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276B1 -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276B1
KR102645276B1 KR1020220185741A KR20220185741A KR102645276B1 KR 102645276 B1 KR102645276 B1 KR 102645276B1 KR 1020220185741 A KR1020220185741 A KR 1020220185741A KR 20220185741 A KR20220185741 A KR 20220185741A KR 102645276 B1 KR102645276 B1 KR 102645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ing
rails
loading
tray
inser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혁영
Original Assignee
주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혁영 filed Critical 주혁영
Priority to KR1020220185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의 카메라모듈에 사용되는 인서트부품을 자동으로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십 개의 인서트부품을 적재하는 복수의 부품트레이가 배열된 적재구역과 상기 적재구역에서 이송된 복수의 부품트레이를 적층하는 적층구역이 구획된 작업테이블; 상기 작업테이블의 적재구역에서 상기 스테이션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 좌우레일; 상기 좌우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후레일; 상기 전후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하레일; 상기 상하레일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션에 대기하는 복수의 인서트부품을 진공으로 흡착한 후 상기 복수의 부품트레이에 하나씩 적재하도록 복수의 흡착노즐을 갖는 흡착구; 및 상기 흡착구에 의해 상기 인서트부품이 다 채워진 상기 복수의 부품트레이를 적층구역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서트부품을 흡착한 상태에서 좌우레일과 전후레일 및 상하레일을 따라 작업테이블의 적재구역으로 이동하여 부품트레이의 적재홈에 적재한 후 적층구역으로 이송하는 과정이 자동화되므로 인서트부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Loader of insert components for mobile camera modules}
본 발명은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의 카메라모듈에 사용되는 인서트부품을 자동으로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동성을 갖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따위의 정보 통신용 모바일 기기는 초소형 카메라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모듈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2087호(등록일자 2018년11월20일) ‘카메라 모듈’,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3220호(공개일자 2010년03월04일)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8581호(등록일자 2012년05월14일)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86927호(등록일자 2022년04월11일)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과 스마트폰’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면, 카메라모듈은, 렌즈를 갖는 광학계와, 광학계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초점을 조절하는 렌즈부와, 광학계를 통해 유입되는 광을 촬상하여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카메라모듈은 광학계와 렌즈부 및 이미지센서 등을 설치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 및 베젤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카메라모듈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이나 베젤 등의 부품은 내구성 및 조립성 등을 고려하여 프레스로 가공된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의 스트립에 합성수지를 삽입한 인서트부품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얇고 길이가 긴 스트립에서 커팅한 인서트부품을 개별로 포장하지 않고 벌크(bulk) 형태로 비닐에 담아서 포장하였다.
여기서, 인서트부품은 카메라모듈의 초소형화를 위해 매우 얇게 이루어지는데, 작업자가 인서트부품을 벌크 형태로 비닐에 담아서 포장하는 과정 중에 떨어지거나 서로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부분적으로 파손되어 많은 양은 불량품이 양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스트립에서 커팅된 다량의 인서트부품을 일일이 비닐에 담아서 포장하는 작업자를 고용해야 하므로 인건비의 부담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포장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2087호(등록일자 2018년11월20일)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3220호(공개일자 2010년03월04일)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8581호(등록일자 2012년05월14일)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86927호(등록일자 2022년04월1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팅된 다수의 인서트부품을 포장용 트레이에 자동으로 적재하여 파손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커팅유닛에서 커팅 후 스테이션에 대기하는 복수의 인서트부품을 부품트레이에 적재하는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에 있어서, 수십 개의 인서트부품을 적재하는 복수의 부품트레이가 배열된 적재구역과 상기 적재구역에서 이송된 복수의 부품트레이를 적층하는 적층구역이 구획된 작업테이블; 상기 작업테이블의 적재구역에서 상기 스테이션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 좌우레일; 상기 좌우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후레일; 상기 전후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하레일; 상기 상하레일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션에 대기하는 복수의 인서트부품을 진공으로 흡착한 후 상기 복수의 부품트레이에 하나씩 적재하도록 복수의 흡착노즐을 갖는 흡착구; 및 상기 흡착구에 의해 상기 인서트부품이 다 채워진 상기 복수의 부품트레이를 적층구역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에는 상하로 연통하도록 트레이공급공이 형성되어 공급유닛을 통해 상기 작업테이블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부품트레이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작업테이블의 타측에는 상하로 연통하도록 트레이적층공이 형성되어 적층유닛을 통해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인서트부품이 적재된 상기 부품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유닛은,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부품트레이를 받쳐서 상기 트레이공급공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공급플레이트, 및 상기 공급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공급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층유닛은, 상기 인서트부품이 적재된 상기 부품트레이를 상부에서 하부로 적층하도록 상기 트레이적층공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적층플레이트, 및 상기 적층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적층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구는, 상기 상하레일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하슬라이더, 상기 상하슬라이더에 결합된 노즐홀더, 및 상기 노즐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션에 대기하는 복수의 인서트부품을 진공으로 흡착한 후 상기 복수의 부품트레이에 하나씩 적재하도는 복수의 흡착노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적재구역과 상기 적층구역을 연결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의 전후 양측에 구비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연결된 이송플레이트,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이송시키도록 연결된 이송실린더,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플레이트,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승강슬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인서트부품이 다 채워진 복수의 부품트레이를 각각 잡아서 적층구역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적재구역과 상기 적층구역을 연결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의 전후 양측에 구비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연결된 이송플레이트,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이송시키도록 연결된 이송실린더,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플레이트,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승강슬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인서트부품이 다 채워진 복수의 부품트레이를 진공으로 흡착해서 적층구역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진공흡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션에 대기하는 인서트부품을 흡착구로 흡착한 상태에서 좌우레일과 전후레일 및 상하레일을 따라 작업테이블의 적재구역으로 이동하여 부품트레이의 적재홈에 적재한 후 다 채워진 부품트레이를 이송부재에 의해 적층구역으로 이송하는 과정이 자동화되므로 인서트부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재장치를 전방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재장치를 우측 후방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재장치를 좌측 후방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이송플레이트를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승강플레이트를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는, 수십 개의 인서트부품(10)을 적재하는 복수의 부품트레이(30)가 배열된 적재구역(201)과 상기 적재구역(201)에서 이송된 복수의 부품트레이(30)를 적층하는 적층구역(202)이 구획된 작업테이블(200), 작업테이블(200)의 적재구역(201)에서 상기 스테이션(120)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 좌우레일(500), 좌우레일(500)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후레일(600); 전후레일(600)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하레일(700), 상하레일(70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션(120)에 대기하는 복수의 인서트부품(10)을 진공으로 흡착한 후 상기 복수의 부품트레이(30)에 하나씩 적재하도록 복수의 흡착노즐(820)을 갖는 흡착구(800), 흡착구(800)에 의해 상기 인서트부품(10)이 다 채워진 상기 복수의 부품트레이(30)를 적층구역(202)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900)를 포함한다.
먼저, 도면에 도시된 X축은 좌우 방향으로 정의하고, Y축은 전후 방향으로 정의하며, Z축은 상하 방향으로 정의한다.
커팅유닛(100)은 얇고 길이가 긴 스트립(20)에서 인서트부품(10)을 커팅한 후 스테이션(120)으로 반송하도록 작동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1의 중앙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확대도를 참조하면,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10)은 스트립(20)에서 연속해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커팅유닛(100)은 인서트부품(10)을 커터(110)로 커팅한 후 반송부재(130)에 의해 스테이션(120)으로 반송시킨다.
도 1에는 스테이션(120) 상에 4개의 인서트부품(10)을 대기하도록 나타내었으나 필요에 따라 스테이션(120) 상에 대기하는 인서트부품(10)의 개수는 가감할 수 있다.
작업테이블(200)은 인서트부품(10)을 부품트레이(30)에 적재하는 적재구역(201)과 인서트부품(10)이 적재된 부품트레이(30)를 다단으로 적층하는 적층구역(202)으로 구획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부품트레이(30)의 상면에는 수십 개의 인서트부품(10)을 각각 적재하도록 수십 개의 적재홈(31)이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다. 부품트레이(3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브림(32)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그리퍼(960)의 집게(961)로 잡을 수 있다.
이러한 부품트레이(30)는 작업테이블(200)의 전후에 각각 두 개씩 총 네 개로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부품트레이(30)는 전후에 각각 세 개씩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테이블(200)은 프레임(230)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지지된다.
선택적으로, 프레임(230)에는 캐스터(도시생략)가 장착되어 작업테이블(200)을 사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작업테이블(200)의 상면 우측에는 상하로 연통하도록 트레이공급공(210)이 형성되어 공급유닛(300)을 통해 작업테이블(200)의 하부에서 상부로 부품트레이(30)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공급유닛(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된 부품트레이(30)를 받쳐서 트레이공급공(210)으로 공급하도록 작업테이블(20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공급플레이트(310), 공급플레이트(310)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공급모터(330)를 포함한다.
공급플레이트(310)의 하부 중앙에는 공급용 볼스크루(320)의 상단이 수직으로 연결되고, 공급용 볼스크루(320)의 하단은 공급모터(330)에 연결되며, 공급모터(330)는 프레임(230)에 구비된 마운팅 플레이트(240)에 설치된다.
공급플레이트(310)의 양측은 트레이공급공(210)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공급가이드바(340)를 따라 안내되어 승강 시 좌우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요약하면, 공급유닛(300)은 인서트부품(10)의 적재가 완료된 부품트레이(30)를 적층구역(202)으로 이송한 후 공급모터(330)의 구동으로 공급용 볼스크루(320)가 회전되어 공급플레이트(310)를 상승시켜서 트레이공급공(210)으로 새로운 부품트레이(30)를 공급하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작업테이블(200)의 상면 좌측에는 상하로 연통하도록 트레이적층공(220)이 형성되어 적층유닛(400)을 통해 작업테이블(2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인서트부품(10)이 적재된 부품트레이(30)를 연속적으로 적층한다.
적층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부품(10)이 적재된 부품트레이(30)를 상부에서 하부로 적층하도록 트레이적층공(22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적층플레이트(410), 적층플레이트(410)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적층모터(430)를 포함한다.
적층플레이트(410)의 하부 중앙에는 적층용 볼스크루(420)의 상단이 수직으로 연결되고, 적층용 볼스크루(420)의 하단은 적층모터(430)에 연결되며, 적층모터(430)는 프레임(230)에 구비된 마운팅 플레이트(240)에 설치된다.
적층플레이트(410)의 양측은 트레이적층공(220)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적층가이드바(440)를 따라 안내되어 승강 시 좌우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요약하면, 적층유닛(400)은 적층모터(430)의 구동으로 적층용 볼스크루(420)가 회전되어 적층플레이트(410)를 하강시켜서 적재구역(201)에서 이송된 부품트레이(30)를 다단으로 적층하는 것이다.
좌우레일(500)은 작업테이블(200)과 커팅유닛(100)을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우레일(500)은 작업테이블(200)과 커팅유닛(100)에 설치된 레일브래킷(520)에 지지되는데, 이러한 좌우레일(500)의 좌측 단부는 작업테이블(200)의 적재구역(201)에 위치되고 우측 단부는 커팅유닛(100)의 스테이션(120)에 위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좌우레일(500)에는 좌우슬라이더(51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레일(60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한다.
전후레일(600)은 좌우레일(50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재장치를 전방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재장치를 우측 후방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재장치를 좌측 후방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후레일(600)은 좌우레일(500)에 좌우 슬라이더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러한 전후레일(60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단부는 트레이공급공(210)의 앞쪽에 위치되고 후단부는 트레이공급공(210)의 뒤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전후레일(600)에는 전후슬라이더(6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레일(70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한다.
상하레일(700)은 전후레일(60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하레일(700)은 전후레일(600)에 전후 슬라이더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러한 상하레일(70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레일(700)에는 상하슬라이더(7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흡착구(8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흡착구(800)는 인서트부품(10)을 진공으로 흡착하여 부품트레이(30)에 적재하는 기능을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흡착구(800)는, 상하슬라이더(710)에 결합된 노즐홀더(810), 노즐홀더(810)에 설치되어 스테이션(120)에 대기하는 복수의 인서트부품(10)을 진공으로 흡착한 후 복수의 부품트레이(30)에 하나씩 적재하는 복수의 흡착노즐(820)를 포함한다.
노즐홀더(810)에는 네 개의 흡착노즐(820)이 설치되고, 네 개의 흡착노즐(820)은 스테이션(120)에 대기하는 인서트부품(10)을 한 번에 진공으로 흡착하며, 흡착노즐(820)에는 진공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도시생략)가 연결된다.
요약하면, 흡착구(800)는 네 개의 인서트부품(10)을 한 번에 진공으로 흡착하여 좌우레일(500)과 전후레일(600) 및 상하레일(7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적재구역(201)에 정렬된 네 개의 부품트레이(30)에 인서트부품(10)을 번갈아 차례대로 적재하는 것이다.
이송부재(900)는 인서트부품(10)이 다 채워진 적재구역(201) 내의 부품트레이(30)를 적층구역(202)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7은 도 6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이송플레이트(920)를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승강플레이트(940)를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이송부재(900)는, 적재구역(201)과 적층구역(202)을 연결하도록 작업테이블(200)의 전후 양측에 구비되는 이송레일(910), 이송레일(910)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연결된 이송플레이트(920), 이송플레이트(920)를 이송시키도록 연결된 이송실린더(930), 이송플레이트(92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플레이트(940), 승강플레이트(940)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승강슬린더, 승강실린더(950)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940)에 설치되어 인서트부품(10)이 다 채워진 복수의 부품트레이(30)를 각각 잡아서 적층구역(202)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그리퍼(960)를 포함한다.
이송레일(910)은 작업테이블(200)의 상면 전후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이송플레이트(920)의 이송을 안내한다.
이송플레이트(920)의 저면 전후 양측에는 이송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이송레일(91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송실린더(930)는 작업테이블(200)의 상면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플레이트(920)에 실린더브래킷(931)으로 연결된다. 이송실린더(930)의 구동에 의해 이송플레이트(920)는 작업테이블(200)의 적재구역(201)과 적층구역(202)을 왕복한다.
승강플레이트(940)는 전후 이송레일(910)에 연결되어 이송슬라이더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승강플레이트(940)는 이송플레이트(920)와 함께 이송레일(910)을 따라 움직이지만 승강실린더(950)의 작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기능을 갖는다.
승강실린더(950)는 이송플레이트(920)의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승강실린더(950)의 승강로드(도시생략)는 승강플레이트(940)의 상면 중심에 연결되어 승강플레이트(94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그리퍼(960)는 복수의 부품트레이(30)를 각각 잡도록 승강플레이트(940)에 설치되는 복수로 이루어진다. 그리퍼(960)의 하부에는 부품트레이(30)의 브림(32)을 잡도록 집게(961)가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이송부재(900)는, 적재구역(201)과 적층구역(202)을 연결하도록 작업테이블(200)의 전후 양측에 구비되는 이송레일(910), 이송레일(910)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연결된 이송플레이트(920), 이송플레이트(920)를 이송시키도록 연결된 이송실린더(930), 이송플레이트(92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플레이트(940), 승강플레이트(940)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승강실린더(950), 승강실린더(950)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940)에 설치되어 인서트부품(10)이 다 채워진 복수의 부품트레이(30)를 진공으로 흡착해서 적층구역(202)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진공흡착기(도시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요약하면, 이송부재(900)는 인서트부품(10)이 다 채워진 적재구역(201) 내의 부품트레이(30)를 잡아서 적층구역(202) 내의 트레이적층공(220)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테이션(120)에 대기하는 인서트부품(10)을 흡착구(800)로 흡착한 상태에서 좌우레일(500)과 전후레일(600) 및 상하레일(700)을 따라 작업테이블(200)의 적재구역(201)으로 이동하여 부품트레이(30)의 적재홈(31)에 적재한 후 다 채워진 부품트레이(30)를 이송부재(900)에 의해 적층구역(202)으로 이송하는 과정이 자동화되므로 인서트부품(10)의 불량을 방지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사상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인서트부품 30 : 부품트레이
100 : 커팅유닛 120 : 스테이션
200 : 작업테이블 201 : 적재구역
202 : 적층구역 300 : 공급유닛
400 : 적층유닛 500 : 좌우레일
600 : 전후레일 700 : 상하레일
800 : 그리퍼 900 : 이송부재

Claims (7)

  1. 커팅유닛에서 커팅 후 스테이션에 대기하는 복수의 인서트부품을 부품트레이에 적재하는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에 있어서,
    수십 개의 인서트부품을 적재하는 복수의 부품트레이가 배열된 적재구역과 상기 적재구역에서 이송된 복수의 부품트레이를 적층하는 적층구역이 구획된 작업테이블;
    상기 작업테이블의 적재구역에서 상기 스테이션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 좌우레일;
    상기 좌우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후레일;
    상기 전후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하레일;
    상기 상하레일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션에 대기하는 복수의 인서트부품을 진공으로 흡착한 후 상기 복수의 부품트레이에 하나씩 적재하도록 복수의 흡착노즐을 갖는 흡착구; 및
    상기 흡착구에 의해 상기 인서트부품이 다 채워진 상기 복수의 부품트레이를 적층구역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에는 상하로 연통하도록 트레이공급공이 형성되어 공급유닛을 통해 상기 작업테이블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부품트레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작업테이블의 타측에는 상하로 연통하도록 트레이적층공이 형성되어 적층유닛을 통해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인서트부품이 적재된 상기 부품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적층하며,
    상기 공급유닛은,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부품트레이를 받쳐서 상기 트레이공급공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공급플레이트, 및 상기 공급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공급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플레이트의 양측은 상기 트레이공급공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공급가이드바를 따라 안내되어 승강 시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적층유닛은,
    상기 인서트부품이 적재된 상기 부품트레이를 상부에서 하부로 적층하도록 상기 트레이적층공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적층플레이트, 및 상기 적층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적층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플레이트의 양측은 상기 트레이적층공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적층가이드바를 따라 안내되어 승강 시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흡착구는,
    상기 상하레일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하슬라이더, 상기 상하슬라이더에 결합된 노즐홀더, 및 상기 노즐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션에 대기하는 복수의 인서트부품을 진공으로 흡착한 후 상기 복수의 부품트레이에 하나씩 적재하는 복수의 흡착노즐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적재구역과 상기 적층구역을 연결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의 전후 양측에 구비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연결된 이송플레이트,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이송시키도록 연결된 이송실린더,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플레이트,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승강슬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인서트부품이 채워진 부품트레이의 상면 가장자리에 구비된 브림을 잡아서 적층구역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185741A 2022-12-27 2022-12-27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 KR102645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741A KR102645276B1 (ko) 2022-12-27 2022-12-27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741A KR102645276B1 (ko) 2022-12-27 2022-12-27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276B1 true KR102645276B1 (ko) 2024-03-11

Family

ID=9024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5741A KR102645276B1 (ko) 2022-12-27 2022-12-27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2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220A (ko) 2008-08-21 2010-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101148581B1 (ko) 2010-11-03 2012-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KR20130022543A (ko) * 2011-08-25 2013-03-07 주식회사 우성엠엔피 인서트 공급 및 사출성형물 포장장치와 그의 방법
KR101898142B1 (ko) * 2018-03-27 2018-09-13 박정서 사출성형기용 인서트 공급 및 사출품 이송장치
KR101922087B1 (ko) 2011-10-31 2018-1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386927B1 (ko) 2014-01-28 2022-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과 스마트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220A (ko) 2008-08-21 2010-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101148581B1 (ko) 2010-11-03 2012-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KR20130022543A (ko) * 2011-08-25 2013-03-07 주식회사 우성엠엔피 인서트 공급 및 사출성형물 포장장치와 그의 방법
KR101922087B1 (ko) 2011-10-31 2018-1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386927B1 (ko) 2014-01-28 2022-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과 스마트폰
KR101898142B1 (ko) * 2018-03-27 2018-09-13 박정서 사출성형기용 인서트 공급 및 사출품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30057A (ja) 分離積載装置
KR100998705B1 (ko) 렌즈 가공 시스템
TWI403447B (zh) 零件移送裝置及方法
CN113071887A (zh) Ic载板放板机
CN211003522U (zh) 一种自动上下料装置
JP2013184805A (ja) 製品分離方法及び装置並びにスケルトン台車
JP5236797B2 (ja) ワーク加工用搬送システム
KR102645276B1 (ko)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
CN217920259U (zh) 下料设备
JP4380853B2 (ja) 熱切断加工機に対する板材搬入搬出装置
KR101842002B1 (ko) 솔더 커팅 장치
KR100570159B1 (ko) 반도체 처리장치
CN215297451U (zh) 一种电路板的装箱系统、电路板生产线
KR20100053125A (ko) 반도체 패키지 트랜스퍼장치
JP6746905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レーザ加工システム、及びワーク搬送方法
CN115339903A (zh) 一种工件的上料装置及其上料方法
JP4664043B2 (ja) 材料棚装置
JPH08197166A (ja) 板材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搬入、搬出装置
CN113460695B (zh) 自动放盖板和隔片的加工设备
CN220055311U (zh) 输送机构、下料装置及载板作业系统
KR102576514B1 (ko)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JP2009202954A (ja) 自動倉庫および板材加工システム
KR20100026748A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웨이퍼 프레임 반송 장치 및 방법
CN219822913U (zh) 一种全自动移栽外壳设备
JP7223645B2 (ja) 搬入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