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533B1 - 봉지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봉지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533B1
KR100869533B1 KR1020070054435A KR20070054435A KR100869533B1 KR 100869533 B1 KR100869533 B1 KR 100869533B1 KR 1020070054435 A KR1020070054435 A KR 1020070054435A KR 20070054435 A KR20070054435 A KR 20070054435A KR 100869533 B1 KR100869533 B1 KR 100869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loader
moving
guide slo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혁
Original Assignee
최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혁 filed Critical 최인혁
Priority to KR102007005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20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봉지의 헤드에 형성된 홈부가 상하 방향으로 끼워지는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봉지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재되는 봉지적재부; 상기 봉지적재부의 길이 방향에 가로로 마련되고, 상기 봉지적재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구비한 로더; 상기 로더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봉지적재부 및 상기 로더를 경유하여 낙하한 상기 봉지를 작업테이블로 안내하는 안내슬롯을 구비한 로더지지부; 및 상기 로더지지부의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안내슬롯의 출구 쪽에 도달된 봉지를 상기 작업테이블로 이동시키는 봉지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자동화 시스템에 봉지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봉지, 봉지, 캡, 공급, 음료

Description

봉지 자동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a paper bag automatically}
도 1a는 일반적인 봉지의 헤드에 캡이 결합된 상태의 구조도,
도 1b는 도 1a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자동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전체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자동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 내지 9는 각각 봉지 자동 공급장치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봉지 3 : 헤드
3a : 홈부 5 : 캡
8 : 작업테이블 8a : 헤드걸림부
10 : 봉지적재부 11 : 레일
20 : 로더 21 : 결합부
22 : 차폐부 30 : 로더지지부
31 : 안내슬롯 32 : 지지컬럼
40 : 봉지이동부 50 : 로더이동부
본 발명은, 봉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자동화 시스템에 봉지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봉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인들이 즐겨 마시는 음료의 경우, 알루미늄 캔이나 플라스틱 용기, 혹은 종이 용기 등에 담겨 포장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봉지(1) 내에 충전되어 포장된 후에, 캡(5)으로 고정되기도 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봉지(1) 내에는 액상의 음료 외에도 젤(gel) 형태의 아이스크림 등이 충전되기도 한다.
이처럼 음료나 아이스크림 등의 포장 용도로 사용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봉지(1)는 주로,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된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봉지(1)가 공급되면, 봉지(1) 내에 음료나 아이스크림 등의 충전물이 봉지(1) 내로 투입되어 충전되고, 이어 캡(5)이 봉지(1)의 헤드(3)에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완성된 제품으로 출시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경우, 자동화 시스템이 구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봉지(1)의 공급은 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해 왔기 때문에 그 작업 효율이 저하 될 수밖에 없어 완전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의 한계로 인해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자동화 시스템에 봉지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봉지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봉지의 헤드에 형성된 홈부가 상하 방향으로 끼워지는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봉지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재되는 봉지적재부; 상기 봉지적재부의 길이 방향에 가로로 마련되고, 상기 봉지적재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구비한 로더; 상기 로더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봉지적재부 및 상기 로더를 경유하여 낙하한 상기 봉지를 작업테이블로 안내하는 안내슬롯을 구비한 로더지지부; 및 상기 로더지지부의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안내슬롯의 출구 쪽에 도달된 봉지를 상기 작업테이블로 이동시키는 봉지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자동 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더지지부에서 상기 안내슬롯이 형성된 면은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상기 로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봉지이동부는,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안내슬롯 과 상기 작업테이블의 헤드걸림부를 잇는 가상의 라인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안내슬롯의 출구 쪽에 위치된 봉지를 상기 헤드걸림부로 이동시키는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의 일측은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봉지적재부가 결합된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가 상기 안내슬롯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로더를 상기 로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더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더이동부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 상기 로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로더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랙기어; 상기 로더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더이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로더의 왕복이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왕복이동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더지지부의 하부에는 복수의 지지컬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그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의 하부에는 하부 개구를 차폐하는 차폐부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자동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전체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본 실시예의 봉지 자동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전체 자동화 시스템은, 원반 형상으로 회전하는 작업테이블(8)을 기준으로 총 6개의 스테이션(#1 ~ #6)을 형성한다.
이에, 작업테이블(8)이 60도씩 한바퀴 회전함으로써 도 1a와 같이 내부에 음료나 아이스크림 등의 충전물이 충전된 제품이 완성된다. 이에 대해 부연한다.
제1 스테이션(#1)에서는 내부가 빈 봉지(1)가 작업테이블(8)로 공급된다. 봉지(1)의 공급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봉지 자동 공급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제2 스테이션(#2)에서는 작업테이블(8) 상에 봉지(1)가 제대로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봉지(1)의 존재 여부는 도시 않은 센서에 의해 센싱된다. 제3 스테이션(#3)에서는 봉지(1)의 내부로 음료나 아이스크림 등의 충전물이 충전된다. 제4 스테이션(#4)에서는 캡(5)이 공급되어 봉지(1)의 헤드(3)에 가결합된다. 제5 스테이션(#5)에서는 캡(5)이 봉지(1)의 헤드(3)에 가결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6 스테이션(#6)에서는 캡(5)을 가압하여 캡(5)을 봉지(1)의 헤드(3)에 완전히 밀착 결합시킨다.
결국, 전체 자동화 시스템은, 작업테이블(8)이 60도씩 회전하는 것에 기인하여, 봉지(1) 공급(#1), 봉지(1) 공급 여부 검사(#2), 봉지(1) 내로 충전물 충전(#3), 봉지(1)의 헤드(3)에 캡(5)을 가결합(#4), 캡(5)의 가결합 여부 검사(#5) 및 봉지(1)의 헤드(3)에 캡(5)을 완전 결합(#6)의 스테이션을 거친 후 하나의 제품으로 출시된다.
물론, 이러한 작업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각 스테이션(#1 ~ #6)에 해당 스테 이션을 진행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결합되어 있어야 하나, 이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면, 작업테이블(8)로 봉지(1)를 공급하는 본 실시예의 봉지 자동 공급장치에 대해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봉지 자동 공급장치는 작업테이블(8)의 제1 스테이션(#1) 영역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자동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 내지 9는 각각 봉지 자동 공급장치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봉지 자동 공급장치는, 크게 봉지적재부(10), 로더(20), 로더지지부(30), 봉지이동부(40) 및 로더이동부(50)를 구비한다.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봉지적재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한글 "ㄷ"자 모양을 갖는 막대 형상을 이룬다. 전면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는데,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좌우 한 쌍의 레일(11)이 형성된다.
한 쌍의 레일(11)을 통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봉지(1)의 헤드(3)에 형성된 홈부(3a)가 상하 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봉지적재부(10)에 다수의 봉지(1)가 적재된다.
봉지적재부(10)는 로더(20)의 결합부(21)에 결합된다. 봉지적재부(10)의 상하부는 모두 개방되어 있으므로 봉지적재부(10)가 결합부(21)에 결합된 후에, 봉지적재부(10) 내의 봉지(1)들은 모두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적재부(10)는 봉지(1) 제조사에서 봉지(1)들이 모두 끼워진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보통이다. 도면에 보면, 로더(20)에 총 5개의 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지적재부(10) 역시 5개가 구비되어 총 5개의 결합부(21)에 하나씩 결합된다.
로더(20)는 봉지적재부(10)의 길이 방향에 가로로 마련되는 구조물이다. 로더(20)에는 앞서 기술한 봉지적재부(10)가 하나씩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총 5개의 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5개의 결합부(21)는 로더(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결합부(21)의 개수는 5개보다 많아도, 혹은 적어도 무방하다.
다수의 결합부(21) 모두는 그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부(21)에 봉지적재부(10)가 결합되면, 봉지적재부(10) 내의 봉지(1)가 자중에 의해 결합부(21)를 통과하여 낙하된다. 하지만, 실질적인 봉지(1)의 공급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결합부(2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곳에서만 진행되므로 실질적인 봉지(1)의 공급이 진행되는 어느 한 결합부(21)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결합부(21)의 하부 개구는 차폐될 필요가 있다.
이는 차폐부(22)가 담당한다. 차폐부(22)는 로더지지부(30) 측에 결합되어 봉지(1)의 공급이 진행되는 결합부(21)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결합부(21)의 하부 개구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로더지지부(30)는 로더(20)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로더지지부(30)는 실질적으로 본 실시예의 봉지 자동 공급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대략 사각 박스 형태로 제작되며, 로더지지부(30)의 하부에는 복수의 지지컬럼(32)이 구비되어 로더지지부(30)를 포함한 상부의 구조물들을 설치면에 대해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로더지지부(30)에는 봉지적재부(10)와 로더(20)의 결합부(21)를 경유하여 낙하한 봉지(1)를 작업테이블(8)의 헤드걸림부(8a)로 안내하는 안내슬롯(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로더지지부(30)에서 안내슬롯(31)이 형성된 면은 곡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봉지(1)가 봉지적재부(10)와 로더(20)의 결합부(21)를 통해 낙하될 때는 직선 방향으로 낙하되지만, 안내슬롯(31)을 따라 작업테이블(8)의 헤드걸림부(8a)로 이동될 때는 안내슬롯(31)의 곡면을 따라 이동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 자동 공급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봉지(1)는 안내슬롯(31)을 따라 우하귀 영역으로 완만하게 이동된 후에, 작업테이블(8)의 봉지걸림부(8a)로 향한다.
물론, 봉지(1)가 봉지적재부(10)와 로더(20)의 결합부(21)를 통해 직하방으로 낙하되고, 이어 안내슬롯(31)을 따라 곡면으로 안내되었다 하더라도 봉지(1) 스스로가 작업테이블(8)의 헤드걸림부(8a)로 이동될 수는 없다. 즉, 안내슬롯(31)의 출구 쪽에 도달된 봉지(1)는 별도의 수단에 의해 작업테이블(8)의 헤드걸림부(8a)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는 봉지이동부(40)가 담당한다.
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봉지이동부(40)에 대해 설명하면, 봉지이동부(40)는, 제1 모터(41)와, 제1 모터(41)에 결합되며, 안내슬롯(31)과 작업테이블(8)의 헤드걸림부(8a)를 잇는 가상의 라인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 내슬롯(31)의 출구 쪽에 위치된 봉지(1)를 헤드걸림부(8a)로 이동시키는 푸셔(42)를 포함한다. 이 때 푸셔(42)의 일측, 다시 말해 봉지(1)와 접촉되는 푸셔(42)의 일측은 곡면(42a)을 형성한다.
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적재부(10)와 로더(20)의 결합부(21)를 통해 직하방으로 낙하되고, 이어 안내슬롯(31)을 따라 곡면으로 안내되어 봉지(1)가 안내슬롯(31)의 출구 쪽에 도달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41)의 동작에 의해 푸셔(42)가 안내슬롯(31)과 작업테이블(8)의 헤드걸림부(8a)를 잇는 가상의 라인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서 그 일측에 형성된 곡면(42a)이 봉지(1)를 작업테이블(8) 측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안내슬롯(31)의 출구 쪽에 도달된 봉지(1) 하나는 작업테이블(8)의 봉지걸림부(8a)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로더(20)에는 봉지적재부(10)가 하나씩 결합되는 총 5개의 결합부(21)가 구비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작업테이블(8)로 봉지(1)를 안내하는 안내슬롯(31)은 한 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봉지적재부(10)들이 결합된 5개의 결합부(21)들 중에 하나를 안내슬롯(31) 쪽으로 이동시켜 봉지적재부(10), 결합부(21) 및 안내슬롯(31)이 하나의 인라인(IN-LINE)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로더(20)나 로더지지부(30) 중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이동되어야 한다.
하지만, 로더지지부(30)는 주변 구조물들을 지지하고 있는 몸체에 해당하고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로더(20)를 로더(20)의 길이 방향 을 따라 이동시키는 방안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로더이동부(50)가 구비된다.
로더이동부(50)는 봉지적재부(10)가 결합된 5개의 결합부(21)가 위치 고정된 안내슬롯(31)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로더(20)를 로더(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로더이동부(50)는, 제2 모터(51)와, 제2 모터(51)의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2)와, 로더(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로더(20)에 결합되어 피니언기어(52)와 치형 맞물림되는 랙기어(53)와, 로더(20)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센서(54)와, 위치센서(54)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모터(5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에, 5개의 결합부(21)에 각각 결합된 어느 한 봉지적재부(10) 내의 봉지(1)가 모두 소진된 경우(도 9에는 맨 우측의 결합부(21)에 결합된 봉지적재부(10) 내의 봉지(1)가 소진되었음), 제어부는 제2 모터(51)를 제어하여 그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2)를 몇 바퀴 혹은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다.
제2 모터(51)에 의해 피니언기어(52)가 회전하면 피니언기어(52)에 치형 맞물림된 랙기어(53)가 랙기어(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어 랙기어(53)와 결합된 로더(20)가 랙기어(53)를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된다. 물론, 랙기어(53)에 의한 로더(20)의 이동 거리는 위치센서(54)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로더(20)는 위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되 봉지적재부(10) 내의 봉지(1)가 모두 소진된 결합부(21)의 바로 옆 결합부(21)가 안내슬롯(32)의 위치로 이동될 때 까지만 이동한 후, 즉, 봉지적재부(10), 결합부(21) 및 안내슬롯(31)이 하나의 인라인(IN-LINE)이 형성되도록 한 후, 그 위치에서 이동이 정지되고 다시 봉지(1)의 공급 과정이 진행된다(도 5 및 도 9 참조).
한편, 도 5 및 도 9와 같이, 로더이동부(50)를 통해 봉지(1)의 공급에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와중에, 로더(20)가 한쪽 끝으로 완전히 이동되고 나면, 다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를 감지하기 위해 왕복이동 감지부(58)가 구비된다. 왕복이동 감지부(58)는 로더이동부(50)의 양쪽 끝에 하나씩 결합되어 로더(20)의 왕복이동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러한 왕복이동 감지부(58)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봉지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다수의 봉지(1)가 적재된 봉지적재부(10)를 5개의 결합부(21) 모두에 결합시킨다. 도 3에는 편의를 위해 하나의 봉지적재부(10)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다.
5개의 결합부(21)에 다수의 봉지(1)가 적재된 봉지적재부(10)가 모두 결합되고 나면, 이어 봉지(1)의 공급이 진행된다.
도 5와 같이, 로더(20)의 오른쪽 끝에서부터 봉지(1)의 공급이 진행된다고 가정한다. 물론, 로더(20)의 오른쪽 끝의 결합부(21)는 안내슬롯(31)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며, 따라서 봉지적재부(10), 결합부(21) 및 안내슬롯(31)이 하나의 인라인(IN-LINE)을 형성한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봉지(1)는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봉지적재부(10)와 로더(20)의 결합부(21)를 통해 직하방으로 낙하되고, 이어 안내슬롯(31)을 따라 곡면으로 안내되어 봉지(1)가 안내슬롯(31)의 출구 쪽에 도달된다.
도 7과 같이, 봉지(1)가 안내슬롯(31)의 출구 쪽에 도달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41)의 동작에 의해 푸셔(42)가 안내슬롯(31)과 작업테이블(8)의 헤드걸림부(8a)를 잇는 가상의 라인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서 그 일측에 형성된 곡면(42a)이 봉지(1)를 작업테이블(8) 측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안내슬롯(31)의 출구 쪽에 도달된 봉지(1) 하나는 작업테이블(8)의 봉지걸림부(8a)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봉지(1)가 작업테이블(8)의 봉지걸림부(8a)로 이동되면, 작업테이블(8)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60도 회전하고, 이어 다음의 봉지걸림부(8a)로 새로운 봉지(1)가 다시 공급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봉지(1)의 공급 과정 중에, 만약 도 5에 도시된 로더(20)의 오른쪽 끝의 결합부(21) 내에 결합된 봉지적재부(10) 내의 봉지(1)가 모두 소진된 경우, 제어부는 제2 모터(51)를 제어하여 그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2)를 몇 바퀴 혹은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다.
제2 모터(51)에 의해 피니언기어(52)가 회전하면 피니언기어(52)에 치형 맞물림된 랙기어(53)가 랙기어(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어 랙기어(53)와 결합된 로더(20)가 랙기어(53)를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된다.
물론, 랙기어(53)에 의한 로더(20)의 이동 거리는 위치센서(54)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로더(20)는 위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되 봉지적재부(10) 내의 봉지(1)가 모두 소진된 결합부(21)의 바로 옆 결합부(21)가 안내슬롯(32)의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다시 말해 도 5에서 도 9의 상태가 될 때까지만 이동한 후, 그 위치에서 이동이 정지된다. 그리고는 도 9의 위치에서 다시 전술한 방법대로 봉지(1)의 공급이 진행된다.
만약, 이러한 과정이 로더(20)의 왼쪽 끝까지 모두 진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왕복이동 감지부(58)의 감지에 의해 제어부는 다시 반대 방향으로 로더(20)를 이동시키면서 봉지(1)의 공급을 진행하게 된다.
물론, 로더(20)가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봉지(1)의 공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5개의 결합부(21)에 봉지(1)를 구비한 새로운 봉지적재부(10)를 다시 결합시켜 놓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체 자동화 시스템에 봉지(1)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자동화 시스템에 봉지를 자 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봉지의 헤드에 형성된 홈부가 상하 방향으로 끼워지는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봉지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재되는 봉지적재부;
    상기 봉지적재부의 길이 방향에 가로로 마련되고, 상기 봉지적재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구비한 로더;
    상기 로더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봉지적재부 및 상기 로더를 경유하여 낙하한 상기 봉지를 작업테이블로 안내하는 곡면 형태의 안내슬롯을 구비한 로더지지부; 및
    상기 로더지지부의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안내슬롯의 출구 쪽에 도달된 봉지를 상기 작업테이블로 이동시키는 봉지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이동부는,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안내슬롯과 상기 작업테이블의 헤드걸림부를 잇는 가상의 라인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안내슬롯의 출구 쪽에 위치된 봉지를 상기 헤드걸림부로 이동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자동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일측은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자동 공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적재부가 결합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안내슬롯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로더를 상기 로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더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자동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이동부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
    상기 로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로더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랙기어;
    상기 로더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자동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이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로더의 왕복이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왕복이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자동 공급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54435A 2007-06-04 2007-06-04 봉지 자동 공급장치 KR100869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435A KR100869533B1 (ko) 2007-06-04 2007-06-04 봉지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435A KR100869533B1 (ko) 2007-06-04 2007-06-04 봉지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533B1 true KR100869533B1 (ko) 2008-11-19

Family

ID=4028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435A KR100869533B1 (ko) 2007-06-04 2007-06-04 봉지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5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5175A (en) * 1989-02-06 1990-09-11 Mobil Oil Corporation Two-stage box pusher for carton indexer
KR200177249Y1 (ko) * 1994-10-06 2000-04-15 김영환 디바이스 로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5175A (en) * 1989-02-06 1990-09-11 Mobil Oil Corporation Two-stage box pusher for carton indexer
KR200177249Y1 (ko) * 1994-10-06 2000-04-15 김영환 디바이스 로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7426B2 (en) Installation for palleting combined with secure access
JP2008518854A (ja) 流動可能なダンネージの自動分配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054906A (ko) 로터리형 배깅 포장기
EP0576958B1 (en) LP gas filling equipment
CN109279309A (zh) 一种饮料瓶的定向整理码放装置
JP6317426B2 (ja) 移送装置および対応する移送方法
US68630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liquid containers
KR20160115198A (ko) 액상 내용물 주입 포장장치
KR20160142933A (ko) 보빈용 자동 진공 포장장치
CN109544787A (zh) 面盒传输自动摆正方法
KR200293799Y1 (ko) 종이컵 자동 포장기의 구조
KR101008348B1 (ko) 패키지 포장장치
KR100869533B1 (ko) 봉지 자동 공급장치
CN106864846A (zh) 瓶体自动套袋机
JP2007330411A (ja) 錠剤容器詰機
CN212639022U (zh) 一种灌装机用理瓶机
KR101946895B1 (ko) 제약용기의 완충망 삽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349982B (zh) 用于对物品进行运输和质量测定的装置
US20220153465A1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KR101300385B1 (ko) 액체용기의 팩킹장치
KR101594582B1 (ko) 어류 계량 및 포장장치
US6929115B2 (en) System for height adjustment of a station for feeding items in a particular machine
KR200475253Y1 (ko) 분체 포장용 분진방지 및 정량포장을 위한 체인구동 승하강장치
KR20200132268A (ko) 과일 적재 시스템
KR101959993B1 (ko) 물품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완충재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