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365B1 -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365B1
KR102455365B1 KR1020210117309A KR20210117309A KR102455365B1 KR 102455365 B1 KR102455365 B1 KR 102455365B1 KR 1020210117309 A KR1020210117309 A KR 1020210117309A KR 20210117309 A KR20210117309 A KR 20210117309A KR 102455365 B1 KR102455365 B1 KR 102455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ixed
fixture
frame
interlay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석
Original Assignee
송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석 filed Critical 송유석
Priority to KR102021011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1Safety mattress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브의 단부를 따라 일정 폭을 이격하여 상기 슬라브의 단부를 일부 감싸면서 앵커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ㄷ자형의 고정구; 각 상기 고정구의 저면에 상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하단부가 하부측 슬라브에 결합된 고정구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 삽입관에 수평 이탈이 방지되게 삽입 고정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되는 ㄷ자형의 승강부로서 이루어지는 층간 연결 프레임; 상기 고정구의 정면에서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ㄷ자형 고정 브라켓트; 일단이 상기 고정 브라켓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전방의 단부로부터 상기 고정구측으로 일정 각도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관형의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면서 일정 두께로서 고정되도록 하며,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캡; 상기 고정구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의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게 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고정구측 단부를 탄력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향 충격을 완충하도록 하는 완충수단;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된 상기 보호캡의 외주면으로 고정 결합되면서 복수의 각 지지 프레임들에 걸쳐 상부에 안착 고정되고, 판면에는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판면은 일정 탄성의 복원력을 갖는 안전망; 하단부는 상기 고정구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층간 연결 프레임의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 충격에 대해 완충되게 하는 가스 쇼바; 일면은 상기 고정구 또는 상기 층간 연결 프레임의 정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얹혀지는 상기 안전망을 따라 하향 이동하는 낙하물이 수집되도록 상향 개방되는 트렌치 형상의 채널로 형성되는 낙하물 수집관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Structure of the fall prevention network at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 중 건물의 슬라브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도록 하는 지지 프레임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게 하는 보호캡과 지지 프레임을 일정 각도로 탄력 지지하도록 하는 완충수단과 가스 쇼바 및 보호캡에 커버되는 각 지지 프레임들의 상부에 얹혀지는 발포매트로 이루어지는 안전망에 의해 완충력을 극대화시켜 낙하물이나 추락하는 사람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완벽하게 완충시켜 안전한 시설물 유지 관리와 낙하 또는 추락물에 의한 2차 사고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근로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추락방지망이 설치되며, 이러한 추락방지망은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부재들을 설치 및 해체하거나 그 외벽의 도장 작업시 발생되는 근로자의 추락과 부재 및 기구 등의 낙하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추락방지망은 건축물의 술래브나 발코니(베란다)에 고정된 브라켓의 타측단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하부 지지파이프를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결합시키고, 결합된 하부 지지파이프의 상부에 보호망이 펼쳐지도록 설치하며, 하부 지지파이프의 끝단에 상부 지지파이프가 결합되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하부 지지파이프의 상부로 펼쳐진 추락방지망은 건축물에서 낙하되는 작업부재 및 기구 등이 지면으로 떨어져 작업자 또는 보행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작업자가 건축물 밖으로 추락할 경우, 하부 지지파이프의 상부로 결합된 상부 지지파이프에 의하여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추락방지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자가 건축물의 슬래브 및 발코니에 브라켓을 고정하고, 고정된 브라켓에 하부 지지파이프를 경사지게 결합시킨 후 하부 지지파이프를 따라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 추락방지망을 펼쳐 하부지지파이프 끝에 거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해 추락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사건물에 설치되는 수직망은 단지 내부의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타 내부의 물건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건물의 외측단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이지만, 추락방지망과 연관성이 없어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0789844호(2007.12.21.)의 수직망 겸용 건축현장용 추락방지망에서는 추락방지망과 수직망을 겹쳐서 추락방지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방지망에 맞고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추락방지망은 단순히 이중망으로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는 단순히 보완에 의한 것일 뿐 충격을 완화시키기에는 제한적이면서 이중망 설치에 쉽지 않은 설치 어려움의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0789844호(2007.12.2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발포매트로 형성되는 안전망과 지지 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는 보호캡과 지지 프레임을 탄력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완충수단 및 가스 쇼바에 의해서 낙하물과의 충돌에 의한 충돌 충격을 다단으로 완충되게 함으로써 충돌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물이 바닥까지 추락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낙하물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는, 슬라브의 단부를 따라 일정 폭을 이격하여 상기 슬라브의 단부를 일부 감싸면서 앵커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ㄷ자형의 고정구; 각 상기 고정구의 저면에 상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하단부가 하부측 슬라브에 결합된 고정구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 삽입관에 수평 이탈이 방지되게 삽입 고정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되는 ㄷ자형의 승강부로서 이루어지는 층간 연결 프레임; 상기 고정구의 정면에서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ㄷ자형 고정 브라켓트; 일단이 상기 고정 브라켓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전방의 단부로부터 상기 고정구측으로 일정 각도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관형의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면서 일정 두께로서 고정되도록 하며,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캡; 상기 고정구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의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게 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고정구측 단부를 탄력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향 충격을 완충하도록 하는 완충수단;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된 상기 보호캡의 외주면으로 고정 결합되면서 복수의 각 지지 프레임들에 걸쳐 상부에 안착 고정되고, 판면에는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판면은 일정 탄성의 복원력을 갖는 발포매트로 이루어지는 안전망; 하단부는 상기 고정구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층간 연결 프레임의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 충격에 대해 완충되게 하는 가스 쇼바; 일면은 상기 고정구 또는 상기 층간 연결 프레임의 정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얹혀지는 상기 안전망을 따라 하향 이동하는 낙하물이 수집되도록 상향 개방되는 트렌치 형상의 채널로 형성되는 낙하물 수집관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층간 연결 프레임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승강부에 외접하면서 상기 승강부가 승강하면서 높이 조절되도록 ㅁ자 관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에 의해서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 지지 프레임을 커버하는 보호캡과 각 지지 프레임을 탄력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완충수단 및 각 지지 프레임들의 상부를 따라 얹혀지는 복원력을 갖는 안전망 및 가스 쇼바에 의해 안전망의 상부로 떨어지는 공사 중 낙하하는 다양한 낙하물 또는 작업자들을 안전하게 받쳐 공사 중 발생되는 낙하물로 인한 사고 또는 인명사고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에서 완충수단을 예시한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의 설치 구조를 예시한 정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고정구(10)와 층간 연결 프레임(20)과 고정 브라켓트(30)와 지지 프레임(40)과 보호캡(50)과 완충수단(60)과 안전망(70)과 가스 쇼바(80) 및 낙하물 수집관(9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구성 중 고정구(10)는 공사 중인 건물의 슬라브(1)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고정구(10)는 슬라브(1)의 단부를 감싸는 ㄷ자형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서, 슬라브(1)의 단부를 따라 일정 폭의 간격마다 고정되도록 한다.
각 고정구(10)는 상부면에서 앵커 볼트(11)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차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각 고정구(10)에는 저면으로 층간 연결 프레임(20)이 연결된다.
층간 연결 프레임(20)은 다시 고정부(21)와 승강부(22)로서 이루어지며, 고정부(21)는 고정구(10)의 저면에 상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일정 높이로서 형성하고, 이 고정부(21)의 하부에는 고정부(21)로부터 승강하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승강부(22)를 형성한다.
따라서 고정부(21)는 용접에 의해 고정구(10)에 일체로 고정되는 관형의 형상이며, 이 고정부(21)의 하단부에는 일정 길이의 승강부(22)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승강부(22)는 고정부(21)의 하단부에서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볼트(23)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층간 연결 프레임(20)에서 고정부(21)는 ㅁ자형 관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이 고정부(21)로부터 승하강하는 승강부(22)는 후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층간 연결 프레임(20)의 하부에 연결되는 승강부(22)의 하단은 고정구(10)의 상부에서 일정 높이로서 상향 돌출되도록 한 삽입관(12)에 하향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의 삽입관(12)도 고정구(10)의 상부면으로 결합되는 앵커 볼트(11)가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이 앵커 볼트(11)의 조작을 위해 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이 삽입관(12)의 내부로 삽입되는 층간 연결 프레임(20)의 승강부(22)도 삽입관(12)으로부터 측방으로는 이탈 방지되게 하면서 승강이 가능하도록 수방으로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삽입관(12)의 후방측 단부는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부(22)가 후방으로도 이탈되지 않도록 승강부(22)의 후방측 양단부를 후방에서 커버하도록 양단부가 일정 폭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의 슬라브(1)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고정되도록 한 고정구(10)간을 층간 연결 프레임(20)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여 각 고정구(10)를 앵커 볼트(11)와 함께 더욱 슬라브(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구(10)에는 저면으로 층간 연결 프레임(20)을 연결하는 동시에 정면에는 ㄷ자형의 고정 브라켓트(30)가 용접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정 브라켓트(30)는 각 고정구(10)의 정면에서 상단부에는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고정 브라켓트(30)의 양측면간으로는 관형의 지지 프레임(40)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도록 한다.
지지 프레임(40)은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는 관 또는 봉형상의 구성이다.
즉, 지지 프레임(40)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관형이나 봉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이때의 지지 프레임(40)은 종전의 추락방지망의 형성 폭과 유사한 길이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지지 프레임(40)은 일단이 고정 브라켓트(30)에 축고정되도록 하면서 이렇게 축고정되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일정 각도가 상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지지 프레임(40)은 슬라브(1)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전방으로 위치되는 지지 프레임(40)의 단부로부터는 고정 브라켓트(30)에 고정되는 단부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지지 프레임(40)은 통상 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지지 프레임(40)의 외주면에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의 보호캡(50)에 의해 커버되도록 한다.
보호캡(50)은 일정 두께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서 이루어지게 하여 지지 프레임(40)에 가해지게 되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보호캡(50)은 쿠션을 갖는 발포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쿠션감을 통해서 지지 프레임(40)에 충돌하는 충돌 충격을 완충되게 하는 동시에 지지 프레임(40)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지지 프레임(40)은 완충수단(60)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한다.
완충수단(60)은 도 3에서와 같이 고정 브라켓트(30)가 고정되는 고정구(10)의 정면에서 고정 브라켓트(30)의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고, 일정 길이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가이드(61)의 내부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62)이 구비되도록 하며, 압축 코일 스프링(62)의 선단부에는 스프링 가이드(61)로부터 상향 이탈이 방지되게 가압롤러(63)를 형성하고, 가압롤러(63)와 지지 프레임(40)간은 링크(64)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즉, 완충수단(60)은 지지 프레임(40)에 가해지는 하중 충격을 링크(64)를 통해 가압롤러(63)에 전달되게 하고, 가압롤러(63)를 탄력지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62)이 압축되면서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지지 프레임(40)이 일정 탄성을 갖고 일정 경사각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지지 프레임(40)에 일정 이상의 하중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이러한 충격이 어느 정도까지 완충되도록 하고, 지지 프레임(40)이 수평 이하의 각도로는 쳐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외부를 보호캡(50)에 의해 커버되도록 한 각 지지 프레임(40)간으로는 안전망(70)이 결합되도록 한다.
안전망(70)은 판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홀(71)을 형성하는 일정 탄성의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서 이루어진다.
안전망(70)으로는 폴리재질을 발포성형한 발포매트로서 형성하도록 하며, 이 발포매트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다수의 관통홀(7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판면에는 지지 프레임(40)의 설치 간격보다는 큰 간격으로 지지 프레임(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7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의 연결수단(72)은 안전망(70)의 판면에서 지지 프레임(40)의 설치 간격보다는 큰 간격마다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판면을 단순히 절개되도록 하거나 저면으로 링형상의 고정밴드를 형성하는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가 있다.
다만, 고정밴드형의 연결수단(72)은 지지 프레임(40)을 커버하는 보호캡(50)의 외경보다는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게 하거나 일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매직 테이프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안전망(70)은 보호캡(50)에 커버된 지지 프레임(4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되 지지 프레임(40)간은 일부 하향 쳐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지지 프레임(40)은 보호캡(50)과 완충수단(60)과 함께 가스 쇼바(80)에 의해서 3중으로 완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가스 쇼바(80)는 일반적인 가스 쇼바를 사용하며, 다만 가스 쇼바(80)의 일단은 고정구(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층간 연결 프레임(20)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 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다만, 가스 쇼바(80)는 지지 프레임(40)에서 완충수단(60)의 링크(64)가 연결되는 위치보다는 전방에 연결되도록 하며, 지지 프레임(40)이 완충수단(60)에 의해 지지하는 각도 이상으로는 지지 프레임(4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가스 쇼바(80)는 지지 프레임(40)이 일정 이상으로 상향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하중 충격에 의해 일정 이상으로 하향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완충수단(60)과 함께 직접적으로 지지 프레임(40)에 가해지는 하중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한다.
한편, 완충수단(60)의 고정구(10)측 고정 부위의 하부 또는 층간 연결 프레임(20)의 고정부(21)간으로는 트렌치 형상의 낙하물 수집관(90)이 고정되도록 한다.
낙하물 수집관(90)은 상향 개방되는 트렌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은 고정구(10) 또는 층간 연결 프레임(20)의 정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지지 프레임(40)의 상부에 얹혀지는 안전망(70)을 따라 후방으로 하향 이동하는 낙하물이 모여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의 구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층간 연결 프레임(20)이 용접 등에 의해 하향 연결된 고정구(10)의 정면으로 각각 지지 프레임(40)의 일단이 축고정되도록 하고, 이들 각 지지 프레임(40)들은 완충수단(60)과 가스 쇼바(80)에 의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수직 방향으로의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각 지지 프레임(40)에는 각각 선단부로부터 일정 두께의 보호캡(50)이 씌워지도록 한다.
이들 각 지지 프레임(40)들은 고정구(10)가 건물의 슬라브(1) 단부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앵커 볼트(11)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브(1)의 단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구(1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각 고정구(10)의 상부면에는 앵커 볼트(11)와 함께 앵커 볼트(11)가 수용되도록 하면서 일정 높이가 상향 돌출되게 삽입관(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삽입관(12)에는 상측의 슬라브(1)에 고정한 고정구(10)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한 층간 연결 프레임(20)의 고정부(21) 하단으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승강부(22)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측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일측에서 조절볼트(23)에 의해 승강부(22)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하부 고정구(10)간이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즉, 하부의 고정구(10)에서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 삽입관(12)에 상부로부터 층간 연결 프레임(20)의 승강부(22)를 고정부(21)로부터 하강시켜 승강부(22)의 하단부가 삽입관(12)으로 삽입되어 삽입관(12) 하단의 고정구(10) 상부면에 얹혀지도록 한 후 승강부(22)가 연결되는 고정부(21)의 일측에서 조절볼트(23)를 이용하여 승강부(22)를 고정시키게 되면 상부와 하부의 고정구(10)간을 연결할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고정구(10)를 슬라브(1)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슬라브(1)의 단부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고정되도록 하고, 이렇게 형성한 지지 프레임(40)들의 상부에는 발포매트로 이루어지는 안전망(7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의 안전망(70)은 일정 길이를 말아서 보관하도록 하며, 이러한 안전망(70)은 펼쳐진 지지 프레임(40)들의 상부로 펼쳐지도록 하되 지지 프레임(40)들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고정구(10)들간 간격보다는 큰 간격으로 연결수단(72)이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수단(72)을 통해 지지 프레임(40)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공사 중에 떨어지는 낙하물에 대해서 안전망(70)과 보호캡(50)과 완충수단(60)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3중으로 완충되게 함으로써 낙하물이 떨어진 안전망(70)에서 튕겨 나가 공사장 바닥까지 추락하면서 발생되는 2차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낙하물이 비교적 중량물이더라도 안전망(7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으며, 작업자와 같은 사람이 낙하하더라도 치명적인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망(70)에 얹혀진 낙하물들은 안전망(70)의 판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여 낙하물 수집관(90)에 수집되게 함으로써 안전한 수거와 함께 안전망(70)의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유지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고정구
11 : 앵커 볼트 12 : 삽입관
20 : 층간 연결 프레임
21 : 고정부 22 : 승강부
23 : 조절볼트
30 : 고정 브라켓트
40 : 지지 프레임
50 : 보호캡
60 : 완충수단
61 : 스프링 가이드 62 : 압축 코일 스프링
63 : 가압롤러 64 : 링크
70 : 안전망
71 : 관통홀 72 : 연결수단
80 : 가스 쇼바
90 : 낙하물 수집관

Claims (2)

  1. 슬라브(1)의 단부를 따라 일정 폭을 이격시켜 설치되며, 상기 슬라브(1)의 단부를 일부 감싸면서 앵커 볼트(11)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ㄷ자형의 고정구(10);
    각 상기 고정구(10)의 저면에 상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하단부가 하부측 슬라브(1)에 결합된 고정구(10)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 삽입관(12)에 수평 이탈이 방지되게 삽입 고정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되는 ㄷ자형의 승강부(22)로서 이루어지는 층간 연결 프레임(20);
    상기 고정구(10)의 정면에서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ㄷ자형 고정 브라켓트(30);
    일단이 상기 고정 브라켓트(30)에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전방의 단부로부터 상기 고정구(10)측으로 일정 각도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관형의 지지 프레임(40);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면서 일정 두께로서 고정되도록 하며,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캡(50);
    상기 고정구(10)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30)의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게 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상기 고정구(10)측 단부를 탄력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40)에 가해지는 하향 충격을 완충하도록 하는 완충수단(60);
    상기 지지 프레임(40)에 각각 연결된 상기 보호캡(50)의 외주면으로 고정 결합되면서 복수의 각 지지 프레임(40)들에 걸쳐 상부에 안착 고정되고, 판면에는 관통홀(71)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판면은 일정 탄성의 복원력을 갖도록 발포매트로 이루어지는 안전망(70);
    하단부는 상기 고정구(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층간 연결 프레임(20)의 고정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40)에 가해지는 하중 충격에 대해 완충되게 하는 가스 쇼바(80);
    일면은 고정구(10) 또는 층간 연결 프레임(20)의 정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지지 프레임(40)의 상부에 얹혀지는 상기 안전망(70)을 따라 하향 이동하는 낙하물이 수집되도록 상향 개방되는 트렌치 형상의 채널로 형성되는 낙하물 수집관(90);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층간 연결 프레임(20)은 상기 고정부(21)가 상기 승강부(22)에 외접하여 상기 승강부(22)가 승강하도록 하면서 높이 조절되도록 ㅁ자 관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완충수단(60)은 일정 길이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가이드(61)의 내부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62)이 구비되도록 하며, 압축 코일 스프링(62)의 선단부에는 스프링 가이드(61)로부터 상향 이탈이 방지되게 가압롤러(63)를 형성하고, 가압롤러(63)와 상기 지지 프레임(40)간은 링크(64)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는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
  2. 삭제
KR1020210117309A 2021-09-03 2021-09-03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 KR102455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309A KR102455365B1 (ko) 2021-09-03 2021-09-03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309A KR102455365B1 (ko) 2021-09-03 2021-09-03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365B1 true KR102455365B1 (ko) 2022-10-17

Family

ID=8380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309A KR102455365B1 (ko) 2021-09-03 2021-09-03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3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6172A (zh) * 2023-12-12 2024-01-12 陕西建工第十六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安全防护装置
KR102641969B1 (ko) * 2023-04-18 2024-02-28 수성건설(주)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393Y1 (ko) * 2003-09-24 2003-12-06 김년중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차단 구조
KR100789844B1 (ko) 2007-10-23 2007-12-28 (주)원건축사사무소 수직망 겸용 건축현장용 추락방지망
KR20130042117A (ko) * 2011-10-18 2013-04-26 이재호 낙하방지용 안전망장치
KR20180130266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카운텍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99944A (ko) * 2018-02-20 2019-08-28 서윤성 공동주택용 다목적 우수배출장치
KR102066073B1 (ko) * 2019-11-21 2020-01-14 류동신 풍압저감체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KR102162005B1 (ko) * 2020-04-08 2020-10-07 주식회사 한국밸브텍 가스쇼바 및 고정부에 의한 높이 및 경사조절 맨홀 밸브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393Y1 (ko) * 2003-09-24 2003-12-06 김년중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차단 구조
KR100789844B1 (ko) 2007-10-23 2007-12-28 (주)원건축사사무소 수직망 겸용 건축현장용 추락방지망
KR20130042117A (ko) * 2011-10-18 2013-04-26 이재호 낙하방지용 안전망장치
KR20180130266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카운텍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99944A (ko) * 2018-02-20 2019-08-28 서윤성 공동주택용 다목적 우수배출장치
KR102066073B1 (ko) * 2019-11-21 2020-01-14 류동신 풍압저감체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KR102162005B1 (ko) * 2020-04-08 2020-10-07 주식회사 한국밸브텍 가스쇼바 및 고정부에 의한 높이 및 경사조절 맨홀 밸브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969B1 (ko) * 2023-04-18 2024-02-28 수성건설(주)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CN117386172A (zh) * 2023-12-12 2024-01-12 陕西建工第十六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安全防护装置
CN117386172B (zh) * 2023-12-12 2024-03-01 陕西建工第十六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安全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365B1 (ko)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
KR101457578B1 (ko) 보일러용 공중 비계 및 그 조립방법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US20170355582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afety netting on closed-sided manlifts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CN110206329B (zh) 一种土木工程用施工防护装置
GB2394248A (en) A telscoping frame for supporting a platform to cover an opening in a floor
KR100909447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0844483B1 (ko) 비상용 완강기 설치대
US20120181087A1 (en) Falling object protection system
KR101655893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0974192B1 (ko) 갱폼추락방지구
JP2019090253A (ja) スライド式飛散防止装置
US20110120030A1 (en) Skylight screen
CN209874371U (zh) 一种电梯井道防护装置
JP5962174B2 (ja) 津波・洪水など非常事態時の避難装置
KR200413596Y1 (ko) 빌딩보수ssp장치
CN114016724A (zh) 一种建筑施工用的防护装置及防护方法
KR101553609B1 (ko) 바람에 강한 외벽 작업용 작업대
JP2006160413A (ja) エレベータレールの底部受装置
CN209760887U (zh) 一种人工挖孔桩锁口多功能防护棚
JP2015124588A (ja) はしご支持機構
KR100767973B1 (ko) 건축물의 안전 그물망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JP6664833B2 (ja) 車いす用のスロープ中継台
KR102641483B1 (ko) 추락 방지 수단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