, 지붕부(140)에 낙하물이 떨어질 경우 지붕부(140)에 의해 일차적으로 낙하하중을 완충하고 기둥부(110)는 브레이싱부(130)와 스프링부(S)에 의해 이차적으로 낙하하중을 완충하게 된다.
기둥부(110)의 상부에는 지붕부(140)가 마련되고, 기둥부(110)와 인접한 기둥부(110)의 사이에는 브레이싱부(130)가 마련된다.
도 2와 같이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가 펼쳐져 보행자 안전통로로서의 역할을 할 때 기둥부(110)의 하부에는 펜스부(160)가 마련되어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를 통행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게 마련될 수 있다. 펜스부(160)는 착탈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면 기둥부의 상부에는 표지간판(150)이 마련되어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가 보행자 안전통로임을 명시하게 할 수 있다.
브레이싱부(130)는 기둥부(110)와 인접한 기둥부(110) 사이를 연결하면서 고정하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접히도록 마련되어 기둥부(110)와 인접한 기둥부(110)가 밀착되도록 하며, 트러스 형식으로 마련되어 기둥부(110)는 수직재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고 브레이시부(130)는 사재와 수평재의 역할을 담당하게 하여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의 강성을 보강하고 낙하물 충격시 완충 역학을 담당하게 된다.
브레이싱부(130)는 기둥부(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131), 고정부(131)의 하부에 마련되며 기둥부(11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및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가동부(133) 및 기둥부(110)의 고정부(131)와 인접한 기둥부(110)의 가동부(133)를 연결하는 연결부(135, 137)를 포함한다.
고정부(131)의 양 단부에는 힌지핀(134)가 마련되어 연결부(135, 137)의 상단부가 힌지핀(134)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연결부(135, 137)의 중앙부에는 역시 힌지핀(132)이 마련되어 각 연결부(135, 137)는 힌지핀(13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가동부(133)는 기둥부(110)의 외경 보다 크게 마련되며 기둥형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가동본체(133a), 가동본체(133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돌출부(133b), 연결부(135, 137)의 하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힌지핀 결합부(133c), 일자형 연결부(139)의 양 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힌지핀 결합부(133d)를 포함한다.
한 쌍의 돌출부(133b)의 상부에는 연결부(135, 137)의 하단부가 결합하고, 한 쌍의 돌출부(135, 137)의 하부에는 일자형 연결부(139)가 착탈가능하게 결합한다. 이에, 브레이싱부(130)가 펴지게 되고 기둥부(110)와 인접한 기둥부(110)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일자형 연결부(139)가 힌지핀 결합부(133d)에 고정됨에 따라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가 완전히 펴진채 고정되게 된다. 이때 고정부(131)와 가동부(133)는 미리 설정된 제1 간격만큼 이격된다.
일자형 연결부(139)가 힌지핀 결합부(133d)로부터 고정이 해제되어 분리됨에 따라 기둥부(110)가 가이드 프레임(120)의 가이드에 의해 인접한 기둥부(110)와 거리가 좁혀지게 되고 브레이싱부(130)와 지붕부(140)가 연동되어 접히게 되어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는 접히게 된다. 이때 고정부(131)와 가동부(133)의 이격 거리는 미리 설정된 제1 간격 이상으로 연결부(135, 137)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이격되게 된다.
지붕부(140)는 기둥부(110)의 상단부에 마련되되 기둥부(110)와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2중 방호구조가 적용된다. 지붕부(140)는 펴졌을 때 삿갓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지붕부(140)는 기둥부(110)의 상부와 탄성적으로 결합하며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기둥 연결부(141), 기둥연결부(141)의 양 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붕 프레임(143, 145), 지붕 프레임(143, 145)과 인접한 지붕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부(147)를 포함한다. 지붕 프레임(143, 145)에는 판넬(148)과 와이어 메쉬(146)이 결합할 수 있다.
기둥 연결부(141)의 양 단부에는 지붕 프레임(143, 145)의 양 단부가 결합하도록 지붕중심 회전부(142)가 고정결합되고, 지붕중심 회전부(142)의 양 단부에는 지붕 프레임(143, 145)의 양 단부가 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핀(144)이 마련된다.
고정부(131), 돌출부(133b) 및 지붕중심 회전부(142)는 평행하도록 마련된다.
지붕 프레임(143, 145)은 기둥 연결부(14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며,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가 접힐 경우 지붕 프레임(143)과 기둥 연결부(141)를 사이에 둔 지붕 프레임(145)의 상면이 서로 인접하도록 포개어지고 힌지부(147)를 사이에 두고 지붕 프레임(143)과 지붕 프레임(145)의 하면이 인접하도록 포개어진다.
만일,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가 펴질 경우 접히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지붕 프레임(143)과 기둥 연결부(141)를 사이에 둔 지붕 프레임(145)의 상면이 서로 멀어지도록 펴지고 힌지부(147)를 사이에 두고 지붕 프레임(143)과 지붕 프레임(145)의 하면이 멀어지도록 펴진다.
힌지부(147)에 의해 지붕 프레임(145)과 인접한 지붕 프레임(143)이 접힘과 동시에 브레이싱부(130)의 연결부(135, 137)가 접힘으로써, 기둥부(110)와 인접한 기둥부(110)의 간격이 줄어든다. 이 때 연결부(135, 137)은 힌지핀(132)이 가운데에 동시에 관통하도록 X자형으로 마련되어 힌지핀(13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지붕 프레임(143)과 인접한 지붕 프레임(145)이 펴짐과 동시에 브레이싱부(130)의 연결부(135, 137)가 펴지고 브레이싱부(130)의 연결부 중 일자형 연결부(139)가 브레이싱부(130)의 가동부(133)에 고정연결됨으로써, 기둥부(110)와 인접한 기둥부(110)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2중 방호 구조는, 1차적으로 소정의 강성을 가진 판넬(148)에 의해 낙하물의 충격을 감소시키고 2차적으로 와이어 메쉬(146)의 그물망 구조에 의해 낙하물의 충격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판넬(148)은 볼트 체결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철판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적용가능하다. 판넬(148)과 와이어 메쉬(146)은 지붕 프레임 본체(143, 145)에 결합된다.
기둥부(110)의 상부 또는 지붕부(140)의 기둥 연결부(141)하부에 돌출기둥(미도시)이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며 돌출기둥(미도시)에는 스프링부(S)가 마련된다. 이에 기둥 연결부(141)가 평시에는 스프링력에 의해 기둥부(110)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가 지붕부(140)에 충격 발생시 기둥 연결부(141)와 기둥부(110)의 간격이 줄었들었다 커졌다를 반복함으로써 충격이 감쇠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낙하물이 접이식 안전방호통로(100)의 지붕부(140)의 상부에 떨어질 때 지붕부(140)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되고, 기둥부(140)와 브레이싱부(130)로 형성되는 트러스 시스템의 변형 및 스프링부(S)의 완충작용에 의해 2차적으로 완충된다.
낙하물이 지붕에 떨어지면 삿갓 모양의 지붕부(140) 펴지려는 거동을 보이면서 상당한 완충 작용을 일으킨다. 이때 삿갓 모양의 지붕부(140)는 양단이 핀으로 연결되어 있어 급작스러운 낙하물로 인한 큰 충격 대신 회전 거동으로 충격을 회피하게 된다. 또한 지붕부(140)의 회전 거동 시 이와 연결된 기둥부(110) 및 브레이싱부(130)의 트러스 구조가 시스템적으로는 견고하면서 시스템 변형에 대해서는 유연하게 수용해주면서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시킨다. 이러한 2중 완충 구조 시스템의 거동은 낙하물의 충격을 흡수하여 낙하물로부터 발생 될 수 있는 파괴력을 소산 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강성을 지닌 판넬(148)이 적용되어 1차적으로 방호기능을 수행하고, 낙하물 그물망 방호기능을 하는 와이어 메쉬(146)가 적용되어 2차적으로 방호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통로가 접이식으로 마련되어 제작, 운반, 설치가 용이하며 현장 설치 시 최소한의 장비-인력으로 단시간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중 방호 2중 완충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방호통로를 통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접이식 안전방호통로
110: 기둥부
120: 가이드 프레임
130: 브레이싱부
140: 지붕부
150: 표지간판
160: 펜스부

Claims (10)

  1.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및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와 인접한 기둥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고정하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접히도록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와 상기 인접한 기둥부가 밀착되도록 하는 브레이싱부; 및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기둥부와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지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싱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및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가동부; 및 상기 기둥부의 상기 고정부와 인접한 기둥부의 상기 가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경 보다 크게 마련되며 기둥형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가동본체; 및 상기 가동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가 결합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 중 일자형 연결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붕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부와 탄성적으로 결합하며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기둥 연결부; 상기 기둥연결부의 양 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붕 프레임; 상기 지붕 프레임과 인접한 지붕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기둥 연결부의 양 단부에는 상기 지붕 프레임의 양 단부가 결합하도록 지붕중심 회전부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기둥부의 상부 또는 상기 지붕부의 기둥 연결부의 하부에 돌출기둥이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돌출기둥에는 스프링부가 마련되고,
    낙하물이 지붕부에 떨어질 때 양단이 핀으로 연결된 지붕부가 펴지려는 거동을 보이면서 지붕부의 회전거동으로 인해 1차적으로 완충되고, 상기 기둥부와 상기 브레이싱부로 형성되는 트러스 시스템의 변형 및 스프링부의 완충작용에 의해 2차적으로 완충되며,
    상기 고정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지붕중심 회전부는 평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방호통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프레임은 판넬에 의해 1차적으로 보강되고, 와이어 메쉬에 의해 2차적으로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방호통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지붕 프레임과 인접한 지붕 프레임이 접힘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싱부의 연결부가 접힘으로써, 상기 기둥부와 인접한 기둥부의 간격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방호통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프레임과 인접한 지붕 프레임이 펴짐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싱부의 연결부가 펴지고 상기 브레이싱부의 연결부 중 일자형 연결부가 상기 브레이싱부의 가동부에 고정연결됨으로써, 상기 기둥부와 인접한 기둥부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방호통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59115A 2022-11-24 2022-11-24 접이식 안전방호통로 KR102648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115A KR102648500B1 (ko) 2022-11-24 2022-11-24 접이식 안전방호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115A KR102648500B1 (ko) 2022-11-24 2022-11-24 접이식 안전방호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500B1 true KR102648500B1 (ko) 2024-03-18

Family

ID=9047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115A KR102648500B1 (ko) 2022-11-24 2022-11-24 접이식 안전방호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5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654U (ja) * 1992-01-24 1994-02-18 日本コムシス株式会社 管路工事用雨避け装置
JPH11303407A (ja) * 1998-04-22 1999-11-02 Tatsuo Ono オーニング装置
KR100617247B1 (ko) * 2006-04-19 2006-08-29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압송관 지지장치
KR101996341B1 (ko) 2018-08-08 2019-07-04 김기천 건설현장의 안전통로용 안전시설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654U (ja) * 1992-01-24 1994-02-18 日本コムシス株式会社 管路工事用雨避け装置
JPH11303407A (ja) * 1998-04-22 1999-11-02 Tatsuo Ono オーニング装置
KR100617247B1 (ko) * 2006-04-19 2006-08-29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압송관 지지장치
KR101996341B1 (ko) 2018-08-08 2019-07-04 김기천 건설현장의 안전통로용 안전시설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55256A1 (en) Modular pedestrian tunnel
TW200827509A (en) Shock-absorbing protective fence
KR101009538B1 (ko) 충격흡수 안전휀스
WO2009052556A1 (en) Crowd barrier
JP2020012249A (ja) 防護柵における支柱の立設構造
KR20150098393A (ko)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2648500B1 (ko) 접이식 안전방호통로
KR101630851B1 (ko) 완충형 핸드레일을 갖는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10209524A (ja) ガードレール
BR112019015847A2 (pt) Montagem de barreira de proteção para absorção de colisão
KR101152420B1 (ko) 조립식 목재 울타리
CN208815928U (zh) 一种土建施工用安全防护栏
JP5282122B2 (ja) ダンパー装置及びエネルギー吸収体
Lan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thod for evaluating temporary wooden guardrails built and installed on construction sites
APOSTOLSKA et al.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soft-story RC frame buildings
US20070028551A1 (en) Beam attachment system
JP5670256B2 (ja) 落石防護網の支柱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落石防護装置。
AU2007100458A4 (en) Temporary fences or hoardings
JP5129043B2 (ja) 折畳式テント
GB2463227A (en) Working platform comprising telescopic beams and adjustable support legs
JP2829837B2 (ja) 落石等の防護柵
KR102624294B1 (ko) 공중 보행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21886B1 (ko) 하늘숲길의 안전망을 이용하여 체험자의 위험을 방지하는 상부 연결구조
KR102221518B1 (ko) 무주탑 보도 현수교의 세그먼트 교량체
CN211900003U (zh) 一种油田地面工程建设用临时隔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