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960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960A
KR20230158960A KR1020220058728A KR20220058728A KR20230158960A KR 20230158960 A KR20230158960 A KR 20230158960A KR 1020220058728 A KR1020220058728 A KR 1020220058728A KR 20220058728 A KR20220058728 A KR 20220058728A KR 20230158960 A KR20230158960 A KR 20230158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frame
disposed
fan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문동수
김강영
김학재
박민규
이종철
최성식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8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960A/ko
Publication of KR20230158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96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24F1/028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with vertically arranged f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창틀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토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팬;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베인; 및 상기 팬과 상기 아우터베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너베인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이 팬을 향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인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창문에 설치될 수 있고, 창문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을 향해 조화된 공기를 송풍한다.
창문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경우, 창문의 높이에 맞추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토출구가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토출구 내로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어, 안전문제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토출구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됨으로 인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방향 기류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특허문헌 10-2019-0133477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성이 확보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기류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기류변환이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이너베인의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창틀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토출구를 갖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팬; 및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베인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팬과 상기 아우터베인 사이에 배치되는 이너베인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이 팬을 향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너베인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방향 기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연장방향을 따라 휘어질 수 있어, 상하방향으로의 기류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이너베인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베인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베인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프레임 및 복수의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조절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구의 경계를 형성하는 토출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프레임은, 상기 토출측벽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토출측벽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측벽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돌기; 및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부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부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절프레임은, 상기 토출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토출측벽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조절프레임보다 상기 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실내팬; 및 상기 실내팬과 이격배치되는 실외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팬과 상기 실외팬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격벽을 연결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실내팬이 배치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실외팬이 배치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토출측벽과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팬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토출측벽과 상기 스태빌라이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팬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아우터베인과 상기 리어가이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베인의 내측에 이너베인이 별도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케이스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너베인의 굽힘구조에 의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너베인을 상하로 굽힘으로써, 기류변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너베인의 고정과 굽힘을 동시에 수행하여, 이너베인의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창문어셈블리(9)는 창틀(91) 및 창문(92)을 포함할 수 있다. 창틀(91)은 창문어셈블리(9)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창틀(91)은 내측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창문(92)은 창틀(91)의 내측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다. 창문(92)의 내측에는 유리(Glass)가 고정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는 공간(93)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의 공간(93)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에는 키트(94)가 배치될 수 있다. 키트(94)는 공기조화기(1)를 창문어셈블리(9)에 고정시킬 수 있다. 키트(94)는 공기조화기(1)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 틈새를 밀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고정될 수 있다. 창문어셈블리(9)를 기준으로 실내공간(Indoor Space)과 실외공간(Outdoor Space)이 구분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1)를 설명함에 있어서, 실내공간을 향하는 실내측을 전방으로, 실외공간을 향하는 실외측을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외공간으로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흡입구(11)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흡입구(11)와 이격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실내공간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흡입구(11)의 일측에 이격된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는 공기조화기(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프론트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실내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의 일부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리어케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는 실외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의 일부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외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는 프론트케이스(13)와 결합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프론트케이스(13)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그릴(1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릴(15)은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탈착될 수 있다. 그릴(15)은 흡입구(11)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그릴(15)을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릴(15)은 토출구(12)와 이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개폐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케이스(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그릴(15)과 이격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3은 공기조화기(1)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프론트케이스(13)는 프론트플레이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구(11) 및 토출구(12)는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제1 플레이트(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제1 플레이트(131)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제2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제2 플레이트(132)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릴(15)은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탈착될 수 있다. 그릴(15)은 흡입구(11)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릴(15)은 제1 플레이트(131)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제2 플레이트(132)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탑플레이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프론트케이스(1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프론트플레이트(13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프론트케이스(13)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프론트케이스(13)의 타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프론트케이스(13)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사이드플레이트"로 이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어셈블리(AS)를 포함할 수 있다. 어셈블리(AS)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어셈블리(AS)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은, 케이스(10) 내부로부터 별도로 분리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3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닛(30)과 제2 유닛(40)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유닛(40)의 일부 부품은 제1 유닛(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제2 유닛(40)과 제3 유닛(50)은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3 유닛(50)의 일부 부품은 제1 유닛(30)과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제1, 2, 3유닛(30, 40, 50)에 대한 설명은 공기조화기(1)의 전체적인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의 구분이 엄격하게 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 중 일부를 의미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은 복수의 부품의 조립체일 수 있고, 각 유닛(30, 40, 50)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각 유닛(30, 40, 50)으로부터 별개로 분리될 수 있다. 각 유닛(30, 40, 50)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별개로 분리되어 별도의 독립적인 유닛을 구성할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바디(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제1 바디(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3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바디(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제2 바디(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3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32)는 제1 바디(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커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커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3)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33)는 제1 바디(31)를 둘러쌀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팬(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실내팬(34)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제1 바디(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제1 바디(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실외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제1 바디(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제1 바디(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내팬(34)과 실외팬(35)은 "팬"으로 이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압축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압축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41)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제2 바디(32)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열교환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실외열교환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실외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제1 바디(31)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실외공기는, 실외열교환기(42)를 통과할 수 있다.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42)로 유입되어 실외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팽창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팽창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제2 바디(32)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를 통과한 냉매는 팽창장치(43)로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열교환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실내열교환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제1 바디(31)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장치(43)를 통과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44)로 유입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압축기(41), 실외열교환기(42), 팽창장치(43) 및 실내열교환기(44)는 냉매배관(미도시)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베이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베이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5)는 케이스(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제1, 2바디(31, 3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41), 실외열교환기(42), 팽창장치(43) 및 실내열교환기(44)는 베이스(4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컨트롤박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컨트롤박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5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51)의 내부에는 베인모터(29)(도 4참조), 실내팬(34), 실외팬(35), 압축기(41) 및 팽창장치(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PCB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부품들(29, 34, 35, 41, 4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3 바디(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제3 바디(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디(5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바디(52)는 컨트롤박스(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바디(52)의 내측에는 수배관 또는 냉매배관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바디(52)는 상기 수배관 또는 상기 냉매배관을 커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그릴(15)을 통과하여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케이스(10) 내부에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44)에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실내열교환기(4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흡입구(11)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횡류팬일 수 있다.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구(12)로 유동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개폐할 수 있고,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29)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모터(29)는 케이스(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인모터(29)는 모터축(291)을 통해 베인(20)과 연결될 수 있다. 베인(20)은 베인모터(29)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베인(20)은 수평방향으로의 기류를 조절할 수 있다. 베인(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베인(20)은 "아우터베인"으로 이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흡입구(1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실외그릴(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외그릴(18)은 실외흡입구(16)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제1 실외그릴(18)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토출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는 실외흡입구(16)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와 실외흡입구(16)는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실외그릴(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외그릴(19)은 실외토출구(19)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제2 실외그릴(19)을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실외그릴(19)은 제1 실외그릴(18)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실외그릴(18)과 제2 실외그릴(19)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흡입구(16), 실외토출구(17), 제1 실외그릴(18) 및 제2 실외그릴(19)은 리어케이스(14)(도 3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실외흡입구(16)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외열교환기(42)에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실외열교환기(42)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실외흡입구(16)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횡류팬일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7)로 유동할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격벽(36)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6)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6)은 수평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격벽(36)은 케이스(10)의 양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공간(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101)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제1 공간(10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공간(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되어,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내팬(34) 및 실내열교환기(44)는 제1 공간(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공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간(102)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제2 공간(10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공간(102)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되어,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팬(35) 및 실외열교환기(42)는 제2 공간(10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은 격벽(36)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격벽(36)은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6)은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을 분리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공간을 구분지을 때, 제1 공간(101)을 "실내측"으로, 제2 공간(102)을 "실외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5는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하여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그릴(15)의 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44)를 통과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실내공기를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로 흡입할 수 있다.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구(12)로 토출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베인(20)은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베인(20)은 수평방향으로의 기류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사이드플레이트(137)와 결합되는 토출측벽(37)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측벽(37)과 그릴(15)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팬(34)과 베인(20) 사이에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져(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0)는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0)는 실내팬(3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60)는 베인(20)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스태빌라이져(6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이너베인(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실내팬(34)과 베인(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실내팬(3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베인(20)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아우터베인(20)보다 케이스(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스태빌라이져(60)와 수평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6은 공기조화기(1)의 일부 부품을 제거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스태빌라이져(60)와 이너베인(80)에 의해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토출구(1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토출구(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측벽(37)은 내측면(371)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면(371)은 토출구(12)와 마주할 수 있다.
토출측벽(37)은 외측면(372)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면(372)은 케이스(10)의 외측을 향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토출측벽(37)과 결합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토출측벽(37)을 관통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제1 프레임(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토출구(12) 내에서 실외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유연성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상하방향으로 뒤틀릴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상하방향으로 굽힘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제2 프레임(8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3)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3)은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3)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3)은 복수의 제1 프레임(8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3)은 조절프레임(82)과 연결프레임(87)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3)은 유연성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3)은 상하방향으로 뒤틀릴 수 있다. 제2 프레임(83)은 상하방향으로 굽힘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조절프레임(8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프레임(8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조절프레임(82)은 토출측벽(37)과 결합될 수 있다. 조절프레임(82)은 토출측벽(37)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절프레임(82)은 복수의 제1 프레임(81)을 연결할 수 있다. 조절프레임(82)은 복수의 제2 프레임(83)을 연결할 수 있다. 조절프레임(82)은 유연성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조절프레임(82)은 제1 프레임(81) 및 제2 프레임(83)과 일체형일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연결프레임(87)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87)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87)은 복수의 제1 프레임(81)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87)은 복수의 제2 프레임(83)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87)은 조절프레임(82)과 이격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87)은 조절프레임(82)보다 실내팬(34)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프레임(81) 및 제2 프레임(83)은 연결프레임(87)과 조절프레임(8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고정프레임(86)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86)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86)은 복수의 제1 프레임(81)을 연결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86)은 조절프레임(82)과 이격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86)은 조절프레임(82)보다 격벽(36)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고정프레임(86)과 조절프레임(8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86)은 지지부(86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861)는 제1 프레임(81)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861)는 제1 프레임(8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지지부(861)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뒤틀리거나 굽힘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연장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84)는 토출측벽(37)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84)는 토출측벽(37)의 외측면(372)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84)는 호(arc)형상을 가질 수 있다.
토출측벽(37)은 연장부삽입홈(372a)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삽입홈(372a)은 호(arc)형상으로 토출측벽(37)의 외측면(372)에 함몰될 수 있다. 연장부삽입홈(372a)은 연장부(84)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84)는 연장부삽입홈(372a)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고정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85)는 연장부(8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85)는 토출측벽(37)에 고정될 수 있다.
토출측벽(37)은 고정돌기(372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372b)는 외측면(372)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372b)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돌기(372b) 사이에는 고정부삽입홈(372c)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85)는 고정부삽입홈(372c) 내에 위치할 수 있고, 고정돌기(372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고정돌기(372b)는 고정부(85)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84) 및 고정부(85)는 일체형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85)와 조절프레임(82)은 일체형일 수 있다. 토출측벽(37)을 기준으로 내측면(371)에는 조절프레임(82)이 결합될 수 있고, 외측면(372)에는 연장부(84)와 고정부(85)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85)는 복수의 고정부삽입홈(372c)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85)가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조절프레임(82), 제1 프레임(81) 및 제2 프레임(83)은 뒤틀리거나 굽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85)가 복수의 고정부삽입홈(372c) 중 상부에 위치한 고정부삽입홈(372c)에 삽입될 시, 조절프레임(82), 제1 프레임(81) 및 제2 프레임(83)은 상방으로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85)가 복수의 고정부삽입홈(372c) 중 하부에 위치한 고정부삽입홈(372c)에 삽입될 시, 조절프레임(82), 제1 프레임(81) 및 제2 프레임(83)은 하방으로 휘어질 수 있다.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제1 프레임(81)과 제2 프레임(83)이 휘어진 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조절프레임연결부(81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프레임연결부(811)는 조절프레임(8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프레임바디(8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바디(812)는 조절프레임연결부(81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바디(812)는 조절프레임(82) 및 연결프레임(87)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바디(812)는 상하방향으로 뒤틀리거나 굽힘될 수 있다. 프레임바디(812)는 고정부(85)의 위치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휘어질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고정프레임연결부(8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연결부(813)는 프레임바디(81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연결부(813)는 고정프레임(86)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은 걸림부(814)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814)는 연결프레임(87)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87)은 걸림부(814)에 걸림될 수 있다.
조절프레임(82)은 조절바디(82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바디(82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조절바디(821)는 제1 프레임(81)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84)와 고정부(85)는 조절바디(821)로부터 토출측벽(37)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조절프레임(82)은 프레임고정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고정부(822)는 프레임바디(8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고정부(822)는 제2 프레임(83)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3)은 프레임고정부(822)에 형성된 걸림홈(823)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7은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제1 프레임(81)의 일부는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바디(812)는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프레임(81)의 나머지는 토출측벽(37)과 실내팬(3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연결부(813)는 토출측벽(37)과 실내팬(3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87)은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3)은 토출측벽(37)과 스태빌라이져(6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3)은 스태빌라이져(60)에 인접할수록 실내팬(34)을 향해 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고정프레임(86)은 토출측벽(37)과 실내팬(3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86)은 격벽(36)과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리어가이드(7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가이드(70)는 토출측벽(37)과 일체형일 수 있다. 리어가이드(70)는 실내팬(34)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86)은 리어가이드(70)와 결합될 수 있다. 리어가이드(70)는 격벽(36)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제1 공간(10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격벽(36)을 관통하여, 제2 공간(10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베인고정부(89)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고정부(89)는 격벽(36)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고정부(89)는 격벽(36)에 삽입될 수 있다.
이너베인(80)은 고정후크(88)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후크(88)는 베인고정부(89)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고정후크(88)는 제2 공간(10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8은 격벽(36)과 결합되는 이너베인(8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너베인(80)은 고정후크(88)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후크(88)는 격벽(36)을 관통할 수 있다. 고정후크(88)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격벽(36)은 후크삽입홈(361)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삽입홈(361)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후크(88)는 후크삽입홈(361)을 관통하여 제2 공간(102) 내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후크(88)는 후크베이스(881)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베이스(881)는 후크삽입홈(361)에 위치할 수 있다. 후크베이스(881)는 베인고정부(89)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후크(88)는 제1 후크프레임(8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크프레임(882)은 후크베이스(881)로부터 제2 공간(10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고정후크(88)는 제1 후크돌기(8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크돌기(883)는 제1 후크프레임(882)으로부터 격벽(36)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고정후크(88)는 제2 후크프레임(8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크프레임(884)은 후크베이스(881)로부터 제2 공간(10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후크프레임(884)은 제1 후크프레임(882)과 이격될 수 있다.
고정후크(88)는 제2 후크돌기(8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크돌기(885)는 제2 후크프레임(884)으로부터 격벽(36)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후크돌기(885)는 제1 후크돌기(883)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공기조화기 10: 케이스
20: 베인 34: 실내팬
60: 스태빌라이져 70: 리어가이드
80: 이너베인 81: 제1 프레임
82: 조절프레임 83: 제2 프레임
84: 연장부 85: 고정부
86: 고정프레임 87: 연결프레임

Claims (14)

  1. 창틀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토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팬;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베인; 및
    상기 팬과 상기 아우터베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너베인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연장방향을 따라 휘어지는 공기조화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베인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프레임;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프레임 및 복수의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조절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경계를 형성하는 토출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프레임은,
    상기 토출측벽을 관통하는 공기조화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토출측벽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측벽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돌기; 및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부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부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공기조화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프레임은 상기 토출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토출측벽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조절프레임보다 상기 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실내팬; 및
    상기 실내팬과 이격배치되고, 실외공간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실외팬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팬과 상기 실외팬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격벽을 연결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실내팬이 배치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실외팬이 배치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제1 공간 내에서 상기 격벽과 상기 제1 프레임을 연결하는 공기조화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실내팬이 배치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실외팬이 배치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경계를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토출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토출측벽과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경계를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토출측벽; 및
    상기 팬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토출측벽과 상기 스태빌라이져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아우터베인과 마주하는 리어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베인은,
    상기 아우터베인과 상기 리어가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KR1020220058728A 2022-05-13 2022-05-13 공기조화기 KR20230158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28A KR20230158960A (ko) 2022-05-13 2022-05-1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28A KR20230158960A (ko) 2022-05-13 2022-05-1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960A true KR20230158960A (ko) 2023-11-21

Family

ID=8898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728A KR20230158960A (ko) 2022-05-13 2022-05-1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9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477A (ko) 2018-05-23 2019-12-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골절 정복 시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477A (ko) 2018-05-23 2019-12-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골절 정복 시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655B1 (ko)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
KR20070112333A (ko) 횡류팬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N112432348B (zh) 风道组件及立式空调
CN110914599A (zh) 空气调节机
KR20090093600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230158960A (ko) 공기조화기
JP6566063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19005167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1898762B2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JP6384244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2666137B1 (ko) 공기조화기
KR102666143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1339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0541024C (zh) 一体型空调器换气门驱动装置
KR20230158954A (ko) 공기조화기
CN212227232U (zh) 竖式壁挂空调室内机
KR20230159332A (ko) 공기조화기
KR100653785B1 (ko) 공기조화기
KR20230158961A (ko) 공기조화기
JP7025682B2 (ja) ダクト型空気調和機
JP6648593B2 (ja) 空気調和機
KR20240058560A (ko) 공기조화기
WO2020110462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18204829A (ja) ダクト型空気調和機
JP6217893B2 (ja) 空気調和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