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110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110B1
KR102646110B1 KR1020220135171A KR20220135171A KR102646110B1 KR 102646110 B1 KR102646110 B1 KR 102646110B1 KR 1020220135171 A KR1020220135171 A KR 1020220135171A KR 20220135171 A KR20220135171 A KR 20220135171A KR 102646110 B1 KR102646110 B1 KR 102646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ort side
coupling
buffer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057A (ko
Inventor
김문섭
강현욱
김유재
모진용
서형준
선웅
송준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47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구가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토출구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블레이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마련된 결합부를 통해 힌지 결합되는 블레이드, 상기 결합부에 마련된 버퍼 부재 및 상기 버퍼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AND BLADE UNIT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냉각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열교환기와 송풍팬 등을 구비하고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열교환기와 송풍팬과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구비하고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고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관 등으로 구성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실내기가 바닥에 배치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가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가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천장에 매립되거나 또는 천장에 매달리게 마련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천장에 설치되므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구의 개수에 따라 토출구가 1 개 마련되는 1 - way 형과, 토출구가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4 개 마련되는 4 - way 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구에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는 토출구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블레이드는 일측에 모터가 결합되고,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블레이드가 회전된다.
블레이드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제공된다. 블레이드는 토출구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열교환된 공기의 이동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모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모터가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천정과 평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지 못한 경우에는 블레이드와 모터가 결합되는 연결 축이 틀어지게 되어 모터의 진동음과 모터와 블레이드의 마찰음이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적 특징은 종래 특허문헌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7-0126379호에 일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블레이드가 회전되는 경우에 모터의 진동으로 인한 블레이드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천정과 평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블레이드가 토출구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구가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토출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회전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블레이드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 전달 부재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버퍼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버퍼 부재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의 일부를 둘러싼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일측에 결합 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 부재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퍼 부재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가 결합되는 버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와 연결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블레이드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본체와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과 결합되는 돌출부 및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버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및 일측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버퍼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연결 몸체부 및 상기 연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버퍼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회전축보다 강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된 토출구에서 열교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토출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회전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블레이드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 전달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버퍼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일측에 결합 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 부재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버퍼 부재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가 결합되는 버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및 일측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버퍼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연결 몸체부 및 상기 연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버퍼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회전축보다 강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 일측에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닥 패널 및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토출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 패널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회전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가 평형상태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에서 평형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 전달 부재와 상기 블레이드에 각각 연결되는 버퍼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버퍼 부재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버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일측에 결합 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 부재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및 일측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버퍼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회전축보다 강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은 블레이드가 회전되는 경우에 모터의 진동으로 인한 블레이드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은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천정과 평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블레이드가 토출구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닛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A-A에서 바라본 블레이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결합부가 형성된 블레이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블레이드 유닛에서 버퍼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버퍼 부재에서 버퍼 홈이 형성된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블레이드 유닛에서 연결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연결 부재에서 연결 홈이 형성된 측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블레이드 유닛에서 제3 결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3 결합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블레이드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선 B-B에서 바라본 블레이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블레이드 유닛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블레이드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닛은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같이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천장에 매달리거나 천장에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닥 패널(2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10) 내부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2)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11)과,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17)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상면(10a)과, 전후좌우를 형성하는 측면들(10b)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열교환기(12)를 거쳐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구(13)로 안내하는 스크롤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실내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흡입구(14)와,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구(13)가 마련된다. 토출구(13)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풍향 조절 부재(19)가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12)는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12b)와, 전열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튜브(12a)에 접촉된 열교환핀(12b)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12)는 공기의 흐름의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2)와 흡입구(14)의 사이에는 흡입구(14)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기(12)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리브(16)가 마련될 수 있다. 안내 리브(16)는 열교환기(12)의 배치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2)의 아래에는 열교환기(1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포집하는 드레인 커버(18)가 마련될 수 있다. 드레인 커버(18)를 통해 포집된 응축수는 배수 호스(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송풍팬(11)은 구동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회전하며 공기를 강제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팬(11)의 회전축(11a)은 대략 지면에 수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11)은 횡류팬일 수 있다.
바닥 패널(20)은 본체(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흡입구(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그릴(30)과, 토출구(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패널 토출구(21)를 가질 수 있다. 패널 토출구(21)에는 패널 토출구(21)를 개폐하거나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 유닛(100)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패널 토출구(21)는 바닥 패널(20)에 형성된 것으로서 토출구(13)와 연결되어 제공되므로 이하에서는 토출구(13)와 패널 토출구(21)를 모두 토출구(21)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바닥 패널(20)은 흡입구(14)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부재(24)를 포함한다.
필터 부재(24)는 사용시 많은 이물이 적재되어 세척 또는 교체를 하게 되는데 이때, 그릴(30)은 필터 부재(24)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바닥 패널(20)로부터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릴(30)은 바닥 패널(20)에 후방 일측이 고정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릴(30)은 바닥 패널(20)의 필터부재(24) 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며, 적어도 그 일부가 절개되는 그릴 흡입구(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닛(1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닛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A-A에서 바라본 블레이드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결합부가 형성된 블레이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블레이드 유닛에서 버퍼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버퍼 부재에서 버퍼 홈이 형성된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3의 블레이드 유닛에서 연결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연결 부재에서 연결 홈이 형성된 측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3의 블레이드 유닛에서 제3 결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3 결합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유닛(100)은 블레이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유닛(100)은 토출구(21)에 마련되는 블레이드(110)가 회전되면서, 본체(10) 내부에서 열교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21)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바닥 패널(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110)는 바닥 패널(20)의 일측에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블레이드(110)는 토출구(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토출구(2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110)는 토출구(21)의 내측에 위치하고, 힌지 결합된 일측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블레이드(110)는 몸체부(115), 그리고 결합부(111, 119)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5)는 토출구(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115)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115)는 토출구(2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토출구(21)의 단면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결합부(111, 119)는 몸체부(115)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1, 119)는 몸체부(115)가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 또는 바닥 패널(20)에 몸체부(115)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111, 119)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결합부(111, 119)는 몸체부(115)의 일측면에 일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블레이드(110)는 복수개의 결합부(111, 119)가 형성하는 일직선상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복수개의 결합부(111, 119)는 몸체부(115)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결합부(111, 119)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11)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모터(140)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블레이드(110)에서 제1 결합부(111)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블레이드(110)가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 또는 바닥 패널(2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11)는 결합 홈(112), 그리고 고정 홀(113)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홈(112)은 제1 결합부(111)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1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11)에서 후술하는 모터(140)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112)은 후술하는 버퍼 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 홈(112)은 후술하는 버퍼 부재(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홀(113)은 결합 홈(112)의 개구와 마주하는 면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홀(113)은 후술하는 버퍼 부재(120)의 버퍼 돌출부(1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정 홀(113)은 버퍼 돌출부(122)가 삽입되어 버퍼 부재(120)를 제1 결합부(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정 홀(113)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 결합부는 블레이드(110)에서 제1 결합부(111)와 대항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블레이드(1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본체(10) 또는 바닥 패널(20)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1, 119)는 제3 결합부(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결합부(119)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결합부(119)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가 형성하는 일직선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결합부(119)는 블레이드(1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본체(10) 또는 바닥 패널(20)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3 결합부(119)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결합부(119)는 외부 프레임(119a), 버퍼부(119b), 그리고 돌출부(119c)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19a)은 제3 결합부(119)의 외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버퍼부(119b)는 외부 프레임(119a)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퍼부(119b)는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부(119b)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9c)는 일측이 버퍼부(119b)에 삽입되고, 타측이 버퍼부(119b)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19c)는 본체(10) 또는 바닥 패널(20)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제3 결합부(119)는 버퍼부(119b)의 형상 변화로 인하여 블레이드(110)를 토출구(21)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 유닛(100)은 모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140)는 본체(10) 내측에 마련되어 블레이드(110)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모터(140)는 회전 전달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전달 부재(150)는 모터(14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블레이드(110)로 전달시킬 수 있다. 회전 전달 부재(150)의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블레이드 유닛(100)은 버퍼 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 부재(120)는 블레이드(110)와 모터(140)의 회전 전달 부재(15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버퍼 부재(120)는 일측이 블레이드(110)와 결합되며, 회전 전달 부재(150)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버퍼 부재(120)는 회전 전달 부재(150)의 일부를 둘러싼 상태로 블레이드(110)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퍼 부재(120)는 회전 전달 부재(150)와 함께 회전되면서 블레이드(110)로 회전력을 전달시킬 수 있다.
버퍼 부재(120)는 제1 결합부(111)의 결합 홈(112)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퍼 부재(120)는 결합 홈(1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버퍼 부재(120)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포함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버퍼 부재(120)는 결합 홈(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결합부(111)와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버퍼 부재(120)는 버퍼 몸체부(121), 버퍼 돌출부(122), 그리고 버퍼 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 몸체부(121)는 결합 홈(1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몸체부(121)는 제1 결합부(111)의 결합 홈(112)의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버퍼 몸체부(121)는 일측에 걸림턱(121a)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21a)은 버퍼 몸체부(121)의 일측에서 연장된 형상으로, 버퍼 몸체부(121)가 결합 홈(112)에 삽입되는 경우에 제1 결합부(111)에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걸림턱(121a)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버퍼 돌출부(122)는 버퍼 몸체부(12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 돌출부(122)는 버퍼 몸체부(121)가 결합 홈(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홀(113)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 돌출부(122)는 버퍼 몸체부(121)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버퍼 돌출부(122)는 제1 결합부(111)의 고정 홀(113)에 삽입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버퍼 돌출부(122)는 제1 돌출부(122b)와 제2 돌출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22b)는 버퍼 몸체부(121)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22b)는 버퍼 몸체부(121)와 제2 돌출부(122a)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22b)는 고정 홀(11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22b)는 고정 홀(113)의 내측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돌출부(122a)는 제1 돌출부(122b)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돌출부(122a)는 제1 돌출부(122b)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단면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22a)는 원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22a)는 일측의 단면이 고정 홀(113)의 단면보다 넓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22a)는 버퍼 부재(120)가 결합 홈(112)에 삽입되었을 때, 일측면이 고정 홀(113)의 외측에 걸리도록 제공될 수 있다.
버퍼 홈(123)은 버퍼 몸체부(12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버퍼 홈(123)은 버퍼 몸체부(121)에서 버퍼 돌출부(122)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 홈(123)은 후술하는 회전 전달 부재(150)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퍼 홈(123)은 회전 전달 부재(1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버퍼 홈(123)은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버퍼 홈(123)은 단면이 십(十)자 형상을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버퍼 홈(123)은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형성된 다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버퍼 홈(123)은 내측에 결합된 회전 전달 부재(150)와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버퍼 부재(120)는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 부재(12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버퍼 부재(120)는 회전 전달 부재(150)와 블레이드(11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버퍼 부재(120)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블레이드(110)가 일정한 위치에 제공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버퍼 부재(120)는 모터(140)의 진동 및 블레이드(11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버퍼 부재(120)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전달 부재(150)는 모터(140)에 연결되고, 모터(14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블레이드(110)에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전달 부재(150)는 회전축(151)과 연결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51)은 모터(14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151)은 모터(140)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부재(152)는 일측이 회전축(151)과 결합되고, 타측이 버퍼 부재(120)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부재(152)는 회전축(151)과 함께 회전되면서 연결된 버퍼 부재(120)로 회전력을 전달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52)는 연결 몸체부(152a), 연결 돌출부(152b), 그리고 연결 홈(152c)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몸체부(152a)는 일측이 회전축(151)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몸체부(152a)는 일측면에 연결 홈(152c)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홈(152c)은 회전축(151)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홈(152c)은 회전축(151)이 삽입된 상태로 회전축(151)과 함께 연결 부재(152)가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홈(152c)은 회전축(15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돌출부(152b)는 연결 몸체부(152a)의 일측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돌출부(152b)는 연결 몸체부(152a)에서 연결 홈(152c)이 형성된 측면과 마주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돌출부(152b)는 버퍼 부재(12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돌출부(152b)는 버퍼 홈(123)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돌출부(152b)는 버퍼 홈(12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돌출부(152b)는 버퍼 홈(123)과 함께 단면이 십(十)자 형상을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돌출부(152b)는 버퍼 홈(123)과 함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형성된 다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연결 돌출부(152b)는 버퍼 홈(123)에 삽입된 상태로 버퍼 부재(1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부재(152)는 모터(140)의 회전축(151) 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40)의 회전축(151)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고, 연결 부재(152)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결 부재(152)는 동일한 회전에도 금속 재질의 회전축(151)이 버퍼 부재(120)에 직접 연결된 경우보다 버퍼 부재(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체(10)가 평형이 유지되지 않게 설치된 경우에 회전 전달 부재(150)와 블레이드(11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블레이드(110)의 회전축이 변형되어 블레이드(110)가 회전되지 못하거나, 블레이드(110)가 회전으로 인하여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 유닛(100)은 모터(140)와 블레이드(110) 사이에 버퍼 부재(120)가 제공될 수 있다. 버퍼 부재(120)는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서 외력에 의하여 그 형상이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 전달 부재(150)와 블레이드(11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못한 경우에 버퍼 부재(120)의 형상이 일부 변형되면서 블레이드(110)가 회전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블레이드(11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블레이드(110)가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블레이드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선 B-B에서 바라본 블레이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유닛(200)은 블레이드(210), 버퍼 부재(220), 모터(240), 회전 전달 부재(250), 그리고 회전 전달 부재(2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271)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유닛(200)은 도 3의 블레이드 유닛(100)과 비교하면, 회전 전달 부재(2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271)을 더 포함하고, 다른 구성들은 도 3의 블레이드 유닛(100)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레이드 유닛(200)에서 도 3의 블레이드 유닛(1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3의 블레이드 유닛(10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가이드 홀(271)은 바닥 패널(20)의 내측에서 토출구(21)를 형성하는 격벽(270)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홀(271)은 블레이드(210)의 제1 결합부(211)와 회전 전달 부재(250)의 일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홀(271)은 모터(240)와 블레이드(210)가 연결되는 통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 홀(271)은 본체(10) 또는 바닥 패널(20)이 평형상태로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 모터(240)에 연결된 회전 전달 부재(25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회전 전달 부재(250)는 본체(10) 또는 바닥 패널(20)이 평형상태가 아닌 경우에 가이드 홀(271)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 전달 부재(250)는 본체(10) 또는 바닥 패널(20)이 평형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일정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홀(271)은 본체(10) 또는 바닥 패널(20)이 평형상태가 아닌 경우에 회전 전달 부재(250)가 가이드 홀(271)의 일측에 지지되면서, 회전 전달 부재(250)에 전달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블레이드 유닛(200)의 파손을 방지하고 블레이드 유닛(2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레이드 유닛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도 12의 블레이드 유닛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블레이드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유닛(201)은 블레이드(210), 버퍼 부재(220), 모터(240), 회전 전달 부재(250), 가이드 홀(271), 그리고 기어 유닛(28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유닛(201)은 도 14의 블레이드 유닛(200)과 비교하면, 기어 유닛(280)을 더 포함하고, 그 외의 구성은 도 14의 블레이드 유닛(200)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레이드 유닛(201)에 대하여 도 14의 블레이드 유닛(200)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기어 유닛(280)은 동일한 모터(240)에서 보다 큰 토크(Torque)를 블레이드(210)에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기어 유닛(280)은 제1 기어(281)와 제2 기어(2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281)는 회전축(281a)이 모터(240)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어(282)는 회전축(282a)이 블레이드(2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어(282)는 제1 기어(281)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기어(281)와 제2 기어(282)는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제2 기어(282)는 제1 기어(281)보다 큰 토크를 블레이드(210)에 전달할 수 있다. 기어 유닛(280)은 동일한 모터(240)에서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대용량 모터(240)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닛을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유닛(300)은 블레이드(310), 버퍼 부재(320), 모터(340), 그리고 회전 전달 부재(341)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유닛(300)은 도 3의 블레이드 유닛(100)과 비교하면, 회전 전달 부재(341)의 구성이 상이하고, 그 외의 구성은 도 3의 블레이드 유닛(100)과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블레이드 유닛(300)에서 도 3의 블레이드 유닛(100)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회전 전달 부재(341)는 모터(34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341)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의 블레이드 유닛(100)과 달리, 블레이드 유닛(300)은 회전축(341)이 버퍼 부재(320)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341)은 버퍼 부재(320)에 형성된 버퍼 홈(323)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모터(34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인하여 회전축(341)이 버퍼 홈(323)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블레이드(3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 본체
11 : 송풍팬 12 : 열교환기
13 : 토출구 14 : 흡입구
16 : 안내 리브 17 : 컨트롤 유닛
18 : 드레인 커버 19 : 풍향 조절 부재
20 : 바닥 패널 21 : 패널 토출구
24 : 필터 부재 30 : 그릴
31 : 그릴 흡입구 100 : 블레이드 유닛
110 : 블레이드 111 : 제1 결합부
112 : 결합 홈 119 : 제3 결합부
120 : 버퍼 부재 123 : 버퍼 홈
120 : 버퍼 부재 130 : 연결 부재
140 : 모터 150 : 회전 전달 부재
151 : 회전축 152 : 연결 부재

Claims (20)

  1. 토출구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재를 가지는 모터;
    상기 회전 전달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블레이드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버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블레이드 몸체부와, 상기 블레이드 단변에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의 단변보다 내측에서 상기 버퍼부재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가 연결된 부분에서 상기 단변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버퍼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상기 단변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크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변의 중심에 대해 일 방향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의 단변의 외측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의 단변의 외측단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버퍼부재가 삽입되는 고정 홀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부재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가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의 단변보다 내측에서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의 단변보다 내측에서 상기 결합 홈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부재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삭제
  1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된 토출구에서 열교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재를 가지는 모터;
    상기 회전 전달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블레이드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버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블레이드 몸체부와, 상기 블레이드 단변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의 단변보다 내측에서 상기 버퍼부재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가 연결된 부분에서 상기 단변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버퍼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상기 단변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크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블레이드 유닛.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변의 중심에 대해 일 방향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블레이드 유닛.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의 단변의 외측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 유닛.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의 단변의 외측단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버퍼부재가 삽입되는 고정 홀을 더 포함하는 블레이드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부재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가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의 단변보다 내측에서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 유닛.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 몸체부의 단변보다 내측에서 상기 결합 홈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 유닛.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부재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블레이드 유닛.
  20. 삭제
KR1020220135171A 2014-02-28 2022-10-19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KR102646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4564 2014-02-28
KR1020140024564 2014-02-28
KR1020210168726A KR102458329B1 (ko) 2014-02-28 2021-11-3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726A Division KR102458329B1 (ko) 2014-02-28 2021-11-3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057A KR20220147057A (ko) 2022-11-02
KR102646110B1 true KR102646110B1 (ko) 2024-03-12

Family

ID=5424340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572A KR102335152B1 (ko) 2014-02-28 2014-11-1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KR1020210168726A KR102458329B1 (ko) 2014-02-28 2021-11-3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KR1020220135171A KR102646110B1 (ko) 2014-02-28 2022-10-19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572A KR102335152B1 (ko) 2014-02-28 2014-11-1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KR1020210168726A KR102458329B1 (ko) 2014-02-28 2021-11-3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46456B2 (ko)
EP (3) EP3115709A4 (ko)
KR (3) KR102335152B1 (ko)
CN (2) CN110986158B (ko)
DE (1) DE202015009877U1 (ko)
ES (1) ES290973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0097A3 (en) * 2016-12-21 2023-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466274B1 (ko) * 2017-04-28 2022-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401787B1 (ko) * 2017-04-28 2022-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3680571A4 (en) * 2017-09-06 2021-06-09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EILING INDOOR UNIT
JP7106284B2 (ja) * 2018-02-05 2022-07-26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ルーバ、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組立方法
KR102562554B1 (ko) * 2018-02-13 2023-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JP6635275B2 (ja) 2018-03-30 2020-01-2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7319767B2 (ja) 2018-09-14 2023-08-02 シャープ株式会社 風向き変更部材
KR102600958B1 (ko) * 2018-09-21 2023-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2797597B (zh) * 2021-01-07 2022-05-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调节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03584B (zh) * 2021-07-30 2022-11-1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内机和空调
CN114087686B (zh) * 2021-11-24 2022-12-02 华祥(中国)高纤有限公司 一种节能型温、湿度自动调节空调机组
KR20240048745A (ko) * 2022-10-07 2024-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4952A2 (en) 2005-12-26 2007-07-05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7529A (en) * 1936-08-22 1938-05-17 Detroit Lubricator Co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US2698570A (en) * 1951-11-07 1955-01-04 Archie S Feinberg Temperature control air deflecting louver
US3063357A (en) * 1960-11-25 1962-11-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Air distributing device
GB2143028B (en) * 1983-07-01 1986-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charge direction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US4782999A (en) * 1987-08-21 1988-11-08 Kabushiki Kaisha Toshiba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grille control method thereof
US5022583A (en) * 1990-07-16 1991-06-11 Bruens Jean Marie Register blade mover
GB2270154B (en) * 1992-08-26 1996-08-28 Toshiba Kk Air conditioner
JP3320550B2 (ja) * 1994-04-28 2002-09-03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コン用揺動羽根の取付装置
JP3356257B2 (ja) * 1996-06-06 2002-12-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H10148349A (ja) * 1996-11-19 1998-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風向変更装置
JPH1114134A (ja) * 1997-06-20 1999-01-2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765357B2 (ja) * 1997-06-20 2006-04-1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3885845B2 (ja) * 1998-03-16 2007-02-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2002310448A (ja) * 2001-04-05 2002-10-23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US6890159B2 (en) * 2002-03-19 2005-05-10 Denso Corporation Air blower with fan unable to contact motor housing
CN2567496Y (zh) * 2002-07-04 2003-08-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柜式空调器室内机
JP4110863B2 (ja) * 2002-07-12 2008-07-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KR100530893B1 (ko) * 2002-10-21 2005-11-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룸 에어컨의 수평 블레이드 장착 구조
KR100596254B1 (ko) * 2004-06-17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1783437A4 (en) * 2004-07-14 2009-04-01 Daikin Ind Ltd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WO2006011704A2 (en) * 2004-07-27 2006-02-02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101271060B1 (ko) * 2005-12-21 2013-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07081083A1 (en) * 2006-01-16 2007-07-19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1114185B (zh) * 2006-07-26 2010-12-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风流自动导向装置
KR20080078188A (ko) 2007-02-22 200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340528B1 (ko) * 2008-02-04 201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201246854Y (zh) 2008-07-03 2009-05-27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分体壁挂式空调器室内机的导风装置
CN101762005B (zh) 2008-12-24 2012-10-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出风面板
US20130167579A1 (en) * 2010-10-28 2013-07-04 Roberta Jean Delgadillo Salad Bar Cooler
KR20120075996A (ko) 2010-12-29 2012-07-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 블레이드 유동 방지장치
CN102620399B (zh) * 2011-01-30 2013-12-11 昌硕科技(上海)有限公司 空调装置
WO2013054537A1 (ja) * 2011-10-14 2013-04-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3375841B (zh) * 2012-04-13 2015-07-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CN103486715B (zh) * 2012-06-12 2016-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导风板传动结构及包含该传动机构的空调器
JP5590081B2 (ja) * 2012-09-04 2014-09-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クロスフローファン
KR102603584B1 (ko) * 2016-05-09 202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4952A2 (en) 2005-12-26 2007-07-05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5009877U1 (de) 2020-12-21
US10746456B2 (en) 2020-08-18
KR102458329B1 (ko) 2022-10-25
KR20150102674A (ko) 2015-09-07
ES2909737T3 (es) 2022-05-10
CN106662358B (zh) 2020-01-21
KR102335152B1 (ko) 2021-12-06
EP3783273A1 (en) 2021-02-24
KR20220147057A (ko) 2022-11-02
EP3783273B1 (en) 2022-02-16
EP3115709A2 (en) 2017-01-11
CN110986158A (zh) 2020-04-10
CN106662358A (zh) 2017-05-10
EP3115709A4 (en) 2018-01-24
KR20210151736A (ko) 2021-12-14
CN110986158B (zh) 2021-07-13
EP3998430A1 (en) 2022-05-18
US20170067681A1 (en)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61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KR102168584B1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EP299731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401787B1 (ko) 공기조화기
AU2015230855B2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CN109764408B (zh) 空调
US10107507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4160097A2 (en) Air conditioner
KR20100007259A (ko) 공기조화기
KR10242586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217013B1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100714591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242586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343464B1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10245131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2204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451313B1 (ko) 공기조화기
KR102392956B1 (ko) 공기조화기
JP2017062087A (ja) 空気調和装置
KR101477814B1 (ko) 공기 조화기
KR102168581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실내기
KR102457778B1 (ko) 공기조화기
US20230010148A1 (en) Air conditioner
KR102451314B1 (ko) 공기조화기
KR101299506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