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81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816B1
KR102674816B1 KR1020230110253A KR20230110253A KR102674816B1 KR 102674816 B1 KR102674816 B1 KR 102674816B1 KR 1020230110253 A KR1020230110253 A KR 1020230110253A KR 20230110253 A KR20230110253 A KR 20230110253A KR 102674816 B1 KR102674816 B1 KR 102674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vane
air conditioner
guid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9336A (ko
Inventor
최성식
문동수
김강영
김학재
박민규
이종철
김민규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816B1/ko
Publication of KR2023015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31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penetrating a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24F1/028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with vertically arranged f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32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7Active noise-sup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플레이트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팬;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공기의 토출방향을 따라 굴곡진 표면을 갖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토출가이드; 및 상기 토출구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류측에 상기 토출방향을 따라 굴곡진 표면을 갖는 돌출부를 구비한 베인을 포함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흡입구로 재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창문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뒤 실내로 공급하고,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뒤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케이스 내부 실내측에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실내팬 및 실내열교환기가 배치되고, 케이스 내부 실외측에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실외팬 및 실외열교환기가 배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의 유로와 실외공기의 유로형성을 위한 부품들의 배치로 인하여, 제품의 크기가 커지고 창문에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특허문헌 10-2019-0078874은, 창문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하고 있으나, 실내측 흡입구가 측방에 위치하고 토출구가 전방에 위치함으로 인해, 창문으로부터 실내로 돌출된 제품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국특허문헌 10-2019-0133477는, 실내측 흡입구와 토출구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함으로 인하여,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어야할 공기가 흡입구로 재유입되어,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낮추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특허문헌 10-2019-0133477 한국특허문헌 10-2019-0078874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크기를 줄이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측 흡입구와 토출구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흡입구로 재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음이 저감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회풍을 방지하는 구조가 단순화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구로의 회풍을 방지하여, 실내로의 송풍량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플레이트를 구비한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따라 굴곡진 표면을 갖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구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인을 포함한다.
상기 베인은,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류측에 상기 토출방향을 따라 굴곡진 표면을 갖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창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 및 상기 베인은 상기 창문을 기준으로 실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는, 상기 창문을 기준으로 실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동일한 평면 상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에 배치되는 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과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면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프론트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베인을 향해 돌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굴곡진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인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가이드부의 굴곡진 표면과 상기 프론트바디 사이에 형성된 제1 가이드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베인 사이에 형성된 제2 가이드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공간의 폭은, 상기 제2 가이드공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베인 사이의 간격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베인은, 베인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인바디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상기 돌출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엣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상기 돌출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엣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토출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엣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엣지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2 엣지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제2 엣지는, 상기 케이스의 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프론트바디로부터 상기 베인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회전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축은, 상기 베인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축은 상기 복수의 토출가이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팬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태빌라이져는, 상기 토출가이드와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스태빌라이져는, 상기 토출가이드를 향해 연장되는 제1 가이드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태빌라이져는, 상기 제1 가이드벽으로부터 상기 베인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가이드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태빌라이져는, 상기 제2 가이드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가이드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토출방향으로 상기 제2 가이드벽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스태빌라이져는, 상기 토출구를 향해 돌출된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토출방향으로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와 마주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엣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구분짓는 창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은, 실내공기를 송풍시키는 실내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실외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실내팬이 배치되는 제1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실외팬이 배치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토출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측벽은, 상기 프론트바디와 이격되어 상기 프론트바디와의 사이에 상기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양이 향상되어 공기조화기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실내측 흡입구와 토출구가 동일한 면에 위치하여, 공기조화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실내측 흡입구와 토출구가 동일한 면에 위치하여, 창문으로부터 실내공간으로 돌출된 공기조화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베인의 돌출부로 인하여, 베인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흡입구로 재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토출가이드로 인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로 재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베인의 돌출부와 토출가이드로 인하여, 와류형성이 억제되어 공기조화기의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토출가이드와 베인의 돌출부로 인하여, 토출가이드에 의해 1차적으로 실내공간을 향하여 안내된 공기가 베인의 돌출부를 따라 2차적으로 실내공간을 향하여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베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효과를 설명하는 컨투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효과를 설명하는 컨투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창문어셈블리(9)는 창틀(91) 및 창문(92)을 포함할 수 있다. 창틀(91)은 창문어셈블리(9)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창틀(91)은 내측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창문(92)은 창틀(91)의 내측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다. 창문(92)의 내측에는 유리(Glass)가 고정될 수 있다.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창틀(91)에 형성된 로어레일(911)을 따라 창문(92)이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창틀(91)에 형성된 로어레일(911)의 연장 방향 또는 로어레일(911)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레일(911)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창문(92)은 로어레일(91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케이스(10)의 실내측 흡입구(11)와 토출구(12)가 형성된 일면에서 실외흡입구(도 4 참조, 16)와 실외토출구(도 4 참조, 17)가 형성된 타면으로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는 공간(93)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의 공간(93)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에는 키트(94)가 배치될 수 있다. 키트(94)는 공기조화기(1)를 창문어셈블리(9)에 고정시킬 수 있다. 키트(94)는 공기조화기(1)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 틈새를 밀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고정될 수 있다. 창문어셈블리(9)를 기준으로 실내공간(Indoor Space)과 실외공간(Outdoor Space)이 구분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1)를 설명함에 있어서, 실내공간을 향하는 실내측을 전방으로, 실외공간을 향하는 실외측을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외공간으로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흡입구(11)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흡입구(11)와 이격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실내공간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흡입구(11)의 일측에 이격된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는 공기조화기(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프론트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실내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의 일부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리어케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는 실외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의 일부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외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는 프론트케이스(13)와 결합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는 실외측을 마주하는 리어플레이트(도 4 참조, 142)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도 4 참조, 142)는 후술하는 프론트플레이트(도3 참조, 133)에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후술하는 실외흡입구(도 4 참조, 16)와 실외토출구(도 4 참조, 17)는 리어플레이트(도 4 참조, 142)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도 4 참조, 142)는 후방벽(도 4 참조, 142)으로 칭할 수 있다.
흡입구(11)는 프론트케이스(13)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그릴(1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릴(15)은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탈착될 수 있다. 그릴(15)은 흡입구(11)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그릴(15)을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릴(15)은 토출구(12)와 이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개폐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케이스(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그릴(15)과 이격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3은 공기조화기(1)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프론트케이스(13)는 프론트플레이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전방벽(133)으로 칭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구(11) 및 토출구(12)는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제1 플레이트(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제1 플레이트(131)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제2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제2 플레이트(132)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릴(15)은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탈착될 수 있다. 그릴(15)은 흡입구(11)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릴(15)은 제1 플레이트(131)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제2 플레이트(132)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탑플레이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프론트케이스(1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프론트플레이트(13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제1 측벽(135)으로 칭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프론트케이스(13)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제2 측벽(136)으로 칭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프론트케이스(13)의 타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프론트케이스(13)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사이드플레이트"로 이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어셈블리(AS)를 포함할 수 있다. 어셈블리(AS)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어셈블리(AS)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은, 케이스(10) 내부로부터 별도로 분리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3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닛(30)과 제2 유닛(40)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유닛(40)의 일부 부품은 제1 유닛(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제2 유닛(40)과 제3 유닛(50)은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3 유닛(50)의 일부 부품은 제1 유닛(30)과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제1, 2, 3유닛(30, 40, 50)에 대한 설명은 공기조화기(1)의 전체적인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의 구분이 엄격하게 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 중 일부를 의미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은 복수의 부품의 조립체일 수 있고, 각 유닛(30, 40, 50)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각 유닛(30, 40, 50)으로부터 별개로 분리될 수 있다. 각 유닛(30, 40, 50)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별개로 분리되어 별도의 독립적인 유닛을 구성할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바디(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제1 바디(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3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바디(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제2 바디(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3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32)는 제1 바디(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커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커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3)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33)는 제1 바디(31)를 둘러쌀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팬(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실내팬(34)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제1 바디(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제1 바디(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실외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제1 바디(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제1 바디(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내팬(34)과 실외팬(35)은 "팬"으로 이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압축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압축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41)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제2 바디(32)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열교환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실외열교환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실외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제1 바디(31)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실외공기는, 실외열교환기(42)를 통과할 수 있다.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42)로 유입되어 실외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팽창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팽창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제2 바디(32)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를 통과한 냉매는 팽창장치(43)로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열교환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실내열교환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제1 바디(31)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장치(43)를 통과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44)로 유입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압축기(41), 실외열교환기(42), 팽창장치(43) 및 실내열교환기(44)는 냉매배관(미도시)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베이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베이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5)는 케이스(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제1, 2바디(31, 3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41), 실외열교환기(42), 팽창장치(43) 및 실내열교환기(44)는 베이스(4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컨트롤박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컨트롤박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5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51)의 내부에는 베인모터(29)(도 4참조), 실내팬(34), 실외팬(35), 압축기(41) 및 팽창장치(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PCB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부품들(29, 34, 35, 41, 4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3 바디(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제3 바디(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디(5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바디(52)는 컨트롤박스(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바디(52)의 내측에는 수배관 또는 냉매배관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바디(52)는 상기 수배관 또는 상기 냉매배관을 커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그릴(15)을 통과하여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케이스(10) 내부에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44)에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프론트플레이트(13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열교환기(44)는 프론트플레이트(133)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와 프론트플레이트(133) 사이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갈수록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열교환기(44)와 프론트플레이트(133) 사이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D)는, 토출구(12)에서 흡입구(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토출구(12)에서 흡입구(11)를 향하는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반대로, 실내열교환기(44)와 프론트플레이트(133) 사이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D)는, 흡입구(11)에서 토출구(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흡입구(11)에서 토출구(12)를 향하는 방향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후술하는 프론트바디(도 5 참조, 137)에서 제1 측벽(135)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후술하는 스태빌라이져(60)에서 제1 측벽(135)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의 일단은 스태빌라이져(60)와 프론트바디(13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스태빌라이져(60)와 프론트바디(137) 사이에 위치하는 일단으로부터 제1 측벽(135)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실내열교환기(4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흡입구(11)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횡류팬일 수 있다. 흡입구(11)는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흡입구(11)의 폭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의 폭은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I1)일 수 있다.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구(12)로 유동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개폐할 수 있고,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토출구(12)는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의 폭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2)의 폭은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I2)일 수 있다. 흡입구(11)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I1)는, 토출구(12)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I2)보다 길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29)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모터(29)는 케이스(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인모터(29)는 모터축(291)을 통해 베인(20)과 연결될 수 있다. 베인(20)은 베인모터(29)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흡입구(1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외흡입구(16)는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실외흡입구(16)의 폭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흡입구(16)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흡입구(16)의 폭은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O1)일 수 있다.
실외흡입구(16)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흡입구(11)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흡입구(16)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O1)는, 흡입구(11)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I1)보다 길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실외그릴(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외그릴(18)은 실외흡입구(16)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제1 실외그릴(18)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토출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는 실외흡입구(16)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와 실외흡입구(16)는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는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의 폭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토출구(17)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토출구(17)의 폭은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I2)일 수 있다.
실외토출구(17)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에 대한 실외흡입구(16)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의 비율은, 토출구(12)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에 대한 흡입구(11)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의 비율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토출구(17)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O2)에 대한 실외흡입구(16)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O1)의 비율(O1/O2)은, 토출구(12)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I2)에 대한 흡입구(11)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I1)의 비율(I1/I2)보다 클 수 있다. 실외흡입구(16)의 중심으로부터 흡입구(1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은, 실외토출구(17)의 중심으로부터 토출구(12)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흡입구(16)의 중심과 흡입구(11)의 중심을 잇는 직선(L1)은, 실외토출구(17)의 중심과 토출구(12)의 중심을 잇는 직선(L2)과 교차할 수 있다.
토출구(12)와 흡입구(11)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실외토출구(17)와 실외흡입구(16)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2)와 흡입구(11)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I3)는, 실외토출구(17)와 실외흡입구(16)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O3)보다 클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실외그릴(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외그릴(19)은 실외토출구(19)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제2 실외그릴(19)을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실외그릴(19)은 제1 실외그릴(18)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실외그릴(18)과 제2 실외그릴(19)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흡입구(16), 실외토출구(17), 제1 실외그릴(18) 및 제2 실외그릴(19)은 리어케이스(14)(도 3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실외흡입구(16)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외열교환기(42)에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실외열교환기(42)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실외흡입구(16)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횡류팬일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7)로 유동할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격벽(36)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6)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6)은 수평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격벽(36)은 케이스(10)의 양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공간(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101)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제1 공간(10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공간(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되어,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내팬(34) 및 실내열교환기(44)는 제1 공간(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공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간(102)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제2 공간(10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공간(102)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되어,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팬(35) 및 실외열교환기(42)는 제2 공간(10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은 격벽(36)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격벽(36)은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6)은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을 분리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공간을 구분지을 때, 제1 공간(101)을 "실내측"으로, 제2 공간(102)을 "실외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스태빌라이져(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0)는 제1 공간(10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0)는 토출구(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0)는 실내팬(3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0)는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0)는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구(12)로 가이드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0)는 토출유로(103)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유로(103)는 토출구(12)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유로(103)는 스태빌라이져(60)와 케이스(10)의 측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격벽(36)은 실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제1 굴곡부(36a)와, 실내측을 향하여 볼록한 제2 굴곡부(3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곡부(36a)는 리어플레이트(142)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굴곡부(36a)는 토출구(12)에서 실외흡입구(16)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굴곡부(36a)는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굴곡부(36a)는 프론트플레이트(133)을 향해 오목한 일면과, 리어플레이트(142)을 향해 볼록한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곡부(36a)의 오목한 일면은 제1 공간(101)을 마주할 수 있다. 제1 굴곡부(36a)의 볼록한 타면은 제2 공간(102)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굴곡부(36a)는 전방으로 오목한 일면과, 후방으로 볼록한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곡부(36a)는 전후 방향으로 실외흡입구(16)와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굴곡부(36b)는 프론트플레이트(133)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굴곡부(36b)는 실외토출구(17)에서 흡입구(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굴곡부(36b)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굴곡부(36b)는 프론트플레이트(133)를 향해 볼록한 일면과, 리어플레이트(142)를 향해 오목한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굴곡부(36b)의 볼록한 일면은 제1 공간(101)을 마주할 수 있다. 제2 굴곡부(36b)의 오목한 타면은 제2 공간(102)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굴곡부(36b)는 전방으로 볼록한 일면과, 후방으로 오목한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굴곡부(36b)는 전후 방향으로 흡입구(11)와 오버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5는,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하여, 실내측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그릴(15)은 프론트플레이트(133)에 결합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실내팬(34)이 발생시키는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구(11)를 통해 실내열교환기(44)를 통과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프론트바디(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32)(도 3참조)는 프론트바디(137)의 일부분일 수 있다. 프론트바디(137)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론트바디(137)는 프론트플레이트(133)와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바디(137)는 그릴(15)과 이격될 수 있다. 프론트바디(137)는 흡입구(11)와 이격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프론트바디(137)와 그릴(15) 사이로 돌출된 구획리브(138)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리브(138)는 프론트바디(137)와 그릴(15)을 경계지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토출측벽(37)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측벽(37)은 격벽(36)(도 4참조)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측벽(37)은 사이드플레이트(136)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측벽(37)은 사이드플레이트(136)와 결합될 수 있다. 토출측벽(37)은 프론트바디(137)와 마주할 수 있다. 토출측벽(37)은 프론트바디(137)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변할 수 있다.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는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 사이의 좌우 방향의 이격 거리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 사이의 좌우 방향의 이격 거리(G)는, 토출구(12)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토출구(12)는 토출측벽(37)과 프론트바디(13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측벽(37)과 프론트바디(137) 사이공간을 통해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측벽(37)과 프론트바디(137)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이 토출구(12)를 폐쇄할 때, 베인(20)의 가이드면(201)(도 11참조)은 프론트바디(137)의 전방면과 마주할 수 있다. 베인(20)이 토출구(12)를 폐쇄할 때, 베인(20)의 제2 엣지(25)(도 8참조)는 토출측벽(37)의 끝단부와 마주할 수 있다.
베인(20)은 베인바디(2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바디(21)는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바디(21)는 판형일 수 있다.
베인(20)은 돌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는 베인바디(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22)는 베인바디(21)로부터 토출가이드(7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22)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굴곡진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인(20)은 제1 엣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엣지(23)는 베인(20)의 양 측 모서리 중, 실내측을 향하는 모서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엣지(23)는 돌출부(22)보다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엣지(23)는 케이스(10)의 전방면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인(20)은 블럭(24)을 포함할 수 있다. 블럭(24)은 베인바디(21)로부터 프론트바디(137)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블럭(24)은 베인바디(21)와 일체형일 수 있다. 블럭(24)은 돌출부(22)보다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블럭(24)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바디(137)는 지지부(137a)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7a)는 프론트바디(137)로부터 베인(2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프론트바디(137)는 회전지지축(137b)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지지축(137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지지축(137b)은 지지부(137a)에 고정될 수 있다.
블럭(24)은 회전지지축(137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블럭(24)은 회전지지축(137b)을 둘러쌀 수 있다. 베인(20)이 회전될 때, 블럭(24)은 회전지지축(137b)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토출가이드(7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프론트바디(137)로부터 베인(2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토출구(12)에 위치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베인(20)과 그릴(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가이드(70)를 통과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연장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71)는 프론트바디(137)로부터 베인(2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연장부(71)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절곡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72)는 연장부(71)의 단부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절곡부(72)는 연장부(71)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절곡부(72)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가이드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7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73)는 복수의 연장부(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73)는 복수의 절곡부(72)를 연결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가이드공간(7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공간(74)은 복수의 연장부(7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공간(74)은 가이드부(73)와 프론트바디(13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공간(74)을 통과하는 공기는 가이드부(73)의 일면을 따라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리어가이드(6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가이드(61)는 실내팬(3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리어가이드(61)의 표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스태빌라이져(6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2)는 실내팬(3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스태빌라이져(62)의 표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보조베인(63)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베인(63)은 실내팬(3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보조베인(63)에 의해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실내팬(34)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리어가이드(61), 스태빌라이져(62) 및 보조베인(63)에 의해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리어가이드(61), 스태빌라이져(62) 및 보조베인(63)은 베인(20)의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가이드(61), 스태빌라이져(62) 및 보조베인(63)은 토출가이드(70)의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내팬(34)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리어가이드(61), 스태빌라이져(62) 및 보조베인(63)에 의해 1차적으로 유동방향을 안내받은 뒤, 베인(20) 및 토출가이드(70)에 의해 2차적으로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6은 공기조화기(1)의 실내측 일부를 비스듬히 바라본 것이다. 도 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인(20)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토출가이드(70)는 프론트바디(137)로부터 토출구(12)로 돌출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37a)와 회전지지축(137b)은 복수의 토출가이드(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가이드공간(74)을 통과할 수 있다. 가이드공간(74)을 통과하는 공기는 가이드부(73)에 의해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7은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하여 실내측 내부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리어가이드(61)는 실내팬(3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가이드(61)는 격벽(36)과 실내팬(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측벽(37)은 리어가이드(6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어가이드(61)는 리어가이드돌기(61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가이드돌기(611)는 실내팬(34)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리어가이드돌기(611)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2)는 실내팬(3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2)는 토출측벽(37)과 마주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2)는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는 토출구(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는 베인(20)보다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는 토출가이드(70)보다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2)는 제1 가이드벽(6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벽(622)은 토출측벽(37)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는 제1 가이드벽(62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벽(622)은 베인(20)보다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벽(622)은 토출가이드(70)보다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벽(622)은 가이드부(73)와 마주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는 가이드부(73)와 마주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2)는 제2 가이드벽(6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벽(623)은 제1 가이드벽(622)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벽(623)은 베인(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가이드벽(622)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벽(623)은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토출가이드(70)와 마주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벽(623)은 베인(20)보다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벽(623)은 토출가이드(70)보다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벽(623)은 가이드공간(74)과 마주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2)는 제3 가이드벽(6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가이드벽(624)은 제2 가이드벽(623)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벽(624)은 베인(20)과 마주할 수 있다. 제3 가이드벽(624)은 토출가이드(70)보다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가이드벽(624)은 프론트바디(137)와 결합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프론트바디(137)와 마주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와 프론트바디(137) 사이에는 가이드공간(74)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제1 토출공간(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공간(121)은 베인(20)과 스태빌라이져(6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공간(121)은 베인(20)과 프론트바디(13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제2 토출공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공간(122)은 베인(20)과 토출측벽(3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로 토출되는 공기는 제1 토출공간(121)을 통해 베인(20)과 스태빌라이져(62)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다. 토출구(12)로 토출되는 공기는 제1 토출공간(121)을 통해 베인(20)과 프론트바디(137)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다. 토출구(12)로 토출되는 공기는 제2 토출공간(122)을 통해 베인(20)과 토출측벽(37)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제1 토출공간(121)으로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공간(74)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토출공간(121)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가이드공간(74)에서 가이드부(73)에 의해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8은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의 일부이다.
리어가이드(61)는 실내팬(34)의 회전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가이드돌기(611)는 실내팬(34)의 회전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2)는 실내팬(34)의 회전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2)는 리어가이드(61)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벽(622)과 제2 가이드벽(623)은 서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제1 가이드벽(622)의 연장 방향과 제2 가이드벽(623)의 연장 방향은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제2 가이드벽(623)의 연장 방향은, 토출유로(103)를 마주하는 제1 가이드벽(622)의 일면의 연장 방향일 수 있다. 제2 가이드벽(623)의 연장 방향은, 토출유로(103) 또는 토출구(12)를 마주하는 제2 가이드벽(623)의 일면의 연장 방향일 수 있다. 제1 가이드벽(622)의 평탄한 일면과 제2 가이드벽(623)의 평탄한 일면은 서로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제1 가이드벽(622)의 평탄한 일면은 토출유로(103)를 마주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벽(623)의 평탄한 일면은 토출구(12) 또는 토출유로(103)를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벽(623)은 제1 가이드벽(622)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둔각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벽(623)과 제3 가이드벽(624)은 서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제2 가이드벽(623)의 연장 방향과 제3 가이드벽(624)의 연장 방향은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제3 가이드벽(624)의 연장 방향은, 토출유로(103)를 마주하는 제3 가이드벽(624)의 일면의 연장 방향일 수 있다. 제2 가이드벽(623)의 평탄한 일면과 제3 가이드벽(624)의 평탄한 일면은 서로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제3 가이드벽(624)의 평탄한 일면은 토출유로(103)를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가이드벽(624)은 제2 가이드벽(623)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둔각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토출측벽(37)과 제1 가이드벽(622)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변할 수 있다. 토출측벽(37)과 제1 가이드벽(622)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측벽(37)과 제1 가이드벽(622)는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측벽(37)과 제1 가이드벽(622)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측벽(37)과 제1 가이드벽(622) 사이의 좌우 방향의 이격 거리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측벽(37)과 제1 가이드벽(622) 사이의 좌우 방향의 이격 거리(G1)는, 토출구(12)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측벽(37)과 제1 가이드벽(622) 사이에 형성된 토출 유로(103)의 폭은 하류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토출측벽(37)과 제3 가이드벽(624)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변할 수 있다. 토출측벽(37)과 제3 가이드벽(624)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측벽(37)과 제3 가이드벽(624)는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측벽(37)과 제3 가이드벽(624)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측벽(37)과 제3 가이드벽(624) 사이의 좌우 방향의 이격 거리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측벽(37)과 제3 가이드벽(624) 사이의 좌우 방향의 이격 거리(G3)는, 토출구(12)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측벽(37)과 제3 가이드벽(624) 사이에 형성된 토출 유로(103)의 폭은 하류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2)는 섭입부(625)를 포함할 수 있다. 섭입부(625)는 제3 가이드벽(624)으로부터 프론트바디(137)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섭입부(625)는 스태빌라이져(62)를 프론트바디(137)에 고정시킬 수 있다.
섭입부(625)는 제3 가이드벽(624)과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제3 가이드벽(624)의 연장 방향과 섭입부(625)의 연장 방향은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섭입부(625)의 연장 방향은, 토출구(12) 또는 프론트바디(137)를 마주하는 섭입부(625)의 일면의 연장 방향일 수 있다. 섭입부(625)의 평탄한 일면과 제3 가이드벽(624)의 평탄한 일면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섭입부(625)의 평탄한 일면은 프론트바디(137)를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섭입부(625)는 제3 가이드벽(624)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둔각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2)는 이너가이드벽(6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가이드벽(626)은 제1 가이드벽(622)으로부터 실내팬(34)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벽(626)은 토출구(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벽(626)은 제1 가이드벽(622)과 사이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가이드벽(626)의 연장 방향과 제1 가이드벽(622)의 연장 방향은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너가이드벽(626)의 연장 방향은, 실내팬(34)을 마주하는 이너가이드벽(626)의 일면의 연장 방향일 수 있다. 이너가이드벽(626)의 평탄한 일면과 제1 가이드벽(622)의 평탄한 일면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이너가이드벽(626)의 평탄한 일면은 실내팬(34)을 마주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벽(622)의 평탄한 일면은 토출유로(103)를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가이드벽(626)은 제1 가이드벽(622)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벤딩되고, 예각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2)는 제2 스태빌라이져돌기(6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태빌라이져돌기(627)는 이너가이드벽(626)으로부터 실내팬(34)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스태빌라이져돌기(627)는 실내팬(34)의 회전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는 리어가이드돌기(611)와 전후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는 제1 토출공간(121)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제1 토출공간(1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는 토출가이드(70)와 마주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토출가이드(70)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는 베인(2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져돌기(621)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베인(20)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베인(20)은 제2 엣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엣지(25)는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엣지(25)는 토출측벽(37)과 제3 가이드벽(6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전단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단부(139)는 케이스(10)의 전단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전단부(139)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엣지(23)는 전단부(139)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22)는 전단부(139)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엣지(25)는 전단부(139)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전단부(139)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론트바디(137)는 제1 바디벽(13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벽(1371)은 전단부(139)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벽(1371)은 케이스(10)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바디(137)는 제2 바디벽(13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벽(1372)은 제1 바디벽(137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디벽(1372)은 케이스(10)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디벽(1372)은 제3 가이드벽(624)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디벽(1372)은 스태빌라이져(62)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바디벽(1372)은 섭입부(625)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벽(1372)은 섭입부(625)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론트바디(137)와 스태발라이져(62)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가 최소화될 수 있다.
제1 토출공간(121)은 토출가이드(70)와 베인(20) 사이에 형성된 제2 가이드공간(7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공간(74)은 "제1 가이드공간"으로 이름될 수 있다. 제1 토출공간(121)은 토출가이드(70)를 기준으로 제1 가이드공간(74)과 제2 가이드공간(7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가이드공간(74)과 제2 가이드공간(75)을 통과한 공기는 베인바디(21)에서 합류되어 돌출부(22)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제2 바디벽(1372)으로부터 베인(2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부(73)는 제2 바디벽(1372)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가이드공간(74)의 너비는, 나머지 토출구(12)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인(20)의 회전축과 프론트바디(137) 사이의 간격(d1)은, 베인(20)의 회전축과 케이스(10)의 제2 측벽(136) 사이의 간격(d2)보다 작을 수 있다. 베인(20)의 회전축과 제2 바디벽(1372) 사이의 간격은, 베인(20)의 회전축과 제2 측벽(136)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바디벽(1371)이 창문(9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는, 베인(20)의 회전축과 프론트바디(137) 사이의 간격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벽(1371)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d3)는, 베인(20)의 회전축과 제2 바디벽(1372) 사이의 이격 간격(d1)보다 길 수 있다. 제1 바디벽(1371)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1 가이드공간(74)의 너비보다 길 수 있다.
가이드부(73)는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3)는 프론트바디(137)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3)는 흡입구(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3)는 코안다표면(73a)을 가질 수 있다. 코안다표면(73a)은 흡입구(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코안다표면(73a)은 코안다효과(Coanda Effect)를 유발할 수 있다. 가이드공간(74) 내로 유입된 공기는 코안다표면(73a)을 따라 베인(20)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코안다표면(73a)은 코안다효과를 통해 가이드공간(74) 내로 유입된 공기를 베인(20)을 향해 안내할 수 있다.
베인(20)을 향해 안내된 공기는 베인바디(21)의 표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돌출부(22)는 베인바디(21)로부터 흡입구(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는 코안다효과(Coanda Effect)를 유발할 수 있다. 베인바디(2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돌출부(22)의 표면을 따라 제1 엣지(23)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돌출부(22)는 코안다효과를 통해 베인바디(2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제1 엣지(23)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상술한 돌출부(22)와 토출가이드(70) 구조로 인하여, 토출가이드(70)에 의해 1차적으로 유동방향이 안내된 공기가 돌출부(22)에 의해 2차적으로 유동방향이 안내됨으로써,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11)로 재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인(20)은, 베인(20)의 회전축으로부터 제1 측벽(135)을 향하여 연장된 제1 베인부(20a)와, 베인(20)의 회전축으로부터 제2 측벽(136)을 향하여 연장된 제2 베인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인부(20a)는 베인(20)의 회전축으로부터 흡입구(1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베인(20)이 토출구(12)를 폐쇄할 때, 제1 베인부(20a)는 프론트바디(137)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이 토출구(12)를 폐쇄할 때, 제1 베인부(20a)는 제1, 2 가이드공간(74, 75)을 폐쇄할 수 있다. 제2 베인부(20b)는 베인(20)의 회전축으로부터 흡입구(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베인부(20b)는 제1 베인부(20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베인부(20b)와 제1 베인부(20a) 사이에는 베인(20)의 회전축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베인부(20a)가 연장된 길이는, 제2 베인부(20b)가 연장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9는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8에 도시된 베인(20)의 회전각도와 도 9에 도시된 베인(20)의 회전각도는 상이할 수 있다.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토출방향(X)으로 정의한다. 토출방향(X)은 전후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엣지(23) 및 돌출부(22)는 전단부(139)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엣지(23)와 돌출부(22)는 케이스(10) 외부로 토출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제1, 2 스태빌라이져돌기(621, 627)에 의해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제1, 2스태빌라이져돌기(621, 627)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제1 토출공간(1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토출공간(121)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 가이드공간(74) 또는 제2 가이드공간(7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가이드공간(74)으로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부(73)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여, 코안다효과에 의해 돌출부(22)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제2 가이드공간(75)으로 유입된 공기는 베인바디(21)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여, 가이드부(73)에 의해 안내된 공기와 돌출부(22)의 상류측에서 합류될 수 있다. 돌출부(22)의 표면(221)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코안다효과에 의해 제1 엣지(23)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돌출부(22)의 표면(221)은 코안다효과(Coanda Effect)를 유발하여, 표면(221)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제1 엣지(23)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제1 엣지(23)에 도달한 공기는 전방의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엣지(25)로부터 돌출부(22)까지의 길이를 제1 길이(L1)로 정의할 수 있다. 돌출부(22)로부터 제1 엣지(23)까지의 길이를 제2 길이(L2)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길이(L1)는 제2 길이(L2)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 엣지(25)로부터 돌출부(22)까지의 길이(L1)는 돌출부(22)로부터 제1 엣지(23)까지의 길이(L2)보다 클 수 있다.
가이드부(73)와 프론트바디(137) 사이의 폭을 제1 폭(W1)으로 정의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와 베인(20) 사이의 폭을 제2 폭(W2)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돌출부(22)가 돌출된 폭을 제3 폭(W3)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폭(W1)은 제1 가이드공간(74)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폭(W2)은 제2 가이드공간(75)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폭(W1)은 제2 폭(W2)보다 클 수 있다. 즉, 가이드부(73)와 프론트바디(137) 사이의 간격(W1)은 토출가이드(70)와 베인(20) 사이의 간격(W2)보다 클 수 있다.
제2 폭(W2)은 제3 폭(W3)보다 클 수 있다. 즉, 토출가이드(70)와 베인(20) 사이의 간격(W2)은 돌출부(22)가 베인바디(21)로부터 돌출된 높이(W3)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길이와 폭의 관계로 인하여, 베인(20)과 토출가이드(70)에 의한 코안다효과(Coanda Effect)가 극대화되고,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전방을 향해 안내될 수 있다. 이에,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11)로 재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10은 베인(20)과 토출가이드(7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베인(20)은 프론트바디(137)로부터 돌출된 지지부(137a)(도 5참조) 및 회전지지축(137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인(20)의 블록(24)은 회전지지축(137b)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블록(24)과 회전지지축(137b)은 상대회전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70)는 프론트바디(137)로부터 베인(2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연장부(71)와 절곡부(72)는 가이드부(73)를 프론트바디(137)에 연결시킬 수 있다.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1 가이드공간(74)과 제2 가이드공간(75)을 통과하여 베인바디(21)의 표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베인(20)을 설명한다.
베인(20)은 가이드면(20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201)은 베인바디(21)의 일측면일 수 있다.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가이드면(201)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돌출부(22)는 가이드면(20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면(201)은 제1 가이드면(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202)은 편평한 면일 수 있다.
가이드면(201)은 제2 가이드면(2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면(203)은 굴곡진 면일 수 있다. 제2 가이드면(203)은 돌출부(22)의 표면(221)(도 9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202)과 제2 가이드면(203)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202)과 제2 가이드면(203)은 일체형일 수 있다.
돌출부(22)는 제2 가이드면(20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블럭(24)은 제1 가이드면(20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블럭(24)은 회전지지축(137b)이 관통되는 관통홀(24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12는 돌출부(22)와 토출가이드(70)를 구비한 본 개시의 공기조화기(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공기조화기(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컨투어이다. 공기조화기(1)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돌출부(22)와 토출가이드(70)를 구비한 공기조화기(1)는,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11)로 재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인(20)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케이스(10)의 외부영역(P)에서 전방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즉, 돌출부(22)와 토출가이드(70)에 의해 유동방향이 안내된 공기는 Q방향으로의 직진성을 갖는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비교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14는, 도 1 내지 도 13과는 달리, 돌출부와 토출가이드가 구비되지 않은 공기조화기(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공기조화기(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컨투어이다. 공기조화기(1')에 대한 설명은, 돌출부와 토출가이드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편평한 형상의 베인(20')만을 구비한 공기조화기(1')는,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로 재유입된다. 베인(20')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케이스(10)의 외부영역(P')에서 흡입구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즉, 베인(20')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Q'방향으로 유동하여 흡입구로 재유입된다. 이에, 실내공간으로의 송풍효율이 낮아지고,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재유입됨으로써,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효율이 낮아진다. 또한, 공기조화기(1')는 Q'방향으로 유동하는 재흡입 유동으로 인하여, 와류(R')가 발생한다. 흡입구와 토출구 인근에서 발생된 와류(R')는 공기조화기(1')의 소음을 발생시키고, 송풍성능을 저하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공기조화기 10: 케이스
11: 흡입구 12: 토출구
20: 베인 22: 돌출부
70: 토출가이드 73: 가이드부

Claims (15)

  1. 실내측을 마주하는 전방벽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실내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시키고, 실내측을 마주하는 프론트바디; 및
    상기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토출구를 폐쇄할 때, 상기 프론트바디의 전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방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1 측벽; 및
    상기 전방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프론트바디와 상기 제1 측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프론트바디와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인의 회전축과 상기 프론트바디 사이의 간격은,
    상기 베인의 회전축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공기조화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베인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흡입구를 향하여 연장된 제1 베인부; 및
    상기 베인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흡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베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인부가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2 베인부가 연장된 길이보다 긴 공기조화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팬은,
    상기 프론트바디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팬과 상기 프론트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스태빌라이져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빌라이져와 상기 제2 측벽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로 연결되는 토출유로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바디는:
    실내측을 마주하고, 상기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를 이격시키는 제1 바디벽; 및
    상기 제1 바디벽으로부터 상기 스태빌라이져를 향해 연장된 제2 바디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벽은,
    상기 스태빌라이져에 접촉하는 공기조화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벽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베인의 회전축과 상기 제2 바디벽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길이보다 긴 공기조화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실외팬;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기 실내팬과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1 공간과, 상기 실외팬과 상기 실외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2 공간을 전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실외측을 마주하는 후방벽에 실외흡입구 및 실외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실외흡입구의 중심과 상기 흡입구의 중심을 잇는 직선은,
    상기 실외토출구의 중심과 상기 토출구의 중심을 잇는 직선과 교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실외흡입구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후방으로 볼록한 제1 굴곡부; 및
    상기 흡입구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전방으로 볼록한 제2 굴곡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상기 프론트바디의 후측으로부터 상기 제2 굴곡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상기 전방벽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연장된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실외측을 마주하는 후방벽에 실외흡입구 및 상기 실외흡입구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실외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간격은,
    상기 실외토출구와 상기 실외흡입구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간격보다 큰 공기조화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흡입구가 연장된 길이는,
    상기 토출구가 연장된 길이보다 긴 공기조화기.
  15. 삭제
KR1020230110253A 2022-05-13 2023-08-23 공기조화기 KR102674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253A KR102674816B1 (ko) 2022-05-13 2023-08-2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21A KR20230158955A (ko) 2022-05-13 2022-05-13 공기조화기
KR1020230110253A KR102674816B1 (ko) 2022-05-13 2023-08-23 공기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721A Division KR20230158955A (ko) 2022-05-13 2022-05-1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336A KR20230159336A (ko) 2023-11-21
KR102674816B1 true KR102674816B1 (ko) 2024-06-12

Family

ID=8865606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721A KR20230158955A (ko) 2022-05-13 2022-05-13 공기조화기
KR1020230110251A KR102666143B1 (ko) 2022-05-13 2023-08-23 공기조화기
KR1020230110252A KR102666142B1 (ko) 2022-05-13 2023-08-23 공기조화기
KR1020230110253A KR102674816B1 (ko) 2022-05-13 2023-08-23 공기조화기
KR1020240013111A KR20240017881A (ko) 2022-05-13 2024-01-29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721A KR20230158955A (ko) 2022-05-13 2022-05-13 공기조화기
KR1020230110251A KR102666143B1 (ko) 2022-05-13 2023-08-23 공기조화기
KR1020230110252A KR102666142B1 (ko) 2022-05-13 2023-08-23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3111A KR20240017881A (ko) 2022-05-13 2024-01-2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5) KR20230158955A (ko)
CN (1) CN117053294A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390A (ko) * 1998-02-19 1999-09-15 윤종용 창문형 에어콘의 팬케이싱
KR20050099352A (ko) * 2004-04-09 200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0761118B1 (ko) * 2005-01-14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105765B1 (ko) * 2005-05-21 201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677517B1 (ko) * 2005-06-16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070053834A (ko) * 2005-11-22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9414212B (zh) 2016-06-03 2023-03-21 国立大学法人东京医科齿科大学 生物磁测量装置
CN106767455A (zh) 2016-12-15 2017-05-31 惠科股份有限公司 驱动芯片的传递交接平台的自动测量方法、设备
KR102029369B1 (ko) 2017-12-27 2019-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
KR102293985B1 (ko) 2018-05-23 2021-08-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골절 정복 시술장치
KR20210073012A (ko) * 2019-12-10 2021-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관리장치
KR20210108237A (ko) * 2020-02-25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881A (ko) 2024-02-08
KR20230159335A (ko) 2023-11-21
KR102666143B1 (ko) 2024-05-13
KR20230158955A (ko) 2023-11-21
KR20230159336A (ko) 2023-11-21
KR20230159334A (ko) 2023-11-21
KR102666142B1 (ko) 2024-05-13
CN117053294A (zh)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7784B2 (ja) 空気調和機
JP580518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445160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4947227B1 (ja) 空気調和機
WO2015060128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14199590A1 (ja) 空気調和機
WO2013031438A1 (ja) 空調室内機
JP673961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661471B2 (ja) 空気調和機
JPWO2019229879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674816B1 (ko) 공기조화기
WO2013031436A1 (ja) 空調室内機
KR102666144B1 (ko) 공기조화기
JP359642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US20230213213A1 (en) Air conditioner
JP5870251B2 (ja) 空気調和機
JPWO2018179470A1 (ja) 空気調和機
KR20230158960A (ko) 공기조화기
KR20230106451A (ko) 공기조화기
KR20240058560A (ko) 공기조화기
JPH0831297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230045310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240026680A (ko) 공기조화기
JP2013015311A5 (ko)
JPH08313041A (ja) 空気調和装置の風向調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