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870B1 -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 - Google Patents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870B1
KR102640870B1 KR1020230127572A KR20230127572A KR102640870B1 KR 102640870 B1 KR102640870 B1 KR 102640870B1 KR 1020230127572 A KR1020230127572 A KR 1020230127572A KR 20230127572 A KR20230127572 A KR 20230127572A KR 102640870 B1 KR102640870 B1 KR 102640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attress
wire mesh
support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보엠가구
천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보엠가구, 천성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보엠가구
Priority to KR102023012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MDF로 제작되는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를 철망만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를 보다 견고하고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철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중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부; 철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부의 일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부; 철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부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부; 및 철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프레임부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회동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Mattress frame structure implemented with wire mesh}
본 발명은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MDF로 제작되는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를 철망만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를 보다 견고하고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그 형태 및 높이 등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고정형 침대의 경우 신체의 일부에 맞도록 경사도를 구현하는 것이 일부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사용자의 키 또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침대의 상면 높이를 전체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고정형 침대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 높낮이가 조절되는 전동 침대가 시판되고 있다. 높낮이가 조절되는 종래의 전동 침대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일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전부가 수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구현된 것에 불과하다. 보통 이러한 전동 침대는, 하부에 별도의 리프트 장치를 구비하여 매트리스 본체가 안착된 침대 프레임 자체 또는 일부를 승강시키는 원리를 채택 구현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73120호 (2013.07.03. 공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종래 MDF로 제작되는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를 철망만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를 보다 견고하고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철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중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부; 철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부의 일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부; 철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부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부; 및 철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프레임부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회동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1 회동 프레임부의 일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 프레임부를 회동 구동시켜 주는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고정 프레임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2 회동 프레임부의 타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부를 회동 구동시켜 주는 제2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부, 상기 제1 회동 프레임부, 상기 제2 회동 프레임부 및 상기 제3 회동 프레임부 각각에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를 덮고 설치되는 매트리스 커버; 및 상기 매트리스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매트리스의 형상을 지지하는 형상 지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 지지 장치는, 상기 매트리스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장치 설치 개구부;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의 상단을 덮고 설치되는 상단 지지 플레이트;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의 하단을 덮고 설치되는 하단 지지 플레이트; 상기 하단 지지 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단 지지 플레이트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뒤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 방향으로 배출시켜 주는 송풍 모듈;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송풍 모듈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신장되는 동시에 상단으로 전달하는 완충 모듈; 및 상기 상단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완충 모듈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완충 모듈을 경유하고 전달되는 공기를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로 배출시켜 주는 지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송풍 모듈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 모듈과 대향하면서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관통홀과, 상기 지지 모듈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송풍 모듈이 설치되지 아니하는 위치를 따라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모듈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3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 모듈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 관통홀을 덮고 상기 하단 지지 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완충 모듈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회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 상기 배출구를 개방시킨 상태의 상기 개폐 덮개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모듈의 하강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모듈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면 구동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완충 모듈로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 팬은,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상기 지지 모듈과의 접촉이 전달되면 구동 세기를 증가시켜 상기 완충 모듈로 공급되는 바람의 세기를 증가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상단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에 안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완충 모듈 사이에 설치되는 연장관; 상기 연장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연장관으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완충 모듈을 경유하고 전달되는 공기를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로 배출시켜 주는 원웨이 밸브; 및 상기 원웨이 밸브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거치턱에 설치되어 상기 원웨이 밸브에 의한 상기 연장관에 개폐를 감지하는 개방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 덮개는, 상기 개방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연장관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밀폐되었다고 통지되면 상기 배출구를 밀폐시켜 주고, 상기 개방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연장관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개방되었다고 통지되면 회동 구동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종래 MDF로 제작되는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를 철망만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를 보다 견고하고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6의 형상 지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지지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고정 프레임부(200), 제1 회동 프레임부(300), 제2 회동 프레임부(400) 및 제3 회동 프레임부(5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단을 따라 고정 프레임부(200), 제1 회동 프레임부(300), 제2 회동 프레임부(400) 및 제3 회동 프레임부(50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고정 프레임부(200)는, 철망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부 중단에 고정 설치된다.
제1 회동 프레임부(300)는, 철망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 프레임부(200)의 일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회동 프레임부(400)는, 철망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 프레임부(200)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3 회동 프레임부(500)는, 철망 형태로 형성되며, 제2 회동 프레임부(400)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10)는, 제1 액추에이터(600) 및 제2 액추에이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600)는, 고정 프레임부(200)의 일측 단부와 제1 회동 프레임부(300)의 일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제1 회동 프레임부(300)를 회동 구동시켜 준다.
제2 액추에이터(700)는, 고정 프레임부(200)의 타측 단부와 제2 회동 프레임부(400)의 타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제2 회동 프레임부(400)를 회동 구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10)는, 종래 MDF로 제작되는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를 철망만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를 보다 견고하고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고정 프레임부(200), 제1 회동 프레임부(300), 제2 회동 프레임부(400), 제3 회동 프레임부(500), 매트리스(800), 매트리스 커버(900) 및 형상 지지 장치(10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00), 고정 프레임부(200), 제1 회동 프레임부(300), 제2 회동 프레임부(400), 및 제3 회동 프레임부(5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매트리스(800)는, 고정 프레임부(200), 제1 회동 프레임부(300), 제2 회동 프레임부(400) 및 제3 회동 프레임부(500) 각각에 안착된다.
매트리스 커버(900)는, 매트리스(800)를 덮고 설치된다.
형상 지지 장치(10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800)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매트리스(800)의 형상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20)는, 오랜 사용으로 매트리스(8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사용성을 장기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형상 지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형상 지지 장치(1000)는, 장치 설치 개구부(1100), 상단 지지 플레이트(1200), 하단 지지 플레이트(1300), 송풍 모듈(1400), 완충 모듈(1500) 및 지지 모듈(1600)을 포함한다.
장치 설치 개구부(1100)는, 매트리스(8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단 지지 플레이트(1200), 하단 지지 플레이트(1300), 송풍 모듈(1400), 완충 모듈(1500) 및 지지 모듈(1600) 등의 구성들이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상단 지지 플레이트(1200)는, 장치 설치 개구부(1100)의 상단을 덮고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지지 플레이트(1200)는, 지지 모듈(160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장치 설치 개구부(1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3 관통홀(120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단 지지 플레이트(1300)는, 장치 설치 개구부(1100)의 하단을 덮고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단 지지 플레이트(1300)는, 송풍 모듈(140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송풍 모듈(1400)과 대향하면서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관통홀(1301)과, 지지 모듈(160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장치 설치 개구부(1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 모듈(1400)이 설치되지 아니하는 위치를 따라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관통홀(1302)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 모듈(1400)은, 하단 지지 플레이트(1300)의 상단에 설치되며, 하단 지지 플레이트(130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뒤 장치 설치 개구부(1100) 방향으로 배출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 모듈(1400)은, 모듈 하우징(1410), 배출구(1420), 개폐 덮개(1430), 터치 센서(1440) 및 송풍 팬(145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410)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제1 관통홀(1301)을 덮고 하단 지지 플레이트(1300)의 상단에 설치된다.
배출구(1420)는, 모듈 하우징(141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완충 모듈(1500)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된다.
개폐 덮개(1430)는, 배출구(1420)에 회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배출구(1420)를 개폐한다.
터치 센서(1440)는, 배출구(1420)를 개방시킨 상태의 개폐 덮개(1430)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지지 모듈(1600)의 하강 이동에 따른 지지 모듈(1600)과의 접촉을 감지한다.
송풍 팬(1450)은, 모듈 하우징(14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출구(1420)가 개방되면 구동되어 배출구(1420)를 통해 완충 모듈(1500)로 바람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 팬(1450)은, 터치 센서(1440)로부터 지지 모듈(1600)과의 접촉이 전달되면 구동 세기를 증가시켜 완충 모듈(1500)로 공급되는 바람의 세기를 증가시켜 줌으로써, 완충 모듈(1500)이 신장되어 수축되었던 매트리스(800)가 다시 팽창되도록 할 수 있다.
완충 모듈(1500)은,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며, 송풍 모듈(14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송풍 모듈(14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신장되는 동시에 상단으로 전달한다.
지지 모듈(1600)은, 상단 지지 플레이트(1200)와 완충 모듈(1500) 사이에 설치되며, 완충 모듈(1500)을 경유하고 전달되는 공기를 장치 설치 개구부(1100)로 배출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모듈(1600)은, 지지 플레이트(1610), 연장관(1620), 원웨이 밸브(1630) 및 개방 감지 센서(1640)를 포함할 수 있다.ㄴ
지지 플레이트(1610)는, 상단 지지 플레이트(1200)의 저면에 안착된다.
연장관(1620)은, 지지 플레이트(1610)와 완충 모듈(1500) 사이에 설치된다.
원웨이 밸브(1630)는, 연장관(1620)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연장관(1620)으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동시에 완충 모듈(1500)을 경유하고 전달되는 공기를 장치 설치 개구부(1100)로 배출시켜 준다.
개방 감지 센서(1640)는, 원웨이 밸브(16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연장관(1620)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거치턱에 설치되어 원웨이 밸브(1630)에 의한 연장관(1620)에 개폐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 덮개(1430)는, 개방 감지 센서(1640)로부터 연장관(1620)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밀폐되었다고 통지되면 배출구(1420)를 밀폐시켜 주고, 개방 감지 센서(1640)로부터 연장관(1620)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개방되었다고 통지되면 회동 구동되어 배출구(1420)를 개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형상 지지 장치(1000)는,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 수축되는 매트리스(800)를 강제로 팽창시켜 매트리스(800)의 형상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줌은 물론, 매트리스(800)의 팽창 과정에서 바람을 불어 매트리스(800)에 누어 있는 사용자에게 시원함 역시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
100: 베이스 플레이트
200: 고정 프레임부
300: 제1 회동 프레임부
400: 제2 회동 프레임부
500: 제3 회동 프레임부

Claims (3)

  1.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철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중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부;
    철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부의 일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부;
    철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부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부;
    철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프레임부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회동 프레임부;
    상기 고정 프레임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1 회동 프레임부의 일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 프레임부를 회동 구동시켜 주는 제1 액추에이터;
    상기 고정 프레임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2 회동 프레임부의 타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부를 회동 구동시켜 주는 제2 액추에이터;
    상기 고정 프레임부, 상기 제1 회동 프레임부, 상기 제2 회동 프레임부 및 상기 제3 회동 프레임부 각각에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를 덮고 설치되는 매트리스 커버; 및
    상기 매트리스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매트리스의 형상을 지지하는 형상 지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 지지 장치는,
    상기 매트리스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장치 설치 개구부;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의 상단을 덮고 설치되는 상단 지지 플레이트;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의 하단을 덮고 설치되는 하단 지지 플레이트;
    상기 하단 지지 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단 지지 플레이트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뒤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 방향으로 배출시켜 주는 송풍 모듈;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송풍 모듈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신장되는 동시에 상단으로 전달하는 완충 모듈; 및
    상기 상단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완충 모듈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완충 모듈을 경유하고 전달되는 공기를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로 배출시켜 주는 지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송풍 모듈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 모듈과 대향하면서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관통홀과, 상기 지지 모듈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송풍 모듈이 설치되지 아니하는 위치를 따라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모듈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장치 설치 개구부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3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 모듈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 관통홀을 덮고 상기 하단 지지 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완충 모듈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회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
    상기 배출구를 개방시킨 상태의 상기 개폐 덮개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모듈의 하강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모듈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면 구동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완충 모듈로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 팬;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 팬은,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상기 지지 모듈과의 접촉이 전달되면 구동 세기를 증가시켜 상기 완충 모듈로 공급되는 바람의 세기를 증가시켜 주는,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1020230127572A 2023-09-23 2023-09-23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 KR102640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7572A KR102640870B1 (ko) 2023-09-23 2023-09-23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7572A KR102640870B1 (ko) 2023-09-23 2023-09-23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870B1 true KR102640870B1 (ko) 2024-02-27

Family

ID=9005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7572A KR102640870B1 (ko) 2023-09-23 2023-09-23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8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005U (ko) * 1989-10-06 1991-06-10
KR20130073120A (ko) 2011-12-23 2013-07-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매트리스 설치용 리프트프레임
KR102123566B1 (ko) * 2018-04-05 2020-06-16 (주)에몬스가구 매트리스 일체형 전동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005U (ko) * 1989-10-06 1991-06-10
KR20130073120A (ko) 2011-12-23 2013-07-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매트리스 설치용 리프트프레임
KR102123566B1 (ko) * 2018-04-05 2020-06-16 (주)에몬스가구 매트리스 일체형 전동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780002Y (zh) 气垫床
KR102640870B1 (ko) 철망으로 구현된 매트리스 프레임 구조체
CN101090408A (zh) 具有扬声器控制的移动终端及其使用方法
RU2008148309A (ru) Пресс с нижним приводом
USD482767S1 (en) Vehicle air filter housing
KR20230115207A (ko) 기능성 매트리스장치
JP3224095U (ja) 昇降式睡眠用枕
CN107087934A (zh) 自动调节温度的智能枕
CN102150092A (zh) 角度检测和控制
KR200271585Y1 (ko) 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CN209003334U (zh) 头部升起式电动床架
JPH02500086A (ja) 低エア漏洩ベッドを揺動させるエアサック
JP3856120B2 (ja) 浴室ユニットの排水トラップ
DE602006001555D1 (de) Geschweisster, mehrstufig gegossener Führungslenker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KR102620666B1 (ko) 통신 배선 공사를 위한 단자함 장치
US5956781A (en) Dual flush cistern
CN211558973U (zh) 一种增高鞋垫
JPH11201398A (ja) ガスホルダのピストン支持構造
JP3359352B2 (ja) 自己洗浄機能付充填ノズル
CN209863575U (zh) 一种老年人用洗浴保护架
JP2001190383A (ja) マクラ装置
CN110269427A (zh) 助眠按摩床垫
KR20230089248A (ko)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KR102303997B1 (ko) 스프링이 구비된 폴리우레탄 방석
CN211693683U (zh) 气体控制装置及其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