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416B1 -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 - Google Patents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416B1
KR102642416B1 KR1020230118362A KR20230118362A KR102642416B1 KR 102642416 B1 KR102642416 B1 KR 102642416B1 KR 1020230118362 A KR1020230118362 A KR 1020230118362A KR 20230118362 A KR20230118362 A KR 20230118362A KR 102642416 B1 KR102642416 B1 KR 10264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cutting device
snow removal
bag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일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일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일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3011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08Opening and empty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41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using chutes, hoppers,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2Fi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4Pulverising loaded or unload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용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의 제설제를 담은 톤백 절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톤백에 담긴 굳은 제설제를 분쇄하여 차량에 쉽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설제가 담겨진 톤백(10)이 내려지는 호퍼(290); 호퍼(290)의 투입 단면에 형성된 격자망(210); 격자망(210) 상에서 대칭적으로 왕복 가능한 제 1, 2 압착부(220, 230); 제 1 압착부(220)의 상면에 설치되어, 톤백(10)의 저면을 투과할 수 있는 제 1 첨단부(240); 제 2 압착부(230)의 상면에 설치되어, 톤백(10)의 저면을 투과할 수 있는 제 2 첨단부(250); 및 제 1, 2 압착부(220, 230)를 왕복시키는 왕복수단;을 포함하여, 저면을 투과한 제 1, 2 첨단부(240, 250)가 상호 벌려지면서 톤백(10)의 저면을 절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Snow removal agent ton bag cutting device and snow removal agent load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설용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의 제설제를 담은 톤백 절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톤백에 담긴 굳은 제설제를 분쇄하여 차량에 쉽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등에 눈이 쌓이면 원활한 보행 또는 운행을 위해 염화칼슘, 소금 또는 모래 등의 제설제를 그 도로에 뿌려 제설하고 있다. 제설제는 통상 포대(이하,"톤백"이라 칭하는데, "톤백"은 백에 톤(ton) 단위로 담는다는 데에서 유래함)에 담겨져 보관되는데, 필요시에 그 톤백을 절개하여 제설제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제설용 차량을 이용하여 제설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크레인이나 포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제설제를 차량에 적재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제설자가 직접 톤백을 낫이나 칼을 갖고 절개하여 제설제를 방출했기 때문에 작업의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고, 특히 크레인을 이용하여 톤백에 담긴 제설제를 차량에 적재할 경우에는 제설자가 차량에 직접 올라가 그 톤백을 일일히 절개해야 했기 때문에 차량으로부터 낙상(落傷)하거나 크레인 후크와의 충돌 위험성이 상존했다.
또한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제설제를 차량에 적재할 경우에는 다량의 톤백을 절개하여 제설제를 바닥에 미리 쌓은 후 실어야 했기 때문에 제설제가 특히 염화칼슘이나 소금이고 장시간 노출될 경우에는 딱딱하게 굳어 못쓰게 되는 문제가 있고, 제설자가 차량에 올라가 제설제를 차량에 고르게 실어야 했기 때문에 작업 위험성이 상존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504326호(톤백 절개장치),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080204호(톤백 절개장치),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347173호(톤백 절개장치), 4.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22-0155136호(자가 주행장비용 톤백 거상 절개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톤백에 담겨 있는 굳은 제설재를 파쇄하여 차량에 상차할 수 있도록 하는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설제가 담겨진 톤백(10)이 내려지는 호퍼(290); 호퍼(290)의 투입 단면에 형성된 격자망(210); 격자망(210) 상에서 대칭적으로 왕복 가능한 제 1, 2 압착부(220, 230); 제 1 압착부(220)의 상면에 설치되어, 톤백(10)의 저면을 투과할 수 있는 제 1 첨단부(240); 제 2 압착부(230)의 상면에0 설치되어, 톤백(10)의 저면을 투과할 수 있는 제 2 첨단부(250); 및 제 1, 2 압착부(220, 230)를 왕복시키는 왕복수단;을 포함하여, 저면을 투과한 제 1, 2 첨단부(240, 250)가 상호 벌려지면서 톤백(10)의 저면을 절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제 1 압착부(220) 중 제 2 압착부(230)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된 제 1 요철부(300); 및 제 2 압착부(230) 중 제 1 압착부(220)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된 제 2 요철부(310);을 더 포함하고, 제 1 요철부(300)의 볼록부는 제 2 요철부(310)의 오목부와 형상 맞춤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 2 압착부(220, 23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제 1, 2 압착부(220, 230)의 일단 영역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 1 안내봉(270); 및 제 1, 2 압착부(220, 23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제 1, 2 압착부(220, 230)의 타단 영역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 2 안내봉(2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1 압착부(220)와 제 2 압착부(230)가 합쳐지는 투과모드에서 상호 접하는 제 1, 2 첨단부(240, 250)는 원뿔 형태이거나 다각형뿔 형태이다.
또한, 호퍼(290)의 하단에 설치되고, 파쇄기로 투입되는 제설제(20)의 낙하를 단속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고, 개폐수단은, 호퍼(290)에 설치되는 개폐 하우징(420); 개폐 하우징(420) 상에서 대칭적으로 왕복 가능한 제 1, 2 도어(430, 440); 및 제 1, 2 도어(430, 440)를 각각 동작시키는 한쌍의 제 2 유압실린더(410);를 포함한다.
또한, 개폐수단의 개폐 동작은 왕복수단의 왕복 동작과 연동된다.
또한, 호퍼(290)의 상부 투입 단면은 호퍼(290)의 하단면과 30° ~ 50°의 각도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200); 절개장치(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파쇄기(170); 일단이 파쇄기(17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차량(50) 높이까지 연장되는 컨베이어 벨트(110); 및 컨베이어 벨트(110)의 타단 영역에 설치되어 차량(50)을 향해 분쇄된 제설제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200); 절개장치(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파쇄기(170); 일단이 제 1 파쇄기(17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 1 컨베이어 벨트(110); 및 제 1 컨베이어 벨트(110)의 타단 영역에 설치되어 분쇄된 제설제를 토출하는 중간 토출구(145); 중간 토출구(145)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간 투입구(150); 중간 투입구(1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 파쇄기(190); 일단이 제 2 파쇄기(19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차량(50)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 2 컨베이어 벨트(130); 및 제 2 컨베이어 벨트(130)의 타단 영역에 설치되어 차량(50)을 향해 분쇄된 제설제를 토출하는 토출구(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톤백에 담긴 다량의 제설제를 손쉽게 투입장치를 통해 투입한 뒤 상차장치를 통해 차량에 적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도 빠른 상차가 가능하다.
또한, 장기가 보관됨에 따라 딱딱하게 덩어리진 제설제라도 별도의 추가작업없이 절개작업과 투입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설제의 상태에 따라 상차장치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서 파쇄효과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개장치(200)와 상차장치(100)의 사시도,
도 3a는 도 2 중 투과모드인 절개장치(200)의 부분 사시도,
도 3b는 도 2 중 절개모드인 절개장치(200)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개장치(200)와 제 1 파쇄기(170)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400)의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 1 파쇄기(170)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 중 파쇄축(175)과 파쇄블레이드(176)의 분해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절개장치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설제란 염화칼슘, 소금, 모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 중 투과모드인 절개장치(200)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2 중 절개모드인 절개장치(20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톤백(10)에는 1톤 단위의 제설제가 담겨져서 보관되고 운반되며 취부된다. 제설제는 주변으로부터 수분이나 습기를 흡수하거나 하중에 의해 눌려져서 딱딱하게 굳어진 상태가 되기 쉽다. 특히 이러한 굳은 상태의 제설제는 톤백의 하부에 집중될 수 있다.
투과모드에서 제 1, 2 압착부(220, 230)는 도 3a와 같이 합쳐져서 제 1, 2 첨단부(240, 250)가 톤백(10)의 하부를 투과(찌를 수 있음)할 수 있다. 절개모드에서는 제 1, 2 압착부(220, 230)는 도 3b와 같이 벌어져서 제 1, 2 첨단부(240, 250)가 톤백(10)의 하부를 벌릴 수가 있다. 이러한 투과모드와 절개모드는 하나의 톤백(10)에 대해 수회 반복될 수 있다. 또한, 투과모드는 10% ~ 50% 범위의 듀티 사이클을 가지고 반복될 수 있다. 제설제의 원활한 투입을 위해 절개모드가 50 ~ 90% 범위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장치(200)는 호퍼(290)의 외관을 갖는다. 호퍼(290)의 상부 투입 단면은 호퍼(290)의 하단면과 30° ~ 50°의 각도를 유지하고, 바람직하게는 45°이다. 이렇게 호퍼(290)의 상부 투입 단면이 경사짐에 따라 제설제가 경사지게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어서 일시에 많은 제설제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근처에 위치한 작업자가 절개장치(200)의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고장이나 수리를 손쉽게 할 수 있다.
격자망(210)은 호퍼(290)의 경사진 투입 단면 전체에 걸쳐 설치된다. 격자망(210)은 3 ~ 5 cm 범위의 정사각형 격자이며, 격자 크기 이상으로 뭉친 제설제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제 1, 2 압착부(220, 230)는 일측면이 평면인 길이부재이며, 격자망(210) 상에서 대칭적으로 왕복운동한다. 즉, 투과모드에서는 제 1, 2 압착부(220, 230)가 모아지고, 절개모드에서는 제 1, 2 압착부(220, 230)가 벌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왕복수단인 한쌍의 제 1 유압실린더(260)는 제 1, 2 압착부(220, 230)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왕복수단은 유압실린더외에 공압실린더, 리니어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상호 연동되어 동작한다.
제 1 첨단부(240)는 제 1 압착부(220)의 상면에 설치되며, 톤백(10)의 저면을 투과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끝을 갖는다. 제 1 첨단부(240)는 원뿔이나 다각형뿔의 절반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첨단부(240)는 제 1 압착부(220)의 상면을 따라 2개 ~ 6개 범위에서 일렬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를 설치하였다.
제 2 첨단부(250)는 제 2 압착부(230)의 상면에 설치되며, 톤백(10)의 저면을 투과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끝을 갖는다. 제 2 첨단부(250)는 원뿔이나 다각형뿔의 절반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 2 첨단부(250)는 제 2 압착부(230)의 상면을 따라 2개 ~ 6개 범위에서 일렬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를 설치하였다. 제 1, 2 첨단부(240, 250)는 투과모드에서 상호 합쳐짐으로써 원뿔, 다각형뿔(예 : 삼각뿔, 사각뿔, 오각뿔 등)의 형상을 이룬다.
제 1 요철부(300)는 제 1 압착부(220) 중 제 2 압착부(230)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제 1 요철부(300)는 제 1 압착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복부와 볼록부가 규칙적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제 2 요철부(310)는 제 2 압착부(230) 중 제 1 압착부(220)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제 2 요철부(310)는 제 2 압착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복부와 볼록부가 규칙적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특히, 제 1 요철부(300)의 볼록부는 제 2 요철부(310)의 오목부와 형상 맞춤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2 요철부(300, 310)는 투과모드와 절개모드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격자망(210) 위에 놓여진 제설제 덩어리를 1차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안내봉(270)은 제 1, 2 압착부(220, 23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제 1, 2 압착부(220, 230)의 일단(상부) 영역을 관통하여 양단이 호퍼(290)에 고정된다. 제 2 안내봉(280)은 제 1, 2 압착부(220, 23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제 1, 2 압착부(220, 230)의 타단(하부) 영역을 관통하여 양단이 호퍼(290)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 1, 2 안내봉(270, 280)은 제 1, 2 압착부(220, 23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개장치(200)와 제 1 파쇄기(17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290)의 하부에는 개폐장치(400)가 구비되고, 개폐장치(400)의 하부에는 제 1 파쇄기(170)가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400)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400)는 호퍼(290)의 하단에 설치되고, 제 1 파쇄기(170)로 투입되는 제설제(20)의 낙하를 단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장치(400)는 호퍼(290)와 제 1 파쇄기(170) 사이에 설치되는 개폐 하우징(420), 개폐 하우징(420) 상에서 대칭적으로 왕복 가능한 제 1, 2 도어(430, 440) 및 제 1, 2 도어(430, 440)를 각각 동작시키는 한쌍의 제 2 유압실린더(410)를 포함한다. 한쌍의 제 2 유압실린더(410)는 일정 주기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함으로써 일정량만큼씩만 제 1 파쇄기(170)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제 1 파쇄기(170)의 과부하나 멈춤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도어(430, 440)의 개폐동작은 제 1 유압실린더(260)의 왕복 동작과 연동된다. 즉, 도 3a와 같은 투과모드에서 제 1, 2 도어(430, 440)를 개방하고, 도 3b와 같은 절개모드에서 제 1, 2 도어(430, 440)를 폐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a와 같은 투과모드에서 제 1, 2 도어(430, 440)를 폐쇄하고, 도 3b와 같은 절개모드에서 제 1, 2 도어(430, 440)를 개방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 1 파쇄기(170)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 중 파쇄축(175)과 파쇄블레이드(17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 1, 2 파쇄모터(171, 172)는 한쌍씩 물린 총4개의 치차(180)를 회전시키며, 4개의 치차(180)는 4개의 파쇄축(175)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쌍으로 회전시킨다.
각각의 파쇄축(175)에는 복수개(예 : 3개 ~ 6개)의 파쇄블레이드(176)가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격자망(210) 보다 작은 크기의 제설제 덩어리들은 파쇄블레이드(176) 사이에서 파쇄된다. 파쇄축(175)의 양단은 베어링(179)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절개장치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크레인이나 호이스트로 제설제가 담긴 톤백(10)을 절개장치(200)의 상부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절개장치(2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과모드의 상태이다.
그 다음, 톤백(10)을 천천히 하강시키면, 톤백(10)의 자중에 의해 사각뿔 형태로 합쳐진 제 1, 2 첨단부(240, 250)가 톤백(10)의 저면을 투과하여 파고든다.
그 다음, 제 1 유압실린더(260)를 동작시켜서 도 3b와 같이 제 1, 2 첨단부(240, 250)를 벌린다(절개모드). 그러면, 톤백(10)의 저면이 벌여져서 찢어지면서 내용물인 제설제가 격자망(210) 위로 떨어진다. 이때, 덩어지지 않은 제설제는 격자망(210)을 통과하게 되고, 격자망(210) 위에는 격자 보다 큰 제설제 덩어리만 남게 된다.
그 다음, 제 1 유압실린더(260)는 다시 절개모드에서 투과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한다. 그러면, 제 1, 2 압착부(220, 230)가 밀착되면서 제 1, 2 요철부(300, 310)에 의해 격자망(210) 위의 제설제 덩어리가 파쇄된다. 파쇄된 제설제는 격자망(210)을 통과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제 1 유압실린더(260)를 수회 반복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톤백(10)에 있는 모든 제설제를 작은 크기의 덩어리로 파쇄하여 파쇄기로 보낼 수 있다.
그리고, 개폐장치(400)는 제 1 유압실린더(260)와 연동하거나 주기적으로 개폐함으로서 일정량 단위의 제설제를 제 1 파쇄기(170)로 보낼 수 있다.
상차장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개장치(200)와 상차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장치(200), 개폐장치(400) 및 제 1 파쇄기(170)는 제 1 컨베이어 벨트(1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제 1 컨베이어 벨트(110)의 일단은 제 1 파쇄기(170)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간영역은 90°씩 2회 절곡되어 2 ~ 4 m 높이까지 상승하고, 타단은 다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컨베이어 벨트(110)의 타단에는 중간토출구(145)가 구비되어 이송된 제설제를 자유낙하시킨다.
중간 투입구(150)는 중간 토출구(145)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제설제가 투입되도록 한다.
제 2 파쇄기(190)는 중간 투입구(15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 1 파쇄기(170) 보다 더 작은 입자가 되도록 파쇄한다.
제 2 컨베이어 벨트(130)의 일단은 제 2 파쇄기(190)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간영역은 90°씩 2회 절곡되어 2 ~ 4 m 높이까지 상승하고, 타단은 다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컨베이어 벨트(130)의 타단에는 토출구(155)가 구비되어 이송된 제설제를 차량(50)의 적재함에 토출한다. 이러한 제 1, 2 컨베이어 벨트(110, 13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동작시킴으로서 많은 양의 제설제를 미세하게 파쇄(분쇄)하여 신속히 차량에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차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중간투입구(150), 제 2 컨베이어벨트(130) 및 제 2 파쇄기(190)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중간토출구(145)에서 직접 차량(50)으로 토출하여 적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톤백,
20 : 제설제,
50 : 차량,
100 : 상차장치,
110 : 제 1 컨베이어 벨트,
120 : 제 1 구동모터,
130 : 제 2 컨베이어 벨트,
140 : 제 2 구동모터,
145 : 중간토출구,
150 : 중간투입구,
155 : 토출구,
170 : 제 1 파쇄기,
171 : 제 1 파쇄모터,
172 : 제 2 파쇄모터,
173 : 파쇄 하우징,
174 : 커버,
175 : 파쇄축,
176 : 파쇄 블레이드,
179 : 베어링,
180 : 치차,
190 : 제 2 파쇄기,
200 : 절개장치,
210 : 격자망,
220 : 제 1 압착부,
230 : 제 2 압착부,
240 : 제 1 첨단부,
250 : 제 2 첨단부,
260 : 제 1 유압실린더,
270 : 제 1 안내봉,
280 : 제 2 안내봉,
290 : 호퍼,
300 : 제 1 요철부,
310 : 제 2 요철부,
400 : 개폐장치,
410 : 제 2 유압실린더,
420 : 개폐하우징,
430 : 제 1 도어,
440 : 제 2 도어,
450 : 개폐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설제가 담겨진 톤백(10)이 내려지는 호퍼(290);
    상기 호퍼(290)의 투입 단면에 형성된 격자망(210);
    상기 격자망(210) 상에서 대칭적으로 왕복 가능한 제 1, 2 압착부(220, 230);
    상기 제 1 압착부(2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톤백(10)의 저면을 투과할 수 있는 제 1 첨단부(240);
    상기 제 2 압착부(2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톤백(10)의 저면을 투과할 수 있는 제 2 첨단부(250);
    상기 제 1, 2 압착부(220, 230)를 왕복시키는 왕복수단;
    상기 호퍼(290)의 하단에 설치되고, 파쇄기로 투입되는 상기 제설제(20)의 낙하를 단속하며, 상기 왕복수단의 왕복 동작과 연동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호퍼(290)에 설치되는 개폐 하우징(420);
    상기 개폐 하우징(420) 상에서 대칭적으로 왕복 가능한 제 1, 2 도어(430, 440); 및
    상기 제 1, 2 도어(430, 440)를 각각 동작시키는 한쌍의 제 2 유압실린더(410);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290)의 상부 투입 단면은 상기 호퍼(290)의 하단면과 30°~ 50°의 각도를 유지하는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200);
    상기 절개장치(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파쇄기(170);
    일단이 상기 파쇄기(17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차량(50) 높이까지 연장되는 컨베이어 벨트(110);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타단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50)을 향해 분쇄된 제설제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
  10. 제설제가 담겨진 톤백(10)이 내려지는 호퍼(290);
    상기 호퍼(290)의 투입 단면에 형성된 격자망(210);
    상기 격자망(210) 상에서 대칭적으로 왕복 가능한 제 1, 2 압착부(220, 230);
    상기 제 1 압착부(2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톤백(10)의 저면을 투과할 수 있는 제 1 첨단부(240);
    상기 제 2 압착부(2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톤백(10)의 저면을 투과할 수 있는 제 2 첨단부(250);
    상기 제 1, 2 압착부(220, 230)를 왕복시키는 왕복수단;
    상기 호퍼(290)의 하단에 설치되고, 파쇄기로 투입되는 상기 제설제(20)의 낙하를 단속하며, 상기 왕복수단의 왕복 동작과 연동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호퍼(290)에 설치되는 개폐 하우징(420);
    상기 개폐 하우징(420) 상에서 대칭적으로 왕복 가능한 제 1, 2 도어(430, 440); 및
    상기 제 1, 2 도어(430, 440)를 각각 동작시키는 한쌍의 제 2 유압실린더(410);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290)의 상부 투입 단면은 상기 호퍼(290)의 하단면과 30°~ 50°의 각도를 유지하는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200);
    상기 절개장치(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파쇄기(170);
    일단이 상기 제 1 파쇄기(17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 1 컨베이어 벨트(110); 및
    상기 제 1 컨베이어 벨트(110)의 타단 영역에 설치되어 분쇄된 제설제를 토출하는 중간 토출구(145);
    상기 중간 토출구(145)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간 투입구(150);
    상기 중간 투입구(1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 파쇄기(190);
    일단이 상기 제 2 파쇄기(19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차량(50)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 2 컨베이어 벨트(130); 및
    상기 제 2 컨베이어 벨트(130)의 타단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50)을 향해 분쇄된 제설제를 토출하는 토출구(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
KR1020230118362A 2023-09-06 2023-09-06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 KR102642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362A KR102642416B1 (ko) 2023-09-06 2023-09-06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362A KR102642416B1 (ko) 2023-09-06 2023-09-06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416B1 true KR102642416B1 (ko) 2024-03-04

Family

ID=9029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8362A KR102642416B1 (ko) 2023-09-06 2023-09-06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41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1868A (ja) * 1997-09-22 1999-04-06 Hitachi Kasei Kouzai Kk 移動式飼料タンク
JPH11301781A (ja) * 1998-04-20 1999-11-02 Kawasaki Steel Corp ホッパー
KR20020039307A (ko) * 2002-05-08 2002-05-25 (주) 영흥산업환경 폐건축물 이송콘베아 파손방지장치
KR100504326B1 (ko) 2005-03-08 2005-07-28 주식회사 자동기 톤백 절개장치
KR100903945B1 (ko) * 2008-12-16 2009-06-25 (주) 금강산업플랜트 호퍼 및 그것을 이용한 재료투입 시스템
KR101080204B1 (ko) 2011-05-16 2011-11-07 정원아이디어 주식회사 톤백 절개장치
KR101347173B1 (ko) 2012-06-27 2014-01-03 정원아이디어 주식회사 톤백 절개장치
KR102455627B1 (ko) * 2021-12-31 2022-10-14 김재국 제설제 파쇄장치
KR20220155136A (ko) 2021-05-14 2022-11-22 박재경 자가 주행장비용 톤백 거상 절개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1868A (ja) * 1997-09-22 1999-04-06 Hitachi Kasei Kouzai Kk 移動式飼料タンク
JPH11301781A (ja) * 1998-04-20 1999-11-02 Kawasaki Steel Corp ホッパー
KR20020039307A (ko) * 2002-05-08 2002-05-25 (주) 영흥산업환경 폐건축물 이송콘베아 파손방지장치
KR100504326B1 (ko) 2005-03-08 2005-07-28 주식회사 자동기 톤백 절개장치
KR100903945B1 (ko) * 2008-12-16 2009-06-25 (주) 금강산업플랜트 호퍼 및 그것을 이용한 재료투입 시스템
KR101080204B1 (ko) 2011-05-16 2011-11-07 정원아이디어 주식회사 톤백 절개장치
KR101347173B1 (ko) 2012-06-27 2014-01-03 정원아이디어 주식회사 톤백 절개장치
KR20220155136A (ko) 2021-05-14 2022-11-22 박재경 자가 주행장비용 톤백 거상 절개장치
KR102455627B1 (ko) * 2021-12-31 2022-10-14 김재국 제설제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503195A (ja) 丸い梱の剥離および切断用装置
DE69711861T2 (de) Zerkleinerungsmaschine mit abgedeckter drehbarer trommel
KR102178018B1 (ko) 가연성 폐기물 압축절단파쇄기
DE2344582A1 (de) Zerkleinerungsvorrichtung
DE20108463U1 (de)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Aushub
DE69126539T2 (de) Holzzerkleinerungsvorrichtung
KR102642416B1 (ko) 제설제 톤백의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
JP3194516B2 (ja) コンクリート等の破砕機
JP2001046896A (ja) 廃木材の細分化方法と装置
US11141738B2 (en) Crusher for rubble
JP2012239961A (ja) 回収コンクリート材料の解砕処理装置
DE4026795C3 (de) Restholzzerkleinerungsmaschine
KR101408893B1 (ko) 목재 파쇄장치
KR102650537B1 (ko) 제설제 톤백의 회전식 절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제 상차장치
KR20110025421A (ko) 파쇄기
KR100933181B1 (ko) 분쇄기
WO2008125831A1 (en) A crushing arrangement with pre-crushing device
RU2072262C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US20030146316A1 (en) Comminution machine or crusher
DE19852583A1 (de) Mobil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Steinen o. dgl.
JP2003334462A (ja) ロール破砕機
GB2341121A (en) Rotary crusher with polygonal drum.
KR200409744Y1 (ko) 고형화 된 제설제 파쇄장치
JP2531541B2 (ja) 電磁石付き把持機兼破砕機
DE2830087A1 (de) Brechwerk mit schwenkbaren haemm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