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675B1 -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2675B1 KR101462675B1 KR1020130042091A KR20130042091A KR101462675B1 KR 101462675 B1 KR101462675 B1 KR 101462675B1 KR 1020130042091 A KR1020130042091 A KR 1020130042091A KR 20130042091 A KR20130042091 A KR 20130042091A KR 101462675 B1 KR101462675 B1 KR 1014626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late
- track
- sub
- guide
- guide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agitators or vibr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8—Supports or mountings for load-carriers, e.g. framework, bases, spr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48—Supporting or guiding means for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알약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복수 개의 알약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이송할 수 있도록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메인트랙을 포함하는 상부 이송부와, 그 상단부가 상기 메인트랙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트랙으로부터 공급되는 알약이 서로 다른 경로로 나뉘어져 이송될 수 있도록 각각 복수 개의 제1가이드레일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제1서브트랙을 포함하는 제1하부 이송부와, 그 상단부가 상기 제1서브트랙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서브트랙을 포함하는 제2하부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알약을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부; 및 제1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트랙, 제1서브트랙 및 제2서브트랙의 저면은 각각 별도의 지지 브라켓으로 지지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은 각각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된 복수 개의 진동기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 하방에는 상기 제1지지 프레임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와 고무패킹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의 단면은 'V'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단은 그 하단보다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하단부는 상기 메인트랙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공급호퍼와,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상기 공급호퍼의 하단과 연결되며 그 하단은 상기 메인트랙의 상단과 연결되되 상기 공급호퍼와 대응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연결호퍼와, 상기 연결호퍼 하단의 수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양 측에 각각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연결호퍼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수평 측정 플레이트와, 이 수평 측정 플레이트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알약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복수 개의 알약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이송할 수 있도록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메인트랙을 포함하는 상부 이송부와, 그 상단부가 상기 메인트랙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트랙으로부터 공급되는 알약이 서로 다른 경로로 나뉘어져 이송될 수 있도록 각각 복수 개의 제1가이드레일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제1서브트랙을 포함하는 제1하부 이송부와, 그 상단부가 상기 제1서브트랙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서브트랙을 포함하는 제2하부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알약을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부; 및 제1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트랙, 제1서브트랙 및 제2서브트랙의 저면은 각각 별도의 지지 브라켓으로 지지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은 각각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된 복수 개의 진동기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 하방에는 상기 제1지지 프레임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와 고무패킹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의 단면은 'V'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단은 그 하단보다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하단부는 상기 메인트랙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공급호퍼와,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상기 공급호퍼의 하단과 연결되며 그 하단은 상기 메인트랙의 상단과 연결되되 상기 공급호퍼와 대응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연결호퍼와, 상기 연결호퍼 하단의 수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양 측에 각각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연결호퍼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수평 측정 플레이트와, 이 수평 측정 플레이트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준 시간에 더 많은 알약을 포장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약병의 크기 내지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한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약회사에서 제조되는 약품의 종류는 매우 많으며 약품의 제형에 따라 물약 이나 과립제, 캅셀약 또는 알약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약품 중 캅셀 또는 알약(이하, 알약)은 약병에 일정한 개수씩 담겨져 포장되는바, 이러한 알약 포장은 호퍼에 투입된 다량의 알약이 호퍼 하부에 구비된 경사판을 따라 다수의 열을 지어 내려오도록 구성되는바, 이하에서는 알약 포장과 관련된 다양한 선행기술들을 설명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14127호(2002.2.25.)에는 "알약 정량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호퍼에 투입된 다량의 알약을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개수만큼씩 인출할 수 있어 특히 소량포장이 가능하며 알약의 계수가 정확하고, 알약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동이 필요치 않아 소음 및 진동에 따른 먼지가 없으며 또한 장치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알약 정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1492호(2004.1.31.)에는 "정제약 계수 포장장치용 약투입 안내구"가 개시되어 있다.
정제형의 알약을 계수하여 테이블 상에서 레일을 타고 이동되는 약병에 투입시켜 주기 위한 계수 포장장치에 적용되는 약투입 안내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알약이 하강되면서 접촉되는 약투입 안내구의 경사진 내면부를 다각형으로 구성하여 원심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알약이 빠져 나가는 하단부를 원형으로 구성하여 알약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통로가 격감하는 출구 측에서의 병목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작업능률의 개선과 생산성의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92188호(2009.8.31.)에는 "정제약 계수 포장기의 비산분진 포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호퍼로 공급되는 알약을 일정 개수로 계수하여 연속 이송되는 약병에 자동 투입, 포장하는 알약 계수 포장기에 적용되는 비산분진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장기의 사방 측면과 상면에 고정, 개폐가 가능한 도어형의 커버를 적용하고, 포장기의 내부 상측에는 흡입 이송관을 통해 분진수거기로 연결되는 분진필터박스를 두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비산분진을 흡입시켜 분진의 수거와 동시에 여과된 공기를 포장기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 인해 포장기 내부에서 비산되는 분진이 실내로 유입될 수 없도록 하여 작업 환경 개선을 통한 생산 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포장기 내부의 비산분진 수거율을 향상시켜 포장기 내부의 오염과 고장 발생률의 억제, 전력소모의 절감과 더불어 집진 소음의 감소 및 추가적인 설치공간의 배제를 통해 작업장의 장소 활용의 효율성 향상시킨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0716호(2009.9.24.)에는 "계수 포장기용 터치스크린박스의 회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호퍼로 공급되는 알약을 일정 개수로 계수하여 연속 이송되는 약병에 자동 투입시켜 포장하는 알약 계수 포장기에 적용되어 제반 작동 공정을 설정, 제어 및 작업상황이나 조건 등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스크린박스의 회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지지 파이프의 양단이 고정 지지되는 계수기 본체와 스크린 박스에 각각 선택적으로 회전을 구속시킬 수 있는 로킹 기능과 스크린의 회전을 다양한 각도에서 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 다수의 분할 회전각을 갖는 회전수단을 적용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터치스크린박스의 조작면을 작업자가 있는 방향으로 간편하게 돌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취급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알약 포장과 관련하여 다양한 선행기술들이 제시되어 있으나, 알약 포장시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알약 포장시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출하기 연구, 개발 끝에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는바, 이러한 기본적인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구성을 최적 설계하여 다양한 효과를 구현하였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알약 포장 속도를 개선함과 동시에, 높이 조절 가능한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는, 복수개의 알약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복수 개의 알약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이송할 수 있도록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메인트랙을 포함하는 상부 이송부와, 그 상단부가 상기 메인트랙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트랙으로부터 공급되는 알약이 서로 다른 경로로 나뉘어져 이송될 수 있도록 각각 복수 개의 제1가이드레일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제1서브트랙을 포함하는 제1하부 이송부와, 그 상단부가 상기 제1서브트랙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서브트랙을 포함하는 제2하부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알약을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부; 및 제1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트랙, 제1서브트랙 및 제2서브트랙의 저면은 각각 별도의 지지 브라켓으로 지지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은 각각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된 복수 개의 진동기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 하방에는 상기 제1지지 프레임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와 고무패킹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의 단면은 'V'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단은 그 하단보다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하단부는 상기 메인트랙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공급호퍼와,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상기 공급호퍼의 하단과 연결되며 그 하단은 상기 메인트랙의 상단과 연결되되 상기 공급호퍼와 대응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연결호퍼와, 상기 연결호퍼 하단의 수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양 측에 각각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연결호퍼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수평 측정 플레이트와, 이 수평 측정 플레이트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하방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3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그 상단은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 저면에 고정 결합되고 그 하단은 상기 제3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3지지 플레이트 저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와 제3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그 외주면으로는 그 둘레 방향으로 원형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원형 플랜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승강로드와, 상기 제3지지 플레이트 상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에는 상기 원형 플랜지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된 고정너트와, 상기 승강로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의 단면은 'V'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단은 그 하단보다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하단부는 상기 메인트랙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공급호퍼와,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상기 공급호퍼의 하단과 연결되며 그 하단은 상기 메인트랙의 상단과 연결되되 상기 공급호퍼와 대응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연결호퍼와, 상기 연결호퍼 하단의 수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양 측에 각각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연결호퍼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수평 측정 플레이트와, 이 수평 측정 플레이트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하방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3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그 상단은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 저면에 고정 결합되고 그 하단은 상기 제3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3지지 플레이트 저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와 제3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그 외주면으로는 그 둘레 방향으로 원형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원형 플랜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승강로드와, 상기 제3지지 플레이트 상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에는 상기 원형 플랜지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된 고정너트와, 상기 승강로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 및 제3지지 플레이트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각각의 승강로드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피동 스프라켓이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부와, 상기 피동 스프라켓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부와 상기 승강로드를 매개하여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구동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로부터 낙하하는 알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관통블록과, 상기 관통블록의 저면에 결합되고 그 내측 상부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통합된 배출홈이 형성되되 상기 메인트랙의 개수와 대응되는 복수 개의 유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블록의 저면에는 배출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홈을 통과한 알약이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홈과 내통하는 배출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도블록의 일측면에는, 상기 유도블록의 가이드홈 및 배출홈의 하단을 각각 개폐하는 차단부가 결합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유도블록의 일측면에 결합된 회동브라켓과, 이 회동브라켓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도블록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체결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의 전면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배출홈을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체결브라켓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동력 발생기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동일 시간 대비 알약 포장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알약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약병의 크기 내지 높이에 따라 전체 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작업 과정 중 유기적으로 알약 배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공급부의 좌, 우 밸런싱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상술한 이점 이외에 각각의 구성요소를 최적 설계하여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이송부 및 진동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진동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흡입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의 공급호퍼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의 연결호퍼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배출부의 배출 플레이트 및 배출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복수 개의 차단부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차단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높이 조절부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높이 조절부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이송부 및 진동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진동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흡입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의 공급호퍼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의 연결호퍼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배출부의 배출 플레이트 및 배출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복수 개의 차단부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차단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높이 조절부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높이 조절부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는 공급부(100), 이송부(200) 및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공급부(100)는 복수 개의 알약을 동시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공급부(100)를 통하여 공급된 알약은 이송부(200)를 거쳐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되는바, 배출부(300) 끝단에 대기하고 있던 약병에 정량으로 투입되어 포장된다.
이송부(200)는 상부 이송부(210)와, 제1하부 이송부(220) 및 제2하부 이송부(230)를 포함한다.
상부 이송부(210)의 상단측은 공급부(100)의 하단측과 연결되어 복수 개의 알약을 공급받고, 상부 이송부(210)의 하단측과 그 상단측이 연결된 제1하부 이송부(220)로 공급되어 이송되다가, 제1하부 이송부(220)의 하단측과 연결된 제2하부 이송부(230)의 상단측으로 이송된 후, 제2하부 이송부(230) 하단측과 연결된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된다.
상부 이송부(210)는 공급부(100)와 연결되며,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복수 개의 알약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이송할 수 있도록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메인트랙(212)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메인트랙(212)은 서로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는바, 각각의 메인트랙(212)은 알약 이송을 위한 자체 이송 경로를 갖는다.
복수 개의 메인트랙(212)을 통과한 알약은 제1하부 이송부(220)로 진입한다.
제1하부 이송부(220)는 복수 개의 제1서브트랙(222)으로 이루어지는데, 상술한 메인트랙(212)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제1서브트랙(222)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메인트랙(212)을 4개로 구성하는 경우, 제1서브트랙(222) 및 후술하는 제2서브트랙(232) 모두 4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트랙(212)으로 공급된 알약이 제1서브트랙(222)을 통하여 이송될 때, 복수 개의 알약이 동시에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이송될 수 있도록 제1서브트랙(222)에는 복수 개의 제1가이드레일(222a)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서브트랙(222) 하나당 4개의 제1가이드레일(222a)을 형성하는 경우 동시에 알약 4개를 이송시킬 수 있는바, 메인트랙(212)을 4개로 구성한다면 한 번에 16개의 알약을 동시에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1하부 이송부(220)를 통과한 알약은 이러한 제1하부 이송부(220)의 하단측과 연결된 제2하부 이송부(230)의 상단측으로 진입한다.
제2하부 이송부(230)는 제1하부 이송부(220)의 제1가이드레일(222a)을 타고 이송된 복수 개의 알약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이송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2가이드레일(232a)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서브트랙(232)을 포함한다.
즉, 제2서브트랙(232)의 개수는 상술한 메인트랙(212) 및 제1서브트랙(222)의 개수와 동일하고, 제2서브트랙(232)에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232a)의 개수는 상술한 제1가이드레일(222a)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알약 포장장치의 초고소 계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을 각각 4개로 구성하고,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에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222a) 및 제2가이드레일(232a)을 각각 4개씩 구성하면, 한 번에 16개의 알약을 동시에 이송시킬 수 있는바, 동일 시간 대비 다른 알약 포장장치에서 1병의 알약을 포장할 때 16병의 알약을 포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1가이드레일(222a) 및 제2가이드레일(232a)은 'V'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단면 형상은 'U'자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는바, 이러한 형상은 알약을 효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레일(232a)의 상단은 그 하단보다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약이 제2가이드레일(232a)의 하단에 이르러 배출부(300)로 공급될 때, 알약이 정상적인 경로를 통하여 배출부(300)로 공급되지 못하고 사행하거나 그와 인접하는 경로로 튀어 나갈 수 있는데, 제2가이드레일(232a) 상단 길이를 하단 길이 더 돌출되게 형성하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제1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별물로 형성할 수도 있는바, 제1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을 일체화하여 형성하면, 후술하는 진동기(400) 하나만으로 전체를 진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은 알약의 이송을 더 원활히 하기 위하여 공급부(100)에서 배출부(300) 방향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이송 도중 알약이 정체하여 이송 라인 전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에는 진동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의 저면에서 진동을 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는 제1지지 플레이트(P1)를 더 포함하고,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의 저면을 각각 별도의 지지 브라켓(B1)으로 지지시키되, 지지 브라켓(B1)의 저면과 제1지지 플레이트(P1)를 진동기(400)를 매개로 연결한다.
진동기(400)의 저면은 제1지지 플레이트(P1) 상에 고정되고, 진동기(400) 평면은 지지 브라켓(B1)의 저면에 결합되는바, 지지 브라켓(B1)의 저면 및 진동기 평면에는 볼트 등 체결기구 삽입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기(400)는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의 개수에 맞추어 각각의 트랙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모든 트랙들이 일체화된 경우라면 하나의 진동기(400)만 설치하고, 이 진동기(40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모든 트랙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진동전달기구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약이 공급부(100),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제2서브트랙(232) 및 배출부(300)를 거치는 동안 알약이 깨질 수도 있고, 이로부터 분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
깨진 알약이나, 분진은 알약 포장 작업 환경을 악화시키는 것은 물론, 그것이 누적되어 고착화되면 알약 이송을 방해하고, 전체적인 설비 트러블을 초래하기도 하는바, 본 발명은 알약 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이송부(200)의 저면을 통해 흡입하는 흡입부(500)를 포함한다.
알약 이송 과정에서 발생된 분진 등이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의 저면을 통해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에는 각각 메인 흡입홀(212a),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흡입홀(212a)은 알약이 이송되기 시작되는 메인트랙(212)에 형성되므로, 메인트랙(212)의 하단측에 폭 방향으로 띠 모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부(100)로부터 메인트랙(212)으로 낙하하는 알약은 깨어질 수 있고, 깨어진 알약으로부터 분진이 발생할 수 있는바, 알약은 깨어짐과 동시에 이송되므로 메인트랙(212)의 상단측에 메인 흡입홀(212a)을 형성한다면 이를 흡입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메인 흡입홀(212a)을 메인트랙(212)의 하단측에 복수 개 마련하되, 전체적으로 띠 모양으로 형성하고, 그 크기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알약 조각 또는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 상에는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은 제1가이드레일(222a) 및 제2가이드레일(232a)의 저면에 일 열로 각각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제1가이드레일(222a) 및 각각의 제2가이드레일(232a)을 따라 이동하는 알약은 열을 지어 이송되기 때문이다.
한편, 흡입부(500)는 제1흡입 파이프(510), 제2흡입 파이프(520), 연결 파이프(530), 흡입 가이더(5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들은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에 형성된 메인 흡입홀(212a),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로부터 알약의 깨어진 조각 또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흡입부(500)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흡입 파이프(510) 및 제2흡입 파이프(520)는 이송부(200) 양 측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이송부(200) 양 측에 최대한 가깝게 제1흡입 파이프(510) 및 제2흡입 파이프(520)를 각각 설치하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흡입 파이프(510) 또는 제2흡입 파이프(520)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흡입 송풍기(미도시) 및 수거탱크(미도시)를 설치하여, 소정의 흡입력을 발생시켜 깨어진 알약 또는 분진 등을 제거 및 수거한다.
이송부(200)의 양 측에 설치되되, 이송부(200)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흡입 파이프(510) 및 제2흡입 파이프(520)는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연결 파이프(530)를 매개로 연결된다.
연결 파이프(530)는 복수 개 설치되는데, 이는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제2서브트랙(232)의 저면에 형성된 메인 흡입홀(212a),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이 형성된 위치마다 연결 파이프(530)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연결 파이프(530) 상에는 이러한 연결 파이프(530)와 내통하는 흡입 가이더(540)가 복수 개 형성된다.
즉, 연결 파이프(530)는 상부 이송부(210), 제1하부 이송부(220) 및 제2하부 이송부(230)의 폭 방향으로 길게 3개가 형성되되,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에 형성된 메인 흡입홀(212a),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각각의 연결 파이프(530) 상에는 복수 개의 흡입 가이더(540)가 메인 흡입홀(212a),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연결 파이프(530)와 메인트랙(212), 연결 파이프(530)와 제1서브트랙(222), 연결 파이프(530)와 제2서브트랙(232) 사이에 간격을 메워주는 것이다.
또한, 흡입 가이더(540)의 내측에 형성되는 석션홈(540a)의 크기는 흡입 가이더(540)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깨어진 알약 조각이나 분진이 흡입 과정에서 대기로 비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100)는, 공급호퍼(110), 연결호퍼(120)를 포함한다.
공급호퍼(110)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하단부는 메인트랙(212)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즉, 복수 개의 격벽에 의해 그 내측 공간은 복수 개로 구획되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트랙(212)이 4개인 경우라면 공급호퍼(110) 내측 공간도 4분할되는 것이다.
연결호퍼(120)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상기 공급호퍼(110)의 하단과 연결되며 그 하단은 메인트랙(212)의 상단과 연결되되 공급호퍼(110)와 대응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즉, 연결호퍼(120) 역시 복수 개의 격벽에 의해 그 내측 공간은 복수 개로 구획되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트랙(212)이 4개인 경우라면 공급호퍼(110) 내측 공간도 역시 4분할되는 것이다.
알약 공급과정에서 공급호퍼(110) 또는 연결호퍼(12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공급호퍼(110), 연결호퍼(120)를 통과하여 메인트랙(212)으로 낙하하는 알약의 낙하 거리에 차이가 발생한다.
즉, 공급호퍼(110)나 연결호퍼(120)가 좌측 하향되게 기울어지면 우측으로 공급되는 알약의 낙하 거리가 좌측으로 공급되는 알약의 낙하 거리보다 크다.
이러한 차이는 미세한 차이에 불과하지만, 알약 포장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그 차이가 누적되면 좌측으로 작업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호퍼(110) 및 연결호퍼(12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이를 확인하고, 다시 수평을 잡아 주어야 한다.
본 발명의 공급부(100)는, 공급호퍼(110) 및 연결호퍼(120)의 수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평 측정 플레이트(130)와 수평바(140)를 포함한다.
수평 측정 플레이트(130)는 그 양측에 연결호퍼(120) 하단의 수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각각 눈금이 표시된다.
이러한 수평 측정 플레이트(130)에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바(140)가 결합되는바, 이러한 수평바(140) 및 수평 측정 플레이트(130)에 의해서 공급부(100)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수평바(140)의 좌측단 및 우측단이 수평 측정 플레이트(130)의 동일 눈금을 가리키면 공급부(100)가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이지만, 수평바(140)의 좌측단 및 우측단이 가리키는 눈금이 다르면 공급부(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요부인 배출부(300)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출부(300)는 관통블록(310)과, 유도블록(320)을 포함한다.
관통블록(310)은 제2가이드레일(232a)로부터 낙하하는 알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2가이드레일(232a)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관통홀(310a)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블록(310)의 관통홀(310a)을 통과한 알약은 유도블록(320)을 거쳐 배출된다.
유도블록(320)은 관통블록(310)의 저면에 결합되고 그 내측 상부에 관통홀(310a)과 대응되는 가이드홈(320a)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가이드홈(320a)이 통합된 배출홈(320b)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도블록(320)은 상술한 메인트랙(212)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설치된다.
즉, 하나의 메인트랙(212)을 통과한 4 개의 알약은 하나의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 당 4열로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222a) 및 제2가이드레일(232a)을 통하여 이송된 후, 관통블록(310)을 통과하여, 하나의 유도블록(320)에 형성되어 있는 4개의 가이드홈(320a)을 통하여 각각 유도된 후, 하나의 배출홈(320b)을 통하여 한 꺼번에 4개의 알약이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홈(320b)을 통하여 배출되는 알약을 안내하여 대기하고 있는 약병에 담을 수 있도록 유도블록(320)의 저면에는 배출 플레이트(330)가 결합되고, 이러한 배출 플레이트(330)의 저면에는 배출 플레이트(330)를 관통하여 배출홈(320b)과 내통하는 배출관(340)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배출관(340)을 통하여 배출되는 알약은 그 하방에 대기하고 있던 약병에 담겨지는데, 약병에 정량이 채워진 경우에는 알약 공급이 중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도블록의 일측면에는 유도블록(320)의 가이드홈(320a)과 배출홈(320b)의 하단을 각각 개별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는 유도블록(320)의 일측면에 결합된 회동브라켓(352)과, 이 회동브라켓(352)의 후면에 결합되어 유도블록(320)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체결브라켓(354)과, 회동브라켓(352)의 전면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되어 배출홈(320b) 또는 가이드홈(320a)을 개폐하는 개폐도어(356)와, 체결브라켓(354)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동력 발생기(35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단부(350)는, 메인트랙(212) 4개 설치 시에, 16개의 가이드홈(320a) 및 4개의 배출홈(320b) 개폐를 위해 총 20개의 유닛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가이드홈(320a)은 물론, 배출홈(320b)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알약 배출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는, 제1지지 플레이트(P1) 하방에 제1지지 플레이트(P1)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지지 플레이트(P2)를 더 포함하고, 제2지지 플레이트(P2)는 제1지지 플레이트(P1)와 고무패킹(B2)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2지지 플레이트(P2)의 저면에는 제2지지 플레이트(P2)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6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약병의 크기 내지 높이에 따라 본 발명의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의 높이가 가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2지지 플레이트(P2)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2지지 플레이트(P2)의 하방에 제2지지 플레이트(P2)와 평행하게 제3지지 플레이트(P3)를 설치한다.
높이 조절부(600)는, 승강로드(610)와, 고정너트(620), 구동부(630)를 포함한다.
승강로드(610)는, 상단이 제2지지 플레이트(P2) 저면에 고정 결합되고 그 하단은 제3지지 플레이트(P3)를 관통하여 제3지지 플레이트(P3) 저면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2지지 플레이트(P2)와 제3지지 플레이트(P3)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면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원형 플랜지(612)가 연장 형성되며, 원형 플랜지(612)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고정너트(620)는 제3지지 플레이트(P3) 상에 고정 결합되며, 승강로드(6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에는 원형 플랜지(612)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된다.
구동부(630)는 승강로드(61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높이 조절부(600)는 제2지지 플레이트(P2) 및 제3지지 플레이트(P3)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고, 높이 조절부(600)의 각각의 승강로드(61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피동 스프라켓(614)이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구동부(630)는 모터부(632)와, 피동 스프라켓(614)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동홈(634a)이 형성되며 모터부(632)와 승강로드(610)를 매개하여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구동체인(634)을 포함한다.
모터부(632)가 구동하면 구동체인(634)이 회전한다.
구동체인(634)에 형성된 구동홈(634a)은 승강로드(6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동 스프라켓(614)과 체결되어 있는바, 승강로드(610)에는 회전력이 걸리게 된다.
한편, 승강로드(610)의 상단은 제2지지 플레이트(P2) 저면에 고정된 상태이고, 승강로드(610) 외주면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형 플랜지(612)가 고정너트(620)와 나사 결합된 상태이므로, 승강로드(610)에 걸리는 회전력은 승강로드(610)의 상승력으로 변환되며, 승강로드(610)의 상승력에 의하여 제2지지 플레이트(P2)가 상승하며 전체 장치가 상승하게 된다.
높이를 낮추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터부(632) 및 구동체인(634)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술한 원리에 따라 전체 장치가 하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알약이 공급호퍼(110)에 공급되면, 알약은 연결호퍼(120)를 통하여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제2서브트랙(232)은 각각 총 4개로 구성되며,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에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222a) 및 제2가이드레일(232a)은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마다 각각 4개가 형성되는바, 총 16개의 열이 형성된다.
따라서, 16개의 열을 따라 16개의 알약이 동시에 제2가이드레일(232a)로부터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제2가이드레일(232a)로부터 낙하한 알약은 관통블록(310) 및 유도블록(320)을 따라 낙하하고, 배출관(340)을 통하여 약병에 포장된다.
한편, 알약 이송 과정에서 발생된 깨어진 알약 조각이나 분진은 흡입부(500)를 통하여 제거되며, 알약 공급은 유도블록(320)의 개폐 조작을 통하여 정지될 수 있으며, 제2지지 플레이트(P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전체 장치의 높이 또한 조절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공급부 110 : 공급호퍼
120 : 연결호퍼 130 : 수평 측정 플레이트
140 : 수평바 200 : 이송부
210 : 상부 이송부 212 : 메인트랙
212a : 메인 흡입홀 220 : 제1하부 이송부
222 : 제1서브트랙 222a : 제1가이드레일
222b : 제1서브 흡입홀 230 : 제2하부 이송부
232 : 제2서브트랙 232a : 제2가이드레일
232b : 제2서브 흡입홀 300 : 배출부
310 : 관통블록 310a : 관통홀
320 : 유도블록 320a : 가이드홈
320b : 배출홈 330 : 배출 플레이트
340 : 배출관 350 : 차단부
352 : 회동브라켓 354 : 체결브라켓
356 : 개폐도어 358 : 회전동력 발생기
400 : 진동기 500 : 흡입부
510 : 제1흡입 파이프 520 : 제2흡입 파이프
530 : 연결 파이프 540 : 흡입 가이더
540a : 석션홈 600 : 높이 조절부
610 : 승강로드 612 : 원형 플랜지
614 : 피동 스프라켓 620 : 고정너트
630 : 구동부 632 : 모터부
634 : 구동체인
P1 : 제1지지 플레이트 P2 : 제2지지 플레이트
P3 : 제3지지 플레이트 B1 : 지지 브라켓
B2 : 고무패킹
120 : 연결호퍼 130 : 수평 측정 플레이트
140 : 수평바 200 : 이송부
210 : 상부 이송부 212 : 메인트랙
212a : 메인 흡입홀 220 : 제1하부 이송부
222 : 제1서브트랙 222a : 제1가이드레일
222b : 제1서브 흡입홀 230 : 제2하부 이송부
232 : 제2서브트랙 232a : 제2가이드레일
232b : 제2서브 흡입홀 300 : 배출부
310 : 관통블록 310a : 관통홀
320 : 유도블록 320a : 가이드홈
320b : 배출홈 330 : 배출 플레이트
340 : 배출관 350 : 차단부
352 : 회동브라켓 354 : 체결브라켓
356 : 개폐도어 358 : 회전동력 발생기
400 : 진동기 500 : 흡입부
510 : 제1흡입 파이프 520 : 제2흡입 파이프
530 : 연결 파이프 540 : 흡입 가이더
540a : 석션홈 600 : 높이 조절부
610 : 승강로드 612 : 원형 플랜지
614 : 피동 스프라켓 620 : 고정너트
630 : 구동부 632 : 모터부
634 : 구동체인
P1 : 제1지지 플레이트 P2 : 제2지지 플레이트
P3 : 제3지지 플레이트 B1 : 지지 브라켓
B2 : 고무패킹
Claims (5)
- 복수개의 알약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복수 개의 알약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이송할 수 있도록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메인트랙을 포함하는 상부 이송부와, 그 상단부가 상기 메인트랙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트랙으로부터 공급되는 알약이 서로 다른 경로로 나뉘어져 이송될 수 있도록 각각 복수 개의 제1가이드레일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제1서브트랙을 포함하는 제1하부 이송부와, 그 상단부가 상기 제1서브트랙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서브트랙을 포함하는 제2하부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알약을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부; 및
제1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트랙, 제1서브트랙 및 제2서브트랙의 저면은 각각 별도의 지지 브라켓으로 지지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은 각각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된 복수 개의 진동기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 하방에는 상기 제1지지 프레임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와 고무패킹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의 단면은 'V'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단은 그 하단보다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하단부는 상기 메인트랙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공급호퍼와,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상기 공급호퍼의 하단과 연결되며 그 하단은 상기 메인트랙의 상단과 연결되되 상기 공급호퍼와 대응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연결호퍼와, 상기 연결호퍼 하단의 수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양 측에 각각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연결호퍼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수평 측정 플레이트와, 이 수평 측정 플레이트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하방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3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그 상단은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 저면에 고정 결합되고 그 하단은 상기 제3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3지지 플레이트 저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와 제3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그 외주면으로는 그 둘레 방향으로 원형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원형 플랜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승강로드와, 상기 제3지지 플레이트 상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에는 상기 원형 플랜지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된 고정너트와, 상기 승강로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 및 제3지지 플레이트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각각의 승강로드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피동 스프라켓이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부와, 상기 피동 스프라켓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부와 상기 승강로드를 매개하여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구동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로부터 낙하하는 알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관통블록과, 상기 관통블록의 저면에 결합되고 그 내측 상부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통합된 배출홈이 형성되되 상기 메인트랙의 개수와 대응되는 복수 개의 유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블록의 저면에는 배출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홈을 통과한 알약이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홈과 내통하는 배출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도블록의 일측면에는, 상기 유도블록의 가이드홈 및 배출홈의 하단을 각각 개폐하는 차단부가 결합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유도블록의 일측면에 결합된 회동브라켓과, 이 회동브라켓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도블록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체결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의 전면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배출홈을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체결브라켓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동력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2091A KR101462675B1 (ko) | 2013-04-17 | 2013-04-17 |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2091A KR101462675B1 (ko) | 2013-04-17 | 2013-04-17 |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4503A KR20140124503A (ko) | 2014-10-27 |
KR101462675B1 true KR101462675B1 (ko) | 2014-11-20 |
Family
ID=5199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2091A KR101462675B1 (ko) | 2013-04-17 | 2013-04-17 |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267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25192A (zh) * | 2019-03-15 | 2019-06-25 | 泰山医学院 | 一种用于制药设备的出料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44168B (zh) * | 2016-07-20 | 2021-03-19 | 梁启明 | 一种静脉针外壳的出料装置 |
CN106044077A (zh) * | 2016-07-20 | 2016-10-26 | 梁启明 | 一种医用配件的错位出料装置 |
CN110562505A (zh) * | 2019-09-28 | 2019-12-13 | 辽宁工业大学 | 片剂管瓶自动装瓶生产线 |
WO2021111478A1 (en) * | 2019-12-06 | 2021-06-10 | Vailati Simone | Apparatus for conveying and dosing objects on an automatic packaging line |
KR102462583B1 (ko) * | 2020-11-30 | 2022-11-02 | 이부한 | 알약 포장장치 |
CN114872941B (zh) * | 2022-04-25 | 2023-12-15 | 蚌埠市天星树脂有限责任公司 | 一种高分子材料产品的包装系统及其包装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2745B1 (ko) * | 2004-09-22 | 2006-10-16 | 주식회사세광라이뮤시스템 | 책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용 책상 |
KR20120019722A (ko) * | 2010-08-26 | 2012-03-07 | 박승애 | 자동 계수기 |
-
2013
- 2013-04-17 KR KR1020130042091A patent/KR1014626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2745B1 (ko) * | 2004-09-22 | 2006-10-16 | 주식회사세광라이뮤시스템 | 책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용 책상 |
KR20120019722A (ko) * | 2010-08-26 | 2012-03-07 | 박승애 | 자동 계수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25192A (zh) * | 2019-03-15 | 2019-06-25 | 泰山医学院 | 一种用于制药设备的出料装置 |
CN109925192B (zh) * | 2019-03-15 | 2021-04-27 | 山东第一医科大学(山东省医学科学院) | 一种用于制药设备的出料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4503A (ko) | 2014-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2673B1 (ko) | 초고속 계수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 |
KR101462675B1 (ko) |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 |
US10486889B2 (en) | Drug feeder | |
ES2336237T3 (es) | Sistema modulable de distribucion de comprimidos para el acondicionamiento de comprimidos en una cinta alveolada. | |
EP1260464A1 (en) | Conveyor with a plurality of flights and boxing system using such conveyor | |
WO2020124751A1 (zh) | 高速泡罩装盒一体机 | |
KR20100107439A (ko) | 생산품 공급 장치 | |
US20210284373A1 (en) | Continuous motion filling system and filling machine and methods | |
WO2010097926A1 (ja) | 粉粒体の定量排出設備 | |
KR102440241B1 (ko) | 페트병 포장장치 | |
KR101462674B1 (ko) | 클리닝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 |
JP2008179466A (ja) | 錠剤搬送装置 | |
CN208915533U (zh) | 收杯台 | |
JP6109509B2 (ja) | 物品整列供給装置 | |
KR101946895B1 (ko) |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2462583B1 (ko) | 알약 포장장치 | |
CN209142488U (zh) | 一种隔离分区式格栅输送系统 | |
KR20140045016A (ko) | 물품 정렬 공급장치 | |
KR101216534B1 (ko) | 정제검사기용 정제 공급장치 | |
KR102218087B1 (ko) | 작은 입자 약제 정량 배출기 및 이를 구비한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 |
KR101490978B1 (ko) | 알약이송공급장치 | |
CN109436436A (zh) | 一种隔离分区式格栅输送系统 | |
KR101569404B1 (ko) |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 |
CN210913166U (zh) | 一种片剂药片定量计数码齐装瓶装置 | |
KR20150005271A (ko) | 알약 이송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