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969B1 -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 Google Patents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969B1
KR102641969B1 KR1020230050398A KR20230050398A KR102641969B1 KR 102641969 B1 KR102641969 B1 KR 102641969B1 KR 1020230050398 A KR1020230050398 A KR 1020230050398A KR 20230050398 A KR20230050398 A KR 20230050398A KR 102641969 B1 KR102641969 B1 KR 10264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net
receiving groove
construction si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지훈
Original Assignee
수성건설(주)
여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건설(주), 여지훈 filed Critical 수성건설(주)
Priority to KR102023005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비계에 설치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비계에 고정되는 고정부에 일단이 지지되어 비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체와, 지지체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되 지지체의 결합위치보다 상부의 비계에 타단이 결합되어 지지체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와이어와, 지지체의 수용홈 내부를 경유하면서 지지체들을 가로질러 지지체에 결합되는 그물망과, 지지체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그물망의 수용길이를 그물망에 추락체에 의해 인가되는 충격량에 의해 이완시킬 수 있도록 된 충격 이완지원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에 의하면, 작업자가 그물망에 추락시 그물망에 접촉 이후의 그물망의 이완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safety net structure for protecting for falling}
본 발명은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그물망에 추락자가 추락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락 방지용 안전망은 고층 건축물 공사 또는 외벽 수리시 공구나 재료 등의 낙하물에 의한 근로자 재해 발생을 방지하고 개구부로부터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예방하여 추락 사고에 의한 피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추락 방지용 안전망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988197호 등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안전망은 작업자가 그물망에 추락할 경우 그물망에 접촉 이후 그물망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그물망에 추락시 그물망에 접촉 이후의 충격을 완화시켜 작업자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는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는 건설현장의 비계에 설치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비계에 고정되는 고정부에 일단이 지지되어 상기 비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되 상기 지지체의 결합위치보다 상부의 상기 비계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와이어와; 상기 지지체의 수용홈 내부를 경유하면서 상기 지지체들을 가로질러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는 그물망과; 상기 지지체의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그물망의 수용길이를 상기 그물망에 추락체에 의해 인가되는 충격량에 의해 이완시킬 수 있도록 된 충격 이완지원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는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게 결합되어 연장되며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종단에서 상기 수용홈의 측면을 폐쇄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커버에는 수평상으로 연장되되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 장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격이완 지원부는 제1외경을 갖는 몸통부분과 상기 몸통부분의 양단에서 상기 몸통부분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상기 몸통부분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부분을 갖으며 상기 장홈에 상기 지지부분이 관통상태로 지지되게 장착된 복수개의 밀착지지봉과; 상기 지지부분을 상기 장홈 내에서 유동이 억제되게 지지하되 상기 그물망에 인가되는 충격량에 따라 충격량이 완화되는 방향으로 수평상 이동의 허용을 지원하는 유동억제지지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그물망은 상기 밀착지지봉의 외주면에 밀착되되 상기 밀착지지봉들에 대해 수직방향을 따라 물결형태가 되게 지그재그 형태로 밀착되는 경로를 갖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유동 억제지지유니트는 상기 지지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사이드 커버에 대한 밀착 조임력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장바의 수용홈 내에서 최하단에 배치되는 밀착 지지봉의 몸통부분에는 상기 그물망을 걸어 상기 연장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억제시키도록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걸이핀;을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동 억제지지유니트는 상기 장홈의 양단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어 장홈 중앙을 향하여 수평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분의 일부를 에워쌀수 있게 반원형 홈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장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블록;을 구비한다.
또 다르게는 상기 사이드 커버에는 수직상으로 연장된 장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격이완 지원부는 제1외경을 갖는 몸통부분과 상기 몸통부분의 양단에서 상기 몸통부분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상기 몸통부분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부분을 갖으며 상기 장홈에 상기 지지부분이 관통상태로 지지되게 장착된 복수개의 밀착지지봉과; 상기 지지부분을 상기 장홈 내에서 유동이 억제되게 지지하되 상기 그물망에 인가되는 충격량에 따라 충격량이 완화되는 방향으로 수직상 이동의 허용을 지원하는 유동억제지지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그물망은 상기 밀착지지봉의 외주면 하부에 밀착되게 장착된 구조로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에 의하면, 작업자가 그물망에 추락시 그물망에 접촉 이후의 그물망의 이완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망 구조체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지지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지지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초기 셋팅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밀착지지봉이 지지체 내에서 그물망에 인가된 추락 충격에 의해 이완상태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 이완지원부가 적용된 지지체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 이완지원부가 적용된 지지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지지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초기 셋팅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망 구조체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지지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100)는 지지체(120), 와이어(140), 그물망(150), 충격 이완지원부(160)를 구비한다.
지지체(120)는 건설현장의 비계(10)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에 일단이 지지되어 비계(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비계(10)는 상호 이격되어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수직바(12)와, 수직바(12)들 사이에 제1방향을 따라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제1수평바(14)와, 수직바(12)에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수평상으로 연장되게 결합되는 제2수평바(16)와, 제2수평바(16)들 위에 안착된 발판(18)으로 구축되어 있다.
고정부(110)는 제1수평바(14)의 외측에 삽입될 수 있게 속이빈 관형태로 형성된 제1지지관(112)과, 제1지지관(112)의 외주면에 접합되며 제1지지관(112)이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체(120)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관형의 제2지지관(114)이 적용되어 있다.
제1지지관(112) 및 제2지지관(114)은 제1수평바(114) 및 지지체(120)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나사선을 갖는 고정홀이 외주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고정볼트를 고정홀을 통해 나사결합하는 조임구조에 의해 제1수평바(114) 및 지지체(120)에 대해 고정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지지체(120)는 고정부(110)의 제2지지관(114)에 일단이 지지되게 결합되어 연장되며 상부가 열린 수용홈(122)이 형성된 연장바(121)와, 연장바(121)의 양측 종단에서 수용홈(122)의 측면을 폐쇄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커버(125)를 구비한다.
연장바(121)는 상부 및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단면이 대략 영문자'U'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어 있으며, 단면형상은 도시된 예와 다른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이드 커버(125)는 연장바(121)의 측면에 대응되게 판형상으로 형상되어 있고, 수평상으로 연장되되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 장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장홈(126)은 후술되는 밀착지지봉(162)을 지지 및 이동허용을 위해 적용된 것이다.
참조부호 128은 사이드 커버(125)의 상면에 형성되어 와이어(140)를 고정하기 위한 고리이다.
와이어(140)는 지지체(120)의 타단이 되는 사이드 커버(125)의 고리(128)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되 지지체(120)의 결합위치보다 상부의 비계(10) 예를 들면, 제1수평바(14)에 타단이 결합되어 지지체(120)를 경사지게 지지한다.
그물망(150)은 지지체(120)의 수용홈(122) 내부를 경유하면서 지지체(120)들을 가로질러 지지체(120)에 결합되어 있다. 그물망(150)의 지지체(120) 내에서의 장착 방식은 후술한다.
충격 이완지원부(160)는 지지체(120)의 수용홈(122) 내에 수용되는 그물망(150)의 수용길이를 그물망(150)에 추락체에 의해 인가되는 충격량에 의해 이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충격 이완지원부(160)는 복수개의 밀착지지봉(162)과, 너트(174)(165)를 구비한다.
밀착 지지봉(162)은 그물망(150)이 지지될 수 있는 원형 외주면을 제공하여 지지체(120)의 수용홈(122) 내에서의 수용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적용된 것으로 제1외경을 갖는 몸통부분(162a)과, 몸통부분(162a)의 양단에서 몸통부분(162a)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몸통부분(162a)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부분(162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분(162b)은 사이드 커버(125)에 형성된 장홈(126)에 관통상태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외경 및 길이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분(162b)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밀착 지지봉(162)은 4개가 적용되어 있고, 적용개수는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장홈(126)이 개수도 밀착 지지봉(162)의 개수에 대응되게 마련되면 된다.
한편, 연장바(121)의 수용홈(122) 내에서 최하단에 배치되는 밀착 지지봉(162)의 몸통부분(162a)에는 그물망(150)을 걸어 연장바(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억제시키도록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이핀(163)이 몸통부분(162a)의 양단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너트(164)(165)는 지지부분(162b)을 장홈(126) 내에서 유동이 억제되게 지지하되 그물망(150)에 인가되는 충격량에 따라 충격량이 완화되는 방향으로 지지부분(162b)의 수평상 이동의 허용을 지원하는 유동억제지지 유니트로 적용되어 지지부분(162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너트(164)(165)는 지지부분(162b)에 대한 위치 조정을 통해 사이드 커버(125)에 대한 밀착 조임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내부 너트(164)가 수용홈(122) 내에 위치하는 지지부분(162a)에 결합되어 사이드 커버(125)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적용되어 있고, 외부 너트(165)가 수용홈(122) 외부에 위치하는 지지부분(162a)에 결합되어 사이드 커버(125)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적용되어 있다.
또한, 와셔(166)가 외부 너트(165)와 사이드 커버(125)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내부 너트(164)와 사이드 커버(125) 사이에도 와셔가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초기 셋팅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150)이 밀착지지봉(162)의 외주면에 밀착되되 밀착지지봉(162)들에 대해 수직방향을 따라 물결형태가 되게 지그재그 형태로 밀착되는 경로를 갖게 장착된다. 또한, 밀착 지지봉(162)은 장홈(126)의 중앙에 모두 지지되게 배치되는 방식 이외에도 그물망(150)의 수용길이를 더욱 늘리기 위해 도 4를 기준으로 최상단의 밀착 지지봉(162)은 장홈(126)의 중앙에서 오른쪽으로 더 이동되게 고정하고, 최상단 바로 하부에 있는 2단 밀착 지지봉(162)은 장홈(126)의 중앙에서 왼쪽으로 더 이동되게 고정하고, 마찬가지로 2단 밀착 지지봉(162) 바로 하부에 있는 3단 밀착 지지봉(162)은 장홈(126)의 중앙에서 오른쪽으로 더 이동되게 고정하고, 3단 밀착지지봉(162) 바로 하부에 있는 최하단 밀착 지지봉(162)은 장홈(126)의 중앙에서 왼쪽으로 더 이동되게 고정하고 앞서 설명된 지그재그 패턴으로 그물망(150)을 지지시켜도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초기 상태로 그물망(150)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너트(164)(165)의 밀착고정력에 의해 지지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추락자가 그물망(150)에 추락하여 접촉되면 인가된 충격에 의해 충격량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밀착 지지봉(162)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그물망(150)이 이완되어 추락자에 인가되는 충격량을 감쇄시킨다.
한편, 그물망(150)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격 이완지원부(260)가 적용될 수도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동 억제지지유니트로서, 너트 대신 스프링(265) 및 지지블록(265)이 적용되어 있다.
스프링(264)은 장홈(126)의 양단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어 장홈(126) 중앙을 향하여 수평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고, 타단에는 지지블록(265)이 결합되어 있다.
지지블록(265)은 스프링(264)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며 지지부분(162b)의 일부를 에워쌀수 있게 반원형 홈이 측면에 형성되어 장홈(126)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264)는 장홈(126) 중앙에 배치되는 지지부분(162b)을 압축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으면서 큰 충격량이 그물망에 인가되는 경우 지지부분(162b)의 좌우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압축길이를 갖는 구조의 것을 적용한다.
또한, 그물망(150)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격 이완지원부(360)가 적용될 수도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이드 커버(125)에는 수직상으로 연장된 장홈(127)이 형성되어 있고, 밀착지지봉(162)은 지지부분(162b)을 장홈(127) 내에서 유동이 억제되게 지지하되 그물망(150)에 인가되는 충격량에 따라 충격량이 완화되는 방향으로 수직상 이동의 허용을 지원하는 유동억제지지 유니트로서 적용된 너트(164)(165)에 의해 사이드 커버(125)에 밀착지지되게 구축되어 있다.
이 경우 그물망(150)은 밀착지지봉(162)의 몸통부분(162a) 외주면 하부에 밀착되게 장착되면 되고, 지지부분(162a)은 장홈(127)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이격되는 적절한 위치에 너트(164)(165)에 의해 밀착고정되게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충격 이완지원부(360)는 초기 상태로 그물망(150)이 너트(164)(165)의 밀착고정력에 의해 지지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추락자가 그물망(150)에 추락하여 접촉되면 인가된 충격에 의해 충격량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밀착 지지봉(162)이 상방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그물망(150)이 이완되어 추락자에 인가되는 충격량을 감쇄시킨다.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에 의하면, 작업자가 그물망에 추락시 그물망에 접촉 이후의 그물망의 이완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고정부 120: 지지체
140: 와이어 150: 그물망
160, 260, 360: 충격 이완지원부

Claims (6)

  1. 삭제
  2. 건설현장의 비계에 설치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비계에 고정되는 고정부에 일단이 지지되어 상기 비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되 상기 지지체의 결합위치보다 상부의 상기 비계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와이어와;
    상기 지지체의 수용홈 내부를 경유하면서 상기 지지체들을 가로질러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는 그물망과;
    상기 지지체의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그물망의 수용길이를 상기 그물망에 추락체에 의해 인가되는 충격량에 의해 이완시킬 수 있도록 된 충격 이완지원부와;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게 결합되어 연장되며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종단에서 상기 수용홈의 측면을 폐쇄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커버에는 수평상으로 연장되되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 장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격이완 지원부는
    제1외경을 갖는 몸통부분과 상기 몸통부분의 양단에서 상기 몸통부분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상기 몸통부분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부분을 갖으며 상기 장홈에 상기 지지부분이 관통상태로 지지되게 장착된 복수개의 밀착지지봉과;
    상기 지지부분을 상기 장홈 내에서 유동이 억제되게 지지하되 상기 그물망에 인가되는 충격량에 따라 충격량이 완화되는 방향으로 수평상 이동의 허용을 지원하는 유동억제지지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그물망은 상기 밀착지지봉의 외주면에 밀착되되 상기 밀착지지봉들에 대해 수직방향을 따라 물결형태가 되게 지그재그 형태로 밀착되는 경로를 갖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억제지지유니트는
    상기 지지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사이드 커버에 대한 밀착 조임력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의 수용홈 내에서 최하단에 배치되는 밀착 지지봉의 몸통부분에는 상기 그물망을 걸어 상기 연장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억제시키도록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걸이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억제지지유니트는
    상기 장홈의 양단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어 장홈 중앙을 향하여 수평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분의 일부를 에워쌀수 있게 반원형 홈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장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6. 건설현장의 비계에 설치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비계에 고정되는 고정부에 일단이 지지되어 상기 비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되 상기 지지체의 결합위치보다 상부의 상기 비계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와이어와;
    상기 지지체의 수용홈 내부를 경유하면서 상기 지지체들을 가로질러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는 그물망과;
    상기 지지체의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그물망의 수용길이를 상기 그물망에 추락체에 의해 인가되는 충격량에 의해 이완시킬 수 있도록 된 충격 이완지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게 결합되어 연장되며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종단에서 상기 수용홈의 측면을 폐쇄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커버에는 수직상으로 연장된 장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격이완 지원부는
    제1외경을 갖는 몸통부분과 상기 몸통부분의 양단에서 상기 몸통부분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상기 몸통부분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부분을 갖으며 상기 장홈에 상기 지지부분이 관통상태로 지지되게 장착된 복수개의 밀착지지봉과;
    상기 지지부분을 상기 장홈 내에서 유동이 억제되게 지지하되 상기 그물망에 인가되는 충격량에 따라 충격량이 완화되는 방향으로 수직상 이동의 허용을 지원하는 유동억제지지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그물망은 상기 밀착지지봉의 외주면 하부에 밀착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KR1020230050398A 2023-04-18 2023-04-18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KR102641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398A KR102641969B1 (ko) 2023-04-18 2023-04-18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398A KR102641969B1 (ko) 2023-04-18 2023-04-18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969B1 true KR102641969B1 (ko) 2024-02-28

Family

ID=9005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398A KR102641969B1 (ko) 2023-04-18 2023-04-18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9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631B1 (ko) * 2013-02-18 2013-11-14 (주)화천알엔씨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
KR102455365B1 (ko) * 2021-09-03 2022-10-17 송유석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631B1 (ko) * 2013-02-18 2013-11-14 (주)화천알엔씨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
KR102455365B1 (ko) * 2021-09-03 2022-10-17 송유석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4981A (ko)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RU2690282C1 (ru) Система соединения и подвесного крепления батута
KR102641969B1 (ko)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KR100819066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건축용 추락방지망
CN209874371U (zh) 一种电梯井道防护装置
KR100466602B1 (ko) 낙하물 방호 선반
EP1693534A1 (en) Stanchion
JP200315517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191959B1 (ko)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CN215594866U (zh) 工程脚架防震动倒塌插接式稳固底座
KR200445692Y1 (ko) 지지구조가 견고한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낙하물방지장치
KR200233705Y1 (ko) 건축용 안전망
KR100493800B1 (ko)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101559917B1 (ko) 낙하방지장치
JP4083711B2 (ja) 伸縮式転倒防止装置
KR200294790Y1 (ko) 낙하물 방호 선반
JP4401283B2 (ja) 衝撃吸収柵
JP6354006B2 (ja) 家具転倒防止器具
KR102034747B1 (ko)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KR20170086352A (ko) 갱폼
KR102651890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KR200400391Y1 (ko) 추락방지대가 설치되는 비계틀 설치구조
KR101973848B1 (ko) 다단식 철근받침대
KR20080002179U (ko) 낙하물 방지장치
CN214246527U (zh) 一种可调节的土木工程建筑施工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