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266A -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266A
KR20180130266A KR1020170066156A KR20170066156A KR20180130266A KR 20180130266 A KR20180130266 A KR 20180130266A KR 1020170066156 A KR1020170066156 A KR 1020170066156A KR 20170066156 A KR20170066156 A KR 20170066156A KR 20180130266 A KR20180130266 A KR 20180130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buffering
net
network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6895B9 (ko
KR101946895B1 (ko
Inventor
이부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운텍
Priority to KR1020170066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89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895B1/ko
Publication of KR10194689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89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65B61/2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for placing protecting sheets, plugs, or wads over contents, e.g. cotton-wool in bottles of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고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천공된 다열의 안치홈이 사면에 각기 형성되며, 90도를 포함한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는 원형형상의 회전원판과; 이송레일을 따라 전,후 운동을 수행하며, 다열의 완충망 충진파이프를 구비하는 완충망 공급모듈부와; 상기 회전원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후로 유동하는 다열의 완충망 충진파이프중 설정된 완충망 충진파이프의 하부로부터 상,하운동으로 완충망을 각각 흡착하여 대응되는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에 각각 삽입시키는 완충망 흡착부와; 상기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에 대응되는 고정지지대의 상부위치에 설치되고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일정위치로 이송된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으로부터 상,하운동으로 통과하여 완충망을 제약용기에 투입시키는 완충망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한 복수개의 흡착패드가 다열로 배치된 완충망 투입모듈로부터 한번에 완충망을 다수개 흡착하여 회전판의 고정홈에 안치시키고 뒤이어 회전판이 일정각도로 회전한후 회전판의 고정홈에 안치된 완충망을 제약용기로 설정된 개수만큼 삽입시키므로써, 회전판의 고정홈에 투입되는 다수개의 완충망이 누락되거나 혹은 주변에 끼는 이송장애없이 안정적으로 투입되게 되므로 그에따라 장비의 운용안정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Buffering Net Inserting Device of Drug Contai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한 복수개의 흡착패드가 다열로 배치된 완충망 공급모듈부로부터 한번에 완충망을 다수개 흡착하여 회전판의 고정홈에 안치시키고 뒤이어 회전판이 일정각도로 회전한후 회전판의 고정홈에 안치된 완충망을 제약용기로 설정된 개수만큼 삽입시키므로써, 다수개의 완충망을 누락되거나 혹은 주변에 끼는 이송장애없이 안정적으로 투입시킬 수 있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슐이나 정제 형태의 약을 약병 속에 자동으로 포장하는 포장기계는 다양하게 개발되어져 있고 있고, 인건비 절감을 위하여 제품의 생산에서부터 포장에 이르기까지의 전체적인 공정이 자동화 및 기계화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 과정에서 용기 내에 수용되는 약품은 용기에 가득 차도록 넣어지기 보다는 약간의 여유를 두고 넣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인데, 그렇게 하는 이유는 약품이 캡슐이나 정제형태인 경우에는 공장에서 생산된 후에 소비자에게 운반되는 과정에서 약병 속에 담겨진 캡슐이나 정제들이 유동되면서 서로 부딪쳐서 약품에 물리적 충격이 가해지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약병내에서 충격에 의해 약품의 형태가 손상되거나 마모되어 가루를 발생시키기도 하고 코팅약제의 경우 표면의 코팅층이 훼손되어 약품의 변질을 초래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위해 통상 완충망삽입장치를 통해 완충망을 약병에 충진하여 사용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제약용기의 완충망삽입장치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약병(70)이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71)를 상측에 위치하는 지지대(72)와; 상기 지지대(72)의 상부에 위치하여 컨베이어 벨트(71)를 따라 이송되는 약병(70)를 내측에 형성된 회전안내통로(73)을 따라 이송시키는 약병이송원판(74)과; 상기 약병이송원판(74)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하면서 고정홈(75)에 완충망(76)을 안치시키는 완충망원판(77)과; 상기 완충망원판(77)의 상부에 위치하고 원형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완충망 충진파이프(78)에 다수개의 완충망(76)을 각기 충진하며, 회전원판형태로 형성되는 공급회전판(79)과; 상기 공급회전판(79)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회전판(79)에 구비된 완충망 충진파이프(78)중 일정위치에 도달하는 2개의 완충망 충진파이프(78)의 하부로부터 상,하운동으로 완충망(76)을 각각 흡착하여 대응되는 완충망원판(77)의 고정홈(75)에 각각 삽입시키는 쌍봉흡착부재(80)와;
상기 완충망원판(77)의 고정홈(75)에 대응되는 지지대(72)의 상부위치에 설치되고 회전되어 일정위치로 이송된 완충망원판(77)의 2개의 고정홈(75)을 상,하운동으로 통과하여 완충망(76)을 약병(70)에 투입되도록 2개의 봉으로 구성되는 쌍봉투입부재(81)와;
상기 공급회전판(79)의 우측에 설치되어 회전안내통로(73)을 따라 완충망(76)의 투입이 완료된 약병(70)을 컨베이어 벨트(71)를 따라 배출시키는 약병배출안내부(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제약용기의 완충망삽입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완충망(76)을 약병(70)에 삽입하기위해서는 먼저, 약병(70)이 컨베이어 벨트(71)를 타고 약병이송원판(74)의 회전안내통로(73)의 입구로 진입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완충망원판(77)의 상부에 위치한 공급회전판(79)이 회전하게되는데, 상기 공급회전판(79)의 하부에 설치된 2개의 봉으로 구성된 쌍봉흡착부재(81)가 상기 공급회전판(79)에 구비된 완충망 충진파이프(78)중 일정위치에 도달하는 2개의 완충망 충진파이프(78)의 하부로부터 상,하운동으로 완충망(76)을 각각 흡착한 후 그 대응되는 완충망원판(77)의 고정홈(75)에 각각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약병이송원판(74)이 회전하면서 약병(70)을 회전안내통로(73)를 따라 이송시키게되는데, 이과정에서 약병(70)이 일정 위치로 올 경우 쌍봉투입부재(80)의 2개의 봉이 하방향으로 운동하면서 그 하부에 위치한 완충망원판(77)의 2개의 고정홈(75)을 통과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쌍봉투입부재(80)의 2개의 봉이 완충망원판(77)의 2개의 고정홈(75)을 통과하게 될 때, 상기 완충망원판(77)의 고정홈(75)에 안치되어 있던 완충망(75)이 약병(70)내로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약병배출안내부(82)는 회전안내통로(73)을 따라 완충망(76)의 투입이 완료된 약병(70)을 컨베이어 벨트(71)를 따라 배출시키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제약용기의 완충망삽입장치는 완충망 충진파이프가 다수개 설치된 공급회전판이 연속으로 회전을 하면서 쌍봉흡착부재가 2조의 완충망 충진파이프의 하부로부터 완충망을 흡착해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공급회전판과 완충망 충진파이프의 위치가 주변의 여러원인 예컨대, 장비의 진동 등에 의해 일정유격이 발생될 경우 쌍봉흡착부재가 정상적으로 흡착을 못하거나 또한 완충망 충진파이프의 하부에 단을 형성하여 완충망을 걸처놓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로인해 완충망이 하부로 잘 배출되지 않아 완충망을 누락시키는 경우가 종종발생되므로 완충망투입공정을 안정적으로 실행하지 못하였으며, 그에 더하여 공급회전판이 연속회전하는 원형구조이어서 완충망 충진파이프에 완충망을 재충진시키기위해서는 전체시스템의 구동을 일시정지시켰다가 충진한후 다시 가동해야하므로 그에 따라 완충망삽입공정의 품질도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하부에 위치한 복수개의 흡착패드가 다열로 배치된 완충망 공급모듈부로부터 한번에 완충망을 다수개 흡착하여 회전판의 고정홈에 안치시켜 제약용기에 삽입시키므로써, 회전판의 고정홈에 투입되는 다수개의 완충망을 이송장애없이 안정적으로 투입시킬 수 있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열로 배치된 완충망 공급모듈부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누락없이 다열로 적기에 완충망을 회전판의 고정홈에 안치시키기 때문에 완충망 투입을 위해 장비를 중지시키는 일없이 지속적으로 운전시킬 수 있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스크류부재의 걸림홈에 끼워져 제약용기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가 상측에 위치하고 몸체의 일측에 완충망삽입장치의 기능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고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천공된 다열의 안치홈이 사면에 각기 형성되며, 90도를 포함한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는 원형형상의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상부에 일정 이격을 두고 본체프레임상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상부에 탑재되고 고정지지대의 상부 좌,우측에 각기 설치된 이송레일을 따라 전,후 운동을 수행하며, 다열의 완충망 충진파이프를 구비하는 완충망 공급모듈부와;
상기 회전원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후로 유동하는 다열의 완충망 충진파이프중 설정된 완충망 충진파이프의 하부로부터 상,하운동으로 완충망을 각각 흡착하여 대응되는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에 각각 삽입시키는 완충망 흡착부와;
상기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에 대응되는 고정지지대의 상부위치에 설치되고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일정위치로 이송된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으로부터 상,하운동으로 통과하여 완충망을 제약용기에 투입시키는 완충망 삽입부와;
상기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우측에 설치되고 완충망의 투입이 완료된 제약용기가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할 경우 완충망투입 에러가 있는 제약용기를 배출시키는 용기배출부를 포함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콘트롤러가 완충망이 충진된 충진파이프의 삽입원통을 공급모듈부에 다열(m*n)로 셋팅하고 완충망 삽입공정을 실행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후에 콘트롤러가 완충망 흡착부를 제어하여 상,하운동으로 상기 삽입원통의 하부로부터 완충망을 각각 흡착하여 대응되는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에 각각 삽입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에 콘트롤러가 회전원판을 90도씩 회전시켜 하부에 위치한 다수개의 제약용기의 입구에 대응되게 다열의 안치홈을 위치시키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후에 콘트롤러가 완충망 삽입부를 제어하여 하부에 위치한 상기 다열의 안치홈을 상,하운동으로 통과하여 다열의 안치홈에 거치된 완충망을 제약용기에 투입시키는 제4 과정과;
상기 제4 과정후에 콘트롤러가 용기배출부를 통해 완충망의 투입이 완료된 제약용기중에 완충망투입 에러가 있는 제약용기를 자동 배출시키는 제5 과정을 포함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에 위치한 복수개의 흡착패드가 다열로 배치된 완충망 공급모듈부로부터 한번에 완충망을 다수개 흡착하여 회전판의 고정홈에 안치시키고 뒤이어 회전판이 일정각도로 회전한후 회전판의 고정홈에 안치된 완충망을 제약용기로 설정된 개수만큼 삽입시키므로써, 회전판의 고정홈에 투입되는 다수개의 완충망이 누락되거나 혹은 주변에 끼는 이송장애없이 안정적으로 투입되게 되므로 그에따라 장비의 운용안정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다열로 배치된 완충망 공급모듈부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누락없이 다열로 적기에 완충망을 회전판의 고정홈에 안치시키기 때문에 완충망 삽입을 위해 장비를 중지시키는 일없이 지속적으로 운전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완충망삽입공정의 품질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제약용기의 완충망삽입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에 따른 회전원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제1 내지 제4 이송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완충망 흡착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완충망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삽입원통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스크류부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장치에 따른 회전원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제1 내지 제4 이송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완충망 흡착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완충망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삽입원통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스크류부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는, 스크류부재(1)의 걸림홈(2)에 끼워져 제약용기(3)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4)가 상측에 위치하고 그 몸체의 일측에 완충망삽입장치(5)의 기능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6)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7)과;
상기 본체프레임(7)의 상부에 위치하고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천공된 다열의 안치홈(8)이 사면에 각기 형성되며, 일정각도 예컨대, 90도씩 회전하는 원형형상의 회전원판(9)과;
상기 회전원판(9)의 상부에 일정 이격을 두고 본체프레임(7)상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지대(10)와;
상기 고정지지대(10)의 상부에 탑재되고 고정지지대(10)의 상부 좌,우측에 각기 설치된 이송레일(11)을 따라 전,후 운동을 수행하며, 다열의 완충망 충진파이프(12)를 구비하는 완충망 공급모듈부(13)와;
상기 회전원판(9)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후로 유동하는 다열의 완충망 충진파이프(12)중 설정된 완충망 충진파이프(12)의 하부로부터 상,하운동으로 완충망(14)을 각각 흡착하여 대응되는 완충망 공급모듈부(13)의 다열 안치홈(8)에 각각 삽입시키는 완충망 흡착부(15)와;
상기 완충망 공급모듈부(13)의 다열 안치홈(8)에 대응되는 고정지지대(10)의 상부위치에 설치되고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일정위치로 이송된 완충망 공급모듈부(13)의 다열 안치홈(8)으로부터 상,하운동으로 통과하여 완충망(14)을 제약용기(3)에 투입시키는 완충망 삽입부(16)와;
상기 완충망 공급모듈부(13)의 우측에 설치되고 완충망(14)의 투입이 완료된 제약용기(3)가 컨베이어벨트(4)를 따라 이동할 경우 완충망투입 에러가 있는 제약용기(3)를 배출시키는 용기배출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판(9)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판(18)의 상단에 다열 안치홈(8)이 사각방향으로 각기 4개씩 직각으로 천공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18)의 하부 중심에 회전로드봉(19)이 베어링수단(20)을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로드봉(19)의 몸체에 구동모터(21)와 감속기(22)가 기어수단(23)을 매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완충망 공급모듈부(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충진파이프(12)를 다열(m*n) 예컨대, 충진파이프(12)를 4개씩 5줄을 끼울수 있게 천공된 다열 삽입홈(26)이 형성된 상,하부 고정판(24A,24B)이 각각 이격 고정봉(25)을 매개로 서로 일정 이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판(24B)의 하단부에는 볼너트(27)를 매개로 전,후 운동을 수행하는 볼스크류(2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볼스크류(28)의 말단부 일측에는 파이프 이송모터(29)에 연동하는 타이밍벨트(3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풀리(31)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이송모터(29)는 콘트롤러(6)에 연결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부 고정판(24B)의 하단 몸체의 좌,우측에는 고정지지대(10)의 이송레일(11)에 각기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28)의 유동에 따라 연동되어 슬라이딩하므로 상,하부 고정판(24A,24B)을 이송시키는 슬라이딩너트(32)가 설치된다.
더 나아가, 본체프레임(7)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의 상단부가 고정지지대(10)의 하부를 고정지지하므로 고정지지대(10)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내지 4 이송부(33A-D)가 일정이격을 두고 상단몸체 4곳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4 이송부(33A-D)의 각각에는 고정지지대(10)를 지지하고 몸체 외부에 나사가 형성되는 봉형상의 봉스크류부재(34)와, 상기 봉스크류부재(34)가 몸체중심에 나사체결로 결합되고 몸체의 외측에 톱니기어(35)가 형성되며, 몸체의 일측이 고정부재(36)를 통해 본체프레임(7)에 고정되는 봉너트부재(37)와, 상기 봉너트부재(37)의 톱니기어(35)에 결합되어 봉스크류 구동모터(38)의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부재(39)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대(10)에는 완충망 충진파이프(12) 내에 다수개 충진되는 완충망(14)의 충진여부를 포토커플러방식으로 센싱하여 콘트롤러(6)로 전송하는 완충망 충진센서부(40)가 양단의 가장자리 일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대(10)에는 완충망 공급모듈부(13)의 다열 안치홈(8)에 대응되는 하부위치에 컨베이어벨트(4)로부터 이송되온 제약용기(3)가 정상적으로 안치되었는 지를 검출하여 콘트롤러(6)로 전송하는 용기안치 검출센서부(41)가 상기 다열 안치홈(8)에 대응되는 전면부에 다수개 예컨대, 4개 설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고정지지대(10)에는 완충망 공급모듈부(13)가 이송레일(11)를 따라 전,후로 이동할 경우 이를 검출하여 콘트롤러(6)로 전송하는 말단 검출센서(42)가 세로방향의 양끝단부에 각기 복수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완충망 흡착부(15)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충망 공급모듈부(13)의 하단에 위치되는 본체프레임(7)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4각형상의 브라켓부재(43)와, 상기 브라켓부재(43)의 양벽부에 각기 형성된 가이더블록(44)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더레일(45)과, 상기 가이더블록(44)에 각각 결합되고 몸체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흡착봉(46)이 다수개 형성되는 흡착패드부(47)와, 상기 가이더블록(44)에 벨트(48)와 풀리(49)로 결합되되어 흡착패드부(47)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흡착구동 모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완충망 삽입부(16)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지지대(10)의 전단부 좌,우측에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복수개 설치되는 유동봉부재(51)와, 상기 유동봉부재(51)의 사이에 위치하여 완충망(14)이 제약용기(3)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조정봉부재(52)와, 상기 유동봉부재(51)와 조정봉부재(52)를 감싸 보호하는 보호캡부재(53)와, 상기 유동봉부재(51)와 상기 조정봉부재(52)의 상단이 결합되는 프레임브라켓(54)와, 상기 프레임브라켓(54)의 후면부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부재(55)와, 상기 실린더부재(55)의 실린더로드(56)에 일정 이격을 두고 하부방향으로 각기 설치되고 제약용기(3)에 완충망(14)을 삽입시키도록 일정길이의 봉이 다수개 예컨대, 4개의 삽입봉(57)으로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삽입봉부재(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정봉부재(52)의 상부와 대칭되는 위치의 보호캡부재(53)의 상단에는 조절수단에 의해 제약용기(3)의 삽입깊이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59)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봉부재(51)는 스크류부재(60)와 너트부재(61)의 결합에 의해 상,하 유동이 되고, 조정봉부재(52) 역시 연마봉(62)이 볼베어링부재(63)에 결합되는 구조로 상,하 유동된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59)의 조절수단은 노브(64)를 돌리는 구조의 수동으로 설치할 수 있고, 제어모터(도시안됨)를 구비하여 인디케이터(59)의 지시값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충진파이프(12)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의 내부가 원통형으로 통공된 몸체부를 가지는 삽입원통(65)이 충진파이프(12)의 하단부를 끼워 삽입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원통(65)은 내부 하단이 외부방향으로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중단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며 내통할 수 있도록 센서홀(66)이 각기 형성되어 센서신호가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원통(65)은 그 외부 하단 일측에 삽입원통(65)이 완충망 공급모듈부(13)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위치고정핀(67)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콘트롤러가 완충망이 충진된 충진파이프의 삽입원통을 공급모듈부에 다열(m*n)로 셋팅하고 완충망 삽입공정을 실행하는 제1 과정(S2)과;
상기 제1 과정(S2)후에 콘트롤러가 완충망 흡착부를 제어하여 상,하운동으로 상기 삽입원통의 하부로부터 완충망을 각각 흡착하여 대응되는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에 각각 삽입시키는 제2 과정(S3)과;
상기 제2 과정(S3)후에 콘트롤러가 회전원판을 90도씩 회전시켜 하부에 위치한 다수개의 제약용기의 입구에 대응되게 다열의 안치홈을 위치시키는 제3 과정(S4)과;
상기 제3 과정(S4)후에 콘트롤러가 완충망 삽입부를 제어하여 하부에 위치한 상기 다열의 안치홈을 상,하운동으로 통과하여 다열의 안치홈에 거치된 완충망을 제약용기에 투입시키는 제4 과정(S5)과;
상기 제4 과정(S5)후에 콘트롤러가 용기배출부를 통해 완충망의 투입이 완료된 제약용기중에 완충망투입 에러가 있는 제약용기를 자동 배출시키는 제5 과정(S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과정(S2)에는 콘트롤러가 완충망 충진센서부(40)를 통해 완충망 충진파이프(12) 내에 완충망(14)이 정상적으로 충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킹한후 정상적으로 충진되어 있지않을 경우 완충망 공급모듈부(13)를 고정지지대(10)의 상부 좌,우측에 각기 설치된 이송레일(11)을 따라 전,후 운동을 실행시켜 완충망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삽입원통을 찾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므로 완충망이 회전원판의 다열 안치홈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완충망 안정공급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과정(S5)에는 콘트롤러가 봉스크류 구동모터(38)를 구동시켜 체인부재(39)를 통해 제1 내지 4 이송부를 유동시키므로 상기 제1 내지 4 이송부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고정지지대(10)를 상,하방향으로 유동시켜 제약용기의 높이에 따라 회전원판(9)의 다열 안치홈(8)의 높이를 조절하는 용기투입높이 조절단계를 더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는 시스템이 온될 경우 콘트롤러(6)는 제약용기(3)가 스크류부재(1)의 걸림홈(2)에 끼워져 컨베이어벨트(4)를 따라 이송되어 회전원판(9)의 다열 안치홈(8)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콘트롤러(6)의 기능제어를 받는 완충망 공급모듈부(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부 고정판(24A,24B)에 형성된 천공된 다열 삽입홈(26)에 충진파이프(12)가 결합된 삽입원통(65)을 다열(m*n) 예컨대, 충진파이프(12)의 삽입원통(65)을 4개씩 5줄을 끼우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삽입원통(65)이 다열 삽입홈(26)에 끼워지게되면 콘트롤러(6)의 기능제어하에 파이프 이송모터(29)가 구동되어 타이밍벨트(30)와 풀리(31)를 통해 볼스크류(28)을 회전시키게되고 그에따라 볼스크류(28)가 볼너트(27)를 매개로 전,후 운동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볼스크류(28)가 볼너트(27)을 매개로 유동을 하게 될 경우 상기 볼너트(27)에 고정설치된 상,하부 고정판(24A,24B)도 슬라이딩너트(32)가 상기 하부 고정판(24B)의 하단 몸체의 좌,우측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고정지지대(10)의 이송레일(11)을 따라 전,후로 유동하므로 콘트롤러(6)가 완충망 공급모듈부(13)에 구비된 완충망(14)을 회전원판(9)의 위치로 정확히 이송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6)는 고정지지대(10)의 양끝단부에 각기 설치된 말단 검출센서(42)를 통해 완충망 공급모듈부(13)가 이송레일(11)를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상태를 검출하여 완충망 충진과정을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콘트롤러(6)는 완충망 흡착부(15)의 흡착구동 모터부(50)를 구동시켜 몸체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흡착봉(46)이 다수개 예컨대 4개가 형성된 흡착패드부(47)가 상,하운동으로 상기 회전원판(9)의 다열 안치홈(8)를 통과하여 삽입원통(65)의 하부로부터 완충망(14)을 각각 흡착한후 그 흡착봉(46)이 통과한 완충망 공급모듈부(13)의 해당 다열 안치홈(8)에 각각 걸어 고정시키고 해당 흡착봉(46)은 더 후진하여 원래위치로 되돌아가며, 상기 흡착패드부(47)의 흡착봉(46)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계속 수행하면서 완충망(14)을 계속 상기 다열 안치홈(8)에 안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완충망 삽입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흡착구동 모터부(50)를 구동될 경우 상기 흡착구동 모터부(50)의 구동력이 벨트(48)와 풀리(49)를 통해 가이더블록(44)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가이더블록(44)이 브라켓부재(43)의 양벽부에 각기 형성된 가이더레일(45)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이더블록(44)이 가이더레일(45)을 따라 상,하로 운동을 하게되면 상기 가이더블록(44)에 결합되어 있는 흡착패드부(47)도 연동을 한다. 그러면, 상기 다수개 예컨대 4개가 형성된 흡착패드부(47)의 흡착봉(46)이 상,하운동으로 상기 회전원판(9)의 다열 안치홈(8)를 통과하여 삽입원통(65)의 하부로부터 완충망(14)을 각각 흡착한후 그 흡착봉(46)이 통과한 완충망 공급모듈부(13)의 해당 다열 안치홈(8)에 각각 걸어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6)는 용기안치 검출센서부(41)를 구동시켜 완충망 공급모듈부(13)의 다열 안치홈(8)에 대응되는 하부위치에 컨베이어벨트(4)로부터 이송되온 제약용기(3)가 정상적으로 안치되었는 지를 검출한후 상기 제약용기(3)중 정상적으로 안치되지 않은 것이 있을 경우 해당 제약용기(3)를 용기배출부(17)를 통해 배출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콘트롤러(6)는 상기 회전원판(9)을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시키게 되는데, 콘트롤러(6)가 구동모터(21)를 구동시키게 되면, 그 발생된 구동력은 감속기(22)와 기어수단(23)을 매개로 회전로드봉(19)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로드봉(19)은 상기 기어수단(23)에 연동하여 베어링수단(20)을 매개로 회전을 하게되고 그에따라 상기 회전로드봉(19)과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판(18)도 회전을 하게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18)의 회전은 상기 다열 안치홈(8) 즉, 4개의 안치홈(8)이 모두 한번에 투입위치로 이동하도록 90도씩 회전하게된다. 즉, 상기 회전원판(9)이 90도씩 진행되므로 4회전이면 360도를 모두 회전하게된다.
한편, 상기 과정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6)는 고정지지대(10)의 가장자리 양단 일측에 각각 설치된 완충망 충진센서부(40)가 완충망 충진파이프(12) 내에 다수개 충진되는 완충망(14)의 충진여부를 포토커플러방식으로 센서홀(66)을 통해 센싱하여 콘트롤러(6)로 전송하고, 또한 상기 회전원판(9)의 다열 안치홈(8)과 대응되는 고정지지대(10)의 전면부 위치에 복수개 설치된 용기안치 검출센서부(41)가 완충망 공급모듈부(13)의 다열 안치홈(8)에 완충망(14)이 정상적으로 안치되어 있는 지를 검출하여 콘트롤러(6)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원판(9)의 베이스판(18)이 90도씩 회전하여 다열 안치홈(8) 즉, 4개의 안치홈(8)이 모두 한번에 투입위치로 이동할 경우 상기 콘트롤러(6)는 완충망 삽입부(16)를 제어하여 상,하 운동으로 하부에 위치한 상기 다열 안치홈(8)를 통과하여 다열 안치홈(8)에 거치된 완충망(14)을 다수개 예컨대, 4개의 제약용기(3)에 동시에 투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완충망 투입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콘트롤러(6)가 보호캡부재(53)의 후면에 위치한 프레임브라켓(54)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부재(55)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실린더부재(55)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 하운동으로 실린더부재(55)의 실린더로드(56)를 유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부재(55)의 실린더로드(56)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브라켓(54)에 일정 이격을 두고 하부방향으로 다수개 예컨대, 4개로 구성된 삽입봉부재(58) 역시 상기 실린더로드(56)와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4개로 구성된 삽입봉부재(58)가 상, 하방향으로 유동하면서 그 하부에 위치한 완충망 공급모듈부(13)의 다열 안치홈(8)를 통과하여 다열 안치홈(8)에 거치되어있던 완충망(14)을 다열 안치홈(8)의 하부에 위치한 제약용기(3)에 동시에 투입시킨다.
이 과정에서 제약용기(3)의 크기에 따라 완충망(14)의 삽입깊이도 조절해주어야하는데, 이때, 상기 완충망 삽입부(16)의 인디케이터(59)에 표시된 수치값을 보면서 조절하게 되는데, 삽입깊이조절이 수동일 경우 그 상단에 있는 노브(64)를 돌려주거나 혹은 제어모터(도시안됨)에 의한 수치제어수단(도시안됨)일 경우 인디케이터(59)의 상부에 설치된 자동수단을 조절해주게된다. 그러면, 상기 인디케이터(59)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조정봉부재(52)가 인디케이터(59)의 조절에 따라 그 내부에서 연마봉(62)이 볼베어링부재(63)를 따라 상,하로 유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조정봉부재(52)의 좌, 우측에 위치하여 연동하는 유동봉부재(51) 역시 그 내부에서 스크류부재(60)가 너트부재(61)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유동봉부재(51)와 상기 조정봉부재(52)가 상단에 결합된 프레임브라켓(54)에 4개의 삽입봉(57)이 설치된 삽입봉부재(58) 역시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동봉부재(51)와 상기 조정봉부재(52)가 상,하로 유동할 경우 상기 삽입봉부재(58) 역시 연동하므로 인디케이터(59)의 노브(64)나 수치제어수단을 조절하면 삽입봉(57)의 삽입깊이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정중에 상기 콘트롤러(6)는 완충망 충진센서부(40)를 통해 완충망 충진파이프(12) 내에 완충망(14)이 정상적으로 충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계속 체킹한후 정상적으로 충진되어 있지않을 경우 완충망 공급모듈부(13)를 고정지지대(10)의 상부 좌,우측에 각기 설치된 이송레일(11)을 따라 전,후 운동을 실행시켜 완충망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삽입원통을 찾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므로 완충망이 회전원판의 다열 안치홈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콘트롤러(6)는 제약용기(3)의 높이가 바뀜에 따라 용기투입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봉스크류 구동모터(38)를 구동시켜 체인부재(39)를 통해 제1 내지 4 이송부(33A-D)를 유동시키므로 상기 제1 내지 4 이송부(33A-D)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고정지지대(10)를 상,하방향으로 유동시켜 제약용기(3)의 높이에 따라 회전원판(9)의 다열 안치홈(8)의 높이를 조절하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약용기(3)에 완충망(14)이 삽입완료될 경우 완충망(14)이 삽입된 제약용기(3)를 컨베이어벨트(4)를 따라 이송되어 용기배출부(17)를 통과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콘트롤러(6)는 일정위치에 설치된 말단 배출센서(68)를 통해 정상적이지 않은 제약용기(3) 예컨대, 용기가 넘어지거나 혹은 완충망이 용기에 정상적으로 삽입이 안될 것들을 용기배출부(17)를 통해 걸러내어 컨베이어벨트(4)의 밖으로 처낸다.
한편, 상기 충진파이프(12)의 삽입원통(65)은 그 내부 하단이 외부방향으로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망(14)이 쉽게 이탈하지 않으므로 삽입에러가 발생되지 않게된다.
1 : 스크류부재 2 : 걸림홈
3 : 제약용기 4 : 컨베이어벨트
5 : 완충망삽입장치 6 : 콘트롤러
7 : 본체프레임 8 : 다열 안치홈
9 : 회전원판 10: 고정지지대
11: 이송레일 12: 완충망 충진파이프
13: 완충망 공급모듈부 14: 완충망
15: 완충망 흡착부 16: 완충망 삽입부
17: 용기배출부 18: 베이스판
19: 회전로드봉 20: 베어링수단
21: 구동모터 22: 감속기
23: 기어수단 24A,24B: 상,하부 고정판
25: 이격 고정봉 26: 다열 삽입홈
27: 볼너트 28: 볼스크류
29: 파이프 이송모터 30: 타이밍벨트
31: 풀리 32: 슬라이딩너트
33A-D: 제1 내지 4 이송부 34: 봉스크류부재
35: 톱니기어 36: 고정부재
37: 봉너트부재 38: 봉스크류 구동모터
39: 체인부재 40: 완충망 충진센서부
41: 용기안치 검출센서부 42: 말단 검출센서
43: 브라켓부재 44: 가이더블록
45: 가이더레일 46: 흡착봉
47: 흡착패드부 48: 벨트
49: 풀리 50: 흡착구동 모터부
51: 유동봉부재 52: 조정봉부재
53: 보호캡부재 54: 프레임브라켓
55: 실린더부재 56: 실린더로드
57: 삽입봉 58: 삽입봉부재
59: 인디케이터 60: 스크류부재
61: 너트부재 62: 연마봉
63: 베어링부재 64: 노브
65: 삽입원통 66: 센서홀
67: 위치고정핀 68: 말단 배출센서

Claims (13)

  1. 스크류부재의 걸림홈에 끼워져 제약용기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가 상측에 위치하고 몸체의 일측에 완충망삽입장치의 기능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고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천공된 다열의 안치홈이 사면에 각기 형성되며, 90도를 포함한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는 원형형상의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상부에 일정 이격을 두고 본체프레임상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상부에 탑재되고 고정지지대의 상부 좌,우측에 각기 설치된 이송레일을 따라 전,후 운동을 수행하며, 다열의 완충망 충진파이프를 구비하는 완충망 공급모듈부와;
    상기 회전원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후로 유동하는 다열의 완충망 충진파이프중 설정된 완충망 충진파이프의 하부로부터 상,하운동으로 완충망을 각각 흡착하여 대응되는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에 각각 삽입시키는 완충망 흡착부와;
    상기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에 대응되는 고정지지대의 상부위치에 설치되고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일정위치로 이송된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으로부터 상,하운동으로 통과하여 완충망을 제약용기에 투입시키는 완충망 삽입부와;
    상기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우측에 설치되고 완충망의 투입이 완료된 제약용기가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할 경우 완충망투입 에러가 있는 제약용기를 배출시키는 용기배출부를 포함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에는 베이스판의 상단에 다열 안치홈이 사각방향으로 각기 4개씩 직각으로 천공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 중심에 회전로드봉이 베어링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로드봉의 몸체에 구동모터와 감속기가 기어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망 공급모듈부는 충진파이프를 다열(m*n)로 끼울수 있게 천공된 다열 삽입홈이 형성된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이 각각 이격 고정봉을 매개로 서로 일정 이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판의 하단부에는 볼너트를 매개로 전,후 운동을 수행하는 볼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볼스크류의 말단부 일측에 파이프 이송모터에 연동하는 타이밍벨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풀리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고정판의 하단 몸체의 좌,우측에는 고정지지대의 이송레일에 각기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유동에 따라 연동되어 슬라이딩하므로 상,하부 고정판을 이송시키는 슬라이딩너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몸체의 상단부가 고정지지대의 하부를 고정지지하므로 고정지지대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내지 4 이송부가 일정이격을 두고 상단몸체 4곳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4 이송부의 각각에는 고정지지대를 지지하고 몸체 외부에 나사가 형성되는 봉형상의 봉스크류부재와, 상기 봉스크류부재가 몸체중심에 나사체결로 결합되고 몸체의 외측에 톱니기어가 형성되며, 몸체의 일측이 고정부재를 통해 본체프레임에 고정되는 봉너트부재와, 상기 봉너트부재의 톱니기어에 결합되어 봉스크류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에는 완충망 충진파이프내에 다수개 충진되는 완충망의 충진여부를 포토커플러방식으로 센싱하여 콘트롤러로 전송하는 완충망 충진센서부가 양단의 가장자리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에 대응되는 하부위치에 컨베이어벨트로부터 이송되온 제약용기가 정상적으로 안치되었는 지를 검출하여 콘트롤러로 전송하는 용기안치 검출센서부가 상기 다열 안치홈에 대응되는 전면부에 다수개 설치되며, 완충망 공급모듈부가 이송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경우 이를 검출하여 콘트롤러로 전송하는 말단 검출센서가 세로방향의 양끝단부에 각기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망 흡착부에는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하단에 위치되는 본체프레임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부재와, 상기 브라켓부재의 양벽부에 각기 형성된 가이더블록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더레일과, 상기 가이더블록에 각각 결합되고 몸체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흡착봉이 다수개 형성되는 흡착패드부와, 상기 가이더블록에 벨트와 풀리로 결합되되어 흡착패드부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흡착구동 모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망 삽입부에는 고정지지대의 전단부 좌,우측에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복수개 설치되는 유동봉부재와, 상기 유동봉부재의 사이에 위치하여 완충망이 제약용기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조정봉부재와, 상기 유동봉부재와 조정봉부재를 감싸 보호하는 보호캡부재와, 상기 유동봉부재와 상기 조정봉부재의 상단이 결합되는 프레임브라켓와, 상기 프레임브라켓의 후면부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실린더로드에 일정 이격을 두고 하부방향으로 각기 설치되고 제약용기에 완충망을 삽입시키도록 일정길이의 삽입봉이 다수개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삽입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파이프에는 몸체의 내부가 원통형으로 통공된 몸체부를 가지는 삽입원통이 충진파이프의 하단부를 끼워 삽입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삽입원통은 내부 하단이 외부방향으로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중단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며 내통할 수 있도록 센서홀이 각기 형성되며, 그 외부 하단 일측에 삽입원통이 완충망 공급모듈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위치고정핀이 형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11. 콘트롤러가 완충망이 충진된 충진파이프의 삽입원통을 공급모듈부에 다열(m*n)로 셋팅하고 완충망 삽입공정을 실행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후에 콘트롤러가 완충망 흡착부를 제어하여 상,하운동으로 상기 삽입원통의 하부로부터 완충망을 각각 흡착하여 대응되는 완충망 공급모듈부의 다열 안치홈에 각각 삽입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에 콘트롤러가 회전원판을 90도씩 회전시켜 하부에 위치한 다수개의 제약용기의 입구에 대응되게 다열의 안치홈을 위치시키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후에 콘트롤러가 완충망 삽입부를 제어하여 하부에 위치한 상기 다열의 안치홈을 상,하운동으로 통과하여 다열의 안치홈에 거치된 완충망을 제약용기에 투입시키는 제4 과정과;
    상기 제4 과정후에 콘트롤러가 용기배출부를 통해 완충망의 투입이 완료된 제약용기중에 완충망투입 에러가 있는 제약용기를 자동 배출시키는 제5 과정을 포함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는 콘트롤러가 완충망 충진센서부를 통해 완충망 충진파이프내에 완충망이 정상적으로 충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킹한후 정상적으로 충진되어 있지않을 경우 완충망 공급모듈부를 고정지지대의 상부 좌,우측에 각기 설치된 이송레일을 따라 전,후 운동을 실행시켜 완충망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삽입원통을 찾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므로 완충망이 회전원판의 다열 안치홈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완충망 안정공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에는 콘트롤러가 봉스크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체인부재를 통해 제1 내지 4 이송부를 유동시키므로 상기 제1 내지 4 이송부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고정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유동시켜 제약용기의 높이에 따라 회전원판의 다열 안치홈의 높이를 조절하는 용기투입높이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066156A 2017-05-29 2017-05-29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46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156A KR101946895B1 (ko) 2017-05-29 2017-05-29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156A KR101946895B1 (ko) 2017-05-29 2017-05-29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266A true KR20180130266A (ko) 2018-12-07
KR101946895B1 KR101946895B1 (ko) 2019-02-13
KR101946895B9 KR101946895B9 (ko) 2023-05-11

Family

ID=6466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156A KR101946895B1 (ko) 2017-05-29 2017-05-29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8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365B1 (ko) * 2021-09-03 2022-10-17 송유석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
KR102487900B1 (ko) * 2021-12-09 2023-01-12 이지케이 주식회사 제약용기 완충망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0685B2 (ja) * 1998-12-24 2007-11-2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詰め包装機のコンベアマガジンに空袋群を供給するための空袋ストッカ装置
KR200271035Y1 (ko) * 2001-11-13 2002-04-09 송기준 비닐 인서트 기능을 가지는 용기의 캐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365B1 (ko) * 2021-09-03 2022-10-17 송유석 건축공사장의 추락방지망의 구조
KR102487900B1 (ko) * 2021-12-09 2023-01-12 이지케이 주식회사 제약용기 완충망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895B9 (ko) 2023-05-11
KR101946895B1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673B1 (ko) 초고속 계수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KR101946895B1 (ko)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2675B1 (ko)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CN107108136A (zh) 给装货面装货的方法和装载装置
CN105246783B (zh) 传送设备及相应的传送方法
CN109059680B (zh) 一种烟花填装内筒的装置
CN106744603A (zh) 直线式多工位液体无菌分装设备
ITBO20090388A1 (it) Gruppo di alimentazione per il dosaggio di compresse in capsule
CN101186237B (zh) 一种充填系统和用于该系统的袋子移送装置
CA1208183A (en) Low particulate liquid filling machine and method
KR101008348B1 (ko) 패키지 포장장치
KR20180057401A (ko) 스파우트 파우치 자동포장기
CN206014387U (zh) 一种药液灌装自动生产设备
KR102234563B1 (ko) 과일 적재 시스템
KR101300385B1 (ko) 액체용기의 팩킹장치
KR20170120227A (ko)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CA3089821C (en) Capsule filling apparatus
US7025194B2 (en) Article moving apparatus and direction changing apparatus for sticks
KR101216534B1 (ko) 정제검사기용 정제 공급장치
KR101462674B1 (ko) 클리닝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US20080267744A1 (en) Automated arrangement for loading bottles into shipping racks
CN205418171U (zh) 一种自动包装系统及其装置
CN210480852U (zh) 一种四联瓶灌装、称重、旋盖一体机
KR100869533B1 (ko) 봉지 자동 공급장치
KR102631616B1 (ko) 캡슐 및 태블릿과 같은 약제용 유니버설 콤팩트 프로텍티브 블리스터 자동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