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030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030A
KR20210154030A KR1020200071128A KR20200071128A KR20210154030A KR 20210154030 A KR20210154030 A KR 20210154030A KR 1020200071128 A KR1020200071128 A KR 1020200071128A KR 20200071128 A KR20200071128 A KR 20200071128A KR 20210154030 A KR20210154030 A KR 20210154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link
curvature
dispos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동
최석호
남성현
김학재
사공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4030A/ko
Priority to US18/008,806 priority patent/US20230204251A1/en
Priority to EP21821354.4A priority patent/EP4166856A4/en
Priority to PCT/KR2021/007212 priority patent/WO2021251751A1/ko
Publication of KR20210154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토출구를 구비한 케이스, 토출구에 배치된 제1베인, 토출구에 배치되되 제1베인보다 후방에 배치된 제2베인, 토출구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1베인 또는 제2베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고 일 단이 제1베인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제2베인과 연결된 구동링크, 일 단이 케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베인의 길이방향 단부에 연결된 제1베인링크를 포함하고, 제1베인은 공기토출방향과 수직하는 면 상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곡률을 포함하여, 이중베인구조에서 제1베인의 중앙부의 자중에 의한 처짐에 대응하여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하고, 이중베인구조에서 제3베인링크를 설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비틀림에 대응하여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에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한다.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벽에 매달려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배치되며, 토출구에는 토출베인이 설치된다.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일 측 벽에 배치되어, 타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송풍한다.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베인을 포함하며, 베인을 이동시켜 공기토출방향을 다양하게 변화시킨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베인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에 배치된다. 토출구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베인은 토출구에 알맞게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베인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회전축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따라 베인이 회전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베인은 통전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고, 비통전시 토출구를 차폐한다. 베인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비통전시 토출구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토출구의 사방을 덮는다. 따라서, 베인은 비통전시에 토출구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베인은 길이가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중앙부는 자중에 의하여 처질 우려가 있다. 베인이 자중에 의하여 처지는 경우, 비통전시에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물질이 공기조화기 내부로 침입하여 결로를 발생시키거나 세균오염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베인의 중앙부에 보조링크를 추가로 배치하여,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한다. 보조링크는 일 측이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 측이 베인과 힌지결합되는 바, 모터의 구동력으로 베인을 회전시킬 때, 베인의 중앙에서 베인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보조링크는 그 자체로 구동할 수 없고, 베인의 회전시 보조링크는 저항으로 작용하며, 보조링크와의 연결부에 마찰력이 존재하는 경우, 보조링크쪽에서 회전되는 변위는 구동부쪽에서 회전되는 변위보다 작고, 이에 따라 비틀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비통전시에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하지 않고, 이물질이 공기조화기 내부로 침입하여 결로를 발생시키거나 세균오염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 중에는 베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베인의 폭을 증가시키는 공기조화기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베인의 수를 복수로 한다. 제1베인과 제2베인은 서로 연계되어 구동되며, 통전시에는 제1베인은 제2베인보다 전방으로 더욱 이동하여, 제1베인과 제2베인이 전후로 배치된다.
하지만, 제1베인은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이 혼합된 운동을 하므로, 보조링크구조를 적용시킬 경우에는 보조링크는 상기 종래기술과는 달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그 결과, 보조링크쪽과 구동부쪽에서 발생하는 변위의 차이는 보다 커지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제1베인의 비틀림은 보다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중베인 구조에 있어서, 베인의 중앙에 보조링크를 설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비틀림에 대응하여, 비통전시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하는 베인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자중에 의한 처짐에 대응하여, 비통전시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하는 베인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토출구를 구비한 케이스, 토출구에 배치된 제1베인, 토출구에 배치되되 제1베인보다 후방에 배치된 제2베인, 토출구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1베인 또는 제2베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고 일 단이 제1베인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제2베인과 연결된 구동링크, 일 단이 케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베인의 길이방향 단부에 연결된 제1베인링크를 포함하고, 제1베인은 공기토출방향과 수직하는 면 상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곡률을 포함한다.
제1곡률은 제1베인이 토출구를 차폐할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곡률은 제1베인의 후단에 형성되고, 제1베인은 제1곡률의 곡률반경과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제2곡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인은 제1곡률의 형성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3곡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일 단이 케이스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제1베인에 연결되되, 제1베인링크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제3베인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이중베인 중 제1베인은 토출구를 차폐할 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곡률을 포함하는 바, 제1베인이 자중에 의해 처져 변형되더라도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1베인은 토출구를 차폐할 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곡률을 포함하는 바, 제1베인의 중앙부에 제3베인링크가 설치됨에 따라 제1베인의 중앙부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제1베인이 변형되더라도,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제1베인은 제1곡률을 포함하는 바, 상기 처짐이나 비틀림에 저항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제1베인은 전단에 형성된 제1곡률과 후단에 형성된 제2곡률을 포함하여, 제3베인링크가 제1베인의 후방부에 치우처져 배치되더라도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비통전시 제1베인이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하는 바, 통전시 이중베인의 회전범위를 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토출구와 이중베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수직토출모드에서 이중베인의 위치를 도시한 좌측 단면도,
도 3은 제1베인이 최대 회전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 단면도,
도 4는 수평토출모드에서 이중베인이 위치를 도시한 좌측 단면도,
도 5는 비통전시 이중베인의 위치를 도시한 좌측 단면도,
도 6은 구동링크의 정면도,
도 7은 제1베인링크의 정면도,
도 8은 제2베인링크의 정면도,
도 9는 제1베인을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제2베인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제1베인을 좌측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는 제1베인의 저면도와 각 단면에서 바라본 좌측 단면도,
도 13은 제1베인의 좌측면도,
도 14는 제1베인을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케이스(100), 열교환기(미도시), 송풍팬(미도시) 및 베인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은 흡입구(미도시)와 토출구(101)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미도시)는 공기는 흡입구(미도시)를 통하여 흡입된 후, 내부 공기 유동유로를 거쳐, 토출구(101)를 통해 토출된다.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기(미도시)를 거친다. 상기 열교환기(미도시)는 케이스(1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전달을 통해 열을 교환하여 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 시킨다. 송풍팬(미도시)은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가 내부를 유동하도록 하며, 열교환기(미도시)를 거쳐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벽에 매달려 설치되는 케이스(100)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일 수 있다. 이 경우, 흡입구(미도시)는 케이스(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101)는 케이스(100)의 전방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미도시) 및 토출구(101)은 각각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는 전면에서 바라볼 때, 옆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토출구(101)에는 토출 공기의 토출 유동을 안내하는 베인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토출구(101)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토출구(101)의 내부에서 외부로 걸쳐서 배치될 수 있으며, 토출구(101)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인은 실내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토출구(101)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101)는 전체적인 형상이 옆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베인이 토출구(101)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토출구(101)의 내부에서 외부로 걸쳐서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인의 너비가 상기 토출구(101)의 너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그러나 베인이 토출구(101)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베인의 길이방향 너비가 토출구(101)의 길이방향 너비보다 클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인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이 배치된 경우, 토출구(101) 내부에, 내부에서 외부로 걸쳐서 또는 외부에 각각 서로 동일하게 또는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베인은 길이방향 폭 또는 너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인은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베인이 두 개가 배치된 경우를 이하 듀얼 베인이라고 정의한다. 이 때, 하나의 베인은 길이방향 너비 또는 폭이 나머지 하나의 베인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두개의 베인은 토출구(101)의 공기 토출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전후방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베인이 주된 베인이고, 나머지 하나의 베인은 보조 베인일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베인과 나머지 하나의 베인이 모두 또는 각자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베인과 나머지 베인이 모두 또는 각자 무게중심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두개의 베인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도록 제어되거나, 서로 종속적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나의 베인은 제1베인(340), 상기 나머지 하나의 베인은 제2베인(350)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10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베인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모듈(300)은 베인모터(200), 구동링크(310), 제1베인링크바디(321), 제2베인링크(330), 제1베인(340) 및 제2베인(3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베인모듈(300)은 상기 케이스(100)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200)는 한 개가 배치될 수 있고, 두개 이상의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한 개가 배치될 경우, 양 내측면 측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두개가 배치될 경우 상기 케이스(100)의 양 내측면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200)는 스텝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모터(200)는 상기 구동링크(310)의 코어바디축(312)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링크(31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는 베인모터(20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와 일치한다.
베인모터(200)는 제1베인(340) 또는 제2베인(350)의 일 측방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베인모터(200)는 길게 형성된 토출구(101)의 길이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01)의 외측에 배치된 베인모터(200)의 샤프트가 토출구(101)의 일 단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는 토출구(101)의 내측에 배치된 제1베인(340) 또는 제2베인(350)을 운동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인모듈(300)은 상기 베인모터(2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링크(3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링크(310)는 베인모터(200)의 샤프트와 결합한다. 구동링크(310)는 코어바디(311), 제1구동링크바디(313), 제2구동링크바디(318)로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링크(310)는 상기 케이스(100)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코어바디축(312)을 포함하는 코어바디(3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링크(310)는 상기 코어바디(311)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구동링크바디(3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링크(310)는 상기 코어바디(311)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구동링크바디(318)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바디축(312)은 상기 베인모터(2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고, 전달된 구동력을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313)와 상기 제2구동링크바디(318)에 직접 전달한다.
상기 베인모듈(300)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1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인링크바디(32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인모듈(300)은 일단이 상기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베인링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링크바디(321)는 상기 토출구(101)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토출구(101)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곡률을 가진 굴곡진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제1베인링크바디(321)는 상기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코어바디(311)는 베인모터(200)의 샤프트에 결합된다. 코어바디(311)는 토출구(101)의 일 측벽을 사이에 두고 베인모터(200)와 대향한다. 코어바디(311)는 코어바디축(312)을 구비한다. 코어바디(311)가 베인모터(200)의 샤프트에 결합된 경우, 코어바디의 코어바디축(312)과 샤프트는 중첩된다.
코어바디(311)에서 한 방향으로 제1구동링크바디(313)가 연장된다. 코어바디(311)에서 다른 한 방향으로 제2구동링크바디(318)가 연장된다. 제2구동링크바디(318)는 제1구동링크바디(313)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구동링크바디(313)는 베인모터(200)의 구동력을 제1베인(340)에 전달하여, 제1베인(340)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일 단은 코어바디(311)에 결합된다. 또는, 제1구동링크바디(313)는 코어바디(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링크바디(313)는 코어바디(311)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타 단은 제1베인(340)과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타 단은 제1베인(340)의 제1베인리브(344)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타 단은 제1베인리브(344)의 제1-1베인축(342)과 연결된다.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타 단에는 제1구동링크축(317)이 형성된다. 제1구동링크바디(313)와 제1베인(340)이 체결된 경우, 제1구동링크축(317)과 제1-1베인축(342)은 중첩된다.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313)는, 일단이 상기 코어바디(311)와 연결되는 제1부재(314)와 일단이 상기 제1부재(314)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베인(34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부재(3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314)와 상기 제2부재(315) 사이에 상기 제1부재(314)와 상기 제2부재(315)를 연결하는 연결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16)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부재(314)와 제2부재(315)의 연장 형성된 방향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부재(314)와 상기 제2부재(315)가 이루는 각은 180°보다 작으며,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견디기 위해 내구성 등을 고려하면 약 90° 전후가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1부재(314)와 상기 제2부재(315)가 이루는 각은 상기 연결부(316)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부재(314)의 무게중심을 잇는 직선과 상기 연결부(316)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부재(315)의 무게중심을 잇는 직선 사이의 끼임각일 수 있으며, 또는 제1부재(314)의 접선 및 제2부재(315)의 접선 사이의 끼임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316)와 상기 제1부재(314) 및 상기 제2부재(315)의 각각의 무게중심은 모두 상기 코어바디축(312)과 수직인 평면상에 존재할 수 있다.
제2구동링크바디(318)는 베인모터(200)의 구동력을 제2베인(350)에 전달하여, 제2베인(350)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일 단은 코어바디(311)에 결합된다. 또는, 제2구동링크바디(318)는 코어바디(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링크바디(318)는 코어바디(311)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타 단은 제2베인(350)과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타 단은 제2베인링크(330)의 일 단에 연결되고, 제2베인링크(330)의 타 단은 제2베인(350)의 제2베인리브(354)에 연결된다.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타 단에는 제2구동링크축(319)이 형성된다.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제2베인링크가 체결된 경우, 제2구동링크축(319)과 제2-2베인링크축(333)은 중첩된다.
제2구동링크바디(318)는 제1구동링크바디(313)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길이는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코어바디(311)에서 제1부재(314)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코어바디(311)에서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코어바디(311)에서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코어바디(311)에서 제2베인(350)과 케이스(100)의 연결점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코어바디(311)에서 제2구동링크축(319)까지의 거리는, 코어바디(311)에서 제2-1베인축(352)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구동링크(310)가 회전하는 경우에, 제2베인(350)과 충돌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고, 제2베인(350)의 회전반경을 제1베인(340)의 회전반경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100)는 링크설치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인모듈(3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링크설치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링크바디(321), 상기 구동링크(310) 및 상기 제2베인(350)은 각각은 링크설치부(110)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설치부(110)는 상기 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0)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링크설치부(110)가 상기 케이스(100)와 별도로 형성될 경우,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상기 링크설치부(110)를 분리할 때 상기 베인모듈(300) 또한 한번에 분리될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분리 교체 또한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100)는 케이스(100) 내측에 상기 베인모터(200)가 결합되는 베인모터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가 상기 링크설치부(11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베인모터결합부(120)는 상기 링크설치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결합부(120)는 베인모터(200)가 회전할 때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베인모터결합부(120)는 링크설치부(110)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링크설치부(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베인모터결합부(120)가 링크설치부(110)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구동링크(310)가 베인모터(2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상기 링크설치부(110)에 베인모터(200)의 축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200)는 스텝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모터(200)는 상기 구동링크(310)의 코어바디축(312)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링크(31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는 베인모터(20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와 일치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베인(350)은 제2-1베인축(3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베인축(352)은 링크설치부(11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베인링크바디(321)는 일단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코어바디(311)의 코어바디축(312)은 상기 제2-1베인축(352)과 상기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설치부(11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링크설치부(110)에, 전방에 제2-1베인축(352)이 배치되고, 후방에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일단이 배치되며, 상기 제2-1베인축(352)과 상기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일단의 사이에 상기 코어바디축(312)이 배치된다. 즉, 전면에서 바라볼 때,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일단, 코어바디축(312), 제2-1베인축(352)이 순서대로 보이도록 링크설치부(110)에 결합된다.
또한, 제2베인링크(330)는,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베인링크축(333)과 제2베인(350)과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베인링크축(332)을 포함한다.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은 제2베인링크(330)의 일 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2-1베인링크축(332)은 상기 제2베인링크(330)의 타단에 각각 배치된다. 베인모터(200)가 작동하고 구동링크(310)가 회전시, 상기 구동링크(310)의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은, 구동링크(310)의 코어바디축(31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베인(350)의 제2-1베인축(352)은 링크설치부(110)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링크(310)가 회전을 하면서,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제2베인(350)이 서로 접촉하여 회전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과 상기 제2-1베인축(352)은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제2-2베인링크축(333)과 제2-1베인축(352)이 최단거리가 되도록 위치되어 서로 접했을 때의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과 상기 제2-1베인축(352)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인링크(330)는, 도 8을 참조하면, 구동링크(3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베인(350)과의 접촉 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베인(340)은 회전을 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토출구(101)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이때 토출구(101)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베인(340)이 회전하는 방향을 제1회전방향(R1)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회전방향(R1)은 도2를 참조할 때, 반시계방향이다.
상기 제1베인(340)이 상기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베인(340)의 적어도 일부는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연결부(316)와 가까워진다.
상기 제1베인(340)은, 도 9를 참조하면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토출공기가 베인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이 제1베인 전단(345)이고, 토출공기가 베인에 가까워지는 측이 제1베인 후단(346)이다. 상기 제1베인(340)이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베인(340)의 후단이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연결부(316)와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제2부재(315)의 타 단에 배치된 회전축은 상기 제1베인(340)의 제1-1베인축(342)과 일치할 수 있다. 코어바디(311)에 배치된 축 과 코어바디축(312)의 중심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제2부재(315)의 타 단에 배치된 회전축은 코어바디축(312)과 직선을 형성한다. 상기 제1베인(340)이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베인(340)의 후단은 상기 직선을 지나 상기 연결부(316)과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제1베인(340)이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베인(340)의 후단은 상기 연결부(316)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1베인(340)은 더 이상 제1회전방향(R1)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316)는 제1베인(340)의 최대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313)는 굴곡진 형상일 수 있고, 절곡된 형상일 수도 있다. 이때,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연결부(316)는, 제1베인(340)이 최대 회전범위로 회전했을 때의 제1베인(340)의 후단과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토출구(101)가 개방될 때, 제1베인(340)은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고, 구동링크(310)는 제2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회전방향(R2)은 상기 제1회전방향(R1)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제2부재(315)는 연결부(316)로부터 상기 제2회전방향(R2)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베인(340)의 회전범위는, 실내기가 정지하여 상기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폐쇄한 상태에서의 제1베인(340) 각도를 기준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베인(340)의 최대 회전각도(Amax)는 15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40°일 수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베인모듈(300)은 상기 토출구(101) 측에 배치되는 제1베인(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베인(340)은 통전시에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고, 비통전시에 토출구(101)를 차폐한다.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하는 것이라 함은, 제1베인(340)의 상면이 토출구(101)에 밀착하여, 토출구(101)를 실내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토출구(101)를 외부로부터 가린다.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하는 경우, 비통전시 이물질이 토출구(101)를 통해 내부로 침입하여, 공기조화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베인(340)은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313)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타단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베인(340)은 제1베인바디(3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바디(341)는 토출구(10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제1베인(340)의 방향을 정의한다.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제1베인(340)의 안내를 받아 공기가 토출되는 쪽이 전방이다. 제1베인(340)의 안내를 받기 전의 공기가 유입되는 측이 후방이다. 수평토출모드를 기준으로, 제1베인(340)의 상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면을 상면이라 한다. 상면에 대향하고, 제1베인(340)의 하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면을 하면이라 한다. 공기조화기를 바라볼 때, 제1베인(340)의 왼쪽을 좌측이라 하고, 제1베인(340)의 우측을 우측이라 한다.
제1베인(340)은 상기 전방과 상기 후방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폭을 형성한다. 전체적으로 토출구(101)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베인(340)의 폭은 전단과 후단 사이의 거리로 설명할 수 있다. 제1베인(340)의 길이는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거리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제1베인(340)은,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 제1베인리브(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리브(344)는 제1베인(340)의 상면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리브(344)에는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제1구동링크축(317)과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베인축(342)이 형성된다. 제1구동링크바디(313)가 제1베인(340)에 연결될 때, 제1구동링크축(317)과 제1-1베인축(342)은 중첩된다.
상기 제1베인리브(344)에는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제1-1베인링크축(322)과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베인축(343)이 형성된다. 제1베인리브(344)가 제1베인(340)에 연결될 때, 제1-1베인링크축(322)과 제1-2베인축(343)은 중첩된다.
또한, 상기 제1베인리브(344)에서 상기 제1-1베인축(342)은 제1베인(340)의 후단측, 상기 제1-2베인축(343)은 제1베인(340)의 전단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1베인축(342)은 제1-2베인축(343)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구동링크(31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은,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제2부재(315)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재(315)의 일 단과 상기 제1-1베인축(34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1베인축(342)과 상기 제1-2베인축(343)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구동링크바디(313)에서 제2부재(315)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기울기의 접선이 형성되는 지점들 중, 제1-1베인축(342)과 더 먼 지점으로부터 제1-1베인축(342) 중심과의 거리가, 제1-1베인축(342) 중심과 제1-2베인축(343)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는 제1베인(340)의 폐쇄단계에서 제1베인(340)은 상기 제1회전방향(R1)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링크(310)는 상기 제2회전방향(R2)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일부가 상기 제1베인리브(344)의 제1-1베인축(342) 과 제1-2베인축(343)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제1베인(340)과 구동링크(310)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제1베인(340)의 회전범위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결부(316)와 제1구동링크축(317)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1베인축(342)과 상기 제1-2베인축(343)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제1베인(340)이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토출구(101)를 차폐할 때, 제2부재가 제1-1베인축(342)과 제1-2베인축(343)사이에 배치된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에 배치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베인(340)의 상면은 제1베인(340)이 토출구를 차폐할 때, 내측인 공기유입방향 상에 배치되는 면이다. 제1베인(340)의 하면은 제1베인(340)이 토출구를 차폐할 때, 외측인 공기토출방향 상에 배치되는 면이다. 제1베인(340)의 전방면은 제1베인(340)이 토출구를 차폐할 때, 토출구의 상단에 배치되는 면이다. 제1베인(340)의 후방면은 제1베인(340) 중 가장 먼저 토출공기와 접촉한다. 제1베인(340)의 후방면은 제1베인(340)의 토출구를 차폐할 때, 토출구의 하단에 배치되는 면이다. 제1베인(340)의 후방면은 전방면에 대향한다. 제1베인(340)은 토출구의 좌측단에 배치되는 좌측면을 갖는다. 제1베인(340)은 좌측면에 대향하는 우측면을 갖는다. 제1베인(340)의 우측면은 토출구의 우측단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토출구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제1베인(34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은 상면 또는 하면에 곡률(C,Curvature)을 포함한다. 제1베인(340)은 상면 또는 하면에 이중으로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의 길이방향으로 상면 또는 하면에 제1,2곡률(c1,c2)을 포함한다. 제1,2곡률(c1,c2)은 토출구(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1베인(340)은 제1,2곡률(c1,c2)을 포함하는 바, 제1베인(340)의 양 측단과 제1베인(340)의 중앙은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공기조화기가 가동하는 경우에는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를 차폐하지 않으며, 제1베인(340)의 양 측단과 제1베인(340)의 중앙은 다른 높이를 가지며 배치되고, 토출공기를 안내한다.
공기조화기가 정지한 경우에는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를 차폐하며, 자중에 의하여 제1베인(340)의 중앙은 하방으로 처진다. 제1,2곡률(c1,c2)을 갖는 제1베인이 변형됨에 따른 복원력과 자중에 의한 하중이 일치하는 경우, 제1베인(340)은 평평한 평판으로 되어 토출구(101)를 긴밀히 차폐한다.
제1베인(340)은 제1,2곡률(c1,c2)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면 또는 하면에 제3곡률(c3)을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곡률(c1)과 제2곡률(c2)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3곡률(c3)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곡률(c1)은 제1베인의 전단(345)에서 좌우로 형성되고, 제2곡률(c2)은 제1베인의 후단(346)에서 좌우로 형성되는 바, 제1곡률(c1)과 제2곡률(c2)은 서로 평행한다. 하지만, 제3곡률(c3)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바, 제1곡률(c1)과 서로 교차하고, 제2곡률(c1)과도 교차한다.
제1베인(340)은 제1,2곡률(c1,c2)과 제3곡률(c3)이 이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제1,2곡률(c1,c2)과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3곡률(c3)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제1,2곡률(c1,c2)과 제3곡률(c3)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베인(340)에 동시에 구비되는 바, 변형에 보다 강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제1베인(340)의 각 위치별로 좌측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12는 A, B, C 위치에서 우측을 바라본 단면도를 제공하며, 도 9의 A, B, C 위치와 동일하다. A-A'에서 우측을 바라본 단면도를 참조하면, 제1,2곡률(c1,c2)이 형성되어, 제1베인(340)의 바디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부(349)는 A-A'의 단면의 위쪽에 배치된다. B-B'에서 우측을 바라본 단면도를 참조하면, 제1베인(340)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우측단(348)이 중앙부(349)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C-C'에서 좌측을 바라본 단면도를 참조하면, 우측단(348)은 C-C' 단면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B위치에 배치된 중앙부(349)를 중심으로, 좌측단(347)에서 중앙부(349) 좌측까지는 제1베인(340)의 바디가 상승하는 경사를 가지고, 중앙부(349)의 우측부터 우측단(348)까지는 제1베인(340)의 바디가 하강하는 경사를 갖는다.
제1베인(340)은, 공기토출방향과 수직하는 면 상에 형성되고, 토출구(10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곡률(c1)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도록 제1곡률(c1)을 갖는다. 이때에는 제1곡률중심(e1)은 제1베인(340)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1곡률(c1)은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할 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할 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은 제1베인(340)의 하면에 해당하고, 제1곡률(c1)은 하면이 오목하도록 제1곡률(c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곡률(c1)은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제1베인(340)은 양 측단(347,348)에서 지지되며, 제1베인의 중앙부(349)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진다. 따라서,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하는 경우, 제1베인의 중앙부(349)는 하방으로 처지는 바, 토출구(101)의 중앙이 긴밀히 차폐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제1베인(340)의 내측에서 제1베인(340)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3베인링크(360)가 배치되는 경우, 제1베인(340)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제3베인링크(360)에 의하여 저항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1베인(340)이 이동시, 제1베인의 중앙부(349)는 제1베인링크가 연결된 제1베인의 양단의 회전각도보다 적은 각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변위차이 만큼 제1베인의 중앙부(349)에는 비틀림이 발생한다. 그 결과,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하는 경우, 상기 비틀림에 의하여, 토출구(101)의 중앙이 긴밀히 차폐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1베인(340)이 토출구를 차폐하는 경우, 제1베인(340)의 자중에 의한 처짐 또는 제3베인링크(360)에 의한 비틀림으로 중앙부가 긴밀하게 차폐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곡률(c1,c2)은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하여, 제1베인(340)의 자중에 의한 처짐 또는 제3베인링크(360)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를 긴밀하게 차폐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곡률(c1)은 제1베인(340)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 제1베인(340)은 제1베인(340)의 후단에 제2곡률(c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곡률(c2)은 제1베인(340)의 후단에 형성되고, 제1곡률(c1)의 제1곡률반경(d1)과 다른 제2곡률반경(d2)을 갖는다. 제1곡률반경(d1)은 제2곡률반경(d2)보다 짧게 형성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베인의 중앙부(349)의 전단은 좌측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된다. 제1베인의 중앙부(349)의 전단은 좌측단보다 x1만큼 위쪽으로, 다시 x1만큼 왼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x1값은 약 3.5mm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베인의 중앙부(349)의 후단은 좌측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된다. 제1베인의 중앙부(349)의 후단은 좌측단보다 x2만큼 위쪽으로, 다시 x2만큼 왼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x1값과 비교할 때, 상기 x2값은 약 3.4mm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x1값은 x2값보다 크고, 따라서 제1베인의 중앙부(349)의 전단은 제1베인의 중앙부(349)의 후단보다 상방으로 더욱 돌출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1곡률반경(d1)은 제2곡률반경(d2)보다 더 짧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1곡률중심(e1)은 제2곡률중심(e2)보다 제1베인(340)에 더욱 가까이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곡률반경(d1)은 제2곡률반경(d2)보다 짧게 형성되는 바, 제1베인(340)의 전단은 제1베인(340)의 후단보다 급격한 굴곡을 갖는다. 제3베인링크(360)는 제1베인(340)의 후반부에 배치되는 바, 제3베인링크(360)에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베인(340)의 후단보다 제1베인(340)의 전단에서 변형되는 정도가 더욱 극명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제1곡률반경(c1)을 제2곡률반경(c2)보다 짧게 형성하여, 제3베인링크(360)에 의하여 비틀림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1베인(340)의 전단과 후단이 평행이 되도록 하여, 토출구(101)를 긴밀하게 차폐한다.
제1곡률(c1)의 곡률중심(e1)과 제2곡률(c2)의 곡률중심(e2)은 일치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은 제1곡률(c1)의 형성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3곡률(c3)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3곡률(c3)은 토출구(101)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도 13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도록 제3곡률(c3)을 갖는다. 이때에는 제3곡률중심(e3)은 제1베인(340)의 상방에 배치된다.
제3곡률(c3)은 제1곡률(c1)의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곡률(c3)은 토출구(101)의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형성된다.
제3곡률(c3)은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할 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할 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이라 함은 제1베인(340)의 하방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제3곡률(c3)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제3곡률(c3)의 곡률중심(e3)은 제1베인(340)을 기준으로, 제1곡률의 곡률중심(e1)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제1곡률의 곡률중심(e1)은 제1베인(340)의 하방에 위치하고, 제3곡률의 곡률중심(e3)은 제1베인(340)의 상방에 위치한다.
제1곡률(c1)과 제3곡률(c3)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 외부의 충격과 변형에 강한 효과가 있다.
제1곡률(c1)과 제3곡률(c3)은 제1베인(340)을 기준으로 곡률중심이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바, 충격과 변형에 강한 효과가 있다.
제1베인링크(320)는 제1베인(34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베인링크(320)는 구동링크(310)와 함께 제1베인(340)의 움직임을 안내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베인링크(320)의 일 단은 케이스(100)와 연결되고, 타 단은 제1베인(340)에 연결된다. 제1베인링크(320)는 케이스(100)와의 연결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제1베인링크(320)와 케이스(100)와의 연결점은 제1-2베인링크축(323)으로 정의한다. 제1베인(340)은 제1-2베인링크축(323)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베인링크(320)는 제1베인링크바디(321)를 포함한다. 제1베인링크바디(321)는 제1베인링크(320)의 외형을 형성한다.
제1베인링크바디(321)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베인링크바디(321)는 구동링크(310)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링크(310)가 회전시 제1베인링크바디(321)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베인링크(320)는 제1-2베인링크축(323)을 포함한다. 제1-2베인링크축(323)은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일 단에 배치된다. 제1-2베인링크축(323)은 제1베인링크(320)와 케이스(100)와의 연결점과 일치한다.
제1베인링크(320)는 제1-1베인링크축(322)을 포함한다. 제1-1베인링크축(322)은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타 단에 배치된다. 제1-1베인링크축(322)은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과의 연결점과 일치한다. 즉,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이 연결할 때, 제1-1베인링크축(322)과 제1-2베인축(343)은 중첩된다.
제1베인링크(320)는 구동링크(310)의 전방에 배치된다. 구동링크(310)가 일 방향으로 회전시, 제1베인링크(320)는 회전하면서 제1베인(340)을 전방으로 안내한다.
공기조화기는 일 단이 케이스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제1베인(340)의 상면에 연결되되, 제1베인링크(320)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제3베인링크(360)를 더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3베인링크(360)의 일 단은 토출구(10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베인링크(360)는 제1베인(340)의 좌측단에 체결되는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의 우측단에 체결되는 제1베인링크(320) 사이에 배치된다. 제3베인링크(360)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베인링크(360)는 제1베인링크(3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베인(340)의 중앙부(349)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한다.
하지만, 제3베인링크(360)는 제1베인(340)이 회전시 비틀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베인링크(360)와 케이스의 연결점에서 마찰력이 존재하는 경우, 제1베인(340) 회전시 제3베인링크(360)가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3베인링크(360)가 연결된 제1베인의 중앙부(349)는 제1베인링크(320)가 연결된 제1베인의 좌측단(347) 또는 우측단(348)보다 적게 이동한다. 상기 이동변위의 차이로 인하여 비틀림이 발생한다.
제3베인링크(36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은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3베인링크(36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은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축을 상이하게 하여 제1베인(340)을 진동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제1베인(340)의 중앙부(349)는 제1곡률(c1)에 의하여 상방으로 소정거리만큼 돌출되는 바, 제3베인링크(36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은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보다 상방에 배치되며, 제1베인(340)이 회전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과 제1베인링크(320)의 연결점은 제1베인(340)과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연결점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베인(340)과 제1베인링크(320)의 연결점은 제1베인(340)의 후단에 배치된다. 제1베인(340)과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연결점은 제1베인(340)과 제1베인링크(320)의 연결점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1베인(340)과 제1베인링크(320)의 연결점은 제1베인(340)과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연결점과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구동링크(310)가 회전시 제1베인(340)은 회전운동과 함께 병진운동도 가능해진다. 하지만, 병진운동을 하게 되면, 비틀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3베인링크(360)가 제1베인(340)의 회전운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없다. 따라서, 제1베인(340)에 제1곡률(c1) 또는 제2곡률(c2)을 형성하여 제1베인(340)의 비틀림에 의한 변형에도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의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의 제1직선(L1)은 제1베인(340)의 중앙부의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의 제2직선(L2)과 서로 교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직선(L1)과 제2직선(L2)은 제1베인(340)의 후방에서 서로 교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의 좌측단(347)의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의 제1직선(L1)은 제1베인(340)의 중앙부의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의 제2직선(L2)과 서로 교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직선(L1)과 제2직선(L2)은 제1베인(340)의 후방에서 서로 교차한다. 다시 말해, 교점(e4)을 중심으로, 제2직선(L2)의 기울기는 제1직선(L1)의 기울기보다 급격하다. 제3베인링크(360)는 측방에서 볼 때 제1베인(340)의 후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3베인링크(360)에의하여 비틀림이 발생하면, 제1베인(340)의 후단의 변형량보다 전단의 변형량이 훨씬 커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비틀림이 발생하는 경우, 제2직선(L2)의 전방은 후방보다 많이 변형되고, 제2직선(L2)은 제1직선(L1)과 중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제1베인(340)은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할 수 있다.
제3베인링크(360)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거리는, 제1베인링크(320)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베인링크(36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은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제3베인링크(360)의 길이를 제1베인링크(320)보다 짧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베인(340)과 함께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베인모듈(300)은 상기 토출구(101) 측에 배치되고,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베인(340)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베인(3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베인(350)은 상기 제2베인링크(330)의 타단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인(350)은 상기 케이스(1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제2베인(350)의 방향을 정의한다.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제2베인(350)의 안내를 받아 공기가 토출되는 쪽이 전방이다. 제2베인(350)의 안내를 받기 전의 공기가 유입되는 측이 후방이다. 즉,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의 후방에 배치된다. 수평토출모드를 기준으로, 제2베인(350)의 상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면을 상면이라 한다. 상면에 대향하고, 제2베인(350)의 하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면을 하면이라 한다. 공기조화기를 바라볼 때, 제2베인(350)의 왼쪽을 좌측이라 하고, 제2베인(350)의 우측을 우측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베인(350)은 제2베인바디(351)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베인바디(351)는 토출구(10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토출 공기가 토출되는 측이 전방이고 토출 공기가 유입되는 측이 후방이다. 제2베인(350)은 상기 전방과 상기 후방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폭을 형성한다. 전체적으로 토출구(101)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2베인(350)의 폭은 전단과 후단 사이의 거리로 설명할 수 있다. 제2베인(350)의 길이는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거리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제2베인(350)은, 제2베인(350)의 돌출 형성된 제2베인리브(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인리브(354)는 제2베인(35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베인리브(354)는 제2베인(35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베인리브(354)에는 링크설치부(110)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1베인축(3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인리브(354)에는 제2베인링크(330)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베인축(35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인리브(354)에서, 상기 제2-1베인축(352)은 상기 제2-2베인축(353)보다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베인리브(354)는 제1베인리브(344)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베인리브(344)가 제1베인(340)의 상면에 배치된 경우, 제2베인리브(354)는 제2베인(350)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2베인리브(354)에는 제2베인링크(330)가 연결된다. 제2베인리브(354)에는 제2베인링크(330)가 연결되는 경우, 제2베인링크(350)의 제2-2베인축(353)과 제2베인링크(330)의 제2-1베인링크축(332)은 중첩된다.
제2베인리브(354)는 케이스(100)의 일 측에 연결된다. 제2베인(350)은 제2베인리브(354)와 케이스(100)가 연결된 연결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제2베인링크(330)와 제2베인리브(354)의 연결점은 케이스(100)와 제2베인리브(354)의 연결점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즉, 제2-1베인축(352)은 제2-2베인축(353)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2베인링크(330)와 제2베인리브(354)의 연결점은 케이스(100)와 제2베인리브(354)의 연결점보다 제2베인(350)에서 더 가깝게 배치된다. 즉, 제2-1베인축(352)은 제2-2베인축(353)보다 제2베인(35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제2베인링크(330)는 구동링크(310)와 함께 제2베인(35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베인링크(330)의 일 단은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연결되고, 타 단은 제2베인(350)과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2베인링크(330)의 타 단은 제2베인(350)의 제2베인리브(354)에 연결된다. 또한, 제2베인링크(330)는,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베인링크축(333)과 제2베인(350)과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베인링크축(332)을 포함한다.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은 제2베인링크(330)의 일 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2-1베인링크축(332)은 상기 제2베인링크(330)의 타단에 각각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인모터(200)가 작동하고 구동링크(310)가 회전시, 상기 구동링크(310)의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은, 구동링크(310)의 코어바디축(31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베인(350)의 제2-1베인축(352)은 링크설치부(110)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링크(310)가 회전을 하면서,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제2베인(350)이 서로 접촉하여 회전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과 상기 제2-1베인축(352)은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제2-2베인링크축(333)과 제2-1베인축(352)이 최단거리가 되도록 위치되어 서로 접했을 때의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과 상기 제2-1베인축(352)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코어바디(311)에서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코어바디(311)에서 제2베인(350)과 케이스(100)의 연결점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코어바디(311)에서 제2구동링크축(319)까지의 거리는, 코어바디(311)에서 제2-1베인축(352)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구동링크(310)가 회전하는 경우에, 제2베인(350)과 충돌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고, 제2베인(350)의 회전반경을 제1베인(340)의 회전반경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인링크(330)는, 구동링크(3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베인(350)과의 접촉 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제2베인링크(330)는 제2베인(350)과 케이스(100)와의 연결점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베인링크(330)는 제2베인(350)과 케이스(100)와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베인링크(330)는 제2-1베인축(352)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베인링크(330)가 회전시 제2베인링크바디(331)가 제2-1베인축(352)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코어바디축(312)과 링크설치부(110), 제1-2베인링크축(323)과 링크설치부(110), 제2-1베인축(352)과 링크설치부(110), 제1-1베인링크축(322)과 제1-2베인축(343), 제1구동링크축(317)과 제1-1베인축(342), 제2구동링크축(319)과 제2-2베인링크축(333) 및 제2-2베인축(353)과 제2-1베인링크축(332)은, 각각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1베인(340)의 길이는 제2베인(35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고, 제2베인(350)의 길이가 제1베인(34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2베인(350)의 길이를 더욱 길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길이가 확장될 만큼의 공간이 케이스(100) 내지는 링크설치부(110)에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케이스(100) 내지 링크설치부(110)에 슬롯(미도시)를 형성하고, 구동링크(310)의 코어바디(311)는 상기 케이스(100) 내지 링크설치부(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링크(310)의 코어바디(3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슬롯(미도시)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00) 내지 상기 링크설치부(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베인(350)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베인(350)을 통한 토출공기의 토출안내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101)의 공간이 더욱 확보되어 토출 공기의 토출 유동 저항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베인(340)과 제2베인(350)은 베인모터(2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링크(310)의 회전을 통해 각각 회전한다. 토출공기를 수직방향으로 토출 안내하기 위한 수직토출모드시, 제1베인(340)과 제2베인(350)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한다. 이 경우, 토출 공기는 제1베인(340)의 전방, 제1베인(340)과 제2베인(350) 사이, 제2베인(350) 후방에서 각각 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수직토출모드시의 상기 제1베인(340)과 상기 제2베인(350)사이의 최단거리를 제1베인간격(S1)이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토출공기를 수평방향으로 토출 안내하기 위한 수평토출모드시, 제1베인(340)과 제2베인(350)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베인(340)과 상기 제2베인(350) 사이의 최단거리를 제2베인간격(S2)이라 한다.
상기 제2베인간격(S2)은 상기 제1베인간격(S1)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수직토출모드와 달리 수평토출모드의 경우, 제2베인(350)을 통해 토출 안내된 토출 공기가 제1베인(340)을 통해 한번 더 안내되는 바, 토출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더욱 더 멀리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베인간격(S2)은, 바람직하게는, 제1베인(340)과 제2베인(350)이 하나의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도록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베인(340)과 상기 제2베인(350)은, 각각의 폭들을 합친 만큼의 폭이 형성된 하나의 베인처럼 토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어, 토출 공기의 분산을 줄여, 토출 공기를 실내의 더욱 더 먼 곳까지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340)이 제1회전방향(R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토출구(101)가 폐쇄된 경우, 상기 제1베인(340)은 상기 케이스(100)와 연속적인 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베인(34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340)이 실내기가 정지하여 토출구(101)를 폐쇄한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차단하여 위생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제1베인(340)은 통일된 외관을 형성한다.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의 내측에 가려지는 바, 깔끔하고 청결하며 조잡하지 않은 외관을 형성하여 심미적인 효과도 극대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에 따른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베인의 위치에 따라, 수평토출모드와 수직토출모드가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운전시(비통전시)에는,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를 차페한다.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의 공기유입방향에 배치되고, 제1베인(34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된다.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에 의하여 가려진다.
도 4를 참조하여 수평토출모드를 설명한다.
운전을 개시하는 경우, 베인모터(200)는 제2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제2회전방향(R2)은 도 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이다. 베인모터(200)가 회전하면, 제1베인링크(320)는 제1-2베인링크축(323)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한다. 제1베인(340)은 토출구의 상단에 위치하는 전단이 하강한다. 베인모터(200)가 회전하면, 제2베인링크(330)는 제2-1베인축(3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제2베인(350)은 전단이 하향한다. 제1베인(340)의 후단과 제2베인(350)의 전단 사이의 거리가 최단거리가 되는 경우, 제1베인(340)과 제2베인(350)은 하나의 선상에 배치되고, 공기를 수평으로 토출하는 수평토출모드가 수행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수직토출모드를 설명한다.
수평토출모드에서 베인모터(200)가 제2회전방향(R2)으로 더욱 회전할 수 있다. 베인모터(200)가 회전하면, 제1베인링크(320)는 제1-2베인링크축(323)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한다. 제1베인(340)은 후단이 상승하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베인모터(200)가 회전하면, 제2베인링크(350)는 제2-1베인축(352)을 중심으로 하여 같은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고, 제2베인(350)은 전단이 하향한다. 제1베인바디(341)와 제2베인바디(351)가 수평으로 배치되면, 공기를 수직 하방으로 토출하는 수직토출모드가 수행된다.
수직토출모드에서 베인모터(200)가 제2회전방향(R2)으로 더욱 회전하는 경우, 제1베인(340)은 후방 한계이동범위까지 이동한다. 수직토출모드에서 베인모터(200)가 제2회전방향(R2)으로 더욱 회전하는 경우, 제1베인(340)의 후단은 연결부(316)에 접촉한다. 연결부(316)는 스토퍼 기능을 하며, 제1베인(340)의 후단이 연결부(316)에 접촉할 때가 후방 한계이동범위 또는 최대 회전범위에 해당한다.
베인모터(200)는 제2회전방향(R2)과 반대되는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고, 수직토출모드(도 2)와 수평토출모드(도 4)를 수행하고,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한다(도 5).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케이스 200: 베인모터
300: 베인모듈 310: 구동링크
320: 제1베인링크 330: 제2베인링크
340: 제1베인 341: 제1베인바디
342: 제1-1베인축 343: 제1-2베인축
344: 제1베인리브 345: 전단
346: 후단 347: 좌측단
348: 우측단 349: 중앙부
350: 제2베인 360: 제3베인링크
c1: 제1곡률 c2: 제2곡률
c3: 제3곡률 d1: 제1곡률반경
d2: 제2곡률반경 d3: 제3곡률반경
e1: 제1곡률중심 e2: 제2곡률중심
e3: 제3곡률중심

Claims (16)

  1.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토출구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토출구에 배치된 제1베인;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되, 상기 제1베인보다 후방에 배치된 제2베인;
    상기 토출구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베인 또는 상기 제2베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고, 일 단이 상기 제1베인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베인과 연결된 구동링크;
    일 단이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제1베인의 길이방향 단부에 연결된 제1베인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은,
    길이방향으로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제1곡률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은,
    상기 제1베인이 상기 토출구를 차폐할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은,
    상기 제1베인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은 상기 제1베인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인은 상기 제1곡률의 곡률반경과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제2곡률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반경은 상기 제2곡률반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은,
    상기 제1곡률의 형성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3곡률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곡률은,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곡률은,
    상기 제1베인이 상기 토출구를 차폐할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곡률의 곡률중심은,
    상기 제1베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곡률의 곡률중심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의 곡률중심은 상기 제1베인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3곡률의 곡률중심은 상기 제1베인의 상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1항에 있어서,
    일 단이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제1베인에 연결되되, 상기 제1베인링크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제3베인링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베인링크와 상기 제1베인의 연결점은 상기 제1베인링크와 상기 제1베인의 연결점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1베인링크의 연결점은 상기 제1베인과 상기 구동링크의 연결점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의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의 제1직선은, 제1베인의 중앙부의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의 제2직선과 서로 교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과 상기 제2직선은 상기 제1베인의 후방에서 서로 교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베인링크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베인링크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200071128A 2020-06-11 2020-06-1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10154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28A KR20210154030A (ko) 2020-06-11 2020-06-1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8/008,806 US20230204251A1 (en) 2020-06-11 2021-06-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21821354.4A EP4166856A4 (en) 2020-06-11 2021-06-09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PCT/KR2021/007212 WO2021251751A1 (ko) 2020-06-11 2021-06-09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28A KR20210154030A (ko) 2020-06-11 2020-06-1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030A true KR20210154030A (ko) 2021-12-20

Family

ID=7884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128A KR20210154030A (ko) 2020-06-11 2020-06-1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04251A1 (ko)
EP (1) EP4166856A4 (ko)
KR (1) KR20210154030A (ko)
WO (1) WO2021251751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2644B2 (ja) * 1996-06-26 2003-03-3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03294303A (ja) * 2002-04-01 2003-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向調整板、案内板、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JP3820182B2 (ja) * 2002-05-10 2006-09-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調装置のルーバー及び空調装置の気流制御構造、並びに空調装置
WO2014068654A1 (ja) * 2012-10-30 2014-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EP3680573A4 (en) * 2017-09-06 2021-07-21 LG Electronics Inc. CEILING INTERI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CEILING TYPE
KR102425867B1 (ko) * 2017-10-30 2022-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53148B1 (ko) * 2018-04-03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20039492A1 (ja) * 2018-08-21 2020-02-27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04251A1 (en) 2023-06-29
EP4166856A1 (en) 2023-04-19
WO2021251751A1 (ko) 2021-12-16
EP4166856A4 (en) 202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30131B2 (en)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7571620B2 (en) Air conditioner
KR100840483B1 (ko) 공기 조화기
WO2015060128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14002819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1734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10662923A (zh) 吊顶式空气调节设备用空气引导件及具备其的吊顶式空气调节设备
KR20190053334A (ko) 공기조화기
JP5348294B2 (ja) 空調室内機
KR2021015403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12163255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210154029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2666144B1 (ko) 공기조화기
US20230280047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0588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7466678B2 (ja) 空気調和機の天井型室内機
KR102521853B1 (ko) 공기조화기
KR102674816B1 (ko) 공기조화기
KR102454072B1 (ko) 공기조화기
KR20220065337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20240017881A (ko) 공기조화기
KR20240058560A (ko) 공기조화기
KR20220005252A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JPH08313040A (ja) 空気調和装置の風向調整構造
KR20190027273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