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401B1 -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401B1
KR102647401B1 KR1020220038963A KR20220038963A KR102647401B1 KR 102647401 B1 KR102647401 B1 KR 102647401B1 KR 1020220038963 A KR1020220038963 A KR 1020220038963A KR 20220038963 A KR20220038963 A KR 20220038963A KR 102647401 B1 KR102647401 B1 KR 102647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bench
harmful gas
sensor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0165A (ko
Inventor
김지훈
권과람
채수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호테크
Priority to KR102022003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401B1/ko
Publication of KR2023014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9Movable platforms, Load ramps, e.g.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Abstract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는 본체, 리프트 및 작업대를 포함하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전후방 또는 작업대의 상측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작업대의 상측 및 좌우측의 유해가스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며, 작업대의 상측 및 좌우측의 고압선 여부를 감지하며,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에서 장애물 또는 고압선을 감지하면 리프트의 이동을 중지하는 리프트 구동부, 센서부에서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풍향 및 풍속에 기초하여 감지된 유해가스가 작업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해가스 차단부, 센서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위험 정도를 알람하는 알람부, 및 센서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리프트 구동부 및 유해가스 차단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고, 알람부를 통하여 위험 정도를 알람하도록 제어하며, 고압감지 센서가 구비된 작업자의 안전모 및 유해가스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작업자의 마스크와 연동하여 상기 리프트 구동부 및 상기 유해가스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scissor lift type lift car}
본 발명은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소작업대의 작업 환경에 따른 다양한 위험 요소를 감지하여 작업 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대는 터널이나, 건물 외벽, 제조 공장 등의 시설물에서 높은 작업 위치에 작업자를 배치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된 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대가 이동하기 때문에 터널의 천정이나 주변의 시설물에 충돌하게 되면 인명 사고로 이어진다. 따라서 고소작업대를 이용한 작업간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소작업대를 위한 안전장치는 주로 장애물과의 충돌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고소작업대의 고공 작업 특성상, 유해가스 저장 탱크나 고압선 주변 또는 밀폐 공간 등과 같이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한 위험요소들이 다수 존재하나 이들에 대한 위험 감지나 경고 방안은 미미한 실정이다.
KR 10-2224284 B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소작업대의 작업 환경에 따른 다양한 위험 요소를 감지하여 작업 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리프트 및 작업대를 포함하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후방 또는 상기 작업대의 상측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작업대의 상측 및 좌우측의 유해가스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작업대의 상측 및 좌우측의 고압선 여부를 감지하며,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장애물 또는 상기 고압선을 감지하면 상기 리프트의 이동을 중지하는 리프트 구동부;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풍향 및 풍속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유해가스가 상기 작업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해가스 차단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위험 정도를 알람하는 알람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리프트 구동부 및 상기 유해가스 차단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알람부를 통하여 위험 정도를 알람하도록 제어하며, 고압감지 센서가 구비된 작업자의 안전모 및 유해가스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작업자의 마스크와 연동하여 상기 리프트 구동부 및 상기 유해가스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장애물을 감지하는 본체 센서;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에 구비되어 장애물을 감지하는 작업대 센서;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에 구비되어 고압선을 감지하는 고압감지 센서;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에 구비되어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유해가스감지 센서; 및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에 구비되어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하는 풍향/풍속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해가스 차단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에 구비되어 상기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기, 상기 흡입기로부터 상기 본체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된 유해가스를 저장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흡기부;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대의 외측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측에서 상기 상단바를 향하여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향/풍속 센서 및 상기 유해가스감지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흡기부, 상기 송풍부 및 상기 에어커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 안전장치는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 및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절연부재; 및 상기 안전모의 외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2절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단에 구비되어 알람시 발광하는 경광등;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고압선에 의한 자기장분포를 상기 작업대에 걸쳐 표시하는 자기장분포 표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유해가스에 의한 분포를 상기 작업대에 걸쳐 표시하는 가스분포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는 장애물 감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 요소를 감지하여 이에 대하여 안전조치를 취함으로써, 고소작업대의 작업 환경에 따른 다양한 위험 요소를 감지하여 작업 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는 장애물 감지 센서뿐만 아니라 유해가스 감지센서, 풍량/풍속 센서 및 고압 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는 유해가스를 다양한 방식으로 차단함으로써, 작업자를 유해가스로 보호하는 동시에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안정성 및 효율성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는 절연부재를 안전모 및 작업대의 상단바 및 바닥면에 구비함으로써, 고압선 부근에서의 작업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압선 부근의 작업을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는 위험 요소 감지시 경광등, 자기장분포 표시 및 가스분포를 표시함으로써, 이상 감지시 대처 방안을 쉽기 인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유해물질 차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와 연동하는 안전모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와 연동하는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 안전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100)가 구비되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10)는 본체(11), 지지대(12), 리프트(13) 및 작업대(14)를 포함할 수 있다.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10)는 높은 위치에 있는 시설물에 대한 작업을 위한 장비를 갖춘 특장차를 의미하며, 일례로 리프트 형태가 시저 타입의 고소작업대이다.
본체(11)는 지지대(12), 리프트(13) 및 작업대(14)가 장착되며 운송수단일 수 있다. 일례로, 본체(11)는 차량일 수 있다. 본체(11)는 그 길이에 따라 설치되는 리프트(13)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본체(11)는 리프트(13)의 승강 시 지면에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는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본체 센서(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 센서(112)는 본체(11)의 전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12)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10)를 지면에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아웃트리거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2)는 본체(11)에서 전후방의 양측으로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2)는 지면에 지지되어 일정 높이로 승강됨으로써, 본체(11)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지지대(12)는 본체(11)의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지지대(12)는 작업 높이에 따라 아웃트리거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리프트(13)는 일단에 작업대(14)가 구비되어 작업대(14)를 일정 높이로 승강하기 위한 승강 수단일 수 있다. 일례로, 리프트(13)는 시저 타입으로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다.
작업대(14)는 리프트(13)의 일측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다. 일례로, 작업대(14)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2~3명의 작업자가 탑승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작업대(14)는 승강 수단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 상승하는 형태인 경우, 수평으로 긴 작업대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작업대(14)는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작업대 센서(114)가 상단바(14a)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작업대 센서(114)는 상단바(14a)를 따라 4개의 코너부근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작업대(14)는 상단바(14a)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고압감지 센서(116), 유해가스감지 센서(118) 및 풍향/풍속 센서(119)가 구비될 수 있다. 역서, 고압감지 센서(116), 유해가스감지 센서(118) 및 풍향/풍속 센서(119)는 상단바(14a)의 위치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작업대(14)는 상단바(14a)와 바닥면(14b)을 따라 제1절연부재(102, 102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절연부재(102)는 상단바(14a)를 따라 그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절연부재(102a)는 바닥면(14b)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대(14)가 고압선 부근에 접근하여도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상단바(14a)나 발을 지지하는 바닥면(14b)이 제1절연부재(102, 102a)로 구비됨으로써 감전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100)는 다양한 센서에 의해 장애물 감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 요소를 감지하여 이에 대하여 안전조치를 취함으로써, 고소작업대의 작업 환경에 따른 다양한 위험 요소를 감지하여 작업 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 안전장치(100)는 센서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리프트 구동부(140), 유해가스 차단부(150) 및 알람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본체(11)의 전후방 또는 작업대(14)의 상측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는 작업대(14)의 좌우측의 유해가스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110)는 작업대(14)의 상측 및 좌우측의 고압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는 작업대(14) 부근의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10)는 본체 센서(112), 작업대 센서(114), 고압감지 센서(116), 유해가스감지 센서(118), 및 풍향/풍속 센서(119)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센서(112)는 본체(11)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본체 센서(112)는 초음파 센서일 일 수 있다. 이 경우, 본체 센서(112)는 발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 센서(114)는 작업대(14)의 부근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작업대 센서(114)는 작업대(14)의 전후방 또는 상단바(14a)의 상측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작업대 센서(114)는 본체(11)와 유사한 센서일 수 있다.
고압감지 센서(116)는 작업대(14)의 부근에 위치하는 고압선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압선은 옥외에 가설되어 옥내로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일 수 있다. 일례로, 고압선은 교외에 설치된 송전탑에 연결된 전력선일 수 있다. 또한, 고압선은 도심의 도로 등에 설치된 지주 사이에 설치된 전력선일 수 있다. 이때, 고압감지 센서(116)는 고압선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유해가스감지 센서(118)는 작업대(14)의 부근의 존재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유해가스는 탄산가스, 황화수소 등의 유해물질이 가스상태로 공기중에 발생하거나 저장탱크로부터 누설된 것이다. 이러한 유해가스는 밀폐된 공간이나 옥외의 화학물질 탱크 부근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유해가스감지 센서(118)는 유해가스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풍향/풍속 센서(119)는 작업대(14) 부근의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풍향/풍속 센서(119)는 작업대(14)의 상단바(14a)의 상측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100)는 장애물 감지 센서뿐만 아니라 유해가스 감지센서, 풍량/풍속 센서 및 고압 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통신부(120)는 안전모(20) 및 마스크(30)와 연동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10), 통신부(120), 리프트 구동부(140), 유해가스 차단부(150) 및 알람부(160)에 통신적으로 연결되며,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 안전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의 감지결과에 따라 리프트 구동부(140) 및 유해가스 차단부(150)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작업대 센서(114)에서 장애물을 감지하면 리프트 구동부(140)를 구동하여 리프트(13)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본체 센서(112)에서 장애물을 감지하면, 본체(11)의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본체(11)의 이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알람부(160)의 경광등(162)이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고압감지 센서(116)에 의해 고압선이 감지되면, 알람부(160)의 경광등(162)이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고압감지 센서(116)에서 감지된 자기장 세기를 기초로 거리에 따른 자기장 분포를 연산하여 자기장분포 표시부(164)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유해가스감지 센서(118)에 의해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유해가스 차단부(150)를 작업대(14) 내부로 유해가스 유입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30)는 알람부(160)의 경광등(162)이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유해가스감지 센서(118)에서 감지된 유해가스 농도에 따라 유해가스 분포를 연산하여 유해가스분포 표시부(166)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공간이 밀폐된 옥내인 경우, 제어부(130)는 유해가스감지 센서(118)에서 감지된 유해가스 농도를 기초로 거리에 따른 유해가스 분포를 연산할 수 있다. 작업 공간이 옥외인 경우, 제어부(130)는 유해가스감지 센서(118)에서 감지된 유해가스 농도를 기초로 풍향/풍속 센서(119)의 감지 결과에 따라 유해가스 분포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작업자가 작용하는 안전모(20) 및 마스크(30)와 연동하여 리프트 구동부(140) 및 유해가스 차단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전모(20)는 고압감지 센서(116a)가 구비되고, 마스크(30)는 유해가스감지 센서(118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제어부(130)는 안전모(20)의 고압감지 센서(116a)에 의해 고압선이 감지되면, 리프트(13)가 중지되도록 리프트 구동부(140)를 구동하며, 알람부(160)를 통하여 알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마스크(30)의 유해가스감지 센서(118a)에 의해 가스가 감지되면, 유해가스가 작업대(14)로 유입되지 않도록 유해가스 차단부(150)를 구동하며, 알람부(160)를 통하여 알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유해가스감지 센서(118, 118a)의 감지결과와 함께, 풍향/풍속 센서(119)의 감지결과에 따라 유해가스 차단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풍향/풍속 센서(119)의 감지결과를 고려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기부(152), 송풍부(154) 및 에어커튼부(156)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풍속이 큰 경우, 제어부(130)는 풍향에 동일한 방향으로 송풍부(154)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풍속이 작은 경우, 제어부(130)는 흡기부(152)를 구동하여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저장용기(152c)로 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속적인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유해가스가 작업대(14)로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에어커튼부(156)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흡기부(152), 송풍부(154) 및 에어커튼부(156) 중 둘 이상을 동시에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리프트 구동부(140)는 센서부(110)에서 장애물 또는 고압선을 감지하면,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리프트(13)를 이동을 중지할 수 있다. 일례로, 리프트 구동부(140)는 리프트(13)의 상승 및 하강을 구동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유해가스 차단부(150)는 센서부(110)에서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풍향 및 풍속에 기초하여 감지된 유해가스가 작업대(14)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해가스 차단부(150)는 흡기부(152), 송풍부(154) 및 에어커튼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유해물질 차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흡기부(152)는 작업대(14) 부근의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작업대(14)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흡기부(152)는 흡입기(152a), 연결관(152b) 및 저장용기(152c)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기(152a)는 작업대(14)의 상단바(14a)에 구비되어 유해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일례로, 흡입기(152a)는 상단바(14a)의 일측 코너에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흡입기(152a)는 상단바(14a)의 타측 코너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기(152a)는 흡입팬을 구비하여 흡입팬의 회전력에 의해 유해가스를 흡입구를 통하여 흡일할 수 있다.
연결관(152b)은 흡입기(152a)와 저장용기(152c) 사이를 연장하여 흡입된 유해가스를 저장용기(152c)로 이송할 수 있다. 연결관(152b)은 흡입기(152a)로부터 본체(11)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관(152b)은 롤러에 감겨 있고, 리프트(13)의 상승에 따라 롤러로부터 풀려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저장용기(152c)는 연결관(152b)을 통하여 흡입된 유해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용기(152c)는 본체(11)에 구비되거나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용기(152c)는 유해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 신뢰성이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송풍부(154)는 작업대(14)의 상단바(14a)에 구비되어 작업대(14)의 외측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송풍부(154)는 작업대(14)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작업대(14)의 크기에 따라 상단바(14a)의 복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송풍부(154)는 풍향을 조절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154)는 송풍팬에 의해 풍력을 발생할 수 있다.
에어커튼부(156)는 작업대(14)의 상부에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커튼부(156)는 작업대(14)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56a)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56a)은 작업대(14)와 대략적으로 대칭되는 형상의 골조로 이루질 수 있다. 즉, 에어커튼부(156)는 프레임(156a)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에어커튼부(156)는 분사구와 분사팬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구는 프레임(156a)을 따라 구비되어 고압의 에어를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분사팬은 프레임(156a)의 내부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분사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커튼부(156)는 별도의 공기탱크를 구비하거나 프레임(156a)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고 분사팬을 통하여 고압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에어커튼부(156)는 프레임(156a) 측에서 상단바(14a)를 향하여 수직으로 고압의 에어(A)를 분사하여 프레임(156a)의 측면을 따라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커튼부(156)는 프레임(156a)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고압의 에어(B)를 분사하여 프레임(156a)의 상면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에어커튼부(156)는 작업자가 탑승한 작업대(14)의 전반에 외주면을 따라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100)는 유해가스를 다양한 방식으로 차단함으로써, 작업자를 유해가스로 보호하는 동시에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안정성 및 효율성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알람부(160)는 센서부(110)의 감지결과에 따라 주변의 위험 정도를 알람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60)는 경광등(162), 자기장분포 표시부(164) 및 유해가스분포 표시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경광등(162)은 작업대(14)의 상단에 구비되어 알람시 발광할 수 있다. 일례로, 경광등(162)은 적색 램프로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경광등(162)은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자기장분포 표시부(164)는 센서부(110)의 고압감지 센서(116) 또는 안전모(20)의 고압감지 센서(116a)에 의해 감지된 고압선에 의한 자기장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장분포 표시부(164)는 작업대(14)의 상단바(14a) 또는 중간바에 걸쳐 표시될 수 있다. 즉, 자기장분포 표시부(164)는 작업대(14) 내에서 위치별로 자기장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분포 표시부(164)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갖는 LED바로 구비될 수 있다.
유해가스분포 표시부(166)는 센서부(110)의 유해가스감지 센서(118) 또는 마스크(30)의 유해가스감지 센서(118a)에 의해 감지된 유해가스에 의한 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유해가스분포 표시부(166)는 작업대(14)의 상단바(14a) 또는 중간바에 걸쳐 표시될 수 있다. 즉, 유해가스분포 표시부(166)는 작업대(14) 내에서 위치별로 유해가스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유해가스분포 표시부(166)는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갖는 LED바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100)는 위험 요소 감지시 경광등, 자기장분포 표시 및 가스분포를 표시함으로써, 이상 감지시 대처 방안을 쉽기 인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와 연동하는 안전모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안전모(20)는 작업자가 착용하기 위한 안전모로서, 제2절연부재(104), 고압감지 센서(116a) 및 통신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절연부재(104)는 안전모(20)의 외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절연부재(104)는 작업대(14)의 바닥면(14b)에 구비되거나 상단바(14a)에 구비된 제1절연부재(102, 102a)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100)는 절연부재를 안전모 및 작업대의 상단바 및 바닥면에 구비함으로써, 고압선 부근에서의 작업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압선 부근의 작업을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고압감지 센서(116a)는 안전모(20)의 내부에 내장되며 주변의 고압선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고압감지 센서(116a)는 고압선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122)는 안전모(20)의 내부에 내장되며 제어부(13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122)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22)는 고압감지 센서(116a)에서 감지된 결과를 통신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와 연동하는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크(30)는 작업자가 착용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유해가스감지 센서(118a) 및 통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유해가스감지 센서(118a)는 마스크(30)의 내부에 내장되며 주변의 유해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유해가스감지 센서(118a)는 유해가스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마스크(30)의 내부에 내장되며 제어부(13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124)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24)는 유해가스감지 센서(118a)에서 감지된 결과를 통신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
11 : 본체 12 : 지지대
13 : 리프트 14 : 작업대
14a : 상단바 14b: 바닥면
20 : 안전모 30 : 마스크
100 :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102, 102a : 제1절연부재 104 : 절연부재
110 : 센서부 112 : 본체 센서
114 : 작업대 센서 116, 116a : 고압감지 센서
118, 118a : 유해가스감지 센서 119 : 풍향/풍속 센서
120, 122, 124 :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리프트 구동부
150 : 유해가스 차단부 152 : 흡기부
152a : 흡입기 152b: 연결관
152c : 저장용기 154 : 송풍부
156 : 에어커튼부 156a : 프레임
160 : 알람부
162 : 경광등 164 : 자기장분포 표시부
166 : 유해가스분포 표시부

Claims (5)

  1. 본체, 리프트 및 작업대를 포함하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후방 또는 상기 작업대의 상측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작업대의 상측 및 좌우측의 유해가스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작업대의 상측 및 좌우측의 고압선 여부를 감지하며,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장애물 또는 상기 고압선을 감지하면 상기 리프트의 이동을 중지하는 리프트 구동부;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풍향 및 풍속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유해가스가 상기 작업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해가스 차단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위험 정도를 알람하는 알람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리프트 구동부 및 상기 유해가스 차단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알람부를 통하여 위험 정도를 알람하도록 제어하며, 고압감지 센서가 구비된 작업자의 안전모 및 유해가스 감지 센서가 구비된 작업자의 마스크와 연동하여 상기 리프트 구동부 및 상기 유해가스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장애물을 감지하는 본체 센서;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에 구비되어 장애물을 감지하는 작업대 센서;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에 구비되어 고압선을 감지하는 고압감지 센서;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에 구비되어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유해가스감지 센서; 및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에 구비되어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하는 풍향/풍속 센서를 포함하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 차단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에 구비되어 상기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기, 상기 흡입기로부터 상기 본체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된 유해가스를 저장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흡기부;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대의 외측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측에서 상기 상단바를 향하여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향/풍속 센서 및 상기 유해가스감지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흡기부, 상기 송풍부 및 상기 에어커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상단바 및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절연부재; 및
    상기 안전모의 외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2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단에 구비되어 알람시 발광하는 경광등;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고압선에 의한 자기장분포를 상기 작업대에 걸쳐 표시하는 자기장분포 표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유해가스에 의한 분포를 상기 작업대에 걸쳐 표시하는 가스분포 표시부를 포함하는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KR1020220038963A 2022-03-29 2022-03-29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KR102647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963A KR102647401B1 (ko) 2022-03-29 2022-03-29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963A KR102647401B1 (ko) 2022-03-29 2022-03-29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165A KR20230140165A (ko) 2023-10-06
KR102647401B1 true KR102647401B1 (ko) 2024-03-13

Family

ID=8829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963A KR102647401B1 (ko) 2022-03-29 2022-03-29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4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405B1 (ko) 2017-11-07 2019-02-25 주식회사 정림이피 전해연마 가공물을 안전하게 물세척할 수 있는 세척용 리프트 장치
KR102149545B1 (ko) 2019-03-29 2020-10-26 고재필 고소작업차량에 구비되는 작업대의 수평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2600A (ja) * 1981-09-01 1983-03-12 日本機械工業株式会社 風向、風速計を備えた高所作業自動車
JPH0678959A (ja) * 1992-08-31 1994-03-22 Aoki Corp リカバリークリーンブース
KR100769925B1 (ko) * 2005-11-01 2007-10-24 주식회사 수성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KR101397394B1 (ko) * 2012-06-21 2014-05-20 오철규 고소작업차 전복방지장치
KR102224284B1 (ko) 2020-12-18 2021-03-08 주식회사 대양계기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405B1 (ko) 2017-11-07 2019-02-25 주식회사 정림이피 전해연마 가공물을 안전하게 물세척할 수 있는 세척용 리프트 장치
KR102149545B1 (ko) 2019-03-29 2020-10-26 고재필 고소작업차량에 구비되는 작업대의 수평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165A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6731B1 (en) Smoke evacuating fire vehicle
CN201399172Y (zh) 多功能消防机器人
US9677335B2 (en) Firefighting or rescue apparatus including ladder with status indicators
KR101558991B1 (ko) 대피통로 겸용 풍도를 구비한 터널
US4421204A (en) Fire rescue system
KR102647401B1 (ko)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JP2018070331A (ja) 高所作業車用安全具
KR20080039329A (ko) 고소작업차
KR101663500B1 (ko) 소방 고가사다리차 안전장치
CN111905299B (zh) 一种斜拉索桥消防装置
KR101437596B1 (ko) 터널용 방재장치
CN206473690U (zh) 消防车用排烟装置
KR102211442B1 (ko) 이동형 소방장치
KR102049528B1 (ko) 수관 결합구조를 갖는 인명구조용 소방차 작업대
KR102132868B1 (ko) 360도 회전이 가능한 수관 결합형 소방차 작업대
ES2612403A1 (es) Medios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la atmósfera de trabajo en túneles.
KR101563922B1 (ko) 터널의 제연 방호벽
KR101895252B1 (ko)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
KR102095630B1 (ko) 재난구호용 안내 로봇
KR101289864B1 (ko) 에어커튼을 병행한 상하 복층식 화연 확산 방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토목 건축 구조물
KR102426442B1 (ko)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
CN203874348U (zh) 高层建筑火灾救援系统
CN113566899B (zh) 一种自预警式高散热性激光清障平台系统
KR101807805B1 (ko) 터널 방재 대피 시스템
KR102260248B1 (ko) 터널 내 피난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