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636B1 -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636B1
KR102642636B1 KR1020210177730A KR20210177730A KR102642636B1 KR 102642636 B1 KR102642636 B1 KR 102642636B1 KR 1020210177730 A KR1020210177730 A KR 1020210177730A KR 20210177730 A KR20210177730 A KR 20210177730A KR 102642636 B1 KR102642636 B1 KR 10264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container
buffer
suppo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9248A (ko
Inventor
강건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피
Priority to KR102021017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636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열 발전을 이용하여 소비되는 외부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재배 대상물이 배치되도록 내부 공간에 배양 영역이 형성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상부에 물이 저장되는 일정한 공간을 구비하는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배양 영역 내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관; 상기 유로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배양 영역 내로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배양 영역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배양 환경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양 영역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배양 환경조건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배양 제어부;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설치되어 재배 대상물의 재배 과정에서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태양열 발전부; 및 상기 컨테이너의 하측에 설치되는 컨테이너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Smart Farm System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열 발전을 이용하여 소비되는 외부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은 인류의 생존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따라서,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농작물 재배 방법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절실하다.
최근에는, 농업 분야에서 노동력 절감, 경쟁력 강화, 생산량 증가 및 품질 증대를 위해 농업분야에 IT 기술도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정보통신기술(ICT) 및 이를 능동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IoT 기술들을 적용한 서비스가 여러 농업분야에서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75465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7243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태양열 발전을 이용하여 소비되는 외부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은, 재배 대상물이 배치되도록 내부 공간에 배양 영역이 형성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상부에 물이 저장되는 일정한 공간을 구비하는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배양 영역 내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관; 상기 유로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배양 영역 내로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배양 영역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배양 환경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양 영역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배양 환경조건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배양 제어부;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설치되어 재배 대상물의 재배 과정에서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태양열 발전부; 및 상기 컨테이너의 하측에 설치되는 컨테이너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테이너 지지부는, 상기 컨테이너가 설치될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컨테이너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컨테이너가 설치될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완충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 상기 하부 안착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부 완충 탄성부; 및 상기 하부 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 완충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 프레임은, 상측에 상기 컨테이너가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안착 바디; 상기 안착 바디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중단 완충부; 및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이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설치 위치와 대향하면서 상기 안착 바디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단 완충부는, 상기 안착 바디의 상부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중단 안착홈; 상기 중단 안착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중단 완충 탄성부; 및 상기 중단 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중단 완충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컨테이너의 하측을 지지하는 중단 지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단 완충 탄성부는, 상기 중단 지지 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중단 안착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형 지지 실린더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 상기 경사형 지지 실린더와 상기 유체 탱크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를 전달하거나 공급받기 위한 유체 전달관; 상기 유체 탱크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으로 구분하면서 상기 유체 탱크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 격벽; 및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재배실 내의 온도 및 습도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능동적으로 제어가 가능하고, 동시에 재배실 내의 작물이 골고루 조명 및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어 작물의 재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태양열 발전을 이용하여 소비되는 외부 전력을 최소화시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시키는 효과 역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컨테이너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중단 완충 탄성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6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10)은, 컨테이너(100), 물 저장부(150), 유로관(200), 노즐부(250), 센싱부(300), 배양 제어부(350), 태양열 발전부(400) 및 컨테이너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100)는, 재배 대상물(P)이 배치되도록 내부 공간에 배양 영역이 형성하며, 컨테이너 지지부(500)의 상측에 안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벽면에 배양 제어부(350)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개폐 덕트(101)가 설치된다.
물 저장부(150)는, 컨테이너(100) 상부에 물이 저장되는 일정한 공간을 구비한다.
유로관(200)은, 물 저장부(150)의 하단으로부터 배양 영역 내로 유로를 형성한다.
노즐부(250)는, 유로관(200)의 하단에 구비되어 배양 영역 내로 물 저장부(150)에 저장된 물을 분사한다.
센싱부(300)는, 배양 영역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배양 환경을 센싱한 뒤, 센싱된 정보를 배양 제어부(350)로 전달한다.
배양 제어부(350)는, 센싱부(300)에서 센싱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배양 영역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배양 환경조건을 형성하도록 노즐부(250) 및 개폐 덕트(101) 등의 구동을 제어한다.
태양열 발전부(400)는, 컨테이너(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재배 대상물의 재배 과정에서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여 공급한다.
컨테이너 지지부(500)는, 컨테이너(1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10)은, 컨테이너(100)의 내부 환기시키기 위한 배기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기부(450)는 배기관(451)을 구비하며, 배기부(450)로부터 컨테이너(100)의 내부를 연통시키며, 배기구(452)를 통하여 외기를 배양공간에 유입시키거나 배양공간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10)은, 태양열 발전부(400)를 통해 발생되는 전력을 보충할 수 있도록 지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지열 발전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10)은, 재배실 내의 온도 및 습도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능동적으로 제어가 가능하고, 동시에 재배실 내의 작물이 골고루 조명 및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어 작물의 재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또한, 태양열 발전을 이용하여 소비되는 외부 전력을 최소화시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컨테이너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지지부(500)는, 베이스 프레임(510) 및 안착 프레임(52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510)은, 컨테이너(100)가 설치될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 프레임(520)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프레임(510)은, 베이스 바디(511) 및 하부 완충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511)는, 컨테이너(100)가 설치될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하부 완충부(512)가 설치된다.
하부 완충부(512)는, 베이스 바디(511)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베이스 바디(511)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520)을 지지하는 동시에 안착 프레임(52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완충부(512)는, 하부 안착홈(5121), 하부 완충 탄성부(5122) 및 하부 지지 블록(5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안착홈(5121)은, 하부 완충 탄성부(5122) 및 하부 지지 블록(5123)가 안착될 수 있도록 베이스 바디(511)의 상부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하부 완충 탄성부(5122)는, 하부 안착홈(5121)의 하측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 블록(5123)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하부 지지 블록(5123)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하부 지지 블록(5123)은, 하부 안착홈(5121)으로 삽입되어 하부 완충 탄성부(5122)에 의해 지지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52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홈(523)을 통해 상부가 삽입되어 안착 프레임(520)을 지지한다.
안착 프레임(520)은, 컨테이너(10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컨테이너(100)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베이스 프레임(5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 프레임(520)은, 안착 바디(521), 중단 완충부(522) 및 하부 체결홈(523)을 포함한다.
안착 바디(521)는, 상측에 컨테이너(100)가 안착되며, 베이스 바디(511)의 상측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 블록(5123)에 의해 지지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중단 완충부(522)가 설치되고, 하측 테두리를 따라 하부 체결홈(523)이 형성된다.
중단 완충부(522)는, 안착 바디(521)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안착 바디(521)의 상측에 안착되는 컨테이너(10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중단 완충부(522)는, 중단 안착홈(5221), 중단 완충 탄성부(5222) 및 중단 지지 블록(5223)을 포함할 수 있다.
중단 안착홈(5221)은, 중단 완충 탄성부(5222) 및 중단 지지 블록(5223)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 바디(521)의 상부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중단 완충 탄성부(5222)는, 중단 안착홈(5221)의 하측에 안착되어 중단 지지 블록(5223)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중단 지지 블록(5223)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중단 지지 블록(5223)은, 중단 안착홈(5221)으로 삽입되어 중단 완충 탄성부(5222)에 의해 지지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컨테이너(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하부홈(100a)을 통해 상부가 삽입되어 컨테이너(10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하부홈(100a)은, 상측에 고무 재질의 블록(B2)이 상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 블록(5223)의 상측이 안착 시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체결홈(523)은, 하부 지지 블록(5123)이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 지지 블록(5123)의 설치 위치와 대향하면서 안착 바디(521)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체결홈(523)은, 상측에 고무 재질의 블록(B1)이 상측에 설치되어 하부 지지 블록(5123)의 상측이 안착 시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컨테이너 지지부(500)는, 컨테이너(100)의 설치 시 안정적이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지지부(5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중단 완충 탄성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중단 완충 탄성부(60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 하부 지지 블록(630),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 및 플레이트 지지부(6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완충 탄성부(5122)는,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단 완충 탄성부(6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중단 완충 탄성부(600)의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 하부 지지 블록(630),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 및 플레이트 지지부(650) 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 지지부(65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중단 지지 블록(5223)의 하측을 지지하며,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상측 테두리가 설치된다.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형상과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중단 안착홈(5221)의 하측에 안착하며, 상측에 하부 지지 블록(630)이 설치된다.
하부 지지 블록(63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하측 테두리가 설치되며, 상부에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된다.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원통 형상의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되기 위한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플레이트 지지부(650)로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중심 포스트(651),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를 포함한다.
중심 포스트(65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서로 120º의 등간격으로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설치된다.
이때, 중심 포스트(651)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는 고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의 상하 높이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완충 지지부(700-2)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 및 제2 완충 지지부(700-2)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즉,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1/3씩 분할하여 각자가 설치된 구역을 독립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수평하게 하강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만이 하강하는 경우에도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또는 제3 완충 지지부(700-3) 중 어느 하나의 완충 지지부가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단 완충 탄성부(60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 또는 완충시켜 줌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후술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완충 지지부(700-1)의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직형 지지부(71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713)가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며,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711)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712)에 의해 지지된다.
즉, 수직형 지지부(7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완충 스프링(712)의 내측을 통과하여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완충 스프링(712)은, 상부 거치대(711)를 지지함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에 의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상부 거치대(711)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예를 들어, 공기, 물 또는 오일 등)에 의해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상승시켜 주고, 유체가 유출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경사형 지지부(730)는, 상측에 배치되는 일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측에 배치되는 타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동 지지 헤드(713)를 지지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하강하여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면서 회동 지지 헤드(713)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경사형 지지부(730)는, 제1 회동 프레임(731), 제2 회동 프레임(732),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제2 완충 스프링(735),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 및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를 포함한다.
제1 회동 프레임(731)은, 상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
제2 회동 프레임(732)은,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어 상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는,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중단(H)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F3-1, F3-2, F3-3)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접철되면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일단이 다른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2 링크 프레임(F2)과 제1 링크 프레임(F1)의 각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일렬로 연결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H)의 일측 마다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고 삽입된다.
즉,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완충 스프링(735)은,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을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면서 설치된다.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는,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제2 완충 스프링(735)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중간 지지 프레임(734)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을 통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삽입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L)를 유체 탱크(721)로 공급하고,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늘어남에 따라 유체(L)가 공급되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배출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사형 지지부(730)는, 수직형 지지부(71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함에 따라 회동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수직형 지지부(710)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유체 탱크(721), 유체 전달관(722), 분리 격벽(723) 및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포함한다.
유체 탱크(721)는, 유체(L)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된다.
유체 전달관(722)은,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와 유체 탱크(721)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L)를 전달하거나 공급받는다.
분리 격벽(723)은, 유체 탱크(721)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N1)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N2)으로 구분하면서 유체 탱크(72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지지한다.
수직 완충 스프링(724)은, 분리 격벽(723)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평상시에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며,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하여 도 8의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간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로부터 유체(L)가 유체 탱크(721)로 공급되어 분리 격벽(723)을 상승시켜 줌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100: 컨테이너
150: 물 저장부
200: 유로관
250: 노즐부
300: 센싱부
350: 배양 제어부
400: 태양열 발전부
500: 컨테이너 지지부

Claims (10)

  1. 재배 대상물이 배치되도록 내부 공간에 배양 영역이 형성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상부에 물이 저장되는 일정한 공간을 구비하는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배양 영역 내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관;
    상기 유로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배양 영역 내로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배양 영역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배양 환경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양 영역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배양 환경조건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배양 제어부;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설치되어 재배 대상물의 재배 과정에서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태양열 발전부; 및
    상기 컨테이너의 하측에 설치되는 컨테이너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지지부는,
    상기 컨테이너가 설치될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컨테이너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컨테이너가 설치될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완충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
    상기 하부 안착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부 완충 탄성부; 및
    상기 하부 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 완충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프레임은,
    상측에 상기 컨테이너가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안착 바디;
    상기 안착 바디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중단 완충부; 및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이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설치 위치와 대향하면서 상기 안착 바디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체결홈;을 포함하는,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완충부는,
    상기 안착 바디의 상부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중단 안착홈;
    상기 중단 안착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중단 완충 탄성부; 및
    상기 중단 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중단 완충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컨테이너의 하측을 지지하는 중단 지지 블록;을 포함하는,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완충 탄성부는,
    상기 중단 지지 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중단 안착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하는,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하며,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하는,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KR1020210177730A 2021-12-13 2021-12-13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KR102642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730A KR102642636B1 (ko) 2021-12-13 2021-12-13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730A KR102642636B1 (ko) 2021-12-13 2021-12-13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248A KR20230089248A (ko) 2023-06-20
KR102642636B1 true KR102642636B1 (ko) 2024-02-29

Family

ID=8699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730A KR102642636B1 (ko) 2021-12-13 2021-12-13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63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1380A (ja) * 1986-04-19 1987-11-02 技研興業株式会社 コンテナの緩衝装置
KR20180072439A (ko)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에스에스엘 IoT 통합센서 인터페이스 기반 작물 생육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93935A (ko) * 2019-01-29 2020-08-06 김정주 Ict 스마트팜 컨테이너 시스템
KR102340921B1 (ko) 2019-12-13 2021-12-20 주식회사 로보게이트 수경재배 식물의 스마트팜 자동화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248A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7475T3 (es) Invernadero y sistema de control climático de invernadero forzado
KR102642636B1 (ko)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CN101061004A (zh) 车辆的液压悬架系统
CN105792641A (zh) 水栽培系统、和设置有水栽培系统的植物工厂以及由发泡聚苯乙烯泡沫制成的温室
JP2009177163A (ja) 建物の外被構造
KR102427790B1 (ko) 자동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 구조
KR102589161B1 (ko) 기능성 매트리스장치
KR102441313B1 (ko) 반도체 비전 검사용 산업용 컴퓨터
CN217771892U (zh) 一种气囊弹簧、气垫和床垫
CN105858282B (zh) 一种吸盘及薄层物件的吸取方法及吸盘设备
CN1075015C (zh) 包装用辅助装置
KR102462222B1 (ko) 싱크대용 목재 가공 장치
KR102640870B1 (ko)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
KR101828829B1 (ko) 에어블럭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JP2015228813A (ja) ハウス栽培の空気循環システム
KR20130056961A (ko) 버섯 재배 장치
KR102632752B1 (ko) 연속식 직물 원단 염색 장치
KR102620666B1 (ko) 통신 배선 공사를 위한 단자함 장치
KR102192945B1 (ko) 전동 매트리스
KR102478552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전동 데스크
CN2090156U (zh) 小型便移悬挂式温室
CN201027105Y (zh) 自动入料装置
KR102574172B1 (ko) 다단 슬라이딩형 온실
KR20230149674A (ko) 배기라인 파우더 생성을 억제하는 진공펌프 소비전력 절감장치
KR102632753B1 (ko) 직물 원단 가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