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237A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237A
KR20210108237A KR1020200023195A KR20200023195A KR20210108237A KR 20210108237 A KR20210108237 A KR 20210108237A KR 1020200023195 A KR1020200023195 A KR 1020200023195A KR 20200023195 A KR20200023195 A KR 20200023195A KR 20210108237 A KR20210108237 A KR 20210108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indoor
area
cas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237A/ko
Priority to PCT/KR2021/002349 priority patent/WO2021172882A1/ko
Priority to DE112021001233.9T priority patent/DE112021001233T5/de
Priority to US17/801,643 priority patent/US20230089873A1/en
Publication of KR2021010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31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penetrating a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 F24F1/037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using thermoelectric or thermomagnetic means, e.g. Pelti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4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in a window-type room air condit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영역과 실내공간을 연통하는 실내흡입구와 실내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영역와 실외공간을 연통하는 실외흡입구와 실외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흡입구에서 상기 실내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실내송풍팬;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에서 상기 실외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실외송풍팬;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1실내열교환부와,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1실외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제1열전소자;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제1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케이스 하부면; 및 상기 제1열전소자 및 상기 케이스 하부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를 가열하는 제2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가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분포되도록 상기 케이스 하부면과 상기 제2열전소자의 사이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연결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별도의 압축기, 실외기 등을 구비하지 않고 실내 냉낭방을 수행함과 동시에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소자를 적용한 창문형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특정한 영역의 공기를 사용목적에 알맞도록 공기의 온도, 습도, 공기의 유동 및 공기의 청정도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장치는 일반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구비하며, 냉매의 순환 방향에 따라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실외 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기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와 실외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위한 실외 열교환기와 송풍팬 및 상기 압축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각종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실내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위한 실내열교환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외 공간에 실외기를 설치하는 경우, 실내기와 연결하기 위한 각종 배관을 필요로 하고, 외벽에 배관이 통과하는 통로를 뚫어야 하며, 실외기가 위치할 공간을 따로 제작하는 등, 설치상의 어려움이 존재할 뿐 아니라, 실외 공간이 깔끔하게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압축기 및 펌프 등은, 에어컨의 소비전력과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과다하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문형 에어컨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한국등록특허공보 특1994-0024347)은, 열전소자를 적용한 창문형 에어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냉방시에 공기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하여 만들어진 응축수가 공기조화장치 내부에 맺히거나 고이게 되어 이를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하며, 외부 공기를 통해 실내를 환기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응축수가 오래 고이거나 환기가 되지 않는 경우, 세균 번식 및 악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특1994-0024347 (공고일자 1999년08월02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실외기, 압축기, 펌프, 냉매 및 배관 등을 구비할 필요 없고, 설치가 편리하며, 실내 냉난방이 가능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실외의 공기를 유입하여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내부가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영역과 실내공간을 연통하는 실내흡입구와 실내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영역와 실외공간을 연통하는 실외흡입구와 실외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과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흡입구에서 상기 실내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실내송풍팬과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에서 상기 실외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실외송풍팬과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1실내열교환부와,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1실외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제1열전소자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제1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케이스 하부면과 상기 제1열전소자 및 상기 케이스 하부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를 가열하는 제2열전소자를 포함하여, 제1열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가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응축수가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분포되도록 상기 케이스 하부면과 상기 제2열전소자의 사이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통하는 연결구가 형성되어,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제1영역 및/또는 제2영역에서 제2열전소자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제2열전소자는, 상기 연결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열전소자가 응축수가 수집된 케이스 하부면으로부터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열전소자는, 상기 제2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실외열교환면과, 상기 제2실외열교환면에서 상기 제2영역으로 돌출되어 상기 응축수를 가열하는 제2실외열교환핀을 포함하여, 제2영역에서 응축수로의 열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실외열교환핀은, 절곡되어 상기 케이스 하부면에 접촉하여, 직접적으로 응축수와 접촉하여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하부면은, 상기 제1영역에서보다 상기 제2영역에서 더 낮게 배치되도록 기울어져, 내기를 냉각시키는 제1영역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외기 및 응축수를 가열하는 제2영역으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2영역측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하부면과 연통되어 상기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튜브를 더 포함하여,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미량의 응축수를 제2열전소자를 통해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외송풍팬은, 상기 제1실외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전소자의 사이에 배치되어, 응축수에 대류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는 환기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통하는 환기구를 포함하여, 실내를 냉난방함과 동시에 실내를 환기를 시킬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환기구를 개폐하는 환기댐퍼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실외흡입구, 환기장치 및 실내토출구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어,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유동 경로를 환기에 최적화시킬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제1열전소자 및 제2열전소자의 사이에 배치되어 강제대류를 통해 응축수를 증발시킴과 동시에, 실내로 도입되는 외기가 증발된 응축수를 동반하여 가습의 기능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실내토출구 및 실외토출구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되고, 창틀의 틈에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샤시를 포함하여, 창틀에 공기조화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샤시는,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로어샤시; 및 길이의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어샤시에 삽입되는 어퍼샤시를 포함하여, 창틀의 규격에 상관없이 공기조화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샤시는, 상기 어퍼샤시의 내측의 상단에 부착되고, 길이의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창틀의 규격에 상관없이 실내와 실내를 분리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실외기, 압축기, 냉매 및 배관 등이 구비되지 않아 설치가 편리하고 컴팩트한 장점이 있다.
둘째, 실내를 냉난방함과 동시에 응축수를 증발시키며, 급기가 증발된 응축수를 동반하여 실내를 가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냉난방중에 실외의 공기를 유입하여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I-II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하측을 I-II에서 잘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상측을 I-II에서 잘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상측을 바라본 내부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도면은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름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케이스(11), 실내흡입구(13), 및 실내토출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흡입구(13) 및 실내토출구(141)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1)에 형성될 수 있다. 실내의 공기(이하, 내기)는 실내흡입구(13)를 통하여 케이스(11)의 내부로 흡입된다. 케이스(11)의 내부로 흡입된 내기는 실내토출구(14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후술하는 실내송풍팬(14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실내송풍팬(143)이 작동하면, 내기가 케이스(11)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이 일어난 이후에, 냉기 혹은 온기가 실내토출구(141)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실내흡입구(13) 및 실내토출구(141)가 형성된 케이스(11)의 반대편에는, 실외의 공기(이하, 외기)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하여 실외로 토출하도록 실외흡입구(13'), 실외토출구(141') 및 실외송풍팬(14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샤시(20)는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1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샤시(20)는 창문틀에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창문틀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샤시(20)는 다양한 창문틀의 규격에 부합하도록 길이신축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는 디스플레이, 전원버튼, 작동버튼 및 신호를 수신하고 송출하는 각종 센서 및 제어부 등이 구비된 조작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는 사용자에게 공기조화장치의 운전 정보 혹은 실내/실외 온도 등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명령을 인가받아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내부가 제1영역(S1)과 제2영역(S2)으로 분리(구분)되는 케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는 제1영역(S1)과 실내공간을 연통하는 실내흡입구(13)와 실내토출구(141)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는 제2영역(S2)과 실외공간을 연통하는 실외흡입구(13')와 실외토출구(1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S1) 및 제2영역(S2)은 격벽(12)은 실내와 연통되는 영역 및 실외와 연통되는 영역을 구분짓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제1영역(S1)이 실내와 연통되는 영역이고, 제2영역(S2)이 실외와 연통되는 영역으로 서술할 것이나, 이와 반대로 제1영역(S1)이 실외와 연통되는 영역이고, 제2영역(S2)이 실내와 연통되는 영역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실내흡입구(13)는 제1영역(S1)에서 케이스(11)의 하측에 형성되고, 실내토출구(141)는 제1영역(S1)에서 케이스(1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실외흡입구(13')는 제2영역(S2)에서 케이스(11)의 상측에 형성되고, 실외토출구(141')는 제2영역(S2)에서 케이스(1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는 케이스(11)의 내부에서 제1영역(S1)과 제2영역(S2)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12)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12)은 제1영역(S1)과 제2영역(S2)을 분리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는 제1영역(S1)에 배치되고, 실내흡입구(13)에서 실내토출구(141)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실내송풍팬(143)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는 제2영역(S2)에 배치되고, 실외흡입구(13')에서 실외토출구(141')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실외송풍팬(143')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송풍팬(143)은 상기 실내송풍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142)와 연결될 수 있다. 실외송풍팬(143')은 상기 실외송풍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는 제1영역(S1)에 배치되어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1실내열교환부(151)와, 상기 제2영역(S2)에 배치되어 상기 제2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1실외열교환부(152)를 포함하는 제1열전소자(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전소자(15)는 실내흡입구(13) 및 실내토출구(14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전소자(15)는 실외흡입구(13') 및 실외토출구(14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전소자(15)는 격벽(12)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전소자(15)는 어떤 물체의 양쪽에 전위 차를 걸어 주면 전류와 함께 열이 흘러서 양쪽 끝에 온도 차가 생기는 펠티에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것이다. 통상의 열전소자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열전소자(15)는 n형 반도체(미도시)와 p형 반도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형 반도체(미도시) 및 p형 반도체(미도시)는 도체인 제1실내열교환부(151) 및 제1실외열교환부(152)와 연결될 수 있다.
일측으로 전류를 흘려주면, 상기 제1실내열교환부(151)는 열을 방출하고 상기 제1실외열교환부(152)는 열을 흡수할 수 있으며, 타측으로 전류를 흘려주면 상기 제1실내열교환부(151)는 열을 흡수하고 상기 제1실외열교환부(152)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즉,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1영역(S1)은 난방을 수행하는 영역, 제2영역(S2)은 냉방을 수행하는 영역이 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제1영역(S1)은 냉방을 수행하는 영역, 제2영역(S2)은 난방을 수행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는 전류의 방향을 변환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냉난방 전환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내열교환부(151) 및 제1실외열교환부(152)는 각각 면형상의 제1실내열교환면(151a) 및 제1실외열교환면(152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내열교환부(151)는 상기 제1실내열교환면(151a)에 부착되는 핀 형상의 제1실내열교환핀(15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외열교환부(152)는 상기 제1실외열교환면에 부착되는 핀 형상의 제1실외열교환핀(15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내열교환핀(151b) 및 제1실외열교환핀(152b)은 복수개의 핀이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바,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어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장치는 케이스(11)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어 제1열전소자(15)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케이스 하부면(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하부면(16)은 제1열전소자(15)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집한다. 상기 케이스 하부면(16)은 케이스(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제1열전소자(15) 및 케이스 하부면(16)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를 가열하는 제2열전소자(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열전소자(18)는 격벽(12)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열전소자(18)는 제1영역(S1)에 배치되어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2실내열교환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열전소자(18)는 제2영역(S2)에 배치되어 상기 제2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2실외열교환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내열교환부(181) 및 제2실외열교환부(182) 중 어느 하나는 열을 흡수하여 공기를 냉각하고, 다른 하나는 열을 방출하여 공기 및 응축수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응축수가 제1영역(S1) 및 제2영역(S2)에 분포되도록 케이스 하부면(16)과 제2열전소자(18)의 사이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통하는 연통구(12h)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2)은 케이스 하부면(16)까지 연장되어 제1영역(S1)과 제2영역(S2)을 분리하고, 상기 격벽(12)의 일부가 개방되어 제1영역(S1)과 제2영역(S2)을 연결하는 연결구(12h)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냉난방작동과정 및 응축수 증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실내 냉방 운전>
공기조화장치가 사용자의 냉방 운전 명령을 인가받으면, 제1모터(142)와 제2모터(142') 및 실내송풍팬(143)과 실외송풍팬(143')이 회전한다. 제1열전소자(15)로 인가되는 전류는 일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이때 제1실내열교환부(151)는 열을 흡수하고, 제1실외열교환부(152)는 흡수한 열을 전달받아 방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제1영역(S1)은 실내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송풍팬(143)이 회전하면 실내흡입구(13)를 통해 케이스(11) 내부의 제1영역(S1)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제1열전소자(15)의 제1실내열교환부(151)와 접촉하여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는 실내송풍팬(143)의 송풍력에 의하여 실내토출구(14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제2영역(S2)은 실외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송풍팬(143')이 회전하면 실외흡입구(13')를 통해 케이스(11)의 내부의 제2영역(S2)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제1열전소자(15)의 제1실외열교환부(152)와 접촉하여, 제1실외열교환부(152)로부터 방열되는 열을 동반하게 된다. 방열열을 동반한 공기는 실외송풍팬(143')의 송풍력에 의하여 실외토출구(141')를 통해 실외로 토출된다.
<실내 난방 운전>
공기조화장치가 사용자의 난방 운전 명령을 인가받으면, 제1모터(142)와 제2모터(142') 및 실내송풍팬(143)과 실외송풍팬(143')이 회전한다. 제1열전소자(15)로 인가되는 전류는 냉방 운전 명령의 경우와 다르게 타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이때 제1실내열교환부(151)는 열을 방출하고, 제1실외열교환부(152)는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제1영역(S1)은 실내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송풍팬(143)이 회전하면 실내흡입구(13)를 통해 케이스(11) 내부의 제1영역(S1)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제1열전소자(15)의 제1실내열교환부(151)와 접촉하여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실내송풍팬(143)의 송풍력에 의하여 실내토출구(14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제2영역(S2)은 실외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송풍팬(143')이 회전하면 실외흡입구(13')를 통해 케이스(11)의 내부의 제2영역(S2)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제1열전소자(15)의 제1실외열교환부(152)와 접촉하여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는 실외송풍팬(143')의 송풍력에 의하여 실외토출구(141')를 통해 실외로 토출된다.
위처럼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여 냉난방운전을 전환할 수도 있으나, 제1영역(S1) 및 제2영역(S2)의 위치를 각각 실외측 및 실내측으로 변경하여 냉난방운전을 전환할 수 있다.
<응축수의 수집 및 증발>
제1열전소자(15)의 일측에서 열을 흡수하는 경우, 상기 제1열전소자(15)의 일측의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중의 수분이 응축하여 응축수가 맺힐 수 있다. 상기 응축수는 중력의 영향에 의해 낙하하게 되고, 케이스 하부면(16)은 낙하하는 응축수를 포집할 수 있다. 케이스 하부면(16)과 제2열전소자(18)의 사이에서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연결되는 바, 상기 케이스 하부면(16)에 수집된 응축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에 분포할 수 있다. 케이스 하부면(16)에 포집된 응축수는 상기 제2열전소자(18)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열전소자(18)는 격벽(12)의 하측에서 케이스 하부면(16)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열전소자(18)는 연결구(12h)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열전소자(18)는 케이스 하부면(16)에 수집된 응축수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응축수를 가열할 수 있다.
제2열전소자(18)는, 상기 제1영역(S1)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실내열교환면(181a)과, 상기 제2실내열교환면에서 상기 제2영역으로 돌출되어 응축수를 가열하는 제2실내열교환핀(18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열전소자(18)는 상기 제2영역(S2)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실외열교환면(182a)과, 상기 제2실외열교환면에서 상기 제2영역으로 돌출되어 응축수를 가열하는 제2실외열교환핀(18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열전소자(15)와 마찬가지로 제1영역(S1) 및 제2영역(S2)에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실내열교환핀(181b) 및 제2실외열교환핀(182b)은 복수의 핀이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바,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어 열교환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케이스 하부면(16)에 수집된 응축수가 제1영역(S1) 및 제2영역(S2)에서 공유되는 영역이 제2열전소자(18)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 제2열전소자(18)는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동시에 응축수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냉방 운전의 경우, 제1실내열교환핀(151b) 및 제2실내열교환핀(181b)에서 응축수가 생성되서 제1영역(S1) 측의 케이스 하부면(16)으로 낙하하고, 상기 응축수는 케이스 하부면(16)에서 제2영역(S2)까지 분포하게 된다. 이때, 제2영역(S2)에 분포된 응축수는 제2영역(S2)에 배치된 제2열전소자(18)의 제2실외열교환핀(182b)에 의해 가열된다.
예를 들어, 실내 난방 운전의 경우, 제1실외열교환핀(152b) 및 제2실외열교환핀(182b)에서 응축수가 생성되어 제2영역(S2) 측의 케이스 하부면(16)으로 낙하하고, 상기 응축수는 케이스 하부면(16)에서 제1영역(S1)까지 분포하게 된다. 이때, 제1영역(S1)에 분포된 응축수는 제1영역(S1)에 배치된 제2열전소자(18)의 제2실내열교환핀(181b)에 의해 가열된다. 이 경우, 가열된 응축수는 증발되어, 제1영역(S1)에서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바, 실내를 난방함과 동시에 가습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제2실외열교환핀(182b)은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케이스 하부면(16)에 접촉할 수 있다. 제2실외열교환핀(182b)이 절곡되어 케이스 하부면(16)에 접촉하는 경우, 응축수는 상기 제2실외열교환핀(182b)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핀은 응축수에 직접적으로 열을 전도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응축수가 증발할 수 있다,
케이스 하부면(16)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영역에서보다 상기 제2영역에서 더 낮게 배치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실내 냉방 운전에 의해 제1영역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제2영역으로 이동하여 제2실외열교환핀(182b)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케이스 하부면(16)과 연통되어 응축수를 케이스(1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튜브(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하부면(16)이 기울어진 경우, 상기 배출튜브는, 상기 케이스 하부면이 낮은 곳에 배치되어, 흐르는 응축수를 케이스(1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하부면(16)이 상기 제1영역에서보다 상기 제2영역에서 더 낮게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경우, 상기 배출튜브(17)는 제2영역측의 하부에서 케이스(11)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튜브(17)를 통해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미량의 응축수가 케이스 하부면(16)에 잔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응축수는 제2실외열교환핀(182b)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된다.
실외송풍팬(143')은, 제1실외열교환부(152) 및 제2열전소자(18)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송풍팬(143')은 제1실외열교환부(152) 및 제2실외열교환부(18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송풍팬(143')은 상기 제2실외열교환핀(182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내 냉방 운전에서 상기 제2실외열교환핀(182b)이 응축수를 가열할 때, 실외송풍팬(143')은 상기 제2실외열교환핀과 상기 응축수간에 대류를 일으켜 보다 효과적으로 응축수를 증발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환기모듈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격벽(12)에 설치되어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는 환기장치(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19)는, 격벽(12)에 형성되어,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통하는 환기구(1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19)는 상기 환기구(191)를 개폐하는 환기댐퍼(192)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장치(19)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난방 운전 가동 중에, 필요에 따라 상기 환기댐퍼(192)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외기를 실내에 도입함으로써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다.
환기댐퍼(192)를 개방하면, 실내송풍팬(143)이 회전하여 내기뿐만 아니라 외기를 케이스(11) 내부로 유입할 수 있다. 외기는 실외흡입구(13')를 통하여 케이스(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케이스(11)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실내송풍팬(143)의 송풍력으로 인해 환기장치(19)의 환기구(191) 및 실내토출구(141)를 차례로 통과하여 실내에 공급된다. 환기댐퍼(192)를 폐쇄하면, 상기 환기구(191)로부터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는 바, 실내송풍팬(143)이 회전하여 내기만을 케이스(11)로 유입하고 외기를 유입하지 못한다.
실내송풍팬(143)과 실외송풍팬(143')이 동시에 가동되며 환기댐퍼(192)가 개방될 때, 외기가 효과적으로 실내로 유동하려면, 케이스(11)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실외토출구(141')로 토출되기 전에 환기장치(19)를 거쳐 실내토출구(141)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적인 외기의 도입을 위해, 환기장치(19)는 실외흡입구(13') 및 실내토출구(14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외흡입구(13')로부터 상기 실내토출구(141)까지의 거리는, 상기 실외토출구(141')로부터 상기 실내토출구(141)의 거리보다 더 가까울 수 있다.
실외흡입구(13'), 환기장치(19) 및 실내토출구(141)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환기장치의 환기구(191)는 실내토출구(141)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외흡입구(13'), 환기장치(19), 실내송풍팬(143) 및 실내토출구(141)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환기구(191)는 격벽(12)에서 제1모터(142) 및 실내송풍팬(143)이 설치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환기장치(19)는, 상기 환기구(191) 및 상기 환기댐퍼(192)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1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193)는 환기댐퍼(192)가 개방되어 외기가 실내토출구(141)로 토출되기 전 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내토출구(141)는, 상기 케이스(1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측에 형성되는 경우, 실내의 냉기가 더 잘 순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가 창문 틈에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장치는, 실내토출구(141) 및 실외토출구(141')의 사이에서 케이스(11)의 외면에 부착되고, 창틀의 틈에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샤시(20)를 포함할 수 있다. 샤시(20)는 실내흡입구(13) 및 실외흡입구(13')의 사이에서 케이스(11)의 외면에서 부착될 수 있다. 샤시(20)는 케이스(1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샤시(20)는 격벽(12)에 대응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샤시(20)는 창문과 같이 창틀의 틈에 체결될 수 있다. 샤시(20)가 창틀에 삽입되면 제1영역(S1)은 실내에 위치하고, 제2영역(S2)은 실외에 위치할 수 있다. 반대로, 샤시(20)가 창틀에 삽입되면 제1영역(S1)은 실외에 위치하고, 제2영역(S2)은 실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실내에 위치하는 영역의 구조는 실내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실외에 위치하는 영역의 구조는 실외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샤시(20)는 다양한 창틀의 규격에 맞게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시(20)는, 케이스(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11)를 지지하는 로어샤시(21) 및 길이의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어샤시(21)에 삽입되는 어퍼샤시(22)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로어샤시(21)는 어퍼샤시(22)에 삽입될 수도 있다. 로어샤시(21)는 케이스(11)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의 하부 및 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어퍼샤시(22)는 로어샤시(21)로부터 인출되어 샤시(20)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 어퍼샤시(22)는 로어샤시(21)로부터 케이스(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20)는 세로너비가 신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가로너비가 신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어퍼샤시(22)가 로어샤시(21)로부터 인출되어 길이신장되면, 케이스(11)의 상단면과 상기 어퍼샤시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실내와 실외가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샤시(20)는, 어퍼샤시(22)의 내측의 상단에 부착되고, 길이의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차단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23)는 상기 어퍼샤시(22)의 내측의 상단 및 케이스(11)의 상단면에 부착될 수 있다. 차단부재(23)는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와 공통된 특징을 가지며 이하에서는 도 2에서와 차이점을 위주로 기술한다.
실내흡입구(13)는 제1영역(S1)에서 케이스(11)의 상측에 형성되고, 실내토출구(141)는 제1영역(S1)에서 케이스(1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실외흡입구(13')는 제2영역(S2)에서 케이스(11)의 상측에 형성되고 실외토출구(141')는 제2영역(S2)에서 케이스(1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열전소자(18)의 제2실내열교환핀(182b)은 하측으로 절곡되어 케이스 하부면(16)에 접촉할 수 있다. 제2실내열교환핀(181b)이 절곡되어 케이스 하부면(16)에 접촉하는 경우, 응축수는 상기 제2실내열교환핀(181b)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핀은 응축수에 직접적으로 열을 전도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응축수가 증발할 수 있다,
실내토출구(141) 및/또는 실내송풍팬(143)은 제1영역(S1)에서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토출구(141) 및/또는 실내송풍팬(143)은 제2열전소자(18)의 제2실내열교환핀(18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내송풍팬(143) 및/또는 실내토출구(141)는, 제1실내열교환부(151) 및 제2열전소자(18)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송풍팬(143) 및/또는 실내토출구(141)는, 제1실내열교환부(151) 및 제2실내열교환핀(181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난방 운전에서 실내토출구(141)를 통과하는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2실내열교환핀(181b)과 응축수 사이에 대류를 일으켜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응축수를 증발시킬 수 있으며, 증발된 응축수를 동반하여 실내를 가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내 난방 운전의 경우, 제1실외열교환핀(152b) 및 제2실외열교환핀(182b)에서 응축수가 생성되어 제2영역(S2) 측의 케이스 하부면(16)으로 낙하하고, 상기 응축수는 케이스 하부면(16)에서 제1영역(S1)까지 분포하게 된다. 이때, 제1영역(S1)에 분포된 응축수는 제1영역(S1)에 배치된 제2열전소자(18)의 제2실내열교환핀(181b)에 의해 가열된다. 이 경우, 가열된 응축수는 증발되어, 제1영역(S1)에서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바, 실내를 난방함과 동시에 가습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케이스 하부면(16)은, 상기 제2영역에서보다 상기 제1영역에서 더 낮게 배치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실내 난방 운전에 의해 제2영역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제1영역으로 이동하여 제2실외열교환핀(182b)에 의해 가열된다. 이 경우, 배출튜브(17)는 제2영역측의 하부에서 케이스(11)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튜브(17)를 통해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미량의 응축수가 케이스 하부면(16)에 잔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응축수는 제2실내열교환핀(181b)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된다.
효과적인 외기의 도입을 위해, 실외흡입구(13'), 환기장치(19) 및 실내토출구(141)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환기장치(19)는 격벽(12)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19)는 제2열전소자(18)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19)는 제1열전소자(15)와 제2열전소자(18)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난방 운전에서, 환기장치(19)를 통과하는 외기가 상기 응축수와 상기 제2열전소자(18)의 사이에 대류를 일으키는 바, 보다 효과적으로 응축수를 증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19)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증발된 응축수를 보다 쉽게 동반하게 되어 가습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S1: 제1영역 S2: 제2영역
11: 케이스 12: 격벽
13: 실내흡입구 13': 실외흡입구
14: 실내송풍장치 141: 실내토출구
142: 제1모터 143: 실내송풍팬
14': 실외송풍장치 141': 실외토출구
142': 제2모터 143': 실외송풍팬
15: 제1열전소자 151: 제1실내열교환부
151a: 제1실내열교환면 151b: 제1실내열교환핀
152: 제1실외열교환부 152a: 제1실외열교환면
152b: 제1실외열교환핀 16: 케이스 하부면
17: 배출튜브 18: 제2열전소자
181: 제2실내열교환부 181a: 제2실내열교환면
181b: 제2실내열교환핀 182: 제2실외열교환부
182a: 제2실외열교환면 182b: 제2실외열교환핀
19: 환기장치 191: 환기구
192: 환기댐퍼 193: 필터
20: 샤시 21: 로어샤시
22: 어퍼샤시 23: 차단부재
30: 디스플레이

Claims (18)

  1. 내부가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영역과 실내공간을 연통하는 실내흡입구와 실내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영역와 실외공간을 연통하는 실외흡입구와 실외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흡입구에서 상기 실내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실내송풍팬;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에서 상기 실외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실외송풍팬;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1실내열교환부와,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1실외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제1열전소자;
    상기 제1열전소자 및 케이스 하부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가열하는 제2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가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분포되도록 상기 케이스 하부면과 상기 제2열전소자의 사이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통하는 연결구가 형성되는 공기조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전소자는, 상기 연결구의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전소자는,
    상기 제2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실외열교환면과, 상기 제2실외열교환면에서 상기 제2영역으로 돌출되어 상기 응축수를 가열하는 제2실외열교환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외열교환핀은,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케이스 하부면에 접촉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부면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영역에서보다 상기 제2영역에서 더 낮게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공기조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측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하부면과 연통되어 상기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튜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부면과 연통되어 상기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튜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송풍팬은,
    상기 제1실외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전소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는 환기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통하는 환기구; 및
    상기 환기구를 개폐하는 환기댐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실외흡입구 및 실내토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흡입구로부터 상기 실내토출구까지의 거리는,
    상기 실외토출구로부터 상기 실내토출구의 거리보다 더 가까운 공기조화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흡입구, 환기장치 및 실내토출구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제1열전소자 및 제2열전소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환기구 및 상기 환기댐퍼의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토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기조화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토출구 및 실외토출구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되고, 창틀의 틈에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샤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로어샤시; 및
    길이의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어샤시에 삽입되는 어퍼샤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상기 어퍼샤시의 내측의 상단에 부착되고, 길이의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200023195A 2020-02-25 2020-02-25 공기조화장치 KR20210108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195A KR20210108237A (ko) 2020-02-25 2020-02-25 공기조화장치
PCT/KR2021/002349 WO2021172882A1 (ko) 2020-02-25 2021-02-25 공기조화장치
DE112021001233.9T DE112021001233T5 (de) 2020-02-25 2021-02-25 Klimatisierungsvorrichtung
US17/801,643 US20230089873A1 (en) 2020-02-25 2021-02-25 Air-conditio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195A KR20210108237A (ko) 2020-02-25 2020-02-25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237A true KR20210108237A (ko) 2021-09-02

Family

ID=7749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195A KR20210108237A (ko) 2020-02-25 2020-02-25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89873A1 (ko)
KR (1) KR20210108237A (ko)
DE (1) DE112021001233T5 (ko)
WO (1) WO202117288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2213A1 (zh) * 2022-04-20 2023-10-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窗式空调器
KR20230159333A (ko) * 2022-05-13 202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30159331A (ko) * 2022-05-13 202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30159334A (ko) * 2022-05-13 202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8988A (zh) * 2021-12-30 2022-04-05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体式空调器
WO2023133243A2 (en) * 2022-01-07 2023-07-13 Ontel Products Corporation Peltier effect driven air cooler
DE102022113670B3 (de) * 2022-05-31 2023-08-10 FH Aache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Lüftungsanlage und Gebäud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121B1 (ko) 1993-04-30 1999-08-02 윤종용 창문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동싸이클구조
KR200297811Y1 (ko) * 2002-09-06 2002-12-11 주식회사 한일콘트롤 전자식 냉방 및 제습장치
JP2005024125A (ja) * 2003-06-30 2005-01-27 Toyotomi Co Ltd 窓用空気調和機の取付け枠構造
KR100704393B1 (ko) * 2005-09-26 2007-04-06 박정용 전자식 온, 습도 자동제어 장치
KR20080063576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861005B1 (ko) * 2007-08-10 2008-09-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모듈과 히트파이프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KR101530702B1 (ko) 2012-04-23 2015-06-22 주식회사 레보테크 열전소자를 이용한 이동식 온냉 겸용 에어컨
KR20140058069A (ko) 2012-11-06 2014-05-14 김주영 열전소자를 이용한 차량 에어컨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2213A1 (zh) * 2022-04-20 2023-10-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窗式空调器
KR20230159333A (ko) * 2022-05-13 202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30159331A (ko) * 2022-05-13 202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30159334A (ko) * 2022-05-13 202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89873A1 (en) 2023-03-23
DE112021001233T5 (de) 2022-12-15
WO2021172882A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8237A (ko) 공기조화장치
US11204180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CA1319014C (en) Dehumidifier
US6804975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10041704B2 (en)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KR101991416B1 (ko) 서버용 쿨링랙 장치
KR20120135771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70067655A1 (en) Air conditioner units having improved apparatus for providing make-up air
CN108278810A (zh) 冰箱
US20180274797A1 (en) Air conditioner
US20120118535A1 (en) Chilled Beam Air Conditioning System
NL2018716B1 (en) Cabinet for housing part of a heat pump
TW202103774A (zh) 除濕機
KR20050012223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2436120B1 (ko) 토출공기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습기
JP2012117755A (ja) 空気調和機
KR100830404B1 (ko) 난방기
JP4605725B2 (ja) 増設凝縮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増設凝縮システム付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625751B1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
CN205227904U (zh) 集空气源热泵和新风处理于一体且无需除霜的装置
CN114294790B (zh) 一种水源式除湿调温机的控制方法
KR102251194B1 (ko) 가축사용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KR100939019B1 (ko) 수냉식 공조 시스템의 실내기
CN219624164U (zh) 一种空调室内机
KR200171604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