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554B1 -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554B1
KR102562554B1 KR1020180017643A KR20180017643A KR102562554B1 KR 102562554 B1 KR102562554 B1 KR 102562554B1 KR 1020180017643 A KR1020180017643 A KR 1020180017643A KR 20180017643 A KR20180017643 A KR 20180017643A KR 102562554 B1 KR102562554 B1 KR 102562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member
slip
panel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793A (ko
Inventor
김문섭
최재우
서형준
정두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554B1/ko
Priority to US16/968,703 priority patent/US11920827B2/en
Priority to PCT/KR2018/012359 priority patent/WO2019160219A1/ko
Publication of KR2019009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14Masses driven by elastic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공기청정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패널; 상기 패널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장치; 상기 동력 전달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 전달장치와 접촉하는 방진부 및 상기 방진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슬립 방지부를 갖는 방진 부재; 및 상기 방진 부재에 연결되는 구동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AIR CLEANER AND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한 패널을 갖는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이다. 공기청정기는 흡입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미세먼지 및 악취의 원인이 되는 화학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에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오염 물질이 제거되어 깨끗한 공기로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공기청정기는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도록 패널을 통해 배출구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널은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청정기는 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구동 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패널로 전달하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이 패널을 개방하기 위해 구동될 때, 진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은 기어 어셈블리를 통해 패널에 전달되어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에 관한 종래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 10-2005-0110233 호 (2005.11.23.)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진동을 저감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방진 부재가 기어 어셈블리에 대해 슬립되어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패널; 상기 패널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장치; 상기 동력 전달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 전달장치와 접촉하는 방진부 및 상기 방진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슬립 방지부를 갖는 방진 부재; 및 상기 방진 부재에 연결되는 구동원;을 포함한다.
상기 슬립 방지부는 상기 동력 전달장치와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방진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슬립 방지부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 중공의 제1 부분은 상기 슬립 방지부의 회전을 간섭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립 방지부는 그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중공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슬립 방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중공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슬립 방지부보다 큰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 중공의 제2 부분은 상기 방진부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방진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샤프트의 상기 방진 부재에 삽입되는 삽입부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연결 샤프트의 상기 삽입부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결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샤프트의 상기 삽입부의 단면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진 부재는 실리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 방지부는 상기 연결 샤프트의 상기 삽입부와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진 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은 스텝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방진 부재와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패널과 연결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전제품은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패널; 상기 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패널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며, 내부에 형성된 삽입 중공을 갖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상기 삽입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 중공의 내면과 접촉하는 방진부 및 상기 삽입 중공의 내면과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슬립 방지부를 갖는 방진 부재; 및 상기 방진 부재에 연결되는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립 방지부는 상기 방진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립 방지부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 중공의 제1 부분은 상기 슬립 방지부의 회전을 간섭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중공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슬립 방지부보다 큰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 중공의 제2 부분은 상기 방진부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은 스텝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진 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청정기 또는 가전제품은 구동원과 기어 어셈블리 사이에 방진 부재가 마련됨에 따라, 구동원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청정기 또는 가전제품은 방진 부재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구동원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기어 어셈블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방진 부재가 기어 어셈블리에 슬립되어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패널이 배출구의 크기를 확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동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진 부재가 피니언 기어와 연결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표시된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표시된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방진 부재가 피니언 기어와 연결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표시된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표시된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공기청정기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성은 공기청정기에 제한되지 않고, 패널이 구동되는 가전제품, 예를 들어, 가습기, 제습기 또는 공기조화기와 같은 가전제품이라면 어떠한 가전제품에라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패널이 배출구의 크기를 확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외관을 이루는 박스 형상의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공기가 공기가 흡입되도록 본체(10)에 형성되는 흡입구(미도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본체(10)에 형성되는 배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와 배출구(12)는 상이한 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흡입구는 본체(1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2)는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필터 유닛(미도시) 및 송풍팬 유닛(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 유닛은 외부 공기를 흡입구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여, 필터 유닛을 통과시키며 필터링한 후, 배출구(12)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필터 유닛은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배출구(12)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도록 패널(20)이 본체(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0)은 공기청정기(1)가 구동될 때,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하여 배출구(12)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0)은 공기청정기(1)가 구동되지 않을 때,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하여 배출구(12)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동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진 부재가 피니언 기어와 연결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표시된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표시된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패널(2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100, 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100, 100')는 패널(20)의 상부에 연결되어 패널(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장치(100)와, 패널(20)의 하부에 연결되어 패널(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동 장치는 패널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지지하여 패널(20)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구동 장치(100)와 제2 구동 장치(10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 구동 장치(10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1 구동 장치(100)를 구동장치(100)라 칭한다.
구동 장치(100)는 구동원(1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110)은 패널(20)을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원(110)은 스텝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구동원(110)은 축 샤프트(133)의 일 측에만 배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축 샤프트(133)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원(110)은 연결 샤프트(116)를 통해 방진 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원(110)은 연결 샤프트(116)와 연결되어 연결 샤프트(116)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111)는 그 단면이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 샤프트(11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 부분이 절개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샤프트(111)는 슬립 없이 동력을 연결 샤프트(116)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111)는 연결 샤프트(116)의 샤프트 중공(118)에 삽입될 수 있다. 샤프트 중공(118)은 구동 샤프트(111)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장치(100)는 연결 샤프트(11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샤프트(116)는 구동원(110)과 연결되어 구동원(110)에서 발생된 동력을 동력 전달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샤프트(116)는 구동원(110)의 구동 샤프트(111)가 삽입되는 샤프트 중공(118)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샤프트(116)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를 포함하는 사출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샤프트(116)는 방진 부재(120)에 연결되는 삽입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17)는 방진 부재(120)에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부(117)는 방진 부재(120)에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삽입부(117)는 방진 부재(120)의 연결 중공(123)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중공(123)은 삽입부(117)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중공(123)은 삽입부(117)의 크기보다 소정 크기만큼 크게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구동 장치(100)는 연결 샤프트(116)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동원(110)의 구동 샤프트(111)가 방진 부재(120)에 직접 삽입 및 연결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연결 샤프트(116)에 연결되는 방진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진 부재(120)는 연결 샤프트(116)와 동력 전달장치(13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진 부재(120)는 연결 샤프트(116)와 동력 전달장치(130)의 피니언 기어(132)를 연결할 수 있다. 방진 부재(120)는 구동원(110)에서 발생되어 연결 샤프트(116)로 전달된 진동이 동력 전달장치(130)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방진 부재(120)는 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진 부재(120)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방진 부재(120)는 실리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경도가 40% 이상 70%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방진 부재(120)는 경도가 대략 60%인 실리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방진 부재(120)는 동력 전달장치(130)와 접촉하는 방진부(121)와, 방진부(121)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슬립 방지부(126)와, 연결 중공(12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방진부(121)는 삽입 중공(136)의 제2 부분(136b)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진부(121)는 구동원(110)의 회전력을 동력 전달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다각형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방진부(121)는 삽입 중공(136)의 제2 부분(136b)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진부(121)는 제2 부분(136b)에 핏(fit)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방진부(121)는 제2 부분(136b)과의 사이에 갭(G)이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진부(121)는 슬립 방지부(126)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진부(121)는 슬립 방지부(126)보다 변형이 더 크게 일어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슬립 방지부(126)는 연결 샤프트(116)의 삽입부(117)와의 사이에 갭(G)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슬립 방지부(126)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연결 중공(123)의 내부에 삽입된 연결 샤프트(116)가 구동원(110)에서 발생된 강력한 토크에 의해 피니언 기어(132)의 내부에서 회전하려고 하더라도, 탄성 변형이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나게 되므로, 연결 샤프트(116)가 방진 부재(120)와 함께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슬립 방지부(126)는 그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삽입 중공(136)의 제1 부분(136a)은 슬립 방지부(126)에 대응되는 형상 및/또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연결 샤프트(116)의 슬립에 의한 헛돌기를 방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방진 부재(120)의 슬립 방지부(126)와 연결 샤프트(116)의 삽입부(117) 사이에 갭(G)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갭은 방진 부재(120)의 슬립 방지부(126)와 피니언 기어(132)의 삽입 중공(136)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삽입 중공(136)의 제1 부분(136a)은 슬립 방지부(126)보다 큰 크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방진 부재(120)는 방진부(121)가 구동원(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고, 슬립 방지부(126)가 구동원(110)의 슬립에 의한 헛돌기를 방지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패널(20)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장치(130)는 구동원(110)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이용하여 패널(20)을 본체(10)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 전달장치(130)는 랙 기어(131)와, 피니언 기어(132)와, 축 샤프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랙 기어(131)는 일 단부가 패널(20)에 고정될 수 있다. 랙 기어(131)는 패널(20)에 연결되어 패널(2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랙 기어(131)는 피니언 기어(13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패널(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피니언 기어(132)는 랙 기어(131)에 치합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32)는 연결 샤프트(116) 및 방진 부재(120)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랙 기어(131)로 전달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32)는 방진 부재(120)가 삽입되는 삽입 중공(136)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중공(136)은 방진 부재(120)의 슬립 방지부(126)가 삽입되는 제1 부분(136a)과 방진부(121)가 삽입되는 제2 부분(136b)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32)는 축 샤프트(133)와 연결될 수 있다.
랙 기어(131) 및 피니언 기어(132)는 폴리아세탈(Polyacetal, POM)을 포함하는 사출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부분(136a)은 슬립 방지부(126)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136a)은 구동원(110)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토크가 발생될 때, 연결 샤프트(116)와 슬립 방지부(126)가 피니언 기어(132)의 내부에서 슬립되며 헛도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삽입 중공(136)의 제1 부분(136a)은 슬립 방지부(126)가 삽입 중공(136)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136a)은 슬립 방지부(126)가 탄성에 의해 변형되며 제1 부분(136a)의 내부에서 회전하려고 하더라도, 이를 간섭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강한 토크가 가해져 연결 샤프트(116)의 삽입부(117)가 회전함에 따라 슬립 방지부(126)가 크게 변형되는 경우에도, 삽입부(117)의 모서리 부분이 삽입 중공(136)의 제1 부분(136a)의 돌출된 부분에 간섭되며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제2 부분(136b)은 방진부(121)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136b)은 방진부(121)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축 샤프트(133)는 일 단부가 구동원(110)에 인접한 피니언 기어(132)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 단부에는 다른 피니언 기어(132)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축 샤프트(133)는 구동원(110)에 인접한 피니언 기어(132)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원(110)으로부터 먼 피니언 기어(132)로 전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구동원은 각각의 피니언 기어(132)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때, 축 샤프트(133)는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방진 부재가 피니언 기어와 연결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표시된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표시된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200)는 구동원(110)과, 연결 샤프트(216)와, 방진 부재(220)와, 동력 전달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110)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동원(11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피니언 기어(232)에는 축 샤프트(233)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샤프트(216)는 구동원(110)에 연결되어 구동원(1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샤프트(216)는 구동원(110)의 구동 샤프트(111)가 삽입되는 샤프트 중공(218)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샤프트(216)는 방진 부재(220)에 삽입되는 삽입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17)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방진 부재(220)에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방진 부재(220)의 연결 중공(223)은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진 부재(220)는 연결 샤프트(216)의 삽입부(217)가 삽입되는 연결 중공(22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중공(223)은 삽입부(217)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되어, 연결 샤프트(21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진 부재(220)는 구동원(110)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동력 전달장치(230)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진부(221)와, 연결 샤프트(216)가 피니언 기어(232)의 삽입 중공(236)의 내부에서 슬립되며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 방지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립 방지부(226)는 방진부(221)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진부(221)는 피니언 기어(232)의 삽입 중공(236)의 제2 부분(236b)에 삽입될 수 있다. 방진부(221)는 제2 부분(236b)에 핏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방진부(221)는 제2 부분(236b)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 방진부(221)는 연결 샤프트(216) 및 피니언 기어(232)와 접촉함에 따라, 구동원(110)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패널(20)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슬립 방지부(226)는 피니언 기어(232)와의 사이에 갭(G)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립 방지부(226)는 연결 샤프트(216)의 삽입부(217)와는 접촉될 수 있다. 슬립 방지부(226)는 피니언 기어(232)에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200)는 방진부(221)가 구동원(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구동 장치(200)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슬립 방지부(226)가 변형이 적게 일어남에 따라, 연결 샤프트(216)의 삽입부(217)가 삽입 중공(236)의 제1 부분(236a)의 내부에서 회전하려고 하더라도, 슬립 방지부(226)의 모서리 부분이 제1 부분(236a)의 내측면에 의해 간섭되므로, 연결 샤프트(216)가 슬립되며 피니언 기어(232)의 내부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공기청정기
10; 본체
20; 패널
100, 200; 구동 장치
110; 구동원
120, 220; 방진 부재
121, 221; 방진부
126, 226; 슬립 방지부
130, 230; 동력 전달장치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패널;
    상기 패널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장치;
    상기 동력 전달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 전달장치와 접촉하는 방진부 및 상기 방진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슬립 방지부를 갖는 방진 부재; 및
    상기 방진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샤프트를 포함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방진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샤프트는 상기 방진 부재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립 방지부는, 상기 삽입 중공의 내면과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동력 전달장치와 이격되거나, 상기 삽입부와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 샤프트와 이격되는 공기청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방지부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 중공의 제1 부분은 상기 슬립 방지부의 회전을 간섭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방지부는 그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중공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슬립 방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중공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슬립 방지부보다 큰 크기로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 중공의 제2 부분은 상기 방진부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연결 샤프트의 상기 삽입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결 중공을 갖는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샤프트의 상기 삽입부의 단면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는 실리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스텝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방진 부재와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패널과 연결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4.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패널;
    상기 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패널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며, 내부에 형성된 삽입 중공을 갖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상기 삽입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 중공의 내면과 접촉하는 방진부 및 상기 삽입 중공의 내면과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와 이격되는 슬립 방지부를 갖는 방진 부재; 및
    상기 방진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샤프트를 포함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샤프트는 상기 방진 부재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립 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와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 샤프트와 이격되는 가전제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방지부는 상기 방진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는 가전제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방지부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 중공의 제1 부분은 상기 슬립 방지부의 회전을 간섭하도록 마련되는 가전제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중공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슬립 방지부보다 큰 크기로 마련되는 가전제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 중공의 제2 부분은 상기 방진부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가전제품.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스텝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전제품.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전제품.
KR1020180017643A 2018-02-13 2018-02-13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KR102562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643A KR102562554B1 (ko) 2018-02-13 2018-02-13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US16/968,703 US11920827B2 (en) 2018-02-13 2018-10-18 Air cleaner and home appliance
PCT/KR2018/012359 WO2019160219A1 (ko) 2018-02-13 2018-10-18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643A KR102562554B1 (ko) 2018-02-13 2018-02-13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793A KR20190097793A (ko) 2019-08-21
KR102562554B1 true KR102562554B1 (ko) 2023-08-03

Family

ID=6761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643A KR102562554B1 (ko) 2018-02-13 2018-02-13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20827B2 (ko)
KR (1) KR102562554B1 (ko)
WO (1) WO2019160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554B1 (ko) * 2018-02-13 2023-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KR20240000729A (ko) 2022-06-24 2024-01-03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처리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34A (ja) * 1997-06-20 1999-01-2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474050B1 (ko) * 2002-08-16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495542B1 (ko) * 2002-11-2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KR20050110233A (ko)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청정기
KR101533561B1 (ko) * 2008-08-01 2015-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335152B1 (ko) * 2014-02-28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US10844870B2 (en) * 2016-09-19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KR102562554B1 (ko) * 2018-02-13 2023-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0219A1 (ko) 2019-08-22
KR20190097793A (ko) 2019-08-21
US11920827B2 (en) 2024-03-05
US20210010694A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2554B1 (ko)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US7998231B2 (en) Air purifier
AU2005204284B2 (en) Wet-cloth brush for vacuum cleaner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424581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체결장치
PL1629762T3 (pl) Urządzenie ssące z kilkoma silnikami ssącymi
EP2049842A4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6274995B2 (ja) 往復回転式センサ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内機
DE60216755D1 (de) Ventilationssystem für haushaltsgeräte, insbesondere für waschmaschinen
CN108697288B (zh) 机器人清洁器
TW201505597A (zh) 吸塵器及吸入具
JP2009207555A (ja) 電気掃除機
US20150020485A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air leakage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JP6623114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及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JP2009183610A (ja) 電気掃除機
KR20190030796A (ko) 가습 공기청정기
JP2008099924A (ja) 電気掃除機の吸口
JP4200953B2 (ja) 空気通路開閉装置
JP2017023225A (ja) 回転ブラシを備えた吸込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17104711A (ja) 電気掃除機および吸込具
WO2023234185A1 (ja) 作業機
CN213016987U (zh) 贯流风机和空调室内机
KR101568986B1 (ko) 송풍팬 설치유닛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KR100747039B1 (ko) 자동차용 블로워 모터의 노이즈 방지와셔 구조
JP6037961B2 (ja) 回転軸の連結構造、フィルタ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07120836A (ja) 空気調和機の送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