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745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745A
KR20240048745A KR1020220128431A KR20220128431A KR20240048745A KR 20240048745 A KR20240048745 A KR 20240048745A KR 1020220128431 A KR1020220128431 A KR 1020220128431A KR 20220128431 A KR20220128431 A KR 20220128431A KR 20240048745 A KR20240048745 A KR 20240048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gear
disposed
variab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욱
김용남
이태연
박일하
유태우
김혜원
배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745A/ko
Priority to CN202311253013.5A priority patent/CN117847762A/zh
Priority to US18/374,105 priority patent/US20240117990A1/en
Priority to EP23201105.6A priority patent/EP4350225A1/en
Publication of KR2024004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일측에 제1연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연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을 개폐하도록 형태가 가변되는 가변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패널의 형태가 변형되도록 상기 가변패널의 일측의 배치를 상하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이나 벽면의 일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천장이나 벽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는, 외부로 인렛과 아웃렛이 노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인렛을 형성하는 부분에서 그릴이 배치되고, 아웃렛을 형성하는 부분에서 베인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구조가 노출되게 배치됨에 따라 실내공간의 미관상 문제
등록특허 KR 10-2401787 B1 호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의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영역에서 흡입그릴이 배치되어 복잡한 구조를 형성하고, 토출구가 형성되는 영역에서 베인이 배치되어 복수의 구조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흡입구와 토출구는 공기의 유동형성을 위해 존재하는 구조이나, 플랫하게 형성되는 벽면이나 천정면과 달리 복수의 구조로 형성되고, 복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벽면이나 천정면과의 통일적 미감을 해칠 수 있다. 또한, 흡입구나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경우, 외부의 이물질이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정면이나 벽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와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패널구조로 공기조화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커버하여, 벽면이나 천장면이 일체적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공기조화기가 작동할 때에는, 흡입구나 토출구를 개폐하여, 공기의 유동량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토출구에 배치되는 패널의 형태를 변형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토출구에 배치되는 패널의 위치를 이동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원거리로 보내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흡입구에 배치되는 패널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위치를 이동하여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가변패널의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2개의 가변패널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일측에 제1연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연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을 개폐하도록 형태가 가변되는 가변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패널의 형태가 변형되도록 상기 가변패널의 일측의 배치를 상하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가변패널이 베이스패널의 하측을 커버하거나 베이스패널에 형성되는 연통홀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가변패널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제1구동장치와, 상기 가변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장치는, 가변패널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위치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변패널은, 상기 제1연통홀 또는 상기 제2연통홀의 하측에 배치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가변부를 포함하여, 구동장치의 작동으로 가변부의 형태나 구조의 변경으로 커버부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가변패널의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상기 가변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여,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가변패널의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변패널은,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상하방향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상하방향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커버부의 경사각을 변경하거나, 상기 커버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변패널은, 상기 제1연통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연통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경사각을 변경시키거나 상기 제1플레이트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2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기어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제1패널이동판과, 상기 제2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제2플레이트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제2패널이동판을 포함하여, 제1패널이동판과 제2패널이동판을 통해 가변패널의 배치가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패널이동판과 상기 제2패널이동판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가변부가 변형되는 곡률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제1패널가이드와 상기 제2패널가이드 각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패널가이더가 배치되어, 가변패널의 형태나 위치의 변경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이동판에는, 상기 제1패널이동판의 제1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가이드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2패널이동판에는, 상기 제2패널이동판의 제2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2가이드핀이 배치되고, 상기 패널가이더에는, 상기 제1가이드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홀과 상기 제2가이드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홀이 형성되어, 가변패널이 변형범위 내에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이동판에는, 상기 제1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패널이동판의 상기 제1회전축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3가이드핀이 배치되고, 상기 패널가이더에는, 상기 제3가이드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홀이 형성되어, 가변패널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홀은, 상기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가이드홀과, 상기 곡면가이드홀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가이?史┸?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가이드홀을 포함하여, 가변패널의 형태 변형과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이동판은 상기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패널이동판의 일측면에는 제1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면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기어면과, 상기 기어면의 일단과 연결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기어면을 포함하여, 하나의 패널이동판의 구조를 통해, 가변패널의 형태의 변형과 위치의 이동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면과 상기 제2기어면은 제1기어와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형태를 가져, 하나의 모터가 제1기어면과 제2기어면 각각에 연속적으로 맞물릴수 있다.
상기 제2패널이동판에는, 상기 제2회전축에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둘레면에서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패널이동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패널이동판의 하측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배치되어, 제2플레이트의 회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변패널과 연결되는 무빙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모터는, 상기 무빙패널의 상측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가변패널이 형태가 변형되고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변패널은, 상기 제1연통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1패널기어를 포함하는 제1가변패널과, 상기 제2연통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2패널기어를 포함하는 제2가변패널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가변패널과 제2가변패널의 배치에 따라 전체적인 가변패널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제1무버와, 상기 제1무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1패널기어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1기어와, 상기 제1무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2패널기어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2기어를 포함한다. 하나의 제1모터를 통해 제1가변패널과 제2가변패널의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모터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어는, 상기 모터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제1무버와 상기 제1패널기어 각각에 맞물리게 배치되어, 모터기어의 회전으로 제1기어는 제1무버와 제1패널기어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는, 상기 모터기어와 상기 제1무버 각각에 맞물리는 제1이너기어와, 상기 제1패널기어와 맞물리는 제1아우터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너기어와 상기 제1아우터기어는 동일한 회전축을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하나의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가 2개 이상의 구성과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무버는,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1기어면을 형성하는 제1수직바와, 상기 제1수직바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바와, 상기 제1수직바와 상기 제2수직바를 연결하는 수평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가변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무버와, 상기 베이스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제2무버를 이동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여, 가변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일측에 제1연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연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연통홀 또는 상기 제2연통홀을 개폐하도록 형태가 가변되는 가변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패널의 형태 또는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가변패널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제1구동장치와, 상기 가변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동장치가 가변패널의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가변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장치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무버와, 상기 제1무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무버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변패널의 형태가 변형되고, 상기 제2구동장치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무버와, 상기 제2무버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한다. 제1무버를 통해 가변패널의 형태를 변형시키고, 제2무버를 통해 가변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제2무버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모터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제1모터는 제2무버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일부영역에서 형태가 가변될 수 있는 가변패널을 포함하여, 공기조화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흡입구와 토출구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가변패널의 배치에 따라 흡입구와 토출구가 폐쇄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변패널이 형태가 변형되므로, 공기조화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가변패널이 흡입구와 토출구를 모두 커버하여, 재실자에게 하나의 패널만이 노출되도록 하여 벽면이나 천정면과의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둘째, 구동장치가 가변패널의 형태를 변형시켜 베이스패널에 형성되는 연통홀을 개방시키므로, 연통홀을 통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통홀을 통해 열교환되거나 필터링되는 공기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공기가 토출되는 연통홀의 하측에서 가변패널의 배치를 변경시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넷째, 구동장치는 가변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키므로,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의 크기를 증가하거나, 토출되는 영역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를 원거리로 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커버부에 해당하는 제1플레이트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패널이동판에 형성되는 기어면이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져, 하나의 모터의 작동으로 제1플레이트의 형태 변형 및 위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하나의 모터가 제1무버를 통해 2개의 가변패널과 연결되는 구조를 통해,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2개의 가변패널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변패널이 제1위치로 배치된 상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변패널이 제2위치로 배치된 상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이스, 가변패널, 및 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변패널, 커버패널, 및 무빙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릿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도 6의 X-X’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6의 Y-Y’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빙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빙패널의 일단부와 그의 상측에 배치되는 모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빙패널과 가변패널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브라켓가이더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브라켓가이더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변패널, 커버패널, 및 무빙패널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가 가변패널과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패널에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이 제1위치(P1)에서의 구동장치와 가변패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이 제1위치(P1)에서의 가변패널에 배치되는 브라켓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이 제2위치(P2)에서의 구동장치와 가변패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이 제2위치(P2)에서의 가변패널에 배치되는 브라켓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이 제3위치(P3)에서의 구동장치와 가변패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패널, 가변패널, 및 구동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패널, 가변패널, 및 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핀이 제거된 상태의 가변패널의 일측면도이다.
도 32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에 연결되는 가변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의 제1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의 제2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의 제3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패널, 가변패널, 및 구동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패널, 가변패널, 및 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의 제1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의 제2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의 제3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제3’등의 표시는 복수의 구성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구성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내지 도 42에서 표현되는 상(U), 하(D), 좌(Le), 우(Ri), 전(F), 후(R)의 방향표시는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방향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이 달라지는 경우, 방향도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천장 또는 벽면의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천장 또는 벽면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미도시)와,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10), 베이스패널(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을 커버하거나 개방하도록 형태가 변형되는 가변패널(50), 및 베이스패널(10)을 기준으로 가변패널(50)의 형태나 배치를 변경시키는 구동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 중의 하나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는 인렛일 수 있다.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 중의 다른하나는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아웃렛일 수 있다.
본체의 내부에는,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팬(미도시),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 제2연통홀(14)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 및 배출시키는 드레인팬(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천장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를 기준으로 베이스패널(10), 가변패널(50), 및 구동장치(100)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베이스패널(10), 가변패널(50), 및 구동장치(100)의 구조는 천장 이외의 벽면 등에서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변패널(50)은 베이스패널(10)의 하측에 배치되어, 본체(미도시)와, 베이스패널(10)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하부에서 볼 때 본체나 베이스패널(10)이 가려질 수 있는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변패널(50)은, 베이스패널(10)에 형성되는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을 개방하도록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가변패널(50)은, 형성되는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을 동시에 개폐되거나 함께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동시에 개폐된다는 의미는 같은 시간대에 함께 개폐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함께 개폐한다는 의미는 한번의 동작으로 같이 개폐되는 것으로 시간적으로 동일한 의미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가변패널(50)은, 형성되는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을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가변패널(50)은, 이종재질로 형성되어, 일부영역이 쉽게 밴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패널(50)은, 일부영역에서 실리콘 등의 재질이 포함되어, 형태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가변패널(50)은, 복수의 패널이 연결되는 구조로, 복수의 패널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변패널(50)은,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의 사이 영역에서 베이스패널(10)에 장착될 수 있다. 가변패널(50)은, 베이스패널(1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가변패널(50)은,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의 사이 영역에서 이동가능하게 베이스패널(1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이 형성되는 베이스패널(10), 베이스패널(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부영역에서 형태가 밴딩되더나 플랫하도록 변경되는 가변패널(50), 베이스패널(10)에 장착되고 가변패널(50)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구동장치(10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베이스패널(10)의 하측에 배치되고, 가변패널(50)에 연결되는 무빙패널(80)과, 가변패널(50)의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가변패널(50)의 하측에 배치되는 커버패널(86)과, 가변패널(5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장치(100)에 연결되는 브라켓(90)과, 가변패널(50)에 배치되고 브라켓(9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브라켓가이더(95)를 포함한다.
가변패널(50)은 베이스패널(10)의 하측에 배치된다. 가변패널(50)은 베이스패널(10)의 하측에서 베이스패널(1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가변패널(50)이 베이스패널(10)에 장착되는 방식은, 가변패널(50)이 베이스패널(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을 포함한다. 또한, 가변패널(50)이 베이스패널(10)에 장착되는 방식은, 가변패널(50)이 무빙패널(80)이나 구동장치(100)를 통해 베이스패널(10)에 간접적으로 장착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50)은 구동장치(100)를 통해 베이스패널(10)에 간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무빙패널(80)은, 가변패널(50)의 중앙부의 배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가변패널(50)은, 밴딩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중력으로 인한 치우침이 발생할 수 있다. 무빙패널(80)은 가변패널(50)의 밴딩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가변패널(50)의 배치를 고정하여, 가변패널(50)의 일부영역이 치우침이나 쳐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무빙패널(80)의 구성과 가변패널(50)과의 연결관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커버패널(86)은 가변패널(50)의 하측에 배치된다. 커버패널(86)은 가변패널(50)의 하부면에 접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패널(86)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가변패널(5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패널(86)은 가변패널(50)의 하부면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패널(86)은 가변패널(50)의 하부면과 둘레면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패널>
가변패널(50)은,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 사이에 배치되고 베이스패널(10)로부터 상하방향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배치되고 제1연통홀(12) 또는 제2연통홀(14)의 하측에 배치되는 커버부와, 상기 고정부와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고 커버부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하는 중앙리브(62) 일 수 있다. 커버부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리지드바디(52)일 수 있다. 커버부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플레이트(54a)와 제2플레이트(54b) 일 수 있다. 가변부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플렉서블바디(70) 일 수 있다. 따라서, 가변부는 형태가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부는 커버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패널(50)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부영역에서 밴딩홀(68)이 형성되는 리지드바디(52)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리지드바디(52)에 형성되는 밴딩홀(68)에 배치되는 플렉서블바디(70)를 포함한다.
리지드바디(52)는, 플렉서블바디(7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에 배치된다. 리지드바디(52)는, 플렉서블바디(7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54a), 플렉서블바디(7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54b), 제1플레이트(54a)와 제2플레이트(54b)를 연결하는 브릿지(66), 제1플레이트(54a)와 제2플레이트(54b)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리브(62)를 포함한다.
리지드바디(52)는, 가변패널(50)의 중앙부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베이스패널(10) 또는 무빙패널(80)에 고정되는 고정후크(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지드바디(52)에는, 중앙리브(62)를 기준으로 전후방향 중 하나의 방향에 형성되는 제1밴딩홀(68a)과, 중앙리브(62)를 기준으로 전후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에 형성되는 제2밴딩홀(68b)이 형성된다. 제1밴딩홀(68a)과 제2밴딩홀(68b)은, 브릿지(66)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밴딩홀(68a)은 중앙리브(62)를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고, 제2밴딩홀(68b)은 중앙리브(62)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다.
제1밴딩홀(68a)과 제2밴딩홀(68b) 각각에는, 플렉서블바디(70)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바디(70)는, 형태가 가변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바디(70)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바디(70)는, 리지드바디(52)에 형성되는 밴딩홀(68)로 몰딩될 수 있다. 플렉서블바디(70)는 리지드바디(52)에 형성되는 밴딩홀(68)로 배치되도록 사출될 수 있다.
제1밴딩홀(68a)과 제2밴딩홀(68b)로 배치되는 플렉서블바디(70)가 리지드바디(5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지드바디(52)에는 밴딩홀(68)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홈(56, 58)이 형성된다.
리지드바디(52)에는 밴딩홀(68)에 배치되는 플렉서블바디(70)의 배치를 고정하는 홈(56, 58)이 형성된다. 홈(56, 58)은, 리지드바디(52)의 하부면(52b)과 상부면(52a) 각각에 배치된다. 홈(56, 58)은, 리지드바디(52)의 상부면(52a)에 형성되는 상부홈(56)과, 리지드바디(52)의 하부면(52b)에 형성되는 하부홈(58)을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부홈(58)이 형성되는 면적은 상부홈(56)이 형성되는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부홈(56)과 하부홈(58)은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리지드바디(52)에는, 브라켓(90) 또는 브라켓가이더(95)가 장착되는 브라켓홀(60)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홀(60)은 제1플레이트(54a)와 제2플레이트(54b) 각각에 형성된다. 브라켓홀(60)은 제1플레이트(54a)에 형성되는 제1브라켓홀(60a)과 제2플레이트(54b)에 형성되는 제2브라켓홀(60b)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54a)는 베이스패널(10)의 제1연통홀(12)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플레이트(54b)는 베이스패널(10)의 제2연통홀(14)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플레이트(54a)에는, 좌우방향 양단부에 각각 제1브라켓홀(60a)이 형성된다. 제2플레이트(54b)에는 좌우방향 양단부에 각각 제2브라켓홀(60b)이 형성된다. 제1브라켓홀(60a)과 제2브라켓홀(60b) 각각은 상부홈(56) 또는 하부홈(58)보다 외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방향이란, 리지드바디(52)의 좌우방향 테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방향일 수 있다.
중앙리브(62)는, 제1플레이트(54a)와 제2플레이트(54b) 사이에 배치된다. 중앙리브(62)는 제1플레이트(54a) 및 제2플레이트(54b) 각각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중앙리브(62)는 제1밴딩홀(68a)과 제2밴딩홀(68b) 사이에 배치된다. 플렉서블바디(70)는 제1밴딩홀(68a)에 배치되는 제1플렉서블바디(70a)와 제2밴딩홀(68b)에 배치되는 제2플렉서블바디(70b)를 포함한다.
중앙리브(62)는 제1플렉서블바디(70a)와 제2플렉서블바디(70b) 사이에 배치된다. 중앙리브(62)는, 베이스패널(10) 또는 무빙패널(80)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가변패널(50)은 무빙패널(80)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무빙패널(80)의 배치가 변경됨에 따라, 가변패널(50)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패널(50)은 중앙리브(62)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54a)와 제2플레이트(54b)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 중앙리브(62)는 베이스패널(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의 이격위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리브(62)가 베이스패널(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중앙리브(62)가 베이스패널(10)에 고정되어,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리브(62)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에 배치되는 플렉서블바디(70)의 형태가 변형되면, 제1플레이트(54a)와 제2플레이트(54b)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 중앙리브(62)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에 배치되는 플렉서블바디(70)의 형태가 변형되면, 제1플레이트(54a)와 제2플레이트(54b)의 경사각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이란, 지면 또는 천장면과 평행한 면과, 제1플레이트(54a) 또는 제2플레이트(54b)가 형성하는 면이 서로 형성하는 사이각을 의미할 수 있다.
중앙리브(62)에는 고정후크(64)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후크(64)는 중앙리브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무빙패널(80) 또는 베이스패널(10)에 가변패널(50)을 장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후크(64)는 무빙패널(80)에 형성되는 후크홀(82)에 삽입된다. 고정후크(64)는 가변패널(50)을 무빙패널(8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패널(50)은, 고정후크(64)가 무빙패널(80)의 후크홀(82)에 삽입되어, 무빙패널(8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가변패널(50)에는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후크(64)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후크(64)는 브릿지(66)와 중앙리브(62)가 교차하는 영역에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후크(64)는 중앙리브(62)로부터 상측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무빙패널(80)의 후크홀(8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변패널(50)에는 복수의 브릿지(66)가 배치된다. 복수의 브릿지(66) 각각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플렉서블바디(70)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브릿지(66)가 배치된다. 브릿지(66)가 중앙리브(62), 제1플레이트(54a), 및 제2플레이트(54b) 각각을 연결함으로써, 플렉서블바디(70)의 밴딩범위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복수의 브릿지(66) 각각은 제1플레이트(54a)와 제2플레이트(54b)를 연결한다. 복수의 브릿지(66) 각각은 제1플레이트(54a)와 중앙리브(62)를 연결한다. 복수의 브릿지(66) 각각은 제2플레이트(54b)와 중앙리브(62)를 연결한다.
브릿지(66)는, 제1플레이트(54a)와 중앙리브(62)를 연결하는 제1브릿지(66a)와, 제2플레이트(54b)와 중앙리브(62)를 연결하는 제2브릿지(66b)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66)의 상하방향 높이(66h)는, 중앙리브(62)의 상하방향 높이(62h)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브릿지(66)의 상부면에는 플렉서블바디(70)가 접촉하게 배치된다. 브릿지(66)의 좌우방향 폭(66w)은 중앙리브(62)의 전후방향 폭(62w)보다 길게 형성된다.
브릿지(66)의 하부면은 제1플레이트(54a) 및 제2플레이트(54b)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평탄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브릿지(66)의 상부면은, 세레이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66)의 상부면은 세레이션 형상을 가져, 플렉서블바디(70)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플렉서블바디(70)와 분리되는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66)의 상부면은 세레이션 형상을 가져, 가변패널(50)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가변패널(50)이나 커버패널(86)의 인장, 압축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무빙패널>
무빙패널(80)은, 가변패널(50)의 중앙리브(6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즉, 무빙패널(80)은, 가변패널(50)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리브(62)와 베이스패널(10)의 상하방향으로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중앙리브(62)와 베이스패널(10)의 상하방향으로의 상대적 위치는, 중앙리브가 베이스패널(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경우, 이격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중앙리브(62)가 베이스패널(10)에 접촉하게 배치되는 경우,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무빙패널(80)은 중앙리브(62)의 위치를 고정시켜, 가변패널(50)에서 중앙리브(62)가 상대적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리브(62)는, 제1플렉서블바디(70a)와 제2플렉서블바디(70b) 사이에 배치되므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쳐짐이 발생할 수 있다. 무빙패널(80)은 중앙리브(62)의 위치를 고정시키므로, 중앙리브(62)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플렉서블바디(70a)와 제2플렉서블바디(70b)가 하측으로 밴딩될 수 있다.
무빙패널(80)은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패널(50)에서 중앙리브(62)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무빙패널(80)은, 가변패널(50)의 고정후크(64)가 삽입되고, 장착되는 후크홀(82)이 형성된다. 후크홀(82)은, 고정후크(64)가 삽입되는 삽입홀(82a)과, 고정후크(64)가 장착되는 고정홀(82b)을 포함한다. 삽입홀(82a)은, 고정후크(64)의 상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고정홀(82b)은, 고정후크(64)의 상단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후크(64)는, 후크홀(82)의 고정홀(82b)에 삽입된 상태로 무빙패널(80)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중앙리브(62)는 무빙패널(80)에 고정되게 배치되므로, 무빙패널(8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변패널(50)도 전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무빙패널(80)은, 후크홀(82)을 기준으로 제1연통홀(12)이 배치되는 후방방향보다 제2연통홀(14)이 배치되는 전방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무빙패널(80)의 좌우방향 양단부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구동장치(100)의 제2모터(122)가 장착되는 제2모터마운터(84)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2모터마운터(84)와 제2모터(122)는 무빙패널(80)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브라켓과 브라켓가이더>
가변패널(50)에는 복수의 브라켓(90)과 복수의 브라켓가이더(95)가 배치된다. 복수의 브라켓(90) 각각은 복수의 브라켓가이더(95) 각각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브라켓(90)과 복수의 브라켓가이더(95) 각각은 제1플레이트(54a)에 형성되는 2개의 제1브라켓홀(60a)과, 제2플레이트(54b)에 형성되는 2개의 제2브라켓홀(60b)에 배치된다.
브라켓(90)은, 제1브라켓홀(60a)에 배치되는 제1브라켓(90a)과 제2브라켓홀(60b)에 배치되는 제2브라켓(90b)을 포함한다. 브라켓가이더(95)는 제1브라켓(90a)이 배치되는 제1브라켓가이더(95a)와, 제2브라켓(90b)이 배치되는 제2브라켓가이더(95b)를 포함한다.
브라켓가이더(95)는 가변패널(50)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브라켓가이더(95)는, 가변패널(50)의 브라켓홀(60)에 배치된다. 브라켓(90)은, 브라켓가이더(95)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브라켓가이더(95)는 가변패널(50)에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96)와, 한 쌍의 체결부(96) 사이에 배치되고 브라켓(9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98)를 포함한다. 가이드부(98)는, 좌우방향 양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밴딩된 구조를 통해 브라켓(90)의 이탈을 방지하고, 브라켓(90)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브라켓(90)은, 브라켓가이더(95)의 가이드부(98)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92)와, 구동장치(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94)를 포함한다. 이동플레이트(92)와 결합플레이트(94)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90)은, 구동장치(100)의 작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브라켓가이더(95)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플레이트(92)의 좌우방향 양단은 브라켓가이더(95)의 가이드부(98)의 좌우방향 양단부에서 형성되는 밴딩구조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
베이스패널(10)에는, 본체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1연통홀(12)과, 본체로부터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되는 제2연통홀(14)이 형성된다.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연통홀(14)은 제1연통홀(12)의 전방에 이격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연통홀(14)이 형성되는 면적은 제1연통홀(12)이 형성되는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10)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동장치(100)의 제2모터(122)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모터홀(16)을 형성한다. 모터홀(16)은 제2모터(122) 및 제2모터마운터(84)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만큼 전후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한다.
베이스패널(10)의 하부면에는 고정후크(64)가 배치되는 상측으로 패인 후크그루브(18)가 형성된다. 후크그루브(18)는 고정후크(64)가 배치되는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그루브(18)는 무빙패널(80)과 함께 이동하는 고정후크(64)의 동을 전후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베이스패널(10)에는, 구동장치(100)가 배치되는 패널가이더(20)가 배치된다. 베이스패널(10)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구동장치(100)의 패널이동판(102, 116)가 관통하는 기어홀(34a, 34b)이 형성된다.
패널가이더(20)는, 베이스패널(10)의 좌측단부에 배치되는 제1패널가이더(20a)와, 베이스패널(10)의 우측단부에 배치되는 제2패널가이더(20b)를 포함한다.
제1패널가이더(20a)는, 베이스패널(10)에 형성되는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2패널가이더(20b)는, 베이스패널(10)에 형성되는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패널가이더(20a)와 제2패널가이더(20b) 각각은,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벽(22, 24)을 포함한다.
제1패널가이더(20a)와 제2패널가이더(20b) 각각은, 제1가이드벽(22)과, 제1가이드벽(22)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가이드벽(24)을 포함한다. 제1패널가이더(20a)와 제2패널가이더(20b) 각각은, 제1가이드벽(22)과 제2가이드벽(24)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벽(22)과 제2가이드벽(24) 각각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가이드벽(22)은, 제2가이드벽(24)보다 제1연통홀(12)이나 제2연통홀(1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벽(22)과 제2가이드벽(24)은 베이스패널(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벽(22)과 제2가이드벽(24) 각각은, 이하에서 설명할 제1패널이동판(102)의 제1회전축(102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홀(28)과 제2패널이동판(116)의 제2회전축(116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홀(30)과, 제1패널이동판(10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홀(32)이 형성된다.
제1가이드홀(28)과 제2가이드홀(3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가이드홀(28)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제2가이드홀(30)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가이드홀(32)은, 제1패널이동판의 제1회전축(102a)을 기준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가이드홀(32a)과, 곡면가이드홀(32a)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가이드홀(32b)을 포함한다. 제3가이드홀(32)은, 제1가이드홀(28)이나 제2가이드홀(3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제1가이드홀(28)과 제2가이드홀(30) 각각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직선가이드홀(32b)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홀(28), 제2가이드홀(30), 및 제3가이드홀(32)은, 패널이동판(102, 116)를 통해 가변패널(50)을 베이스패널(10)에 매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베이스패널(10)에는, 제1가이드벽(22)과 제2가이드벽(24) 사이에서, 패널이동판(102, 116)가 관통하는 기어홀(34a, 34b)이 형성된다. 베이스패널(10)에는, 제1가이드벽(22)과 제2가이드벽(24) 사이에서, 제1패널이동판(102)가 관통하는 제1홀(34a)과, 제2패널이동판(116)가 관통하는 제2홀(34b)이 형성된다.
제1가이드벽(22)의 일측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동장치(100)의 제1모터(120)가 장착되는 제1모터마운터(36)가 배치된다. 제1모터마운터(36)는, 베이스패널(10)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모터마운터(36)에 장착되는 제1모터(120)는 베이스패널(10)의 상측에서 고정되게 배치된다. 제1가이드벽(22)에는 제1모터(120)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모터축홀(22a)이 형성된다.
구동장치>
구동장치(100)는, 가변패널(50)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제1구동장치와, 가변패널(5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장치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패널이동판(102), 제1모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장치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패널이동판(116)과 제2모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장치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패널이동판(102), 제1모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패널이동판(102), 제1모터(120)은 제1구동장치에도 포함될 수 있고, 제2구동장치에도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제2패널이동판(116)과 제2모터(122)는 제1구동장치에만 포함될 수 있다.
구동장치(100)는, 가변패널(50)의 제1플레이트(54a)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1패널이동판(102), 가변패널(50)의 제2플레이트(54b)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2패널이동판(116), 제1패널이동판(102)와 연결되어 제1패널이동판(102)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1모터(120), 제2패널이동판(116)와 연결되어 제2패널이동판(116)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2모터(122)를 포함한다.
구동장치(100)는, 제1패널이동판(102)의 제1회전축(102a)과 제2패널이동판(116)의 제2회전축(116a)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100)는, 제1모터(120)의 모터회전축(120a)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제1패널이동판(102)의 기어면과 맞물리는 모터기어(12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100)는, 제1패널이동판(102)의 제1회전축(102a)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핀(130), 제2패널이동판(116)의 제2회전축(116a)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핀(132), 제1패널이동판(102)의 제1회전축(102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패널이동판(102)의 일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가이드핀(134)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핀(130)은 제1가이드벽(22)과 제2가이드벽(24) 각각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홀(2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가이드핀(132)은 제1가이드벽(22)과 제2가이드벽(24) 각각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홀(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3가이드핀(134)은 제1가이드벽(22)과 제2가이드벽(24) 각각에 형성되는 제3가이드홀(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가이드핀(132)은 제2모터(122)와 제2패널이동판(116)을 연결한다. 따라서, 제2가이드핀(132)은 제2모터(122)가 작동할 때, 제2패널이동판(116)의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제1패널이동판(102)와 제2패널이동판(116) 각각은 부채꼴 형상의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패널이동판(102)은, 일측에서 브라켓(90)과 연결된다. 제1패널이동판(102)과 제2패널이동판(116) 각각의 하부에는 브라켓(90)이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제1패널이동판(102)은 제1회전축(102a)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제1패널이동판(102)은, 가변패널(50)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하부면(104)과, 하부면(104)과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부면(104)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면(106)과, 하부면(104)과 상부면(106)의 단부를 연결하고 곡면을 형성하는 외둘레면(108)을 포함한다. 제1패널이동판(102)은, 제1모터(120)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내측면(110)과 내측면(110)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외측면(114)을 포함한다. 제1패널이동판(102)의 내측면(110)에는 제1모터(120)에 연결되는 모터회전축(120a)과 맞물리는 기어면(112)이 형성된다. 기어면(112)은 외둘레면(108)과 상부면(106)에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고, 제1회전축(102a)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기어면(112)은, 외둘레면(108)으로부터 이격배치되는 제1기어면(112a)과, 상부면(106)으로부터 이격배치되는 제2기어면(112b)을 포함한다. 외둘레면(108)과 제1기어면(112a)은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둘레면(108)과 제1기어면(112a)은 동일한 호의 중심을 가질 수 있다. 제1기어면(112a)과 제2기어면(112b)은 모터기어(126)가 연속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기어면(112b)은 상부면(106)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패널이동판(102)의 제1회전축(102a)에는 제1가이드핀(130)이 배치된다. 제1가이드핀(130)은 제1회전축(102a)을 따라 연장되고, 제1패널이동판(10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부면(106)에는, 제3가이드핀(134)이 배치된다. 제3가이드핀(134)은, 상부면(106)이 형성하는 직선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패널이동판(116)은, 제2회전축(116a)에서 제2모터(122)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제2패널이동판(116)의 상부면에는, 제2패널이동판(116)의 하측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18)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118)는, 제2패널이동판(116)의 상부면에서 좌우방향으로 돌출된다. 스토퍼(118)는, 제2패널이동판(116)이 하측으로 회전할 때, 한 쌍의 가이드벽(22, 24)의 상단과 접촉하여, 제2패널이동판(116)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124)는, 제1패널이동판(102)의 제1회전축(102a)과 제2패널이동판(116)의 제2회전축(116a)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스페이서(124)는, 일측에서 제1패널이동판(102)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핀(130)과 연결되고, 타측에서 제2패널이동판(116)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핀(132)과 연결된다.
제1모터(120)는, 베이스패널(10)에 배치되는 제1모터마운터(36)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패널이동판(102)이나 제2패널이동판(116)이 베이스패널(10)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모터(120)의 배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모터(122)는, 무빙패널(8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모터마운터(84)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패널이동판(102)이나 제2패널이동판(116)이 베이스패널(10)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모터(122)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패널이동판(102)은, 제1플레이트(54a)의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모터(120)의 작동에 따라 제1패널이동판(102)의 외둘레면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플레이트(54a)가 베이스패널(10)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패널(10)의 제1연통홀(12)이 개방될 수 있다.
제2패널이동판(116)은 제2플레이트(54b)의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제2모터(122)의 작동에 따라 제2패널이동판(116)의 외둘레면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2플레이트(54b)가 베이스패널(10)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패널(10)의 제2연통홀(14)이 개방될 수 있다.
작동>
이하에서는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제1모터(120) 또는 제2모터(122)의 작동에 따른 가변패널(50)의 배치를 설명한다.
가변패널(50)은 베이스패널(10)에 형성되는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을 폐쇄하는 제1위치(P1), 제1연통홀(12)과 제2연통홀(14)을 개방하도록 일부영역에서 밴딩되는 제2위치(P2), 및 제2연통홀(14)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가변패널(50)이 이동하는 제3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가변패널(50)은 제1위치(P1)에서 베이스패널(10)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가변패널(50)은 베이스패널(10)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위치(P1)에서, 가변패널(50)이 베이스패널(10)의 전후방향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패널(50)이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실내공간의 하측에 존재하는 재실자에게 베이스패널(10)의 구성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가변패널(50)이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제1모터(120)는 제1패널이동판(102)의 제1기어면(112a)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가변패널(50)이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브라켓(90)의 일단은 브라켓홀(60)의 일단으로부터 제1간격(l1)을 유지할 수 있다.
제1모터(120)와 제2모터(122)의 작동으로 가변패널(5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제1모터(120)가 작동하며, 모터기어(126)가 제1패널이동판(102)의 제1기어면(11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플렉서블바디(70a)가 밴딩되며, 제1플레이트(54a)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가변패널(50)의 제2위치(P2)에서, 제2연통홀(14)이 개방될 수 있다.
가변패널(5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형태가 변형될 때, 모터기어(126)는 제1기어면(112a)을 따라 이동한다. 가변패널(5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형태가 변형될 때, 제3가이드핀(134)은 제3가이드홀(32)의 곡면가이드홀(32a)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제1패널이동판(102)의 외둘레면도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패널이동판(102)은 제1회전축(102a)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회전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가변패널(50)의 제2위치(P2)에서, 모터기어(126)는 제1기어면(112a)과 제2기어면(112b)이 만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모터(122)가 작동하며, 제2패널이동판(116)이 제2회전축(116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플렉서블바디(70b)가 밴딩되며, 제2플레이트(54b)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가변패널(50)의 제2위치(P2)에서, 제1연통홀(12)이 개방될 수 있다. 가변패널(50)이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2패널이동판(116)의 스토퍼(118)가 가이드벽(22, 24)의 상단에 접촉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가변패널(50)이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브라켓(90)의 일단은 브라켓홀(60)의 일단으로부터 제2간격(l2)을 유지할 수 있다. 제2간격(l2)은 제1간격(l1)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4와 도 26을 참조하면, 제2간격(l2)은 제1간격(l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모터(120)가 작동하여, 가변패널(50)이 제2위치(P2)에서 제3위치(P3)로 이동할 수 있다.
가변패널(50)이 제2위치(P2)에서 제3위치(P3)로 이동할 때, 모터기어(126)가 제2기어면(11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변패널(50)이 제2위치(P2)에서 제3위치(P3)로 이동할 때, 제3가이드핀(134)이 제3가이드홀(32)의 직선가이드홀(3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변패널(50)이 제2위치(P2)에서 제3위치(P3)로 이동할 때, 제1가이드핀(130)과 제2가이드핀(132) 각각이 제1가이드홀(28)과 제2가이드홀(30) 각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변패널(50)이 제2위치(P2)에서 제3위치(P3)로 이동할 때, 가변패널(50)의 중앙리브(62)는 제2연통홀(14)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연통홀(14)을 통해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구조에서는, 제2연통홀(14)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가변패널(50)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제2연통홀(14)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가변패널(50)에 의해 가이드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2연통홀(14)을 통해 공기조화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구조에서는, 제2연통홀(14)의 개구면적이 향상되어, 공기조화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28 내지 도 36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과 구동장치, 및 베이스패널을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250)은, 베이스패널(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연통홀(212)의 하측에서 배치가 변경되는 제1가변패널(252)과, 베이스패널(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연통홀(214)의 하측에서 배치가 변경되는 제2가변패널(260)을 포함한다.
제1연통홀(212)과 제2연통홀(214) 중의 하나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는 인렛일 수 있다. 제1연통홀(212)과 제2연통홀(214) 중의 다른하나는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아웃렛일 수 있다.
제1가변패널(252)은 제1연통홀(212)을 개폐할 수 있다. 제2가변패널(260)은 제2연통홀(214)을 개폐할 수 있다. 제1가변패널(252)은, 제1연통홀(212)의 하측에서 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이란, 제1가변패널(252)과 베이스패널(210) 각각이 형성하는 면의 사이각을 의미할 수 있다. 제2가변패널(260)은 제2연통홀(214)의 하측에서 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가변패널(250)은, 베이스패널(210)로부터 상하방향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배치되고 제1연통홀(212) 또는 제2연통홀(214)의 하측에 배치되는 커버부와, 상기 고정부와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고 커버부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힌지(270)일 수 있다. 또한, 가변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힌지(270)일 수 있다. 커버부는 제1가변패널(252) 또는 제2가변패널(260)일 수 있다. 힌지(270)는 제1가변패널(252) 또는 제2가변패널(260)이 회전하는 제1회전축(270a) 상에 배치된다.
가변패널(250)은, 제1가변패널(252)과 제2가변패널(26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270)를 포함한다.
힌지(270)는, 제1가변패널(252)과 제2가변패널(260) 각각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변패널(252)과 제2가변패널(260) 각각은 힌지(270)를 기준으로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제1가변패널(252)과 제2가변패널(260) 각각은 힌지(270)를 기준으로 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힌지(270)의 일측에는 힌지(270)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3핀(272)이 배치된다. 제3핀(272)은 힌지(27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3핀(272)은 가변패널(25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가변패널(252)은, 제1플레이트(254)와, 제1플레이트(254)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구동장치(300)와 연결되어 제1플레이트(254)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한 쌍의 제1패널기어(256)를 포함한다.
제1패널기어(256)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패널기어(256)의 외주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기어(306)와 맞물리는 제1기어면(256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주면은, 부채꼴 형상을 가지는 제1패널기어(256)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1패널기어(256)는, 하단부가 제1플레이트(254)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1패널기어(256)의 하단부는 제1플레이트(254)와 상단부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패널기어(256)와 제1플레이트(254)는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패널기어(256)의 상부면은 제1플레이트(254)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패널기어(256)의 일측에는 제1패널기어(256)의 배치변경이나, 위치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핀(274)이 배치된다. 제1핀(274)은 제1패널기어(256)의 상부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변패널(260)은, 제2플레이트(262)와, 제2플레이트(262)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구동장치(300)와 연결되어 제2플레이트(262)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한 쌍의 제2패널기어(264)를 포함한다.
제2패널기어(264)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패널기어(264)의 외주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기어(308)와 맞물리는 제2기어면(264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패널기어(264)는, 하단부가 제2플레이트(262)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2패널기어(264)의 하단부는 제2플레이트(262)와 상단부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패널기어(264)와 제2플레이트(262)는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패널기어(264)의 상부면은 제2플레이트(262)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패널기어(264)의 일측에는 제2패널기어(264)의 배치변경이나, 위치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핀(276)이 배치된다. 제2핀(276)은 제2패널기어(264)의 상부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300)는, 가변패널(250)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제1구동장치와, 가변패널(25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장치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모터(302)와, 제1무버(310)일 수 있다. 제1구동장치는 제1모터(302) 또는 제1무버(310)와 연결되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장치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모터(320)와 제2무버(322)일 수 있다. 제2구동장치는, 제2모터(320)와 연결되는 수평기어(3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300)는, 가변패널(25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1모터(302)를 포함한다.
구동장치(300)는, 제1모터(302)와 연결되고, 제1가변패널(252) 또는 제2가변패널(26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한다.
구동장치(300)는, 제1모터(302)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제1무버(310)를 포함한다.
제1무버(31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기어(306)의 회전으로 제1기어(306)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기어(30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무버(310)는, 일측면에서 제1기어(306)와 맞물리게 배치되고, 타측면에서 제2기어(308)와 맞물리게 배치된다.
도 32을 참조하면, 제1무버(310)는, 제1기어(306)와 맞물리는 제1래크(312a)을 형성하는 제1수직바(312), 제1수직바(312)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기어(308)와 맞물리는 제2래크(214a)을 형성하는 제2수직바(314)와, 제1수직바(312)와 제2수직바(314)를 연결하는 수평바(316)를 포함한다.
수평바(316)는 제1수직바(312)의 상단부와 제2수직바(314)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수평바(316)는 베이스패널(210)과 접촉하여 제1무버(310)의 하측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1수직바(312)와 제2수직바(314)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래크(312a)과 제2래크(214a)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무버(310)는, 제1무버(31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일측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리브 또는 일측에서 패인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도 32을 참조하면, 제1무버(310)에는, 일측에서 돌출되는 제1가이드리브(318)가 배치된다. 제1가이드리브(318)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무버(322)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324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무버(310)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리브(318)는, 제1무버(310)가 이동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가이드리브(318)는, 제1무버(310)의 일측면에서 제2무버(322)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무버(31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면과 달리, 제1무버(310)에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경우, 제2무버(322)에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리브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2을 참조하면, 제1무버(310)에는, 제2무버(322)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리브(318)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무버(322)에는 제1가이드리브(318)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324a)이 형성된다.
복수의 기어는, 제1모터(302)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모터기어(304)를 포함한다. 복수의 기어는, 모터기어(304)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1기어(306), 제1무버(310)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2기어(308)를 포함한다.
제1기어(306)는, 모터기어(304)와 맞물리는 제1이너기어(306a)와, 제1패널기어(256)와 맞물리는 제1아우터기어(306b)를 포함한다. 제1이너기어(306a)와 제1아우터기어(306b)는 동일한 회전축을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이너기어(306a)와 제1아우터기어(306b)는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너기어(306a)와 제1아우터기어(306b)는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너기어(306a)는, 일측에서 모터기어(304)와 맞물려 회전한다. 제1이너기어(306a)는 타측에서 제1무버(310)의 일측면과 맞물린다. 따라서, 제1모터(302)의 작동으로 모터기어(304)가 회전하면, 제1이너기어(306a)가 회전하여 제1무버(31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아우터기어(306b)는 제1가변패널(252)의 제1패널기어(256)와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모터(302)의 작동으로 모터기어(304)가 회전하면, 제1이너기어(306a)와 제1아우터기어(306b)가 회전하여 제1가변패널(252)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제2기어(308)는, 제1무버(310)의 타측면에 맞물리는 제2이너기어(308a)와, 제2패널기어(264)와 맞물리는 제2아우터기어(308b)를 포함한다. 제2이너기어(308a)와 제2아우터기어(308b)는 동일한 회전축을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이너기어(308a)와 제2아우터기어(308b)는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너기어(308a)와 제2아우터기어(308b)는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너기어(308a)는, 일측에서 제1무버(310)와 맞물려 회전한다. 제2이너기어(308a)는 제1무버(310)의 제2래크(214a)에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무버(3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래크(214a)에 맞물리게 배치되는 제2이너기어(308a)가 회전할 수 있다.
제2아우터기어(308b)는 제2가변패널(260)의 제2패널기어(264)와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무버(3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이너기어(308a)와 제2아우터기어(308b)가 회전하여 제2가변패널(260)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구동장치(300)는, 가변패널(25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무버(322)와, 베이스패널(210)에 배치되고, 제2무버(322)를 이동시키는 제2모터(320)를 포함한다. 구동장치(300)는, 제2모터(32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수평기어(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무버(322)는 베이스패널(21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무버(322)는, 베이스패널(21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무버(322)는, 제1무버(310)가 장착되는 이동패널(324)과, 제1모터(302)가 장착되는 제1모터장착부(326)를 포함한다.
이동패널(324)에는, 제1무버(31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324a)이 형성된다. 제1가이드홈(324a)에는, 제1무버(310)의 제1가이드리브(318)가 삽입될 수 있다.
이동패널(324)에는, 수평기어(321)와 마주하는 면에서 수평기어(321)와 맞물리는 수평래크(330)가 배치될 수 있다. 수평기어(321)가 회전하면, 수평기어(321)는 수평래크(330)와 맞물려 제2무버(32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기어(306)와 제2기어(308) 각각은, 제2무버(32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기어(306)와 제2기어(308) 각각은 이동패널(324)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모터장착부(326)에는 제1모터(302)가 장착될 수 있다. 제1모터장착부(326)는, 이동패널(324)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고, 제1모터(302)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무버(322)는, 이동패널(324)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제2기어(308)의 일측을 커버하는 커버벽(328)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벽(328)은, 제2기어(308)와, 제2모터(320) 사이에 배치된다. 커버벽(328)은, 제2기어(308)가 제2모터(320) 또는 수평기어(321)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패널(210)에는, 제1연통홀(212)과 제2연통홀(2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통홀(212)과 제2연통홀(214)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210)에는, 제2무버(32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220a, 220b)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210)에는, 제2모터(320)의 배치를 고정하는 제2모터장착부(236)가 배치된다. 제2모터장착부(236)는, 베이스패널(210)에 배치되는 제2모터(320)의 배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모터장착부(236)는, 가이드벽(220a, 220b)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210)에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벽(220a, 220b)이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벽(220a, 220b) 각각은 제1연통홀(212) 또는 제2연통홀(214)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210)에는, 제1가이드벽(220a)과 제1가이드벽(220a)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가이드벽(2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벽(220a)과 제2가이드벽(220b)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가이드벽(220a)과 제2가이드벽(220b)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가이드벽(220a, 220b)은, 제1가이드벽(220a)이나 제2가이드벽(220b)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가이드벽(220a, 220b)은, 제2무버(322)의 일측에 배치되는 무버가이드벽(222)과, 복수의 가이드핀(272, 274, 276)이 이동하는 복수의 핀가이드홈(230, 232, 234)이 형성된 핀가이드벽(224)을 포함한다. 무버가이드벽(222)은, 제2무버(322)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무버가이드벽(222)은 제2무버(322)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무버가이드벽(222)은 제2무버(322)의 배치를 지지할 수 있다. 제2무버(322)는 무버가이드벽(222)과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무버가이드벽(222)에는, 제2무버(32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리브(2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무버(322)에는, 제2가이드리브(223)에 대응하는 제2가이드홈(324b)이 형성될 수 있다.
무버가이드벽(222)은, 제1연통홀(21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무버가이드벽(222a)과 제2연통홀(214)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무버가이드벽(222b)을 포함한다. 제1무버가이드벽(222a)과 제2무버가이드벽(222b)은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무버가이드벽(222a)과 제2무버가이드벽(222b) 각각은 제2무버(322)의 일측에 배치된다.
핀가이드벽(224)은,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핀가이드벽(224)은, 무버가이드벽(22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이너가이드벽(225a)과, 이너가이드벽(225a)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아우터가이드벽(22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가이드벽(225a)과 아우터가이드벽(225b)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핀가이드벽(224)은, 이너가이드벽(225a)의 전단에서 내측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1단부벽(226a)과, 이너가이드벽(225a)의 후단에서 내측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2단부벽(226b)을 포함한다. 제1단부벽(226a)은 제1무버가이드벽(222a)에 접촉하게 배치된다. 제2단부벽(226b)은 제2무버가이드벽(222b)에 접촉하게 배치된다. 제1단부벽(226a)과 제2단부벽(226b) 각각은 제1무버(310)와 접촉하여 제1무버(310)의 전후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핀가이드벽(224)은 무버가이드벽(222)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외측이란, 베이스패널(210)에 형성되는 제1연통홀(212)과 제2연통홀(2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핀가이드벽(224)은, 베이스패널(2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핀(274)과 제2핀(276)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어퍼가이드벽(227b)과, 베이스패널(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3핀(27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어가이드벽(227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이너가이드벽(225a)과 아우터가이드벽(225b) 각각은 어퍼가이드벽(227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가이드벽(225a)과 아우터가이드벽(225b) 각각은 로어가이드벽(227a)을 포함할 수 있다.
핀가이드벽(224)에는, 제3핀(27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3핀홀(230)이 형성된다. 핀가이드벽(224)에는 제1핀(27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핀홀(232)이 형성된다. 핀가이드벽(224)에는 제2핀(276)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핀홀(234)이 형성된다.
제3핀홀(230)은 로어가이드벽(227a)에 배치된다. 제3핀홀(230)은 핀가이드벽(224)에서 좌우방향으로 개구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제1핀홀(232)과 제2핀홀(234)은 어퍼가이드벽(227b)에 배치된다. 제1핀홀(232)은, 제1핀(27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핀홀(232)은, 제1가변패널(252)의 배치변경을 가이드하는 제1곡선부(232a)와 제1가변패널(25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직선부(232b)를 포함한다. 제1직선부(232b)는 제3핀홀(23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곡선부(232a)는, 힌지(27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핀(27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곡선부(232a)는 힌지(270)로부터 제1핀(274)이 이격된 반경의 범위로 이루어진 호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핀홀(234)은, 제2핀(276)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핀홀(234)은, 제2가변패널(260)의 배치변경을 가이드하는 제2곡선부(234a)와 제2가변패널(26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직선부(234b)를 포함한다. 제2직선부(234b)는 제3핀홀(23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곡선부(234a)는, 힌지(27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핀(276)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곡선부(234a)는 힌지(270)로부터 제2핀(276)이 이격된 반경의 범위로 이루어진 호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4 내지 도 36를 참조하여, 제1모터(302)와 제2모터(320)의 작동에 따른 가변패널(250)의 형태 변형과 위치이동을 설명한다.
가변패널(250)은, 도 34와 같이 가변패널(250)이 제1연통홀(212)과 제2연통홀(214)을 폐쇄하는 제1위치(P1)로 배치될 수 있다. 가변패널(250)은, 도 35와 같이 제1연통홀(212)과 제2연통홀(214)을 개방하는 제2위치(P2)로 배치될 수 있다. 가변패널(250)은, 도 36과 같이 제2위치(P2)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한 제3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1위치(P1)에서 제1가변패널(252)은 제1연통홀(212)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위치(P1)에서 제2가변패널(260)은 제2연통홀(214)의 하측에 배치된다. 가변패널(250)은 베이스패널(210)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위치(P1)에서 가변패널(250)은 베이스패널(210)의 하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패널(250)이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실내공간의 하측에 존재하는 재실자에게 베이스패널(210)의 구성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제1핀(274)은 제1핀홀(23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제2핀(276)은 제2핀홀(234)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모터(302)의 작동으로 가변패널(25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제1모터(302)가 작동하며, 모터기어(304)가 제1기어(306)를 회전시킨다. 제1기어(306)가 회전하면, 제1기어(306)의 일측에 맞물리는 제1패널기어(256)가 이동하여 제1가변패널(252)의 배치를 변경시킨다. 이때, 제1가변패널(252)의 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기어(306)가 회전하면, 제1기어(306)의 또 다른 일측에 맞물리는 제1무버(310)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제1무버(31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1무버(310)의 일측에 맞물리는 제2기어(308)가 회전한다. 제2기어(308)가 회전하면, 제2기어(308)의 일측에 맞물리는 제2패널기어(264)가 이동하여 제2가변패널(260)의 배치를 변경시킨다. 이때, 제2가변패널(260)의 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제1가변패널(252)과 제2가변패널(260) 각각은 힌지(270)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가변패널(25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배치가 변경될 때, 힌지(270)의 위치는 유지될 수 있다. 가변패널(25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배치가 변경될 때, 제3핀(272)의 위치는 유지될 수 있다.
가변패널(25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배치가 변경될 때, 제1핀(274)은 제1핀홀(232)의 제1곡선부(232a)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다. 가변패널(25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배치가 변경될 때, 제2핀(276)은 제2핀홀(234)의 제2곡선부(234a)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2위치에서, 가변패널(250)은 제1연통홀(212)과 제2연통홀(214) 각각을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연통홀(212)이나 제2연통홀(214)을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제1가변패널(252)과 제2가변패널(260) 각각은 베이스패널(210)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제1가변패널(252)과 제2가변패널(260)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제1핀(274)은 제1핀홀(232)의 제1곡선부(232a)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제2핀(276)은 제2핀홀(234)의 제2곡선부(234a)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모터(320)의 작동으로 가변패널(250)이 제2위치(P2)에서 제3위치(P3)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제2모터(320)가 작동하며, 수평기어(321)가 수평래크(330)와 맞물려 회전한다. 수평기어(321)의 회전으로 수평래크(3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수평기어(321)의 회전으로 제1무버(3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무버(310)가 이동함에 따라 제2무버(322), 가변패널(250)도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제3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37 내지 도 42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과 구동장치, 및 베이스패널을 설명한다.
가변패널(450)은, 베이스패널(410)로부터 상하방향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배치되고 제1연통홀(412) 또는 제2연통홀(414)의 하측에 배치되는 커버부와, 상기 고정부와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고 커버부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고정부와 가변부는, 제3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가변부(470)일 수 있다. 커버부는, 제3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1커버부(452)와 제2커버부(460)일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패널(450)은, 베이스패널(4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연통홀(412)의 하측에서 배치가 변경되는 제1커버부(452)와, 베이스패널(4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연통홀(414)의 하측에서 배치가 변경되는 제2커버부(460)와, 제1커버부(452)와 제2커버부(460) 사이에 배치되고 형태가 가변되는 가변부(470)를 포함한다.
제1연통홀(412)과 제2연통홀(414) 중의 하나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는 인렛일 수 있다. 제1연통홀(412)과 제2연통홀(414) 중의 다른하나는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아웃렛일 수 있다.
제1커버부(452)는, 제1연통홀(412)을 개폐할 수 있다. 제2커버부(460)는 제2연통홀(414)을 개폐할 수 있다. 제1커버부(452)는, 제1연통홀(412)의 하측에서 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이란, 제1커버부(452)과 베이스패널(410) 각각이 형성하는 면의 사이각을 의미할 수 있다. 제2커버부(460)는 제2연통홀(414)의 하측에서 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제1커버부(452)는, 제1플레이트(454)와, 구동장치(500)와 연결되어 제1플레이트(454)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한 쌍의 제1커넥터(456)를 포함한다. 제2커버부(460)는, 제2플레이트(462)와 구동장치(500)와 연결되어 제2플레이트(462)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한 쌍의 제2커넥터(464)를 포함한다.
가변부(470)는 형태가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부는 커버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부(470)는, 제1커버부(452)와 제2커버부(460)의 사이에 배치된다.
가변부(470)는, 형태가 가변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부(470)는 일측이 베이스패널(4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도면에 표시가 되지 않았으나, 가변부(470)의 전후방향 중앙부에서 베이스패널(41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부(470)의 중앙부는, 베이스패널(41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커넥터(456)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무버(510a, 510b)의 연결돌기(512)가 배치되는 제1커넥팅홀(456a)이 형성된다. 제1커넥팅홀(456a)은, 제1플레이트(454)의 상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1커넥팅홀(456a)에 배치되는 제1무버(510a, 510b)의 연결돌기(512)는 배치에 따라 제1커넥팅홀(456a)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커넥팅홀(456a)은 연결돌기(512)가 형성하는 지름의 크기보다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464)에도, 이하에서 설명할 제1무버(510a, 510b)의 연결돌기(512)가 배치되는 제2커넥팅홀(464a)이 형성된다. 제2커넥팅홀(464a)은 제1커넥팅홀(456a)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장치(500)는, 가변패널(450)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제1구동장치와, 가변패널(45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장치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모터(502a, 502b)와, 제1무버(510a, 510b)일 수 있다. 제1구동장치는 제1모터(502a, 502b) 또는 제1무버(510a, 510b)와 연결되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장치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모터(520)와 제2무버(522)일 수 있다. 제2구동장치는, 제2모터(520)와 연결되는 수평기어(5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500)는, 가변패널(450)의 좌우방향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500)는, 가변패널(45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가변패널(450)의 좌측부와 우측부 각각에 배치되는 구동장치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동장치(500)의 구성은 가변패널의 좌측부와 우측부 각각에 배치되는 구동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구동장치(500)는, 가변패널(45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한 쌍의 제1모터(502a, 502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모터(502a, 502b) 각각은 가변패널(45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
구동장치(500)는, 한 쌍의 제1모터(502a, 502b) 각각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한 쌍의 제1무버(510a, 510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무버(510a, 510b)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무버(510a, 510b) 각각의 일측면에는 한 쌍의 제1모터(502a, 502b)와 연결되는 기어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무버(510a, 510b) 각각의 하단부에는,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되고, 가변패널(450)에 연결되는 연결돌기(512)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돌기(512)는, 제1무버(510a, 510b)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돌기(512)는 제1무버(510a, 510b)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돌기(512)는 제1커버부(452) 또는 제2커버부(460)에 배치되는 커넥터(456, 462)의 커넥팅홀(456a, 462a)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500)는, 한 쌍의 제1모터(502a, 502b) 각각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한 쌍의 제1무버(510a, 510b) 각각에 맞물리는 한 쌍의 제1기어(506a, 506b)를 포함한다.
구동장치(500)는 한 쌍의 제1모터(502a, 502b)의 배치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1모터마운터(504a, 504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모터마운터(504a, 504b)는 베이스패널(410) 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무버(522)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도 3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터(502a, 502b)는 제2무버(522)에 고정되게 배치되므로, 제1모터마운터(504a, 504b)도 제2무버(522)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구동장치(500)는, 가변패널(45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무버(522)와, 베이스패널(410)에 배치되고, 제2무버(522)를 이동시키는 제2모터(520)를 포함한다. 구동장치(500)는, 제2모터(52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수평기어(5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무버(522)는 베이스패널(41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무버(522)는, 베이스패널(41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무버(522)는, 제1무버(510a, 510b)가 장착되는 이동패널(524)을 포함한다. 이동패널(524)에는 한 쌍의 제1모터마운터(504a, 504b)가 장착된다.
이동패널(524)에는, 한 쌍의 제1무버(510a, 510b)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홈(526)이 형성된다. 제1가이드홈(526)에는, 제1무버(510a, 51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무버(510a, 510b)는 제1가이드홈(526)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패널(524)에는, 수평기어(521)와 마주하는 면에서 수평기어(521)와 맞물리는 수평래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수평기어(521)가 회전하면, 수평기어(521)는 수평래크와 맞물려 제2무버(52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제1모터(502a, 502b) 각각은, 제2무버(52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베이스패널(410)에는, 제1연통홀(412)과 제2연통홀(4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통홀(412)과 제2연통홀(414)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410)에는, 제2무버(52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42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410)에는, 제2모터(520)의 배치를 고정하는 제2모터마운터(422)가 배치된다. 제2모터마운터(422)는, 베이스패널(410)에 배치되는 제2모터(520)의 배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모터마운터(422)는, 가이드벽(4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410)에는 한 쌍의 제1무버(510a, 510b) 각각이 관통하는 관통홀(424a, 242b)이 형성된다. 제1무버(510a, 510b)는 베이스패널(410)에 형성되는 관통홀(424a, 242b)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제1무버(510a, 510b)의 상단은 베이스패널(410)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단은 베이스패널(4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410)에는, 복수의 관통홀(424a, 242b)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424a, 242b) 각각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거나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40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제1모터(302)와 제2모터(320)의 작동에 따른 가변패널(250)의 형태 변형과 위치이동을 설명한다.
가변패널(250)은, 도 40과 같이 가변패널(450)이 제1연통홀(412)과 제2연통홀(414)을 폐쇄하는 제1위치(P1)로 배치될 수 있다. 가변패널(450)은, 도 41과 같이 제1연통홀(412)과 제2연통홀(414)을 개방하는 제2위치(P2)로 배치될 수 있다. 가변패널(450)은, 도 42와 같이 제2위치(P2)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한 제3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제1위치(P1)에서 제1커버부(452)는 제1연통홀(412)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위치(P1)에서 제2커버부(460)는 제2연통홀(414)의 하측에 배치된다. 가변패널(450)은 베이스패널(410)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위치(P1)에서 가변패널(450)은 베이스패널(410)의 하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패널(450)이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실내공간의 하측에 존재하는 재실자에게 베이스패널(410)의 구성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커넥터(456, 462)의 커넥팅홀(456a, 462a) 각각은 베이스패널(41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제1무버(510a, 510b)의 하단은 베이스패널(4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제1무버(510a, 510b)의 연결돌기(512)는, 커넥팅홀(456a, 462a)의 내측에서 가변부(47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모터(502a, 502b)의 작동으로 가변패널(45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모터(502a, 502b) 각각이 작동하고, 한 쌍의 제1모터(502a, 502b)는 한 쌍의 제1기어(506a, 506b) 각각을 회전시킨다. 한 쌍의 제1기어(506a, 506b) 각각이 회전하면, 한 쌍의 제1무버(510a, 510b) 각각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1모터(502a, 502b)의 작동으로 한 쌍의 제1무버(510a, 510b)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플레이트(454)와 제2플레이트(462)의 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가변패널(45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배치가 변경될 때, 가변부(470)는, 형태가 밴딩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변패널(45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배치가 변경될 때, 한 쌍의 제1무버(510a, 510b)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는 연결돌기(512)가 베이스패널(410)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연결돌기(512)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커버부(452)와 제2커버부(460) 각각의 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은, 제1커버부(452) 또는 제2커버부(460)와 베이스패널(410) 사이에서 형성되는 사이각일 수 있다.
가변패널(45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배치가 변경될 때, 커넥팅홀(456a, 462a)에 배치되는 연결돌기(512)는 커넥팅홀(456a, 462a) 내측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가 이동할 수 있다. 연결돌기(512)는 상하로 이동하나, 커넥팅홀(456a, 462a)은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제2위치에서, 가변패널(450)은 제1연통홀(412)과 제2연통홀(414) 각각을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연통홀(412)이나 제2연통홀(414)을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제1커버부(452)와 제2커버부(260) 각각은 베이스패널(410)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제1커버부(452)와 제2커버부(260)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한 쌍의 제1무버(510a, 510b)의 하단은 베이스패널(4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모터(520)의 작동으로 가변패널(450)이 제2위치(P2)에서 제3위치(P3)로 위치가 변형될 수 있다. 제2모터(520)가 작동하며, 수평기어(521)가 수평래크와 맞물려 회전한다. 수평기어(521)의 회전으로 수평래크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수평기어(521)의 회전으로 제1무버(510a, 510b)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무버(510a, 510b)가 이동함에 따라 제2무버(522), 가변패널(450)도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4)

  1. 일측에 제1연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연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을 개폐하도록 형태가 가변되는 가변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패널의 형태가 변형되도록 상기 가변패널의 일측의 배치를 상하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가변패널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제1구동장치와,
    상기 가변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패널은, 상기 제1연통홀 또는 상기 제2연통홀의 하측에 배치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가변패널의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상기 가변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패널은,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상하방향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상하방향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커버부의 경사각을 변경하거나, 상기 커버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패널은,
    상기 제1연통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연통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경사각을 변경시키거나 상기 제1플레이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2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기어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제1패널이동판과,
    상기 제2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제2플레이트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제2패널이동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패널이동판과 상기 제2패널이동판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제1패널가이드와 상기 제2패널가이드 각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패널가이더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이동판에는, 상기 제1패널이동판의 제1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가이드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2패널이동판에는, 상기 제2패널이동판의 제2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2가이드핀이 배치되고,
    상기 패널가이더에는, 상기 제1가이드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홀과 상기 제2가이드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이동판에는, 상기 제1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패널이동판의 상기 제1회전축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3가이드핀이 배치되고,
    상기 패널가이더에는, 상기 제3가이드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홀은, 상기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가이드홀과, 상기 곡면가이드홀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가이드홀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이동판은 상기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패널이동판의 일측면에는 제1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면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기어면과, 상기 기어면의 일단과 연결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기어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면과 상기 제2기어면은 제1기어와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형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이동판에는, 상기 제2회전축에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둘레면에서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패널이동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패널이동판의 하측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변패널과 연결되는 무빙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모터는, 상기 무빙패널의 상측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패널은
    상기 제1연통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1패널기어를 포함하는 제1가변패널과;
    상기 제2연통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2패널기어를 포함하는 제2가변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제1무버;
    상기 제1무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1패널기어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1기어;
    상기 제1무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2패널기어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모터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어는, 상기 모터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제1무버와 상기 제1패널기어 각각에 맞물리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는, 상기 모터기어와 상기 제1무버 각각에 맞물리는 제1이너기어와, 상기 제1패널기어와 맞물리는 제1아우터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너기어와 상기 제1아우터기어는 동일한 회전축을 따라 함께 회전하는 공기조화기.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버는,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1기어면을 형성하는 제1수직바와, 상기 제1수직바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바와, 상기 제1수직바와 상기 제2수직바를 연결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가변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무버와, 상기 베이스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제2무버를 이동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가변패널에 의하여, 동시에 개폐되거나 함께 개폐되는 공기조화기.
  24. 일측에 제1연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연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을 개폐하도록 형태가 가변되는 가변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패널의 형태가 변형되도록 상기 가변패널의 일측의 배치를 상하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패널에는,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면이 형성되는 패널이동판이 배치되고,
    상기 기어면은, 상기 모터가 작동할 때, 상기 가변패널의 형태가 가변되거나 상기 가변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공기조화기.
KR1020220128431A 2022-10-07 2022-10-07 공기조화기 KR20240048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431A KR20240048745A (ko) 2022-10-07 2022-10-07 공기조화기
CN202311253013.5A CN117847762A (zh) 2022-10-07 2023-09-26 空调机
US18/374,105 US20240117990A1 (en) 2022-10-07 2023-09-28 Air conditioner
EP23201105.6A EP4350225A1 (en) 2022-10-07 2023-10-02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431A KR20240048745A (ko) 2022-10-07 2022-10-0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745A true KR20240048745A (ko) 2024-04-16

Family

ID=8823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431A KR20240048745A (ko) 2022-10-07 2022-10-0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17990A1 (ko)
EP (1) EP4350225A1 (ko)
KR (1) KR20240048745A (ko)
CN (1) CN117847762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486B1 (ko) * 2007-01-26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606006B1 (ko) * 2009-01-20 2016-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335152B1 (ko) * 2014-02-28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KR102401787B1 (ko) 2017-04-28 2022-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278184B1 (ko) * 2017-12-21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17990A1 (en) 2024-04-11
EP4350225A1 (en) 2024-04-10
CN117847762A (zh) 202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64870B (zh) 空调机
KR101273595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CN104515203A (zh) 嵌入式空气调节器的室内机
KR10074898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MXPA06005765A (es) Unidad interior en aire acondicionado.
CN104515201A (zh) 嵌入式空气调节器的室内机
KR20240048745A (ko) 공기조화기
KR20240048746A (ko) 공기조화기
KR20240048747A (ko) 공기조화기
JP4713658B2 (ja) 空気調和機
KR20240048744A (ko) 공기조화기
JP2022180317A (ja) 空気処理装置
KR20060087159A (ko) 공기조화기용 수직블레이드 회전각도 제어구조
CN218442525U (zh) 一种可拼接挡风装置
KR102587028B1 (ko) 공기처리장치
CN210861368U (zh) 空调器
CN109724166A (zh) 窗式空调器的风道组件及窗式空调器
KR102550361B1 (ko) 공기처리장치
AU767079B2 (en) Air duct connector construction
CN213747279U (zh) 空调室内机的移动模块及空调室内机
KR20180089784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451314B1 (ko) 공기조화기
KR20210154029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2021015403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GB2623488A (en) Rollable bl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