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514B1 -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514B1
KR102576514B1 KR1020230019371A KR20230019371A KR102576514B1 KR 102576514 B1 KR102576514 B1 KR 102576514B1 KR 1020230019371 A KR1020230019371 A KR 1020230019371A KR 20230019371 A KR20230019371 A KR 20230019371A KR 102576514 B1 KR102576514 B1 KR 102576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module
shuttle
suppl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일
Original Assignee
문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일 filed Critical 문영일
Priority to KR102023001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담겨있는 부품트레이와 부품트레이의 최상층 위에 덮개트레이가 덮힌 트레이세트를 다중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2모듈에 위치한 트레이세트에서 덮개트레이를 먼저 셔틀모듈 하부에 결합된 하부흡착모듈을 통해 제3모듈로 옮긴 후에 부품트레이를 셔틀모듈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흡착모듈을 통하여 제3모듈로 옮기므로, 덮개트레이를 간소한 구성으로도 신속하게 제거하여 제한된 시간 내에 부품트레이를 이송할 수 있는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Tray multi-process conveying system}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담겨있는 부품트레이와 부품트레이의 최상층 위에 덮개트레이가 덮힌 트레이세트를 다중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2모듈에 위치한 트레이세트에서 덮개트레이를 먼저 셔틀모듈 하부에 결합된 하부흡착모듈을 통해 제3모듈로 옮긴 후에 부품트레이를 셔틀모듈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흡착모듈을 통하여 제3모듈로 옮기므로, 덮개트레이를 간소한 구성으로도 신속하게 제거하여 제한된 시간 내에 부품트레이를 이송할 수 있는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전자부품은 여러 가지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거쳐 제조되는데, 해당 작업공정에 투입될 때 운반의 효율성과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가 트레이에 적재된 상태로 운반된다.
상기와 같은 트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 내부에 안치된 부품을 공급하는 트레이 로딩 장치는 부품이 안치된 트레이를 공급받아 상기 부품이 안치된 트레이로부터 부품을 추출하고, 상기 부품이 추출된 공 트레이를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부품의 연속적인 공급은 부품의 공급 능력을 의미하고 그 공급 능력은 예를 들어 하나의 트레이가 다른 트레이로 교체되는 시간 또는 트레이가 이동되는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부품의 안정적인 공급 및 공급 기간을 단축하는 등의 부품의 공급 능률을 향상시키도록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통상 전자부품을 내부에 적재하고 있는 부품트레이는 다층으로 적층되고, 최상층에 놓인 부품트레이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막아 전자부품이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상층의 부품트레이 위에 덮개트레이를 덮는다. 상기 덮개트레이는 상기 부품트레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내부에 전자부품을 적재하지 않아서 부품트레이를 덮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트레이이다. 다층으로 적층된 부품트레이와 최상층의 부품트레이를 덮는 덮개트레이가 한 뭉치를 이루어 트레이세트를 이룬다.
덮개트레이가 덮인 상태로 트레이세트를 운반하다가 부품트레이 내부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부품트레이에서 빼내는 공정에 앞서서, 트레이세트에서 덮개트레이를 제거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20)을 첨부한 도 1을 참고하여 트레이이동모듈(20)의 동작을 살펴보면, 트레이세트(10)의 최상층에 위치한 덮개트레이(12)를 제거하기 위해 먼저 트레이세트(10)를 적재한 트레이적재판(25)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안착흡착기(27)가 덮개트레이(12)를 흡착한 후 y축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고 안착흡착기(27)의 흡착을 해제하여 덮개트레이(12)를 이송한다.
덮개트레이(12)를 흡착하는 안착흡착기(27)는 2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하는 이동흡착기(22)가 동작할 때에는 안착흡착기(27) 열 사이의 간격을 넓혀, 이동흡착기(22)가 넓어진 안착흡착기(27) 사이로 이동프레임(21)의 하강에 의하여 하강하여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한 후, 안착흡착기(27) 위로 이동프레임(21)의 상승에 의하여 셔틀판(26) 위로 상승하여 셔틀판(26) 상부에 부품트레이(11)를 안착시킨다. 셔틀판(26)이 y축 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부품트레이(11)가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며 이동흡착기(22)도 상기 이동레일대(24)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부품트레이(11)와 이동흡착기(22)가 이동된 위치에서 이동승강대(23)를 따라 이동흡착기(22)가 하강하고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하고 살짝 들어올린 다음 셔틀판(26)이 원 위치로 회귀하면 이동흡착기(22)가 다시 하강하여 흡착한 부품트레이(11)를 내려놓게 된다. 그리고 이동흡착기(22)도 상기 셔틀판(26)를 따라 원위치로 회귀한다. 다음 장의 부품트레이(11)를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하여 이송시키게 된다.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20)은 덮개트레이(12)를 이동시키기 위한 안착흡착기(27) 및 부품트레이(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흡착기(22)를 각각 구비하고, 이동흡착기(22)를 동작시킬 때에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안착흡착기(27)의 열을 옆으로 넓혀야 하므로 그 제어가 복잡하며 충돌의 위험이 있으며, 안착흡착기(27)와 이동흡착기(22)의 승하강을 위한 승강대를 각각 구비하여야 해서 그 구조가 굉장히 복잡해지고 무거워지며, 제작비용이 대폭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부품트레이(12)를 이동시킬 때마다 이동흡착기(22)를 승하강시키는 상기 이동프레임(21)의 일측 단부가 이동승강대(23)에 외팔보 구조로 결합되어 있어, 이동프레임(21)이 이동승강대(23)를 따라 승강하고 이동레일대(24)를 따라 왕복 수평이동하면서 이동프레임(21)의 타측 단부가 많이 흔들리고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이동프레임(21)을 고속으로 승강시키고 왕복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부품트레이(12)를 이송시키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동작이 복잡하여 트레이세트(10)의 처리 시간에 제한이 발생하여 시간이 매우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20)이 지닌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더욱 진보한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JP 2013-121863 (A) 2013.06.20. JP 6663708 (B2) 2020.02.19.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이 담긴 부품트레이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를 덮는 덮개트레이로 이루어진 트레이세트가 제1모듈에서 제2모듈로 유입되고 공급승강대가 트레이세트를 상승시켜 셔틀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흡착모듈이 덮개트레이를 흡착하여 제3모듈로 이송한 후에 셔틀모듈 및 셔틀모듈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흡착모듈을 통해 부품트레이를 제3모듈로 이송함으로써 덮개트레이 및 부품트레이를 다중으로 처리하면서도 간소한 구성으로 빠른 시간내에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덮개트레이 및 부품트레이를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이송시키는 각각의 구동부가 요구되지 않으며 단일의 셔틀구동부를 통해 덮개트레이와 부품트레이 모두를 이송할 수 있어 필요한 구성이 감소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틀모듈과 일체로 수평이동하는 하부흡착모듈이 제2모듈에 위치한 트레이세트 중에 덮개트레이를 흡착한 후에 바로 셔틀모듈과 함께 제3모듈로 이송하므로, 덮개트레이를 셔틀 위에 안착시키는 과정이 생략되어 더욱 신속하게 덮개트레이를 이송처리할 수 있는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2모듈과 제3모듈을 왕복이동하는 셔틀플레이트의 양단이 셔틀프레임에 지지되고 셔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하부흡착모듈의 하부실린더가 셔틀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하부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하부프레임이 승강할 시에 발생하는 진동과 셔틀플레이트가 수평이동할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 최소화되므로, 하부실린더 및 셔틀구동부를 고속으로 동작시켜 덮개트레이를 흡착하고 이송시키는 시간을 대폭 축소할 수 있는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자부품이 수납된 다수의 부품트레이(11)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덮는 덮개트레이(12)를 포함하는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제1모듈(100); 상기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이송받으며, 트레이세트(10)를 승강시키는 공급승강대(220)가 구비되는 제2모듈(200); 상기 제2모듈(200)에서 이송된 트레이를 낱개씩 공급받으며,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배출승강대(320)가 구비되는 제3모듈(300); 상기 제3모듈(300)에서 트레이를 유입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4모듈(400); 상기 제2모듈(200)과 제3모듈(300)의 상부에 셔틀프레임(510)이 배치되며, 상기 셔틀프레임(510)에 구비되는 셔틀플레이트(530)가 수평방향으로 왕래하고, 부품트레이(11)가 위로 놓이는 안착플레이트(540)가 상기 셔틀플레이트(530) 상부에 구비되고, 덮개트레이(12)를 아래에서 잡아주는 셔틀모듈(500); 및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하부에 하부실린더(720)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실린더(720)에 의해 승강하는 하부프레임(710)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710)에 덮개트레이(12)를 흡착하는 하부흡착기(730)가 구비되는 하부흡착모듈(700); 및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상부에 배치되며,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하는 공급흡착기(630)가 공급흡착프레임(610)에 구비되고, 상기 셔틀프레임(510)에 결합된 공급흡착실린더(620)가 상기 공급흡착프레임(610)을 승강시키는 상부흡착모듈(600);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흡착기(630)에 의하여 부품트레이(11)가 흡착된 후, 공급흡착프레임(610)이 상승한 이후에 상기 셔틀플레이트(5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양단이 상기 셔틀프레임(510)에 지지되며, 상기 하부실린더(720)가 셔틀플레이트(530)의 중심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흡착모듈(700)의 무게중심이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셔틀플레이트(530)가 제2모듈(200)에 위치한 상태에서 공급승강대(220)가 트레이세트(10)를 상승시키며;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프레임(710)이 하부실린더(720)에 의해 하강하여 하부흡착기(730)가 덮개트레이(12)를 흡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덮개트레이(12)가 하부흡착기(730)에 의해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셔틀플레이트(530)가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동하며; 상기 하부흡착기(730)의 흡착력이 해제되어 덮개트레이(12)가 상승한 배출승강대(320)에 놓인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급승강대(220)에 놓인 트레이세트(10)에서 덮개트레이(12)가 셔틀플레이트(530)의 하부에서 흡착된 상태로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되며, 부품트레이(11)가 안착플레이트(540)에 안착된 상태로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흡착모듈(600)은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와 분리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하부흡착모듈(700)은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와 결합되어 수평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은 전자부품이 담긴 부품트레이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를 덮는 덮개트레이로 이루어진 트레이세트가 제1모듈에서 제2모듈로 유입되고 공급승강대가 트레이세트를 상승시켜 셔틀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흡착모듈이 덮개트레이를 흡착하여 제3모듈로 이송한 후에 셔틀모듈 및 셔틀모듈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흡착모듈을 통해 부품트레이를 제3모듈로 이송함으로써 덮개트레이 및 부품트레이를 다중으로 처리하면서도 간소한 구성으로 빠른 시간내에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트레이 및 부품트레이를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이송시키는 각각의 구동부가 요구되지 않으며 단일의 셔틀구동부를 통해 덮개트레이와 부품트레이 모두를 이송할 수 있어 필요한 구성이 감소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셔틀모듈과 일체로 수평이동하는 하부흡착모듈이 제2모듈에 위치한 트레이세트 중에 덮개트레이를 흡착한 후에 바로 셔틀모듈과 함께 제3모듈로 이송하므로, 덮개트레이를 셔틀모듈 위에 안착시키는 과정이 생략되어 더욱 신속하게 덮개트레이를 이송처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모듈과 제3모듈을 왕복이동하는 셔틀플레이트의 양단이 셔틀프레임에 지지되고 셔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하부흡착모듈의 하부실린더가 셔틀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하부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하부프레임이 승강할 시에 발생하는 진동과 셔틀플레이트가 수평이동할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 최소화되므로, 하부실린더 및 셔틀구동부를 고속으로 동작시켜 덮개트레이를 흡착하고 이송시키는 시간을 대폭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의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에서 제1모듈, 제2모듈, 제3모듈 및 제4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에서 셔틀모듈, 상부흡착모듈 및 하부흡착모듈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상면사시도, (b)는 저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에서 셔틀모듈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상면사시도, (b)는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에서 상부흡착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에서 하부흡착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을 간략히 표현한 동작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은 전자부품을 적재한 부품트레이(11)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덮는 덮개트레이(12)로 구성된 트레이세트(10)를 덮개트레이(12) 및 부품트레이(11)를 다중으로 처리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부품이 적재된 다수의 부품트레이(11)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덮는 덮개트레이(12)를 포함하는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제1모듈(100);
상기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이송받으며, 트레이세트(10)를 승강시키는 공급승강대(220)가 구비되는 제2모듈(200);
상기 제2모듈(200)에서 이송된 트레이를 낱개씩 공급받으며,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배출승강대(320)가 구비되는 제3모듈(300);
상기 제3모듈(300)에서 트레이를 유입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4모듈(400);
상기 제2모듈(200)과 제3모듈(300)의 상부에 셔틀프레임(510)이 배치되며, 상기 셔틀프레임(510)에 구비되는 셔틀플레이트(530)가 수평방향으로 왕래하고, 부품트레이(11)가 위로 놓이는 안착플레이트(540)가 상기 셔틀플레이트(530) 상부에 구비되고, 덮개트레이(12)를 아래에서 잡아주는 셔틀모듈(500);
상기 셔틀플레이트(530) 상부에 배치되며,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하는 공급흡착기(630)가 공급흡착프레임(610)에 구비되고, 상기 셔틀프레임(510)에 결합된 공급흡착실린더(620)가 상기 공급흡착프레임(610)을 승강시키는 상부흡착모듈(600); 및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하부에 하부실린더(720)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실린더(720)에 의해 승강하는 하부프레임(710)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710)에 덮개트레이(12)를 흡착하는 하부흡착기(730)가 구비되는 하부흡착모듈(700);을 포함한다.
전자부품은 운반의 효율성과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부품트레이(11)에 다수개가 적재된 상태로 운반된다. 이러한 부품트레이(11)가 다수 적층되어 이송되는데, 어느 하나의 부품트레이(11)는 그 위에 적층된 부품트레이(11)에 의해 덮이므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전자부품의 불량을 예방할 수 있으나, 최상층에 놓인 부품트레이(11)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이물질이 전자부품이 침투하여 불량을 야기하였다.
따라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 위에 상기 부품트레이(11)와 동일한 형상이되 내부에 전자부품을 적재하지 않고 비어있는 덮개트레이(12)를 덮는다. 다수개가 적층된 부품트레이(11)와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 위에 덮개트레이(12)가 배치된 트레이세트(10)로 운반한다.
트레이세트(10)로 운반하다가 부품트레이(11) 내부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덮개트레이(12)를 제거한 후 부품트레이(11)를 하나하나씩 낱개로 내려놓고 그 안의 전자부품을 꺼내게 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와 구성으로 적층된 상태의 트레이세트(10)에서 덮개트레이(12)를 제거한 후 전자부품이 적재된 부품트레이(11)를 하나하나 낱개씩 이송시키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시스템은 덮개트레이(12)와 부품트레이(11)로 구성된 트레이세트(10)를 제1모듈(100)에서 유입받고 제2모듈(200)로 이송한다. 제2모듈(2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상승시킨 후, 하부흡착모듈(700)에서 덮개트레이(12)를 흡착한 후 제3모듈(300)로 이송하여 트레이세트(10)에서 덮개트레이(12)가 제거되고 다수가 적층된 부품트레이(11)만 남게 된다.
부품트레이(11)는 상부흡착모듈(600)에 의하여 낱개씩 흡착된 후 셔틀모듈(500)의 안착플레이트(540)에 놓이며, 셔틀모듈(500)에 의하여 제3모듈(300)로 하나하나씩 이송된다.
상기 덮개트레이(12)를 흡착하는 하부흡착모듈(700)은 별개의 구동부와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동작하므로, 구조가 더욱 간소해지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종래기술에 비하여 더욱 진보한 구조로서, 하부흡착모듈(700)은 안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셔틀모듈(500)과 일체로 움직이기에 고속으로 승강 및 수평이동하여도 진동이 최소화되어 흡착한 상태로 움직여야 하는 덮개트레이(12)가 떨어지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되어 공정을 중단할 염려 없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축소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 대상이 되는 전자부품은 부품트레이(11)에 적재된다. 이처럼 전자부품이 수납된 트레이를 '부품트레이(11)'로 지칭한다. 상기 부품트레이(11)는 다수개가 적층되는데, 그 중 가장 최상층에 놓인 부품트레이(11)를 덮는 트레이를 '덮개트레이(12)'로 지칭한다. 상기 덮개트레이(12)는 부품트레이(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전자부품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이다.
다수개가 적층된 부품트레이(11)의 최상층에 덮개트레이(12)가 놓인 것을 '트레이세트(10)'라고 지칭하며, 부품트레이(11)와 덮개트레이(12)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킬 때는 '트레이'로 지칭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시스템은 제1모듈(100)이 외부로부터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고 제2모듈(200)로 이송한다. 제2모듈(2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공급승강대(220)로 상승시켜서 트레이세트(10)의 최상층에 위치한 덮개트레이(12)를 하부흡착모듈(700)로 흡착하고 셔틀모듈(500)과 함께 하부흡착모듈(700)이 제3모듈(300)로 수평이동하여 덮개트레이(12)를 제3모듈(300)로 이송시킨다. 이때, 제3모듈(300)의 배출승강대(320)가 덮개트레이(12)를 받기 위하여 상승한다.
덮개트레이(12)는 내부에 전자부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수평이동시에 하부흡착모듈(700)에 매달린 채로 이송된다.
제3모듈(300)로 이송된 덮개트레이(12)는 다시 하강하여 제4모듈(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모듈(200)에는 부품트레이(11)만 남겨져 있으며, 부품트레이(11)에는 전자부품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상부흡착모듈(600)이 맨 위에 있는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한 후 셔틀모듈(500)의 안착플레이트(540) 위에 올려놓고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수평이동시킨다. 그 후, 상부흡착모듈(600)이 제3모듈(300)쪽으로 이동한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한 후 제3모듈(300)의 배출승강대(320)에 내려놓는다.
상기 부품트레이(11)는 내부에 전자부품을 적재한 상태이므로 안정적인 이송을 위하여 흡착하여 매달린 상태가 아닌, 안착플레이트(540)에 안착시킨 후 수평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제2모듈(200)의 덮개트레이(12) 및 부품트레이(11)를 차례로 제3모듈(300)로 이송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제3모듈(300)로 옮겨진 트레이가 낱개씩 제4모듈(400)을 통해 배출되거나, 임의의 개수만큼 적층된 후에 제4모듈(400)을 통해 배출되는 등 제3모듈(300)로 옮겨진 이후 트레이의 동작은 공정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트레이가 적층된 트레이세트(10)가 제1모듈(100), 제2모듈(200), 제3모듈(300) 및 제4모듈(400)로 각각 이송시에 트레이세트(10)를 정렬시키는 얼라인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패드는 트레이세트(10) 측면을 쳐서 흐트러지거나 어긋나지 않고 정렬되도록 하는 패드이며, 트레이세트(10)를 향해 왕복이동함으로써 트레이세트(10)에 약간의 타격을 가한다. 상기 얼라인패드는 주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얼라인패드의 목적에 부합하게 본 발명의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의 다양한 위치에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듈(100)은 외부로부터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구성이다. 상기 제1모듈(100)로 유입받은 트레이세트(10)를 제2모듈(200)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1컨베이어(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컨베이어(110)가 구동되어 트레이세트(10)가 제2모듈(200)로 이송된다. 제1모듈(100)에서 제2모듈(200)로 트레이세트(10)를 이송하기 전에 트레이세트(10)를 정렬하기 위해 제1모듈(100)에 얼라인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듈(100)로부터 트레이세트(10)를 공급받는 제2모듈(200)에는 제2컨베이어(210)가 구비되며 상기 제2컨베이어(210) 사이에 공급승강대(22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승강대(220)는 상기 제1모듈(100)로부터 공급받은 트레이세트(10)를 하부에서 받치고 승강시킨다.
상기 공급승강대(220)는 z축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공급리프터(23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공급승강대(220)에 트레이세트(10)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공급승강대(220)가 상승하면 하부흡착모듈(700)에 의해 트레이세트(10)의 덮개트레이(12)가 흡착되며 상부흡착모듈(600)에 의해 부품트레이(11)가 흡착된다. 상기 하부흡착모듈(700) 및 상부흡착모듈(600)에 트레이가 흡착되는 높이까지 상기 공급승강대(220)가 승강한다. 이때, 트레이세트(10)의 위치 및 거리를 인식하는 각종 센서를 통해 상기 공급승강대(220)가 승강하는 동작이 제어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모듈(300)은 제2모듈(200)에서 트레이를 낱개씩 순차적으로 공급받는 구성이다. 상기 제3모듈(300)에는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제3컨베이어(310)가 구비되며 상기 제3컨베이어(310) 사이에 배출승강대(32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승강대(320)는 트레이를 하부에서 받치고 지지하며, z축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배출리프터(330)를 따라 승강한다.
상기 제2모듈(200)의 상부에서 후술할 하부흡착모듈(700) 또는 상부흡착모듈(600)에 의하여 트레이가 낱개씩 흡착되며 후술할 셔틀모듈(500)을 통해 제3모듈(300)로 이송된다. 흡착된 트레이를 받기 위하여 상기 배출승강대(320)가 배출리프터(330)를 따라 z축 방향으로 상승하며, 흡착 해제되면 상기 배출승강대(320)에 트레이가 안착되고, 상기 배출승강대(320)가 하강하고 제3컨베이어(310)에 올려놓아 제4모듈(400)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배출승강대(320)가 트레이를 낱개씩 받아 하강하고 제4모듈(400)로 이송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또는 임의의 개수만큼 트레이를 적층하여 받은 후에 하강하고 제4모듈(400)로 이송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모듈(400)은 제3모듈(300)로부터 트레이를 이송받아 외부로 배출한다. 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해 제4컨베이어(410)가 구비된다. 상기 제4모듈(400)을 통해 배출되는 트레이는 다수개가 적층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하나 낱개씩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작업공정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틀모듈(500)은 제2모듈(200)과 제3모듈(300) 상부를 y축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면서 트레이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하는 모듈이다.
상기 셔틀모듈(500)은 수평방향으로 놓인 셔틀프레임(510)이 구비된다. 상기 셔틀프레임(510)은 중앙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가장자리 부분이 뼈대를 이룬다.
또한 상기 셔틀모듈(500)은 셔틀프레임(510)의 개구된 중앙부분에 배치되어 y축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셔틀플레이트(530)가 구비된다.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x축 방향의 양단이 상기 셔틀프레임(510)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셔틀구동부(520)의 동력을 받아서 y축 방향으로 왕래한다.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상부에는 부품트레이(11)가 놓이는 안착플레이트(540)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540)와 셔틀플레이트(530)는 고정 결합된다.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양단이 셔틀프레임(510)에 결합되어 있어 y축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시에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그 하중이 견고하게 셔틀프레임(510)에 전달되므로 셔틀구동부(520)가 셔틀플레이트(530)를 고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셔틀구동부(520)는 실린더 및 볼스크류 모터 등 주지기술을 차용할 수 있다.
이는 제한적인 시간 내에 많은 양의 트레이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시키는 이점에서 더욱 유리하다. 셔틀플레이트(530)가 어느 한 부분에서만 셔틀프레임(510)에 그 하중을 지지받는 것이 아닌 양단에서 하중을 지지받으므로 왕복이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셔틀플레이트(530)가 y축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더라도 트레이가 셔틀플레이트(530)의 상부-부품트레이(11)- 또는 하부-덮개트레이(12)-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이탈될 염려없이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상기 셔틀모듈(500)은 덮개트레이(12)를 후술할 하부흡착모듈(700)을 통해 아래에서 잡아준다. 상부흡착모듈(600)은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와 분리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하부흡착모듈(700)은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와 결합되어 수평 및 상하로 이동한다.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흡착모듈(600)은 부품트레이(11)를 안착플레이트(540)에 안착시키거나 또는 분리하는 모듈이다.
상기 상부흡착모듈(600)은 부품트레이(11)의 상부면을 흡착하여 파지하는 공급흡착기(630)가 공급흡착프레임(610)에 다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공급흡착프레임(610)을 z축 방향으로 약간 승강시키는 공급흡착실린더(620)가 셔틀프레임(510)에 결합된다. 상기 공급흡착프레임(610) 및 공급흡착실린더(620)는 제2모듈(200)쪽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흡착모듈(600)은 부품트레이(11)의 상부면을 흡착하여 파지하는 배출흡착기(660)가 배출흡착프레임(640)에 다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배출흡착프레임(640)을 z축 방향으로 약간 승강시키는 배출흡착실린더(650)가 셔틀프레임(510)에 결합된다.
상기 공급흡착프레임(610)과 배출흡착프레임(640)은 동일한 구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배치 위치가 상이하여 서로 다른 명칭으로 구분한다. 또한, 공급흡착기(630)와 배출흡착기(660)도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하여 파지하는 기능이 동일하나 공급흡착기(630)는 부품트레이(11)를 안착플레이트(540)에 안착시키고 배출흡착기(660)는 안착플레이트(540)에 놓인 부품트레이(11)를 분리하기 위함으로 그 목적이 다르므로 서로 다른 명칭으로 구분한다. 더불어, 공급흡착실린더(620)와 배출흡착실린더(650)도 각각 공급흡착프레임(610)과 배출흡착프레임(640)을 약간 승강시키는 것으로 기능이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결합관계로 인하여 다른 명칭으로 구분한다.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하기 위한 동작을 살펴보면, 제2모듈(200)에 위치한 트레이세트(10) 중 덮개트레이(12)가 후술할 하부흡착모듈(700)에 의하여 제거된 상태이고, 셔틀플레이트(530)가 제3모듈(300)쪽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공급승강대(220)에 의해 부품트레이(11)가 상승한다. 그리고 공급흡착실린더(620)에 의해 공급흡착프레임(610)이 약간 하강하여 공급흡착기(630)가 부품트레이(11) 상부면을 흡착하여 들어올린다.
이후, 제3모듈(300)쪽에 위치한 셔틀플레이트(530)가 제2모듈(200)쪽으로 이동하고 공급흡착프레임(610)이 약간 하강하여 안착플레이트(540) 위에 공급흡착기(630)가 흡착한 부품트레이(11)를 내려놓는다.
상기 셔틀플레이트(530)가 제3모듈(300)로 이동하고, 배출흡착실린더(650)에 의해 배출흡착프레임(640)이 약간 하강하고 배출흡착기(660)가 안착플레이트(540) 위의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한 후 들어올린다.
셔틀플레이트(530)가 다시 제2모듈(200)쪽으로 이동하고 배출승강대(320)가 상승한 후, 상기 배출흡착기(660)가 흡착한 부품트레이(11)를 배출승강대(320) 위에 내려놓는다.
이처럼 상부흡착모듈(600)은 셔틀플레이트(530)의 y축 방향의 왕복이동과 연계하여 동작하면서 부품트레이(11)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한다.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세트(10)의 최상층에 위치한 덮개트레이(12)를 제거하기 위해 하부흡착모듈(700)이 상기 셔틀플레이트(530)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흡착모듈(700)은 덮개트레이(12)의 상부면을 흡착하여 파지하는 하부흡착기(730)가 하부프레임(710)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710)은 하부실린더(720)에 결합되어 하부실린더(720)의 신축이동에 따라 승강된다. 상기 하부실린더(720)는 셔틀플레이트(530)의 하부면과 결합되되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무게중심인 중심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710)은 상기 하부실린더(720)와의 결합부위가 무게중심이다.
따라서 셔틀플레이트(530)가 y축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여도 하부프레임(710)이 크게 요동치지 않으며, 덮개트레이(12)가 하부흡착기(730)에 흡착된 상태에서 진동에 의한 이탈 염려가 없다.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의 목적은 트레이세트(10)에서 덮개트레이(12)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거한 후에 제한된 시간 내에 많은 양의 부품트레이(11)를 이송시키는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셔틀플레이트(530)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움직이는 하부흡착모듈(700)이 덮개트레이(12)를 제거한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20)은 부품트레이(11)를 이송시키는 모듈과 덮개트레이(12)를 이송시키는 모듈이 별도로 구비되어 그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며, 더욱이 도 1의 이동프레임(21)이 외팔보 구조로 이루어져 진동에 취약하여 그 이동속도를 충분히 빠르게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덮개트레이(12)를 제거하는 하부흡착모듈(700)이 셔틀플레이트(530)와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여 덮개트레이(12)를 이송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셔틀구동부(520)만으로도 덮개트레이(12)와 부품트레이(11)를 모두 이송시킬 수 있다. 이는 구성과 구조가 간소화되어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셔틀플레이트(530)에서 x축 상의 양단이 상기 셔틀프레임(510)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지지받으므로, y축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여도 그 진동과 흔들림이 최소화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갖춘다.
이러한 셔틀플레이트(530)에 덮개트레이(12)를 흡착하는 하부흡착모듈(700)이 셔틀플레이트(530)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흡착모듈(700)의 무게중심이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중심부에 위치하므로, 하부흡착기(730)가 덮개트레이(12)를 흡착한 상태에서 셔틀플레이트(530)의 고속 이동에도 그 진동과 흔들림이 최소화되므로 안정적인 흡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탈 우려가 적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셔틀모듈(500)은 덮개트레이(12)와 부품트레이(11)를 이송시킬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나면서도 그 구성과 구조를 더욱 간소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덮개트레이(12) 및 부품트레이(11)를 다중으로 처리하는 동작순서를 설명한다.
도 9는 트레이세트(10)가 제2모듈(200)의 공급승강대(220)에 놓이고, 셔틀플레이트(530)가 제2모듈(200) 쪽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이 적재된 부품트레이(11)가 다수개로 적층되고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 위에 덮개트레이(12)가 덮인 트레이세트(10)가 제1모듈(100)로 유입된다. 제1컨베이어(110) 및 제2컨베이어(210)에 의해 트레이세트(10)가 제2모듈(200)로 이송된다.
도 10은 공급승강대(220)가 상승하고 하부흡착기(730)가 덮개트레이(12)를 흡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듈(200)의 공급승강대(220)가 공급리프터(230)를 따라 상승한다. 이때,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위치는 제2모듈(200)쪽에 위치하여 있으며, 공급승강대(220)의 상승높이는 덮개트레이(12)가 하부흡착기(730)와 인접해지는 높이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실린더(720)가 하부프레임(710)을 약간 하강시켜서 하부흡착기(730)로 덮개트레이(12) 상부면을 흡착한다. 흡착한 상태에서 덮개트레이(12)를 약간 들어올린다.
도 11은 셔틀플레이트(530)가 제3모듈(300)쪽으로 이동하여 하부흡착기(730)가 흡착한 덮개트레이(12)를 배출승강대(320)에 내려놓고, 공급승강대(220)가 더 상승하여 공급흡착기(630)가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를 참고하여, 셔틀플레이트(530)를 제3모듈(300)쪽으로 이송하고, 배출승강대(320)가 덮개트레이(12)를 받을 수 있는 높이까지 상승한 다음 하부흡착기(730)의 흡착력을 해제하여 배출승강대(320)가 덮개트레이(12)를 받는다. 이후, 도 12와 같이 덮개트레이(12)를 제3모듈(300) 및 제4모듈(4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임의의 개수만큼 트레이를 더 적층한 후 외부로 배출한다.
제2모듈(200)에 덮개트레이(12)가 제거되고 부품트레이(11)만 남은 상태이므로, 부품트레이(11)를 제2모듈(200)에서 하나하나 낱개씩 제3모듈(300)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승강대(220)를 더 상승시켜서 상부흡착모듈(600)의 공급흡착기(630)에 인접하게 한 다음, 공급흡착실린더(620)가 신축하여 공급흡착기(630)가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하고, 공급흡착프레임(610)이 상승하여 부품트레이(11)를 들어올린다.
도 12는 배출승강대(320)가 하강하며, 공급승강대(220)도 약간 하강하고, 셔틀플레이트(530)가 제2모듈(200)쪽으로 이동하여 부품트레이(11)가 안착플레이트(540)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와 같이, 상기 공급승강대(220)는 약간 하강하고 셔틀플레이트(530)가 제3모듈(300)쪽에서 제2모듈(200)쪽으로 수평이동한다. 상기 공급흡착기(630)가 안착플레이트(540) 위에 부품트레이(11)를 안착시킨다.
도 13은 셔틀플레이트(530)가 제3모듈(300)로 이동하며, 공급승강대(220)가 공급흡착기(630)가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하고, 배출흡착기(660)가 안착플레이트(540) 위의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하며, 덮개트레이(12)를 외부로 배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과 같이 상기 셔틀플레이트(530)가 재차 제3모듈(300)쪽으로 이동한다. (덮개트레이(12)가 제3모듈(300)쪽으로 이송시에는 셔틀플레이트(530)의 하부에서 하부흡착기(730)에 의해 흡착된 상태로 이송되며, 부품트레이(11)가 제3모듈(300)쪽으로 이송시에는 셔틀플레이트(530)의 상부에서 안착플레이트(540)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된다)
제3모듈(300)로 이송된 부품트레이(11)는 상기 배출흡착기(660)에 의해 흡착되어 파지된다. 상기 배출흡착실린더(650)가 신축하여 상기 배출흡착프레임(640)이 하강했다가 상승하며, 상기 하부흡착기(730)에 부품트레이(11)가 매달린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공급흡착기(630)가 다음 순서의 부품트레이(11)를 상기한 과정과 동일하게 흡착하여 파지한다.
도 14는 공급승강대(220)가 약간 하강하며, 셔틀플레이트(530)가 제2모듈(200)쪽으로 이동하고, 배출승강대(320)가 상승하여 배출흡착기(660)로부터 부품트레이(11)를 내려받고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와 같이 공급승강대(220)가 약간 하강하여 상기 셔틀플레이트(530)가 제2모듈(200)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흡착기(660)가 상승한 상태의 배출승강대(320)에 부품트레이(11)를 내려놓고 배출승강대(320)가 하강한다. 제2모듈(200)쪽으로 이동한 셔틀플레이트(530)의 안착플레이트(540) 위에 앞서 흡착한 다음 장의 부품트레이(11)를 안착시킨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덮개트레이(12)와 부품트레이(11)를 다중으로 이송처리함으로써 후속되는 일련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은 트레이세트(10)를 덮개트레이(12)와 부품트레이(11)를 구분하여 다중으로 처리함으로써 일련의 후속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덮개트레이(12)를 이송하는 데에 별도의 구동부가 요구되지 않고 셔틀플레이트(530)를 구동시키는 셔틀구동부(520)를 통해 덮개트레이(12)와 부품트레이(11) 둘다 모두 이송처리할 수 있으므로 구성이 간소화되고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더욱이, 흡착한 상태로 옮겨지는 덮개트레이(12)를 이송시킬 때에 셔틀플레이트(530)의 슬라이딩 결합구조로 인하여 진동과 흔들림의 발생이 억제되어 하부실린더(720) 및 셔틀구동부(520)의 동작속도를 고속으로 운영할 수 있으므로, 트레이세트(10) 당 이송처리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10:트레이세트 11:부품트레이 12:덮개트레이
20:트레이이동모듈 21:이동프레임 22:이동흡착기 23:이동승강대
24:이동레일대 25:트레이적재판 26:셔틀판 27:안착흡착기
100:제1모듈 110:제1컨베이어
200:제2모듈 210:제2컨베이어 220:공급승강대 230:공급리프터
300:제3모듈 310:제3컨베이어 320:배출승강대 330:배출리프터
400:제4모듈 410:제4컨베이어
500:셔틀모듈 510:셔틀프레임 520:셔틀구동부
530:셔틀플레이트 540:안착플레이트
600:상부흡착모듈 610:공급흡착프레임 620:공급흡착실린더 630:공급흡착기
640:배출흡착프레임 650:배출흡착실린더 660:배출흡착기
700:하부흡착모듈 710:하부프레임 720:하부실린더 730:하부흡착기

Claims (7)

  1. 전자부품이 수납된 다수의 부품트레이(11)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덮는 덮개트레이(12)를 포함하는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제1모듈(100);
    상기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이송받으며, 트레이세트(10)를 승강시키는 공급승강대(220)가 구비되는 제2모듈(200);
    상기 제2모듈(200)에서 이송된 트레이를 낱개씩 공급받으며,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배출승강대(320)가 구비되는 제3모듈(300);
    상기 제3모듈(300)에서 트레이를 유입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4모듈(400);
    상기 제2모듈(200)과 제3모듈(300)의 상부에 셔틀프레임(510)이 배치되며, 상기 셔틀프레임(510)에 구비되는 셔틀플레이트(530)가 수평방향으로 왕래하고, 부품트레이(11)가 위로 놓이는 안착플레이트(540)가 상기 셔틀플레이트(530) 상부에 구비되고, 덮개트레이(12)를 아래에서 잡아주는 셔틀모듈(500); 및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하부에 하부실린더(720)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실린더(720)에 의해 승강하는 하부프레임(710)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710)에 덮개트레이(12)를 흡착하는 하부흡착기(730)가 구비되는 하부흡착모듈(700); 및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상부에 배치되며,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하는 공급흡착기(630)가 공급흡착프레임(610)에 구비되고, 상기 셔틀프레임(510)에 결합된 공급흡착실린더(620)가 상기 공급흡착프레임(610)을 승강시키는 상부흡착모듈(600);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흡착기(630)에 의하여 부품트레이(11)가 흡착된 후, 공급흡착프레임(610)이 상승한 이후에 상기 셔틀플레이트(5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양단이 상기 셔틀프레임(510)에 지지되며,
    상기 하부실린더(720)가 셔틀플레이트(530)의 중심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흡착모듈(700)의 무게중심이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플레이트(530)가 제2모듈(200)에 위치한 상태에서 공급승강대(220)가 트레이세트(10)를 상승시키며;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프레임(710)이 하부실린더(720)에 의해 하강하여 하부흡착기(730)가 덮개트레이(12)를 흡착하는;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트레이(12)가 하부흡착기(730)에 의해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셔틀플레이트(530)가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동하며;
    상기 하부흡착기(730)의 흡착력이 해제되어 덮개트레이(12)가 상승한 배출승강대(320)에 놓이는;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공급승강대(220)에 놓인 트레이세트(10)에서 덮개트레이(12)가 셔틀플레이트(530)의 하부에서 흡착된 상태로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되며, 부품트레이(11)가 안착플레이트(540)에 안착된 상태로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되는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흡착모듈(600)은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와 분리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하부흡착모듈(700)은 상기 셔틀플레이트(530)와 결합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KR1020230019371A 2023-02-14 2023-02-14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KR102576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371A KR102576514B1 (ko) 2023-02-14 2023-02-14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371A KR102576514B1 (ko) 2023-02-14 2023-02-14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514B1 true KR102576514B1 (ko) 2023-09-07

Family

ID=8797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371A KR102576514B1 (ko) 2023-02-14 2023-02-14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51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309A (ja) * 1993-05-26 1994-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955598A (ja) * 1995-08-11 1997-02-25 Shibuya Kogyo Co Ltd チップ供給装置
JP2652711B2 (ja) * 1989-08-29 1997-09-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半導体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000315893A (ja) * 1999-05-06 2000-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レイフィーダによる電子部品の供給方法
KR20120128214A (ko) * 2011-05-17 2012-11-27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초고속 셔틀
JP2013121863A (ja) 2011-12-09 2013-06-20 Seiko Epson Corp トレイ搬送装置、及び、トレイ搬送システム
JP2017114629A (ja) * 2015-12-24 2017-06-29 平田機工株式会社 移載装置及び移載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2711B2 (ja) * 1989-08-29 1997-09-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半導体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H06336309A (ja) * 1993-05-26 1994-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955598A (ja) * 1995-08-11 1997-02-25 Shibuya Kogyo Co Ltd チップ供給装置
JP2000315893A (ja) * 1999-05-06 2000-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レイフィーダによる電子部品の供給方法
KR20120128214A (ko) * 2011-05-17 2012-11-27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초고속 셔틀
JP2013121863A (ja) 2011-12-09 2013-06-20 Seiko Epson Corp トレイ搬送装置、及び、トレイ搬送システム
JP2017114629A (ja) * 2015-12-24 2017-06-29 平田機工株式会社 移載装置及び移載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9375B2 (ja) 部品供給装置、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部品供給方法
KR101677291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JP3239983U (ja) 搬送装置及び検出システム
KR101110172B1 (ko) 부품이송장치 및 방법
CN105336648B (zh) 一种堆叠基板的抓取分离装置及抓取分离方法
KR102576514B1 (ko)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CN210943865U (zh) 用于载具的分离传送机构
KR101604044B1 (ko) 멀티 스택 구조의 트레이 피더
KR102028307B1 (ko) 메쉬망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쉬망체 이송방법
KR20100053125A (ko) 반도체 패키지 트랜스퍼장치
CN109941762A (zh) 一种用于显示屏的码卸垛装置和码卸垛方法
JPH0955598A (ja) チップ供給装置
CN115180214A (zh) 玻璃制品自动装盒设备及装盒方法
JPH07237710A (ja) ピッキング用移載装置
JP3230924U (ja) パレタイザ
CN107986031A (zh) 无框架式托盘叠盘机
KR102561650B1 (ko)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JP2018131319A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および、自動倉庫
KR101940017B1 (ko) 트레이 이송장치
CN111987029A (zh) 基板运输装置及其工作方法、基板处理系统及处理方法
JP2021008346A (ja) 自動倉庫用のピッキング装置
KR102645276B1 (ko)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인서트부품의 적재장치
CN109095193A (zh) 自动上下多层物料装置
CN218024227U (zh) 一种物料自动下料结构及生产线系统
CN220115491U (zh) 一种折回式摆盘上下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