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404B1 -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404B1
KR101569404B1 KR1020130167194A KR20130167194A KR101569404B1 KR 101569404 B1 KR101569404 B1 KR 101569404B1 KR 1020130167194 A KR1020130167194 A KR 1020130167194A KR 20130167194 A KR20130167194 A KR 20130167194A KR 101569404 B1 KR101569404 B1 KR 101569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st
sub
ho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098A (ko
Inventor
이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운텍
Priority to KR1020130167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40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약의 공급, 계수, 투입 및 포장이 이루어지는 공정 과정을 거치는 동안, 이 알약이 깨질 경우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기는, 내부가 관통된 제 1 관통홀을 갖는 원통 형상의 본체와,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 2 관통홀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이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링(ring)과,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 3 관통홀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3 관통홀이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링을 구비하되, 상기 제 3 관통홀 주변에는 분진을 흡입하는 복수의 분진 흡입공이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는 흡입한 분진을 분진 집진 수거통으로 이동시키는 에어 호스(air hose)와 연결된 에어 호스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DUST COLLECTOR AND PILL PACKING MACHINE HAVING DUST COLLECTING FUNCTION}
본 발명은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약 포장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약회사에서 제조되는 약품의 종류는 매우 많으며 약품의 제형에 따라 물약이나 과립제, 캅셀약 또는 알약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약품 중 캅셀 또는 알약(이하, 알약)은 약병에 일정한 개수씩 담겨져 포장되는바, 이러한 알약 포장은 호퍼에 투입된 다량의 알약이 호퍼 하부에 구비된 경사판을 따라 다수의 열을 지어 내려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알약은 크기에 차이가 있으나 자동으로 제조, 계수, 약병에 투입 및 포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취급이 간편한 이점을 가진다.
그런데, 알약이 공급, 계수, 투입 및 포장이 이루어지는 공정에서, 알약이 공급부와, 메인트랙과, 제1서브트랙과, 제2서브트랙 및 배출부를 거치게 되는데, 이를 거치는 동안 이 알약이 깨질 수도 있고, 이로부터 분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
깨진 알약이나, 분진은 알약 포장 작업 환경을 악화시키는 것은 물론, 그것이 누적되어 고착화되면 알약 이송을 방해하고, 전체적인 설비 트러블을 초래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알약의 공급, 계수, 투입 및 포장이 이루어지는 공정 과정을 거치는 동안, 이 알약이 깨질 경우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기는, 내부가 관통된 제 1 관통홀을 갖는 원통 형상의 본체와,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 2 관통홀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이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링(ring)과,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 3 관통홀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3 관통홀이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링을 구비하되, 상기 제 3 관통홀 주변에는 분진을 흡입하는 복수의 분진 흡입공이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는 흡입한 분진을 분진 집진 수거통으로 이동시키는 에어 호스(air hose)와 연결된 에어 호스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는, 복수개의 알약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복수 개의 알약을 이송할 수 있도록 횡 방향으로 배열된 메인트랙을 포함하는 상부 이송부와, 그 상단부가 상기 메인트랙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트랙으로부터 공급되는 알약이 서로 다른 경로로 나뉘어져 이송될 수 있도록 각각 복수 개의 제1가이드레일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제1서브트랙을 포함하는 제1하부 이송부와, 그 상단부가 상기 제1서브트랙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서브트랙을 포함하는 제2하부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알약을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부; 및 알약 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상기 이송부의 저면에서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내부가 관통된 제 1 관통홀을 갖는 원통 형상의 본체와,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 2 관통홀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이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링과,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 3 관통홀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3 관통홀이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관통홀 주변에는 분진을 흡입하는 복수의 분진 흡입공이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는 흡입한 분진을 분진 집진 수거통으로 이동시키는 에어 호스(air hose)와 연결된 에어 호스 연결부를 갖는 분진 집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는, 상기 메인트랙, 제1서브트랙 및 제2서브트랙에는 각각 메인 흡입홀, 제1서브 흡입홀 및 제2서브 흡입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메인트랙, 제1서브트랙 및 제2서브트랙의 저면에서 분진을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는, 상기 메인 흡입홀은 상기 메인트랙의 폭 방향으로 띠 모양을 형성하며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서브 흡입홀 및 제2서브 흡입홀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는, 상기 흡입부는, 상기 이송부 양측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흡입 파이프 및 제2흡입 파이프와, 상기 이송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제1흡입 파이프와 제2흡입 파이프를 연결하며 상기 알약의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 파이프와, 상기 연결 파이프 상에 설치되되 상기 연결 파이프와 내통하며 상기 메인 흡입홀, 제1서브 흡입홀, 제2서브 흡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욕조 형상의 흡입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는, 상기 흡입 가이더의 내측에 형성되는 석셕홈의 크기는 상기 흡입 가이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의 단면은 'V'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단은 그 하단보다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면 하단으로 알약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를 구비하며, 하부면이 상기 배출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급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공급호퍼의 배출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공급호퍼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상하 이동 플레이트와, 이 상하 이동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상하 이동 플레이트 조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로부터 낙하하는 알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관통블록과, 상기 관통블록의 저면에 결합되고 그 내측 상부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통합된 배출홈이 형성되는 유도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유도블록의 저면에는 배출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홈을 통과한 알약이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홈과 내통하는 배출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도블록의 일측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과 상기 가이드홈을 개폐하는 차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유도블록의 일측면에 결합된 체결 실린더와, 이 체결 실린더의 내부에서 슬라이딩가능한 이동 실린더와, 상기 이동 실린더의 전면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개폐하는 차단기와, 상기 체결 실린더에 결합되어 공기압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동력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동력 발생기(358)의 상부에는 적외선 센서부(359)가 형성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부(359)로부터 출광하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렌즈(359a)가 상기 적외선 센서부와 마주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알약의 공급, 계수, 투입 및 포장이 이루어지는 공정 과정을 거치는 동안, 이 알약이 깨질 경우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 집진기를 갖는 알약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기를 갖는 알약 포장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분진 집진기를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분진 집진기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이송부 및 진동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진동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흡입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의 공급호퍼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기를 갖는 알약 포장 장치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원을 확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복수 개의 차단부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차단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높이 조절부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높이 조절부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기를 갖는 알약 포장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분진 집진기를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분진 집진기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기(1000)는 내부가 관통된 제 1 관통홀을 갖는 원통 형상의 본체(1100)와,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 2 관통홀을 가짐과 아울러 제 1 관통홀 및 제 2 관통홀이 대응되도록 본체(1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링(ring)(1200)과,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 3 관통홀을 가짐과 아울러 제 1 관통홀 및 제 3 관통홀이 대응되도록 본체(1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링(ring)(1300)을 구비하되, 제 3 관통홀 주변에는 분진을 흡입하는 복수의 분진 흡입공(1310)이 위치하고, 본체(1100)의 외측면에는 흡입한 분진을 분진 집진 수거 탱크(1500)로 이동시키는 에어 호스(air hose)(1400)와 연결된 에어 호스 연결부(1110)를 가진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기(1000)는 제 1 관통홀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본체(1100)의 상하부에 각각 제 2 관통홀을 갖는 상부 링(1200)과, 제 3 관통홀을 갖는 하부 링(1300)이 결합된다. 여기서, 제 1 관통홀과, 제 2 관통홀과, 제 3 관통홀은 그 직경이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100)와, 상부 링(1200)과, 하부 링(130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제작 후 연결하여 분진 집진기(10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본체(1100)와, 상부 링(1200)과, 하부 링(1300)의 재질은 강철, 티탄, 세라믹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힘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재질이면 어느 것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체(1100)는 외측면에 에어 호스 연결부(1110)를 더 구비한다. 알약이 깨질 경우 발생하는 분진을 분진 집진기(1000)가 흡입하면, 흡입된 분진이 에어 호스 연결부(1110)를 통해 에어 호스(1400)로 전달되며, 에어 호스(1400)를 통과한 분진은 알약 포장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는 분진 집진 수거 탱크(1500)에 수거된다. 즉, 전원이 온(on)되면, 분진을 빨아들이는 흡입력을 흡입 송풍기(미도시)가 발생시키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알약이 깨질 경우 발생하는 분진은 분진 집진기(1000)에 의해 집진된 후, 에어 호스(1400)를 통해 분진 집진 수거 탱크(1500)로 수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는 복수개의 알약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급부(100); 공급부(100)와 연결되어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복수 개의 알약을 이송할 수 있도록 횡 방향으로 배열된 메인트랙(212)을 포함하는 상부 이송부(210)와, 그 상단부가 메인트랙(212)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메인트랙(212)으로부터 공급되는 알약이 서로 다른 경로로 나뉘어져 이송될 수 있도록 각각 복수 개의 제1가이드레일(222a)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제1서브트랙(222)을 포함하는 제1하부 이송부(220)와, 그 상단부가 제1서브트랙(222)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제1가이드레일(222a)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레일(232a)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서브트랙(232)을 포함하는 제2하부 이송부(230)를 포함하는 이송부(200); 이송부(200)로부터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알약을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부(300); 및 알약 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이송부(200)의 저면에서 흡입하는 흡입부(500)를 포함하되, 배출부(300)는 내부가 관통된 제 1 관통홀을 갖는 원통 형상의 본체(1100)와,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 2 관통홀을 가짐과 아울러 제 1 관통홀 및 제 2 관통홀이 대응되도록 본체(1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링(1200)과,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 3 관통홀을 가짐과 아울러 제 1 관통홀 및 제 3 관통홀이 대응되도록 본체(1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링(1300)을 구비하고, 제 3 관통홀 주변에는 분진을 흡입하는 복수의 분진 흡입공(1310)이 위치하며, 본체(1100)의 외측면에는 흡입한 분진을 분진 집진 수거 탱크(1500)로 이동시키는 에어 호스(1400)와 연결된 에어 호스 연결부(1110)를 갖는 분진 집진기(1000)를 더 구비한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요부별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이송부 및 진동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는 공급부(100), 이송부(200) 및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우선, 공급부(100)는 복수 개의 알약을 동시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공급부(100)를 통하여 공급된 알약은 이송부(200)를 거쳐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되는데, 배출부(300) 끝단에서 롤러에 의해 이동되어 대기하고 있던 약병에 정량으로 투입되어 포장된다.
이송부(200)는 상부 이송부(210)와, 제1하부 이송부(220) 및 제2하부 이송부(230)를 포함한다. 상부 이송부(210)의 상단측은 공급부(100)의 하단측과 연결되어 복수 개의 알약을 공급받고, 상부 이송부(210)의 하단측과 그 상단측이 연결된 제1하부 이송부(220)로 공급되어 이송되다가, 제1하부 이송부(220)의 하단측과 연결된 제2하부 이송부(230)의 상단측으로 이송된 후, 제2하부 이송부(230) 하단측과 연결된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된다. 상부 이송부(210)는 공급부(100)와 연결되며,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복수 개의 알약을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메인트랙(212)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트랙(212)을 통과한 알약은 제1하부 이송부(220)로 진입한다. 제1하부 이송부(220)는 복수 개의 제1가이드레일(222a)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제1서브트랙(222)으로 이루어지는데, 상술한 메인트랙(212)의 폭에 대응하는 전체 폭을 갖는 제1서브트랙(222)이 설치된다.
메인트랙(212)으로 공급된 알약이 제1서브트랙(222)을 통하여 이송될 때, 복수 개의 알약이 동시에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이송될 수 있도록 제1서브트랙(222)에는 복수 개의 제1가이드레일(222a)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서브트랙(222)에 8개의 제1가이드레일(222a)을 형성하는 경우 동시에 알약 16개를 이송시킬 수 있다.
제1하부 이송부(220)를 통과한 알약은 이러한 제1하부 이송부(220)의 하단측과 연결된 제2하부 이송부(230)의 상단측으로 진입한다. 제2하부 이송부(230)는 제1하부 이송부(220)의 제1가이드레일(222a)을 타고 이송된 복수 개의 알약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이송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2가이드레일(232a)이 형성된 제2서브트랙(232)을 포함한다. 즉, 제2서브트랙(232)에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232a)의 개수는 상술한 제1가이드레일(222a)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알약 포장장치의 초고속 계수 기능을 실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에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222a) 및 제2가이드레일(232a)을 각각 8개씩 구성하면, 한 번에 16개의 알약을 동시에 이송시킬 수 있는바, 동일 시간 대비 다른 알약 포장장치에서 1병의 알약을 포장할 때 16병의 알약을 포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제1가이드레일(222a) 및 제2가이드레일(232a)은 'V'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단면 형상은 'U'자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형상은 알약을 효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레일(232a)의 상단은 그 하단보다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약이 제2가이드레일(232a)의 하단에 이르러 배출부(300)로 공급될 때, 알약이 정상적인 경로를 통하여 배출부(300)로 공급되지 못하고 사행하거나 그와 인접하는 경로로 튀어 나갈 수 있는데, 제2가이드레일(232a) 상단 길이를 하단 길이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하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별물로 형성할 수도 있는바,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을 일체화하여 형성하면, 후술하는 진동기(400) 하나만으로 전체를 진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진동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은 알약의 이송을 더 원활히 하기 위하여 공급부(100)에서 배출부(300) 방향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이송 도중 알약이 정체하여 이송 라인 전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에는 진동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의 저면에서 진동을 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는 제1지지 플레이트(P1)를 더 포함하고,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의 저면을 각각 별도의 지지 브라켓(B1)으로 지지시키되, 지지 브라켓(B1)의 저면과 제1지지 플레이트(P1)를 진동기(400)를 매개로 연결한다. 진동기(400)의 저면은 제1지지 플레이트(P1) 상에 고정되고, 진동기(400) 평면은 지지 브라켓(B1)의 저면에 결합되는바, 지지 브라켓(B1)의 저면 및 진동기 평면에는 볼트 등 체결기구 삽입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기(400)는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의 개수에 맞추어 각각의 트랙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모든 트랙들이 일체화된 경우라면 하나의 진동기(400)만 설치하고, 이 진동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모든 트랙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진동전달기구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흡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약 이송 과정에서 발생된 분진 등이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의 저면을 통해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에는 각각 메인 흡입홀(212a),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흡입홀(212a)은 알약이 이송되기 시작되는 메인트랙(212)에 형성되므로, 메인트랙(212)의 중단 측에 폭 방향으로 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부(100)로부터 메인트랙(212)으로 낙하하는 알약은 깨어질 수 있고, 깨어진 알약으로부터 분진이 발생할 수 있는바, 알약은 깨어짐과 동시에 이송되므로 메인트랙(212)의 상단 측에 메인 흡입홀(212a)을 형성한다면 이를 흡입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메인 흡입홀(212a)을 메인트랙(212)의 중단 측에 복수 개 마련하되, 전체적으로 띠 모양으로 형성하고, 그 크기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알약 조각 또는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 상에는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은 제1가이드레일(222a) 및 제2가이드레일(232a)의 저면에 일 열로 각각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제1가이드레일(222a) 및 각각의 제2가이드레일(232a)을 따라 이동하는 알약은 열을 지어 이송되기 때문이다.
한편, 흡입부(500)는 제1흡입 파이프(510), 제2흡입 파이프(520), 연결 파이프(530), 흡입 가이더(5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들은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에 형성된 메인 흡입홀(212a),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로부터 알약의 깨어진 조각 또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흡입부(500)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흡입 파이프(510) 및 제2흡입 파이프(520)는 이송부(200) 양측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이송부(200) 양측에 최대한 가깝게 제1흡입 파이프(510) 및 제2흡입 파이프(520)를 각각 설치하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흡입 파이프(510) 또는 제2흡입 파이프(520)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흡입 송풍기(미도시) 및 분진 집진 수거 탱크(1500)를 설치하여, 소정의 흡입력을 발생시켜 깨어진 알약 또는 분진 등을 제거 및 수거한다. 이송부(200)의 양측에 설치되되, 이송부(200)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흡입 파이프(510) 및 제2흡입 파이프(520)는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연결 파이프(530)를 매개로 연결된다. 연결 파이프(530)는 복수 개 설치되는데, 이는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제2서브트랙(232)의 저면에 형성된 메인 흡입홀(212a),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이 형성된 위치마다 연결 파이프(530)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연결 파이프(530) 상에는 이러한 연결 파이프(530)와 내통하는 흡입 가이더(540)가 복수 개 형성된다. 즉, 연결 파이프(530)는 상부 이송부(210), 제1하부 이송부(220) 및 제2하부 이송부(230)의 폭 방향으로 길게 3개가 형성되되,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에 형성된 메인 흡입홀(212a),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각각의 연결 파이프(530) 상에는 복수 개의 흡입 가이더(540)가 메인 흡입홀(212a), 제1서브 흡입홀(222b) 및 제2서브 흡입홀(232b)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연결 파이프(530)와 메인트랙(212), 연결 파이프(530)와 제1서브트랙(222), 연결 파이프(530)와 제2서브트랙(232) 사이에 간격을 메워준다. 또한, 흡입 가이더(540)의 내측에 형성되는 석션홈(540a)의 크기는 흡입 가이더(540)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깨어진 알약 조각이나 분진이 흡입 과정에서 대기로 비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의 공급호퍼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요부인 공급부(100)는, 공급호퍼(110)가 포함한다.
공급호퍼(110)는 중공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면 하단으로 알약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40)를 구비하고, 하부면은 배출구(140)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공급호퍼(110)의 배출구(140)는 메인트랙(212)의 상단과 연결된다.
알약 공급과정에서 배출구(140) 방향으로 공급호퍼(110)의 하부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공급 호퍼(110)에 공급된 알약들은 배출구(14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배출구(140)의 크기에 의해, 이송부(200)의 메인트랙(212)으로 공급되는 알약의 개수가 조절되게 된다. 이러한 배출구(140)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은 상하 이동 플레이트(120) 및 상하 이동 플레이트 조정 부재(130)가 수행한다.
본 발명의 공급부(100)는, 공급호퍼(110)의 배출구(14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 플레이트(120)와 상하 이동 플레이트 조정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하 이동 플레이트(120)는 그 양측에 배출구(140)의 배출 높이 상태를 체크 수 있도록 각각 눈금이 표시된다. 이러한 상하 이동 플레이트(120)에는 대략 중심 영역에 상하 이동 플레이트 조정 부재(130)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상하 이동 플레이트 조정 부재(130) 및 상하 이동 플레이트(120)에 의해서 공급부(100)의 알약 배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하 이동 플레이트(120)의 좌측단 및 우측단이 낮은 숫자의 동일 눈금을 가리키면 배출구(140)가 상하 이동 플레이트(120)에 의해 작게 차단되기 때문에 공급부(100)로부터 대량의 알약이 메인트랙(212)으로 공급되고, 높은 숫자의 동일 눈금을 가리키면 배출구(140)가 상하 이동 플레이트(120)에 의해 크게 차단되기 때문에 공급부(100)로부터 소량의 악약이 메인트랙(212)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알약의 공급 조절을 통해, 배출구(140)가 알약에 의해 막히지 않고, 신속하게 메인트랙(212)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요부인 배출부(300)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출부(300)는 관통블록(310)과, 유도블록(320)을 포함한다.
관통블록(310)은 제2가이드레일(232a)로부터 낙하하는 알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2가이드레일(232a)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관통홀(310a)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블록(310)의 관통홀(310a)을 통과한 알약은 유도블록(320)을 거쳐 배출된다.
유도블록(320)은 관통블록(310)의 저면에 결합되고 그 내측 상부에 복수 개의 관통홀(310a)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320a)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가이드홈(320a)이 통합된 배출홈(320b)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320a)은 상술한 메인트랙(212)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설치된다. 즉, 메인트랙(212)을 통과한 하나의 알약은 하나의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 당 4열로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222a) 및 제2가이드레일(232a)을 통하여 이송된 후, 관통블록(310)을 통과하여, 하나의 유도블록(320)에 형성되어 있는 8개의 가이드홈(320a)을 통하여 각각 유도된 후, 하나의 배출홈(320b)을 통하여 한꺼번에 8개의 알약이 배출된다.
다음,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기를 갖는 알약 포장 장치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원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홈(320b)을 통하여 배출되는 알약을 안내하여 대기하고 있는 약병에 담을 수 있도록 유도블록(320)의 저면에는 배출 플레이트(330)가 결합되고, 이러한 배출 플레이트(330)의 저면에는 배출 플레이트(330)를 관통하여 배출홈(320b)과 내통하는 배출관(340)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배출 플레이트(330) 및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기(1000)의 상부 링(1200)은 배출부(300)의 하부 면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고정하기 위해, 엘보우(elbow) 형상의 연결 부재(360)가 이용되는데, 이러한 연결 부재(360)의 일단은 배출 플레이트(330)의 하면에 나사 고정되고, 연결 부재(360)의 타단은 분진 집진기(1000)의 상부 링(1200)에 나사 고정된다. 즉, 상부 링(1200)은 제 2 관통홀 주변에 복수의 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나사 구멍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나사 구멍을 통해 엘보우 형상의 연결 부재(360)의 타단이 상부 링(1200)과 볼트 결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배출 플레이트(330)의 일측에도 배출부(300)의 하부 면과 나사 고정된다. 즉, 배출 플레이트(330)의 일측에는 배출부(300)의 하부 면과 나사 고정을 위해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위치하며, 이러한 관통공을 통해 배출부(300)의 하부 면과 볼트/나사 고정된다. 따라서, 배출부(300)의 하부 면과 고정되는 배출 플레이트와 분진 집진기(1000)의 상부 링(1200)의 높이 차는 엘보우 형상의 연결 부재(360)에 의해 해결됨은 자명하다.
한편, 배출관(340)을 통하여 배출되는 알약은 그 하방에 대기하고 있던 약병에 담겨지는데, 약병에 정량이 채워진 경우에는 알약 공급이 중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도블록(320)의 하면에는 관통블록(310) 내의 복수 개의 관통홀(310a)과 유도블록(320)의 가이드홈(320a)을 각각 개별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복수 개의 차단부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차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는 유도블록(320)의 일측면에 결합된 체결 실린더(352)와, 이 체결 실린더(35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가능한 이동 실린더(354)와, 이동 실린더(354)의 전면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되어 복수 개의 관통홀(310a) 및 가이드홈(320a)을 개폐하는 차단기(356)와, 체결 실린더(352)에 결합되어 공기압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동력 발생기(358)를 포함한다. 또한, 슬라이딩 동력 발생기(358)의 상부에는 적외선 센서부(359)가 형성되고, 이러한 적외선 센서부(359)로부터 출광하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렌즈(359a)가 위치한다. 즉, 약병에 정량이 채워진 경우에는 알약 공급을 중단시키기 위해, 적외선 센서(359)로부터 출광하는 적외선을 렌즈(359a)로 수광시켜서 가이드홈(320a) 내부로 통과하는 알약의 개수를 가산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약병에 들어가는 알약의 개수가 1000개일 경우, 적외선 센서(359)는 가이드홈(320a) 내부로 통과하는 알약의 개수를 가산한 후, 정량의 알약이 통과하면 차단부(350)를 구동시켜 약병으로의 알약 투입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단부(350)는, 제1서브트랙(212)을 4개 설치 시에, 8개의 가이드홈(320a)의 개폐를 위해 총 8개의 유닛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가이드홈(32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알약 배출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 도 12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높이 조절부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높이 조절부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는, 제1지지 플레이트(P1) 하방에 제1지지 플레이트(P1)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지지 플레이트(P2)를 더 포함하고, 제2지지 플레이트(P2)는 제1지지 플레이트(P1)와 탄성 부재(S)를 매개로 연결되며, 제2지지 플레이트(P2)의 저면에는 제2지지 플레이트(P2)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6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약병의 크기 내지 높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의 높이가 가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2지지 플레이트(P2)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2지지 플레이트(P2)의 하방에 제2지지 플레이트(P2)와 평행하게 제3지지 플레이트(P3)를 설치한다.
높이 조절부(600)는, 승강로드(610)와, 고정너트(620), 구동부(630)를 포함한다. 승강로드(610)는, 상단이 제3지지 플레이트(P3) 저면에 고정 결합되고 그 하단은 제4지지 플레이트(P4)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또한, 제3지지 플레이트(P3)와 제4지지 플레이트(P4)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면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원형 플랜지(612)가 연장 형성되며, 원형 플랜지(612)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고정너트(620)는 제4지지 플레이트(P4) 상에 고정 결합되며, 승강로드(6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에는 원형 플랜지(612)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된다. 구동부(630)는 승강로드(61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높이 조절부(600)는 제3지지 플레이트(P3) 및 제4지지 플레이트(P4)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고, 높이 조절부(600)의 각각의 승강로드(61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피동 스프라켓(614)이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구동부(630)는 모터부(632)와, 피동 스프라켓(614)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동홈(634a)이 형성되며 모터부(632)와 승강로드(610)를 매개하여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구동체인(634)을 포함한다. 모터부(632)가 구동하면 구동체인(634)이 회전한다. 구동체인(634)에 형성된 구동홈(634a)은 승강로드(6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동 스프라켓(614)과 체결되어 있는바, 승강로드(610)에는 회전력이 걸리게 된다.
또한, 승강로드(610)의 상단은 제3지지 플레이트(P3) 저면에 고정된 상태이고, 승강로드(610) 외주면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형 플랜지(612)가 고정너트(620)와 나사 결합된 상태이므로, 승강로드(610)에 걸리는 회전력은 승강로드(610)의 상승력으로 변환되며, 승강로드(610)의 상승력에 의하여 제3지지 플레이트(P2)가 상승하며 전체 장치가 상승하게 된다. 높이를 낮추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터부(632) 및 구동체인(634)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술한 원리에 따라 전체 장치가 하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알약이 공급호퍼(110)에 공급되면, 알약은 연결호퍼(120)를 통하여 메인트랙(212),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제1서브트랙(222), 제2서브트랙(232)은 각각 총 4개로 구성되며,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에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222a) 및 제2가이드레일(232a)은 제1서브트랙(222) 및 제2서브트랙(232)마다 예를 들면 각각 4개가 형성되는바, 총 8개의 열이 형성된다. 따라서, 8개의 열을 따라 8개의 알약이 동시에 제2가이드레일(232a)로부터 낙하하게 된다.
제2가이드레일(232a)로부터 낙하한 알약은 관통블록(310) 및 유도블록(320)을 따라 낙하하고, 배출관(340)을 통하여 약병에 포장된다. 한편, 알약 이송 과정에서 발생된 깨어진 알약 조각이나 분진은 흡입부(500)를 통하여 제거되며, 알약 공급은 유도블록(320)의 개폐 조작을 통하여 정지될 수 있으며, 제3지지 플레이트(P3)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전체 장치의 높이 또한 조절된다. 또한, 흡입부(500)를 통해 흡입되지 못한 깨어진 알약 조각이나 분진은 흡입 송풍기(미도시)가 발생시키는 분진을 빨아들이는 흡입력에 의해 분진 집진기(1000)에 의해 집진된 후, 에어 호스(1400)를 통해 분진 집진 수거 탱크(1500)로 수거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함이 자명하다.
100 : 공급부 110 : 공급호퍼
120 : 상하 이동 플레이트 130 : 상하 이동 플레이트 조정 부재
140 : 배출구 200 : 이송부
210 : 상부 이송부 212 : 메인트랙
212a : 메인 흡입홀 220 : 제1하부 이송부
222 : 제1서브트랙 222a : 제1가이드레일
222b : 제1서브 흡입홀 230 : 제2하부 이송부
232 : 제2서브트랙 232a : 제2가이드레일
232b : 제2서브 흡입홀 300 : 배출부
310 : 관통블록 310a : 관통홀
320 : 유도블록 320a : 가이드홈
320b : 배출홈 330 : 배출 플레이트
340 : 배출관 350 : 차단부
360 : 연결 부재 352 : 체결 실린더
354 : 이동 실린더 356 : 차단기
358 : 슬라이딩 동력 발생기 400 : 진동기
500 : 흡입부 510 : 제1흡입 파이프
520 : 제2흡입 파이프 530 : 연결 파이프
540 : 흡입 가이더 540a : 석션홈
600 : 높이 조절부 610 : 승강로드
612 : 원형 플랜지 614 : 피동 스프라켓
620 : 고정너트 630 : 구동부
632 : 모터부 634 : 구동체인
1000 : 분진 집진기 1100 : 본체
1100 : 에어 호스 연결부 1200 : 상부 링
1300 : 하부 링 1310 : 분진 흡입공
1400 : 에어 호스 1500 : 분진 집진 수거통
P1 : 제1지지 플레이트 P2 : 제2지지 플레이트
P3 : 제3지지 플레이트 P4 : 제3지지 플레이트
B1 : 지지 브라켓 B2 : 연결 브라켓

Claims (8)

  1. 삭제
  2. 복수개의 알약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복수 개의 알약을 이송할 수 있도록 횡 방향으로 배열된 메인트랙을 포함하는 상부 이송부와, 그 상단부가 상기 메인트랙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트랙으로부터 공급되는 알약이 서로 다른 경로로 나뉘어져 이송될 수 있도록 각각 복수 개의 제1가이드레일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제1서브트랙을 포함하는 제1하부 이송부와, 그 상단부가 상기 제1서브트랙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서브트랙을 포함하는 제2하부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알약을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부; 및
    알약 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상기 이송부의 저면에서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내부가 관통된 제 1 관통홀을 갖는 원통 형상의 본체와,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 2 관통홀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이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링과,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 3 관통홀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3 관통홀이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관통홀 주변에는 분진을 흡입하는 복수의 분진 흡입공이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는 흡입한 분진을 분진 집진 수거통으로 이동시키는 에어 호스(air hose)와 연결된 에어 호스 연결부를 갖는 분진 집진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트랙, 제1서브트랙 및 제2서브트랙에는 각각 메인 흡입홀, 제1서브 흡입홀 및 제2서브 흡입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메인트랙, 제1서브트랙 및 제2서브트랙의 저면에서 분진을 흡입하며,
    상기 메인 흡입홀은 상기 메인트랙의 폭 방향으로 띠 모양을 형성하며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서브 흡입홀 및 제2서브 흡입홀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이송부 양측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흡입 파이프 및 제2흡입 파이프와, 상기 이송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제1흡입 파이프와 제2흡입 파이프를 연결하며 상기 알약의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 파이프와, 상기 연결 파이프 상에 설치되되 상기 연결 파이프와 내통하며 상기 메인 흡입홀, 제1서브 흡입홀, 제2서브 흡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욕조 형상의 흡입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가이더의 내측에 형성되는 석셕홈의 크기는 상기 흡입 가이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의 단면은 'V'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단은 그 하단보다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면 하단으로 알약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를 구비하며, 하부면이 상기 배출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급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공급호퍼의 배출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공급호퍼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상하 이동 플레이트와, 이 상하 이동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상하 이동 플레이트 조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로부터 낙하하는 알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관통블록과, 상기 관통블록의 저면에 결합되고 그 내측 상부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통합된 배출홈이 형성되는 유도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유도블록의 저면에는 배출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홈을 통과한 알약이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홈과 내통하는 배출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도블록의 일측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과 상기 가이드홈을 개폐하는 차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유도블록의 일측면에 결합된 체결 실린더와, 이 체결 실린더의 내부에서 슬라이딩가능한 이동 실린더와, 상기 이동 실린더의 전면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개폐하는 차단기와, 상기 체결 실린더에 결합되어 공기압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동력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동력 발생기(358)의 상부에는 적외선 센서부(359)가 형성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부(359)로부터 출광하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렌즈(359a)가 상기 적외선 센서부와 마주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KR1020130167194A 2013-12-30 2013-12-30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KR101569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194A KR101569404B1 (ko) 2013-12-30 2013-12-30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194A KR101569404B1 (ko) 2013-12-30 2013-12-30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098A KR20150078098A (ko) 2015-07-08
KR101569404B1 true KR101569404B1 (ko) 2015-11-16

Family

ID=5379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194A KR101569404B1 (ko) 2013-12-30 2013-12-30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4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14B1 (ko) 2008-08-21 2011-01-06 (주)제이브이엠 호퍼 청소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14B1 (ko) 2008-08-21 2011-01-06 (주)제이브이엠 호퍼 청소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098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673B1 (ko) 초고속 계수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KR101462675B1 (ko)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US8087509B2 (en)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articles to a packing machine
CN105109740B (zh) 物料电子计数投放入托装置
JP4237405B2 (ja) 集成体
US6311743B1 (en) Device for feeding tablets and the like to a packaging machine
US20080307757A1 (en) Device for Conveying Tablets
WO2020124751A1 (zh) 高速泡罩装盒一体机
KR20100107439A (ko) 생산품 공급 장치
WO2010097926A1 (ja) 粉粒体の定量排出設備
KR101569404B1 (ko) 분진 집진기 및 분진 집진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CN104859899B (zh) 振动式纽扣计数机
KR101462674B1 (ko) 클리닝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CN209142488U (zh) 一种隔离分区式格栅输送系统
CN205854669U (zh) 一种自动圆盘式自动数粒机
CN107284941A (zh) 用于自动输送泵头的装置
CN210480077U (zh) 多列药瓶转为单列药瓶的输送装置
US20120175221A1 (en) High Speed Diverter
KR102462583B1 (ko) 알약 포장장치
EP1586519A1 (en) Adjustable transfer unit which is used to transfer aligned, upright objects from a first conveyor to a second conveyor
KR101216534B1 (ko) 정제검사기용 정제 공급장치
CN109436436A (zh) 一种隔离分区式格栅输送系统
CN211002204U (zh) 一种多轨数粒机
CN217533415U (zh) 防积压高精准药瓶输送机
CN106516661B (zh) 理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