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200B1 -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200B1
KR102644200B1 KR1020230026260A KR20230026260A KR102644200B1 KR 102644200 B1 KR102644200 B1 KR 102644200B1 KR 1020230026260 A KR1020230026260 A KR 1020230026260A KR 20230026260 A KR20230026260 A KR 20230026260A KR 102644200 B1 KR102644200 B1 KR 10264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p seed
weight
manufacturing
patch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김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현 filed Critical 김성현
Priority to KR1020230026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2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을 가진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 방법으로써, 제 1단계는 숯분말, 광물추출물, 햄프씨드, 아가(agar), 글리세린, 유칼립투스 오일, 라벤더 오일 및 약용식물인 골담초, 우슬의 원료를 선별하는 단계, 제 2단계는 원료의 혼합 및 추출하는 단계, 제 3단계는 혼합된 원료를 부직포에 도포하는 단계, 제 4단계는 상기 부직포에 이형용 필름 부착하여 패드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제 5단계는 상기 패드시트를 항온기를 이용하여 45~50℃에서 24~36시간 숙성하는 단계, 제 6단계는 상기 숙성된 패드시트를 50~60℃에서 8~12시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천연물질이며 안전성과 효능 면에서 검정된 재료의 최적 혼합과 첨단 융합 기술이 적용 됨으로써 새로운 소득원이 될 수 있는 농산물과 약용작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패치를 제조 하므로써 최종 제품은 고(高)품질과 기능적 효과를 지닌 패치는 현대인의 건강 및 국가차원에서 의료비의 막대한 소비를 막을 수 있는 1차 예방의학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Description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How to make a patch containing hemp seed palm oil}
본 발명은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 전(前)처리로 폴리페놀, 불포화 지방산 및 퀘르세틴등이 풍부한 햄프 씨드를 저온에서 초임계 추출하고, 약용식물(골담초와 우슬) 추출 시 일라이트(illite)비즈(구슬)를 사용하였고, 정제수는 광물추출물이 함유된 것을 접목한 고(高)품질과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패치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숯(charcoal)은 나무를 숯가마에 넣고 만든 검은 덩어리로 곧 순수한 자연의 산물이며 주요 구성성분은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등이고 주요 원재료는 활엽수, 침엽수, 야자수, 유카라, 올리브, 아카시아등이며 효능으로는 탈취, 제습, 여과, 노화 방지, 방부 효과, 습도조절, 음이온 발생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질병 치료는 설사 ,소화불량, 이질, 장염,진통 ,해열에 효과있다.
햄프 씨드는 일명 대마 종자이며 원산지가 프랑스, 캐나다,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햄프는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 함량이 1~2%로 낮고 이를 억제하는 칸나비디올(CBD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영양학적으로는 폴리페놀, 불포화 지방산 및 퀘르세틴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있으며, 특히 햄프씨드 오일의 효능 혈압저하, 심혈관계 기능 향상, 다이어트에 도움, 빈혈 예방, 당뇨 개선, 남성 정력 증진, 두뇌건강 향상, 관절염 증상 완화, 피부미용 개선 등으로 알려져 있다.
골담초는 콩과 식물로 생약명은 금작근, 골담근, 금작화로 주요 용도는 관상용과 약용이며, 사용부위는 뿌리와 꽃을 약재로 사용하고 주요성분은 카라가닌, 이노사이트, 막키아인, 스티그마스테롤이며 효능으로는 해수, 대하, 타박상, 신경통 및 관절염으로 알려져 있다.
우슬(쇠무릎)은 비름과 식물로 식물명은 쇠무릎.생약명은 우슬(牛膝)이며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되며 효능으로는 신경통, 관절염, 이뇨, 월경 불순, 타박상, 진통 등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부위는 뿌리. 줄기 및 잎을 사용하며, 주요 성분으로는 에크디스테론, 이노코스테론등 있다.
퓨리톤은 현대의학이 주목하는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된 광물 의학의 한 줄기로써 광물이 가지고 있는 미네랄은 토양과 인체 생명의 꼭지점이라고 알려졌다. 이에 일라이트, 벤토나??, 몬모릴나이트와 같은 광물인 퓨리톤(puriton)은 천연 암석에서 점토광물을 분쇄, 원료 혼합, 액상화 및 독성 제거하여 무기질이 풍부하며 인체에 무해한 최종 콜로이드 상태의 광물질 추출물이다.
일라이트(illite)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운모족(조흔색~백색)으로 퓨리톤과 같은 종류의 천연 광물로써 지각 속에 섞여 있는 천연 무기질로 국내에 대규모의 매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광물이며 그 효능은 유해 물질 저감, 탈취효과, 항균 효과, 음이온 발생, 악취중화 작용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패치에 관한 특허 기술로는 출원 번호 10-2019-0129422호”“관절용 파스와 이의 제조 방법 ”출원 번호 10-2020-0016996호”“무릎 염증 개선을 위한 생강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스”등록 번호 20-0427927호”“기능성 파스”등록번호 10-1154327호”“수용성 나노 고분자를 이용한 상처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 방법”등록번호 10-2143104호”“관절 통증치료용 리포좀화된 생약 성분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 방법 ”등록 번호 10-1768708호”“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숙취 완화용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등록 번호 10-2400716호”“하이드로겔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피 패치”등록 번호 10-2001009호”“피부 부착형 패치”등록 번호 10-2481238호”“발바닥 부착용 기능성 패치 및 그의 제조 방법 ”등록 번호10-1804953호”“바이오 패치 및 그 제조 방법”등록 번호“10 -0970922호”체온에서 상전이 가능한 피부탄력, 보습 및 약물 침투를 증진 시키는 패치 조성물 ”등이 있으며,
숯에 관한 특허 기술로서는 등록 번호 10-1697695호”“조릿대숯을 이용한 주류 제조방법”등록 번호 10-0661616호”폐자재를 이용한 숯의 제조 장치”등록 번호 10-0667371호”“기능성 숯 보드 적층제의 제조방법”등록번호 “10-0939539호” “야자액을 첨가한 친환경 건축 냉장용 숯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등록번호 “10-1948661호” 대나무 숯을 이용하여 저온 숙성된 천녀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등록번호 “10-1206840호” “참나무 숯을 이용한 홍삼 엑스의 제조 방법”등록번호 “10-1694078호”“숯 연료 포장체” 등록 번호 “10-1929154호” “야자숯가루를 이용한 성형숯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등록번호 “10-1914051호”“숯이 함유된 이중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 등록번호 “10-1585932호”“커피 원두 부산물을 이용한 성형 숯의 제조 방법 ” 등이 있으며,
종래의 햄프 씨드에 관한 특허로써는 등록 번호 10-1992214호”“렌즈콩과 햄프씨드를 이용한 식물 패티 및 그 제조 방법 ”등록 번호 10-2379258호”“햄프씨드를 함유하는 건강기능 식품 및 그 제조방법”등록 번호 10-921331호”“대마씨를 함유한 육개장 칼국수와 그 제조 방법”등록 번호 10-2205207호”“대마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등록 번호 10-1828217호”“대마씨 및 광천수를 배지로 한 동충하초 배양 및 생육 방법 ”등록 번호 10-2365027호”“천연 추출물 및 햄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등록 번호 10-2030923호”“햄프씨드를 이용한 두부형태의 가공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등록 번호 10-0861587호”“햄프씨드 오일을 이용한 화장 또는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등록 번호 10-2223359호”“햄프추출원료가 포함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등록 번호 10-1886421호”“대마씨를 이용한 두부제조 방법 ”등록 번호 10-2351992호”“대마씨를 이용한 주정의 제조 방법”등록 번호 10-2337982호”“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 ”등이 있고,
퓨리톤을 이용한 특허 기술로는 등록 번호 10-2022671호”“미네랄 이온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등록 번호 10-203743호”“미네랄 이온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제 ”등록 번호 10-1973198호”“미네랄 이온 혼합 물을 포함하는 천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등록 번호 10-1963614호”“미네랄 이온 혼합물을 포함하는 알콜 분해용 조성물 ”등록 번호 10-1996383호”“퓨리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등록 번호 10-2250733호”“퓨리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등이 출원 및 등록이 되어 있고,
일라이트(illite)를 이용한 특허 기술로는 출원 번호 10-2021-0133227호”“일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 콩나물 ”출원 번호 10-2021-0085003호”“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출원 번호 10-2021-0085004호”“목단화 및 일라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등록번호 “10-1332268호”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등록번호 “10-2222482호” “일라이트 침향 쑥 봉 뜸기”등록번호 “10-2232460호” “일라이트가 함유된 과일 및 채소 선도유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등록번호 “10-2232460호”“일라이트가 함유된 과일과 채소 선도유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등록번호 “10-1264530호”“일라이트 복합 기능성 분체를 함유한 고 보습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등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대마 종자유 (햄프씨드 오일), 약용식물 추출물 및 식용 숯(charcoal)을 주원료로 하여 첨단 추출 기술과 일라이트(illite) 비즈(구슬)를 이용하여 고(高)품질 및 기능성 패치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과 그 사용이 지금까지 보고 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은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현대인의 소비성형과 편리성에 부흥하기는 측면에서 현대인에게 많은 관절염, 근육통 및 신경통 등에서 벗어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일반 의약품 보다 간편하고 편리한 도포 및 부착을 할 수 있는 패치 기능성이 향상된 패치 제조를 위함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미 안전성이나 기능성이 검정된 천연물질을 최적 조건에서 추출 후 재료의 최적화된 혼합으로 품질과 기능성이 향상된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에 본 발명은, 기능성을 가진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 방법으로써, 제 1단계는 숯분말과, 광물추출물과, 햄프씨드와, 아가(agar)와, 글리세린과, 유칼립투스 오일과, 라벤더 오일과 약용식물인 골담초와 우슬을 원료로 각각 선별하는 단계, 제 2단계는 숯 20~25 중량%와, 아가(agar) 1.0 중량%와, 햄프씨드 박 5~10 중량%와, 골담초와 우슬을 혼합한 혼합 약용식물 추출물 10~15 중량%와, 글리세린 15 중량%와, 유칼립투스 오일 0.5~1.0 중량%와, 라벤더 오일 0.5 중량%와, 햄프씨드 오일 2.0~5.0 중량%와, 생수와 광물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정제수 35~43 중량%를 모두 혼합한 후, 혼합기를 이용하여 30분간 혼합하는 원료의 혼합 및 추출하는 단계, 제 3단계는 혼합된 원료를 부직포에 도포하는 단계, 제 4단계는 상기 부직포의 원료가 도포된 표면에 이형용 필름 부착하여 패드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제 5단계는 상기 패드시트를 항온기를 이용하여 45~50℃에서 24~36시간 숙성하는 단계, 제 6단계는 상기 숙성된 패드시트를 50~60℃에서 8~12시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혼합 정제수는, 생수 : 광물추출물의 혼합비를 80~100 : 0~20(w/w)로 혼합 하여 10℃에서 5~7일 방치 후 사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햄프씨드는, 500g을 초임계 추출기를 이용하여 오일(oil)과 햄프씨드 박을 분리 후 햄프씨드 박의 전(前)처리로 햄프씨드 박 200g을 10 중량%함유 광물추출물 함유 생수 1리터에 혼합하여 20~25℃의 온도로 항온기에서 48시간 후 광물추출물 함유 생수를 제거 후 60℃에서 6~8시간 건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용 식물추출물은, 20g 건조 골담초와 15g 건조 우슬을 혼합하여 진공 믹서기에서 5분간 갈은 후 10 중량%함유 광물추출물 함유 생수 2리터와 혼합 후 170~180℃에서 30~50분 가열 후 식힌 다음, 이를 2리터 유리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10 중량% 일라이트함유 황토 비즈를 4~6개 첨가한 것을 항온기에서 30℃, 2시간 간격으로 30초 흔들어 24시간 혼합 후, 이를 살균된 가아제를 통과시킨 다음 동결 건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토비즈는 일라이트분말 : 황토분말의 혼합비를 10 :90(w/w)으로 하여 혼합 후 비즈 제형으로 제조 후 25℃에서 2일 간격으로 1분간 생수를 5~8회 분무한 다음, 100일간 그대로 굳어지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제 3단계의 부직포의 전(前)처리는, 부직포를 일라이트 분말 3~5 중량%가 함유된 일라이트 함유 정제수에 30분간 침지 후 원형을 유지하면서 55~60℃에서 6~8시간 건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에 의하면, 천연물질이며 안전성과 효능 면에서 검정된 재료의 최적 혼합과 첨단 융합 기술이 적용 됨으로써 새로운 소득원이 될 수 있는 농산물과 약용작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패치를 제조 하므로써 최종 제품은 고(高)품질과 기능적 효과를 지닌 패치는 현대인의 건강 및 국가차원에서 의료비의 막대한 소비를 막을 수 있는 1차 예방의학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패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 1은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 공정도로서 본 발명의 제 1단계는 원료 선별 단계, 제 2단계는 원료혼합 및 추출단계, 제 3단계는 부직포에 원료 도포 단계이고, 제 4단계는 부직포에 이형용 필름 부착 단계이고, 제 5단계는 숙성 단계이고, 제 6단계는 건조 단계이고, 제 7단계는 재단 및 제품화하는 단계로 제조하는 방법으로 그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패치 제조시 대마 종자유 (햄프씨드 오일), 약용식물 추출물 및 식용 숯(charcoal)을 주원료로 하여 첨단 추출 기술과 일라이트(illite) 비즈(구슬)를 이용하여 고(高)품질 및 기능성 패치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아래 표 1은 패치 조성물 함량을 달리한 실시 예이다.
한편, 패치 조성물 제조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쳐서 제조하였다.
(1) 원료 선별 단계
본 단계는 원료 선별 단계로 사용된 원료로 숯(분말 활성탄)은 숯분말(Activated Charcoal, NATURE´BONTY,INC., USA), 광물추출물(액체, USA), 햄프씨드(안동산, 한국),아가(agar), 글리세린, 유칼립투스 오일, 라벤더 오일은 시중에서 구입하였고, 약용식물인 골담초와 우슬 은 약재상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원료 추출 및 혼합 단계
본 단계는 (1)에서 선별된 원료를 추출 및 혼합 단계이다.
상기의 원료를 다음과 같이 추출 및 혼합 하여 사용하였다. 혼합 정제수는 생수 : 광물추출물의 혼합비를 80~100 : 0~20(w/w)로 혼합하여 10℃에서 5~7일 방치 후 사용하였다. 햄프씨드는 500g을 초임계 추출기(한일, KA-204, 한국)를 이용하여 오일(oil)과 햄프씨드 박을 분리 후 햄프씨드 박의 전(前)처리로 햄프씨드 박 200g을 10 중량%함유 광물추출물 함유 생수 1리터에 혼합하여 20~25℃ 항온기에서 48시간 후 광물추출물 함유 생수를 제거 후 60℃에서 6~8시간 건조 후 최종 햄프씨드 박으로 사용하였다.
약용 식물의 추출은 20g 건조 골담초와 15g 건조 우슬을 혼합하여 진공 믹서기(대원,HM-123, 한국)에서 5분간 갈은 후 10 중량%함유 광물추출물 함유 생수 2리터와 혼합 후 가스렌지 중불(170~180℃)로 30~50분 가열 후 식혀서 이를 2리터 유리 삼각 플라스커에 넣고 10 중량% 일라이트함유 황토 비즈(구슬 : 지름 약 1.5㎝)을 4~6개 첨가한 것을 항온기에서 30℃, 2시간 간격으로 30초 흔들어 24시간 혼합 후 이를 살균된 가아제를 통과한 내용물을 동결 건조하여 이를 최종 골담초+우슬 혼합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이때 사용한 10 중량% 일라이트함유 황토 비즈의 제조는 일라이트( 충북 영동산, 1000메쉬)분말 : 황토분말의 혼합비를 10 :90(w/w)으로 하여 혼합 후 비즈(구슬) 제형으로 제조 후 상온(25℃)에서 2일 간격으로 1분간 생수를 5~8회 분무 후 약 100일정도 그대로 굳어지도록 하여 최종 10 중량% 일라이트 함유 황토 비즈로 사용하였다.
원료의 혼합은 숯(분말 활성탄) 20~25 중량%, 아가(agar) 1.0 중량%, 햄프씨드 박 5~10 중량%, 골담초+우슬 혼합 추출물 10~15 중량%, 글리세린 15 중량%, 유칼립투스 오일 0.5~1.0 중량%, 라벤더 오일 0.5 중량%, 햄프씨드 오일 2.0~5.0 중량%, 혼합 정제수 35~43 중량%로 혼합하여 혼합기(새한, K-234, 한국)를 이용하여 30분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3) 부직포 도포 단계
본 단계에서 (2)에서 제조된 원료를 부직포에 도포하는 단계이다.
추출된 원료를 연구된 비율로 도포하였고 이때 사용한 것은 전(前)처리된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부직포의 전(前)처리는 일반 부직포를 일라이트 분말 3~5 중량%가 함유된 일라이트 함유 정제수에 30분간 침지 후 원형을 유지하면서 55~60℃에서 6~8시간 건조후 사용하였다.
(4) 이형용 필름 부착 단계
본 단계에서 (3)에서 내용물을 도포한 부직포에 이형용 필름 부착 단계이다.
(5) 숙성 단계
(4)에서 제조된 패트 시트를 항온기(새한, TR-121,한국)를 이용하여 45~55℃에서 24~36시간 숙성하는 단계이다.
(6) 건조 단계
(5)에서 숙성한 패트 시트를 50~60℃에서 8~12시간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7) 재단 및 제품화 단계
(6)의 반고체 상태로 된 패치 시트를 인체의 적용부위(사용자의 신체 부위 : 팔 다리, 목 등)에 잘 맞게 재단 후 최종 패치 제조 및 제품화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품화 단계를 거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11), 혼합원료(12), 이형필름(13)의 다층으로 형성된 패치(10)를 제조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1) 약용식물(골담초와 우슬)추출물 제조 시 일라이트 비즈(구슬)첨가 개수에 의한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본 발명은 약용식물(골담초와 우슬)추출물 제조 시 일라이트 비즈(구슬) 첨가 개수에 의한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측정은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① 실험 조건 : 500ml 삼각 플라스크에 약용식물 추출물 300ml와 상기에서 제조한 일라이트 비즈(구슬)을 첨가하여 항온기에서 30℃, 2시간 간격으로 30초 흔들어 24시간 혼합하는 조건으로 처리 후 최종 일라이트 비즈(구슬)을 제거 후 추출물을 항산화 효과 측정에 사용하였다.
② 항산화 효과 측정
(a)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페놀함량은 Folin-Ciocalteu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0 ml에 메탄올 20 ml를 가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후 원심분리 하여 상징액 5 ml을 얻어 감압 농축 시킨 후 메탄올 3 ml을 녹여 폴리페놀 함량 측정에 사용하였다. 96웰-프레이트에 추출물 50 μl에 2% Na2CO3용액 1 ml를 가하고 3분 방치한 후 50% Folin-Ciocalteu 시약 50 μl를 가하였다. 30분후 반응 액의 흡광도 값을 750 nm에서 측정하였고 표준물질로 0.1% gallic acid를 사용하였다. 측정기기로는 ELISA reader(Infinite F50, Tecan, Switzerland를 사용하였다.
(b) DPPH 라디컬 소거능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라디컬 소거활성은 브로이스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DPPH 용액은 0.1%의 농도로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DPPH와 메탄올1:1(C), 메탄올(Co), DPPH와 시료1:1(S), 시료와 메탄올 1:1(So)로 30분간 반응 시킨 후 517 nm에서 ELISA reader(Sunrise basic, Tecan, Austria)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실험을 3회 반복하여 평균을 낸 다음 대조구에 대한 흡광도의 감소정도를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1-(S-So)/(C-Co)]x100
③ 약용식물(골담초와 우슬)추출물 제조 시 일라이트 비즈(구슬)첨가 개수에 의한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 결과
표 2를 참고하면 항산화 효과는 일라이트 비즈(구슬)첨가 개수에 따라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무처리구 60.33%보다 처리구에서는 66.21~ 78.01%로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한편, 총 폴리 페놀 함량은 156.9~158.4mgGAE/L의 범위로 모든 처리구 사이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아니하였다.
(2) 패치 제조 시 광물추출물 첨가량에 따른 패치에 의한 피부 자극 효과
본 발명은 패치 제조 시 광물추출물 첨가량에 따른 패치에 의한 피부 자극 효과 측정은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① 피부 자극 효과 검사
표 3을 참고하면 피부 자극 효과 검사는 표1에서 나타난 관절 패치 조성물 함량(중량 %)을 달리하여 패치 제조 시 혼합 정제수 제조 시 광물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른 최종 시제품에 대한 피부 자극 효과를 측정 하였다. 검사에는 정제수와 광물추출물 혼합비에 따라 제조된 패치를 파스 알러지가 없고 관절 통증이 있는 30~50대 남녀 10명(남 5명, 여 5명)에게 통증 부위에 부착 후 24 시간 후에 육안으로 5점 척도(1 : 매우 나쁘다, 2: 나쁘다, 3 : 보통이다, 4:좋다, 5 : 매우 좋다)의해 결과를 나타내었다.
② 패치 제조 시 광물추출물 첨가량에 따른 패치에 의한 피부 자극 효과 측정결과
표 3에서 나타나듯이 광물추출물을 첨가 하지 아니한 무처리구(생수 : 광물추출물 혼합비가 100:0(w/w))보다 처리구중 생수 : 광물추출물 혼합비가 90:10(w/w)처리구에서 남자는 4.5, 여자는 4.7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본 발명은 패치 제조 시 숯 분말 첨가량에 따른 패치에 의한 피부 자극 효과 측정은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① 피부 자극 효과 검사
표 4를 참고하면 피부 자극 효과 검사는 표1에서 나타난 패치 조성물 함량(중량 %)을 달리하여 패치 제조 시 숯 분말 첨가량에 따른 최종 시제품에 대한 피부 자극 효과를 측정 하였다. 검사에는 정제수와 광물추출물 혼합비에 따라 제조된 패치를 파스 알러지가 없고 관절 통증이 있는 30~50대 남녀 10명(남 5명, 여 5명)에게 통증 부위에 부착 후 24 시간 후에 육안으로 5점 척도(1 : 매우 나쁘다, 2: 나쁘다, 3 : 보통이다, 4:좋다, 5 : 매우 좋다)의해 결과를 나타내었다.
② 패치 제조 시 광물추출물 첨가량에 따른 패치에 의한 피부 자극 효과 측정 결과
표 3에서 나타나듯이 숯 분말 첨가량이 무처리구의 남자 2.5,여자 2.2보다 처리구 중 10~20 중량% 처리구 일때 남자는 4.5~4.6, 여자는 4.4~ 4.7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4) 햄프씨드 오일 첨가량에 따른 패치의 관절 통증 완화 효과
본 발명은 패치 제조 시 햄프씨드 오일 첨가량에 따른 패치의 관절 통증 완화 효과 측정은 표 5와 같이 나타났다.
① 표 5를 참고하면 패치의 관절 통증 완화 효과 검사는 햄프씨드 오일 첨가량에 따른 시제품에 대한 통증 완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검사에는 햄프씨드 오일 첨가량을 0~5.0 중량%로 달리하여 제조된 패치를 파스 알러지가 없고 관절 통증이 있는 30~50대 남녀 10명(남 5명, 여 5명)에게 통증 부위에 부착 후 20~30분간격으로 24 시간동안 진정 정도를 5점 척도(1 : 매우 나쁘다, 2: 나쁘다, 3 : 보통이다, 4:좋다, 5 : 매우 좋다)의해 결과를 나타내었다.
② 햄프씨드 오일 첨가량에 따른 패치의 관절 통증 완화 효과 측정 결과
표 3에서 나타나듯이 햄프씨드 오일 첨가량에 따른 패치의 관절 통증 완화 효과의 결과는 햄프씨드 오일 첨가량이 2.5 중량%(실시예 2)처리구에서 부착 시간 경과에 따라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10 : 패치
11 : 부직포
12 : 혼합원료
13 : 이형필름

Claims (8)

  1. 기능성을 가진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 방법으로써,
    제 1단계는 숯분말과, 광물추출물과, 햄프씨드와, 아가(agar)와, 글리세린과, 유칼립투스 오일과, 라벤더 오일과 약용식물인 골담초와 우슬을 원료로 각각 선별하는 단계,
    제 2단계는 숯 20~25 중량%와, 아가(agar) 1.0 중량%와, 햄프씨드 박 5~10 중량%와, 골담초와 우슬을 혼합한 혼합 약용식물 추출물 10~15 중량%와, 글리세린 15 중량%와, 유칼립투스 오일 0.5~1.0 중량%와, 라벤더 오일 0.5 중량%와, 햄프씨드 오일 2.0~5.0 중량%와, 생수와 광물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정제수 35~43 중량%를 모두 혼합한 후, 혼합기를 이용하여 30분간 혼합하는 원료의 혼합 및 추출하는 단계,
    제 3단계는 혼합된 원료를 부직포에 도포하는 단계,
    제 4단계는 상기 부직포의 원료가 도포된 표면에 이형용 필름 부착하여 패드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제 5단계는 상기 패드시트를 항온기를 이용하여 45~50℃에서 24~36시간 숙성하는 단계,
    제 6단계는 상기 숙성된 패드시트를 50~60℃에서 8~12시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정제수는,
    생수 : 광물추출물의 혼합비를 80~100 : 0~20(w/w)로 혼합 하여 10℃에서 5~7일 방치 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햄프씨드는 ,
    500g을 초임계 추출기를 이용하여 오일(oil)과 햄프씨드 박을 분리 후 햄프씨드 박의 전(前)처리로 햄프씨드 박 200g을 10 중량%함유 광물추출물 함유 생수 1리터에 혼합하여 20~25℃의 온도로 항온기에서 48시간 후 광물추출물 함유 생수를 제거 후 60℃에서 6~8시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용 식물추출물은,
    20g 건조 골담초와 15g 건조 우슬을 혼합하여 진공 믹서기에서 5분간 갈은 후 10 중량%함유 광물추출물 함유 생수 2리터와 혼합 후 170~180℃에서 30~50분 가열 후 식힌 다음,
    이를 2리터 유리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10 중량% 일라이트함유 황토 비즈를 4~6개 첨가한 것을 항온기에서 30℃, 2시간 간격으로 30초 흔들어 24시간 혼합 후
    이를 살균된 가아제를 통과시킨 다음 동결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비즈는
    일라이트분말 : 황토분말의 혼합비를 10 :90(w/w)으로 하여 혼합 후 비즈 제형으로 제조 후 25℃에서 2일 간격으로 1분간 생수를 5~8회 분무한 다음, 100일간 그대로 굳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제 3단계의 부직포의 전(前)처리는,
    부직포를 일라이트 분말 3~5 중량%가 함유된 일라이트 함유 정제수에 30분간 침지 후 원형을 유지하면서 55~60℃에서 6~8시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230026260A 2023-02-27 2023-02-27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KR10264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260A KR102644200B1 (ko) 2023-02-27 2023-02-27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260A KR102644200B1 (ko) 2023-02-27 2023-02-27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200B1 true KR102644200B1 (ko) 2024-03-05

Family

ID=9029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260A KR102644200B1 (ko) 2023-02-27 2023-02-27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2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0022A2 (en) * 2016-11-14 2018-05-17 Farm To Farma, Inc. Cannabinoid formula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0022A2 (en) * 2016-11-14 2018-05-17 Farm To Farma, Inc. Cannabinoid formula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052B1 (ko)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JP5864252B2 (ja) 炮製を活用した薬用植物抽出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90806A (ko) 천연 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101257641B1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생약성분 화장품 제조 방법
KR20200060598A (ko)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436384B1 (ko) 천연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166883B1 (ko) 당귀, 천궁, 갈근, 작약, 숙지황, 황기, 홍삼, 건강, 감초, 계피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2854A (ko) 생약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104547A (zh) 一种调节女性内分泌的豆浆粉及其制备工艺
KR10101712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두발 화장료 조성물
KR102644200B1 (ko)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KR100783325B1 (ko) 기능성 천연색소가 함유된 가래떡의 제조방법
KR20130075207A (ko) 탈모 및 새치 방지용 천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0509B1 (ko) 버섯튀김의 제조방법
KR101069829B1 (ko) 증숙 솔향 홍하수오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1929B1 (ko) 코끼리마늘을 이용한 피부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55551A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5605B1 (ko) 숯과 일라이트(illlite)를 이용한 기능성 하이드로 겔 패치 제조방법
CN106900916A (zh) 一种当归茱萸明目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212783A (zh) 有机茶叶葛藤叶薯叶配方红茶
KR20120024186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12652B1 (ko)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CN106691901A (zh) 一种可食用的染发剂及其制备方法
KR20030070948A (ko) 보양용 면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