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652B1 -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652B1
KR100812652B1 KR1020060105949A KR20060105949A KR100812652B1 KR 100812652 B1 KR100812652 B1 KR 100812652B1 KR 1020060105949 A KR1020060105949 A KR 1020060105949A KR 20060105949 A KR20060105949 A KR 20060105949A KR 100812652 B1 KR100812652 B1 KR 100812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ves
tea
stems
eleutherococcus senticosus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현
최병곤
김경희
임상현
정햇님
Original Assignee
강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filed Critical 강원도
Priority to KR1020060105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루테로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가시오갈피 줄기와 잎을 함유하는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능성이 우수한 가시오갈피를 이용한 식품을 제공함으로써, 가시오갈피의 소비촉진을 통해 가시오갈피 재배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이다.
가시오갈피, 침출차, 엘루테로사이드

Description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Tea containing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of}
본 발명은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루테로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가시오갈피 줄기와 잎을 함유하는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갈피속 식물은 예로부터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식물종간 구별 없이 오가피나무로 통칭하여 왔고 가시오갈피는 오가삼이라 하여 신경쇠약, 식욕부진, 건망증, 불면증, 고혈압, 저혈압, 정력감퇴, 노화현상, 병후나 산후의 자양강장제 및 치료제로 운동선수나 정신노동자들에 피로회복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 유래를 보면 허준의 동의보감, 세종조의 향약집성방, 중국의 신농본초경, 본초강목 등의 고서에 오갈피류를 한약재로 사용한 기록이 있다.
잎은 건강차로 이용하며 꽃과 열매도 약용가치가 있다. 근피는 오가피, 엽은 오가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오가근피에는 정유, 탄닌, 팔미틴(palmitin)산, 리놀렌(linolen)산, 비타민 A, B, 사포닌 다당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 오가근피의 약효 로는 하반신에 작용하는 강장 및 진통의 효과가 있으며 관절류머티즘, 족요의 피로감, 무력, 유뇨, 소아의 발육불량, 허약 등에 효과가 있다. 오가피주는 진통, 강장의 작용이 있으며 족요의 냉, 동통, 음위 등에 효능이 있다. 오가엽은 피부풍의 치료에는 야채로 식용하면 좋고 타박에는 도포하여 종통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가시오갈피는 일반적으로 해발 700m 이상의 서늘한 고지대에서 자라며, 오갈피속 식물 중에서 주요성분인 엘루테로사이드(eleutheroside) B, 와 E 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가시오갈피의 채취 시기 및 부위에 따라 함량이 큰 차이를 나타낸다.
오갈피는 식품제조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나, 여기에는 가시오갈피의 자생지가 고지대로서 재배가 다소 까다로워 대부분 가시오갈피가 아닌 일반 오갈피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오갈피의 추출액은 재료 가격이 높아 대추, 오미자, 감초 등의 한약제를 30∼50% 첨가하여 오갈피 추출액을 제조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오갈피 줄기, 뿌리, 열매, 잎의 혼합을 일정량 비율로 한정하지 않고 제조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기능성을 지닌 가시오갈피를 식품으로서 쉽게 이용하고자 가시오갈피 줄기와 잎을 함유하는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시오갈피 줄기, 잎을 함유하는 가시오갈피 침출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시오갈피 줄기, 잎을 선별하여 배전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시오갈피 침출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시오갈피 침출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시오갈피 줄기 또는 잎은 수분함량 5∼20%로 건조하고 200∼250℃에서 2∼25분 동안 배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가시오갈피의 줄기와 잎을 채취한 다음 선별 및 전처리한 다음 혼합하여 침출차를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가시오갈피는 줄기, 잎을 채취하여 전처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가시오갈피의 줄기의 채취는 오갈피의 주요 약리작용의 성분으로 알려진 글리코사이드 배당체인 엘루테로사이드 유효성분 함량이 많은 시기인 8월에서 9월 사이에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줄기의 굵기는 크기에 따라 유효 성분함량이 차이가 나므로 2㎝ 이상의 줄기를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취한 줄기는 10㎝ 정도 길이로 절단하여 선별하고 줄기를 수분함량이 5~15%까지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한 가시오갈피의 줄기는 200∼250℃에서 5∼25분 동안 배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오갈피 잎의 채취 시기는 유효성분 함량이 많은 8∼9월 사이에 연한 잎 을 채취하여 선별한다. 선별한 잎은 수분함량이 5~15%까지 건조시킨 후 210℃에서 2∼7분간 배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전한 가시오갈피 줄기와 가시오갈피 잎은 분쇄기에 넣고 1∼5㎜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재료인 콩과 옥수수는 210℃에서 10∼25분간 배전시킨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150㎛∼1㎜로 크기로 분쇄한다. 사과는 150㎛∼1㎜로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전처리 단계를 거친 가시오갈피 줄기, 잎, 부재료인 콩, 옥수수, 사과를 혼합하여 티백포장기를 이용하여 침출차를 제조할 수 있다.
가시오갈피 티백차를 제조하기 위하여 잎, 줄기 또는 부재료의 적정 비율은 잎 50∼70%, 줄기 20∼40%, 부재료 5∼15%(사과, 콩, 옥수수: 각각 0.5∼10%)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엘루테로사이드의 함량이 증가된 가시오갈피 줄기 및 잎을 이용한 가시오갈피 침출차는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시오갈피의 줄기 및 잎의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맛을 좋게 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섭취에 용이하게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가시오갈피 줄기, 잎 채취 및 전처리
가시오갈피 줄기의 채취는 6월, 8월, 10월에 각각 채취하며, 줄기의 굵기는 크기에 따라 유효 성분함량이 차이가 나므로 2㎝ 이상의 줄기를 채취한다. 채취한 줄기는 10㎝ 정도 길이로 절단하여 선별하고, 줄기를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75℃에서 수분함량이 0, 15%, 30%가 되도록 건조시킨 후, 오븐을 이용하여 210℃에서 20분간 배전시켰다.
오갈피의 주요 약리작용의 성분으로 알려진 글리코사이드 배당체인 엘루테로사이드(eleutheroside) B와 E의 줄기의 수확시기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조사하였다(표 1).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8월과 10월에 채취한 가시오갈피 줄기에서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채취한 가시오갈피 줄기의 굵기가 2㎝ 정도일 때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표 2).
표 1. 가시오갈피 수확시기별 유효성분 함량
구 분 Eleutheroside B(%) Eleutheroside E(%) 비고
줄기의 수확시기 6월 0.2316 0.0723 철원산
8월 0.3920 0.1325
10월 0.3512 0.0928
표 2. 가시오갈피 줄기 굵기별 유효성분 함량
줄기의 굵기 Eleutheroside B(%) Eleutheroside E(%) 비고
1cm 0.1604 0.1005 철원산
2cm 0.683 0.2412
가시오갈피 줄기의 건조 또는 배전의 전처리에 따른 유효성분 함량과 줄기의 수분함량에 따른 특성은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가시오갈피 줄기를 배전처리 하였을 때 엘루테로사이드 B와 E의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줄기의 수분함량 15%로 건조하고 20분 동안 배전하였을 때, 관능검사에서 맛과 기호도에 있어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3. 가시오갈피 줄기의 전처리에 따른 유효성분 함량
구 분 Eleutheroside B(%) Eleutheroside E(%) 비고
건 조 0.4814 0.3245 철원산
배 전 0.5174 0.3381
표 4. 줄기의 수분함량에 따른 특성
수분함량 (%) 배전시간 (분) 관능검사(7 좋음→1 나쁨) pH 색도 탁도
기호도
0 10 4 4 4 4 6.9 89.87 1.00
20 3 3 4 4 7.0 89.02 1.47
15 10 3 4 4 3 7.0 88.84 1.10
20 5 5 4 5 6.9 87.81 1.30
30 10 3 3 3 3 7.0 87.81 1.01
20 5 4 4 4 7.0 87.22 1.34
가시오갈피 잎의 채취는 오갈피의 주요 약리작용의 성분으로 알려진 글리코사이드 배당체인 엘루테로사이드(eleutheroside)의 함량이 많은 8∼9월에 연한 잎을 채취하여 줄기와 이물질을 제거하고 잎의 수분함량이 5~15%까지 건조시킨 후 210℃에서 3분, 5분, 7분 동안 배전시킨 후 침출차 제조에 사용하였다. 잎의 수분 함량에 따른 특성은 표 5와 같다.
표 5. 잎의 수분함량에 따른 특성
수분함량 (%) 배전시간 (분) 관능검사(7좋음→1나쁨) pH 색도 탁도
기호도
0 3 5 5 5 5 7.1 96.00 2.67
5 5 4 5 5 7.0 96.16 2.80
7 5 5 5 5 7.2 96.47 1.92
15 3 5 6 5 6 7.1 95.77 2.56
5 6 5 5 5 7.0 96.09 2.64
7 4 4 5 5 7.4 96.60 1.53
30 3 5 5 5 5 6.8 95.75 2.51
5 5 4 4 4 7.0 95.56 2.63
7 5 4 5 5 6.6 95.34 2.79
부재료인 콩, 옥수수는 가시오갈피 침출차의 맛을 좋게 하기 위하여 210℃에서 10∼25분간 배전시킨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150㎛∼1㎜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사과는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70℃에서 건조하여 150㎛∼1㎜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가시오갈피 침출차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전처리한 가시오갈피 줄기와 잎 그리고 부재료인 콩, 옥수수, 사과 분말을 표 6에서와 같이 혼합하여 티백포장기를 이용하여 침출차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가시오갈피 침출차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잎:줄기:콩:옥수수:사과의 배합비를 6:3.5:0.2:0.2:0.1로 하였을 때 맛과 기호도가 우수하게 나타 났다.
표 6. 부재료 함량에 따른 관능검사(7: 좋음→1: 나쁨)
처 리 기호도
잎60%+줄기30%+사과5%+콩2.5%+옥수수2.5% 5.0 4.0 4.7 4.3
잎60%+줄기30%+사과10% 4.5 3.8 4.3 5.2
잎60%+줄기30%+콩5%+옥수수5% 4.8 4.7 4.5 5.2
잎60%+줄기38%+레몬2% 5.8 4.6 4.3 5.2
잎60%+줄기35%+콩2%+옥수수2%+사과1% 4.6 4.6 5.5 5.6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능성을 지닌 오가피속 식물 중 유효 성분함량이 가장 많은 가시오갈피를 이용한 차를 제조함에 있어, 가시오갈피 줄기 또는 잎을 배전처리 하여, 제조 과정 중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가시오갈피 과립차를 제조하는 방법의 개발로 소비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우수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시오갈피 침출차를 제공함으로써, 건강 기능성에 좋은 가시오갈피차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국민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가시오갈피 줄기 또는 잎을 수분함량 5∼15%로 건조하고, 210∼250℃에서 5∼25분 동안 배전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루테로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가시오갈피 침출차를 제조하는 방법.
  3. 삭제
KR1020060105949A 2006-10-30 2006-10-30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81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949A KR100812652B1 (ko) 2006-10-30 2006-10-30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949A KR100812652B1 (ko) 2006-10-30 2006-10-30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652B1 true KR100812652B1 (ko) 2008-03-13

Family

ID=3939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949A KR100812652B1 (ko) 2006-10-30 2006-10-30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6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551A (ko) 2021-05-14 2022-11-23 (주)디마인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5019B1 (ko) 2022-04-27 2023-01-06 (주)디마인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264A (ko) * 2000-02-01 2000-05-06 이순례 음양곽차와 오가피차 그리고 합제차의 제조방법
KR100628465B1 (ko) * 2004-10-29 2006-09-26 김영두 오가피 함유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264A (ko) * 2000-02-01 2000-05-06 이순례 음양곽차와 오가피차 그리고 합제차의 제조방법
KR100628465B1 (ko) * 2004-10-29 2006-09-26 김영두 오가피 함유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551A (ko) 2021-05-14 2022-11-23 (주)디마인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5019B1 (ko) 2022-04-27 2023-01-06 (주)디마인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241B1 (ko) 여주혼합추출물을 주재로 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US10595552B2 (en) Preparation of mixed tea composition comprising aloeswood
KR101166884B1 (ko) 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 홍삼, 감초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444928A (zh) 一种春季养身早茶袋泡茶
KR101140322B1 (ko) 홍삼, 당귀, 천궁, 황기, 대추, 백출, 작약, 감초, 계피 및 숙지황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01735B1 (ko) 새싹, 식물성 생약재 및 홍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177162B1 (ko) 꾸지뽕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20110056904A (ko) 당귀, 천궁, 갈근, 작약, 숙지황, 황기, 홍삼, 건강, 감초, 계피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14938B1 (ko) 유산균으로 발효된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RU2543143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фиточая
KR100606558B1 (ko) 오가피 침출차 제조방법
KR100812652B1 (ko) 가시오갈피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9903A (ko)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485016B1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5106B1 (ko)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0812651B1 (ko) 가시오갈피 과립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8367A (ko) 홍삼을 주원료로 한 한방 침출차의 제조방법
KR20200078324A (ko) 금잔화와 사군자탕 성분을 함유하는 꽃차 제조 방법
KR102644200B1 (ko)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346082B1 (ko) 부종 예방 및 부종 완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56954B1 (ko) 스틱 형태의 포장 용기에 충전된 도라지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50640B1 (ko) 기능성 원료를 첨가한 비트 주스의 제조 방법
KR102239143B1 (ko) 도라지 진액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