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631B1 -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 - Google Patents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631B1
KR101329631B1 KR1020130017177A KR20130017177A KR101329631B1 KR 101329631 B1 KR101329631 B1 KR 101329631B1 KR 1020130017177 A KR1020130017177 A KR 1020130017177A KR 20130017177 A KR20130017177 A KR 20130017177A KR 101329631 B1 KR101329631 B1 KR 101329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rope
support
fall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복환
Original Assignee
(주)화천알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천알엔씨 filed Critical (주)화천알엔씨
Priority to KR102013001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04H17/1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the wire being placed in slots, groov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4Connections for attaching additional wire to frames, posts or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지주 부분에서 완충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모든 곳에 낙석이 추락하더라도 완충력을 통해 낙석의 추락을 막고 지주 등의 파손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는, 전후방의 제1,2수평부(11,12), 상기 제1,2수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진 H 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수평부 중에서 사면을 향하는 제1수평부에 다단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사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10)와; 상기 지주에 각각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다단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로프(20)와; 상기 지주들의 사이에 종방향을 배열되면서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처짐방지구(60)와; 상기 로프에 고정되는 낙하물 지지망(1)과; 상기 로프를 상기 지주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하여 낙하물의 충돌시 상기 로프가 뒤로 밀리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지주의 사면측에 다단으로 배치되면서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로프를 지지하는 다수의 완충 채널(30), 상기 지주와 상기 완충 채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채널을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낙석으로부터 전가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스프링, 상기 지주에 너트(42)로 체결되어 상기 완충 채널과 상기 완충스프링을 상기 지주에 고정하는 완충볼트(41)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채널(30)은 상기 완충볼트(41)가 관통되는 체결공(31a)이 구비된 판상의 본체(31), 상기 본체(31)의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로프(20)가 삽입 지지되는 로프홈(32a)이 구비된 로프 지지턱(32)으로 구성되고, 상기 로프는 상기 완충 채널의 로프홈에 삽입되면서 후크볼트(21)와 너트(22)를 통해 상기 완충 채널에 텐션 조정이 가능하도록 배선된다.

Description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FALLEN SHUT OUT ABSORPTION TYPE NET}
본 발명은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지주 부분에서 완충력을 발생하여 낙하물로부터 가해지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고 지주 등의 파손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낙석방지책은 도로 옆에 설치된 옹벽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된 포스트에 가로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한 다음 와이어의 양단을 포스트에 고정하고, 그 포스트와 와이어 배후에 철망을 설치하여 비탈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낙석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낙석방지책은 비탈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낙석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포스트가 낙석에 의해 휘거나 와이어가 파단되면서 낙석이 도로로 유입되어 통행을 지연시키는 것은 물론 낙석에 의한 교통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낙석의 낙하시 낙석으로부터 가해지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형 낙석방지책이 제안된 바 있다.
종래 완충형 낙석방지책은 로프의 양측에 완충수단(스프링)이 설치되며, 낙석의 추락시 상기 완충수단의 완충력에 의해 로프가 이완되면서 완충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즉, 종래 완충형 낙석방지책은 로프의 양측에서만 로프의 모든 곳에 가해지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완충력이 매우 약하고, 한 곳에 낙석이 추락하여 상기 완충수단이 이완된 상태에서 다른 곳에 낙석이 추락하는 경우 상기 완충수단의 완충력이 이미 없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완충하지 못하여 지주 등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105087호 등록특허 제10-0566952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8779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지주 부분에서 완충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모든 곳에 낙석이 추락하더라도 완충력을 통해 낙석의 추락을 막고 지주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는, 전후방의 제1,2수평부, 상기 제1,2수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H 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수평부 중에서 사면을 향하는 제1수평부에 다단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사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에 각각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다단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로프와; 상기 로프를 상기 지주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하여 낙하물의 충돌시 상기 로프가 뒤로 밀리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지주의 사면측에 다단으로 배치되면서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로프를 지지하는 다수의 완충 채널과; 상기 지주의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완충 채널을 상기 지주에 체결하는 완충봉과; 상기 지주의 제1수평부와 상기 완충 채널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완충봉에 끼워지며 상기 완충 채널과 완충봉이 외력에 의해 상기 로프와 함께 뒤로 밀리도록 하여 완충하는 완충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에 의하면, 다수 또는 모든 지주에 설치된 완충수단에 의해 여러 곳에 낙석이 추락하여도 낙석의 추락 지점과 근접되는 곳에서 완충력을 발생하여 낙석의 추락을 막고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지주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볼트가 H형 지주의 제1,2수평부를 관통하여 완충구간을 더 길게함으로써 완충력을 증대하여 완충에 의한 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에 적용된 완충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에 적용된 완충 채널과 로프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에 적용된 완충 볼트가 지주의 제1,2수평부를 관통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에 처짐방지구가 적용된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에 적용된 완충스프링의 다른 설치예.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를 보인 도면.
<실시예 1>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는, 다수의 지주(10), 지주(10)에 각각 횡방향이면서 다단으로 배열되며 낙하물 지지망을 지지하는 다수의 로프(20), 로프(20)를 지주(10)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수단으로 구성된다.
지주(10)는 전후방의 제1,2수평부(11,12), 제1,2수평부(11,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진 H 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지주(10)는 제1,2수평부(11,12) 중에서 사면을 향하는 제1수평부(11)에 다단으로 관통공(14)이 형성된다. 관통공(14)은 완충수단의 후술하는 완충볼트가 관통되는 구멍이다.
로프(20)는 낙석 방지책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품이 사용되며, 하나 이상이 상기 완충수단을 통해 지지되고, 다수의 로프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단으로 설치된다.
로프(20)는 일정 경간을 단위로 하여 다수개가 연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때,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는 각각 완충수단을 통해 완충 거동 가능한 구조일 수 있고, 또는 유연성과 신축성이 있는 재질도 가능하다.
상기 완충수단은 로프(20)를 지주(10)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하여 낙하물의 충돌시 로프(20)가 뒤로 밀리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으로, 지주(10)에 다단으로 배열된다.
상기 완충수단은 로프(20)를 지지하는 것으로, 낙하물의 크기가 다양한 점을 감안하여 하나 이상의 로프(20)가 서로 독립적으로 완충 거동하도록 구성된다. 왜냐하면, 다단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로프(20)와 하나의 완충수단으로 연결된다면 작은 낙하물이 떨어지더라도 완충과 상관없은 부분에서 완충수단의 변형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2라인의 로프(20)가 하나의 완충수단에 지지되어 함께 완충 거동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한다. 즉, 하나의 완충수단과 2라인의 로프(20)가 한 셋트를 구성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완충수단은, 로프(20)를 지지하는 완충 채널(30), 완충 채널(30)을 지주에 체결하는 완충봉(40), 탄성력에 의해 완충 채널(30)과 완충봉(40)을 지지하여 낙하물에 의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완충 채널(30)은 완충봉(40)의 완충볼트(41)가 관통되는 체결공(31a)이 구비된 판상의 본체(31), 본체(31)의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로프(20)가 지지되는 로프홈(32a)이 구비된 로프 지지턱(32)으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완충볼트(41)가 완충 채널(30)의 외부에서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완충볼트(41)는 지주(10)의 제1,2수평부(11,12) 사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완충 채널(30)과 결합될 수도 있다.
로프(20)의 지지구조는 예컨대, 완충 채널(30)에 관통되며 로프(20)를 지지하는 후크볼트(21), 완충 채널(30)의 배면에서 후크볼트(21)에 나사 체결되어 후크볼트(21)를 고정하는 너트(22)로 이루어진 로프 고정구를 통해 지지된다.
완충봉(40)은 2개의 나사부를 갖는 U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부가 각각 완충 채널(30)의 체결공(31a)에 체결되면서 지주(10)의 제1수평부(11)의 관통공(14)에 관통되는 U형상의 완충볼트(41), 지주(10)의 제1수평부(11)의 관통공(14) 뒤쪽에서 완충볼트(41)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42)로 구성된다.
완충볼트(41)는 상기 나사부가 종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완충 채널(30)에 한 개 이상, 바람직하게 2개[지주(10)의 연결부(13)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측 2개소]가 설치된다.
완충스프링(50)은 지주(10)의 제1수평부(11)와 완충 채널(30) 사이에 개재되면서 완충볼트(41)에 끼워지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 완충 채널(30)과 완충볼트(41)를 탄력 지지한다. 즉, 완충스프링(50)은 낙하물의 추락시 탄성 변형되면서 낙하물로부터 가해지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한다.
완충스프링(50)은 형상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완충 볼트(41)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한정되지 않고, 판스프링, 블록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지주(10)의 제2수평부(12)가 막힌 구조이기 때문에 완충볼트(41)의 단부가 제2수평부(12)를 관통하지 못하며, 즉, 지주(10)의 제1,2수평부(11,12) 사이의 간격만이 완충구간이다. 즉, 제1,2수평부(11,12) 사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완충력이 약한 단점이 있으며, 완충력을 보다 증대하기 위하여 도 6에서처럼, 지주(10)의 제2수평부(12)에는 제1수평부(11)의 관통공(14)과 동일한 관통공(15)이 형성되며, 완충볼트(41)의 나사부는 제1,2수평부(11,12)의 관통공(14,15)을 관통한다.
한편, 지주(10)들의 사이에서 로프(20)의 처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지주(10)로부터 먼 곳에서도 로프(20)가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처짐방지구(60)(도 7)가 적용된다.
처짐방지구(60)는 전술한 완충 채널(30)과 동일한 구조이면서 동일한 방식(후크볼트)을 통해 로프(20)를 팽팽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는 낙하물 지지망(1, 그물 구조)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낙하물 지지망은 로프(20)에 타이 밴드, 철사 등으로 통해 묶여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는 사면과 도로의 경계, 사면의 중앙 등 다양한 곳에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의 로프(20)의 길이방향의 양쪽 끝에는 완충스프링(50)에 의한 완충 작용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도록 완충부재(U 형 내지 사행형상으로 벤딩된 판스프링, 코일스프링 등)가 설치된다. 즉,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의 양쪽 끝 사이에서 낙석이 발생되는 경우 완충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때 상기 완충부재가 로프(20)의 양쪽에서 탄성변형되면서 로프(20)의 단선과 파손을 막게 된다. 이는 종래와 동일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과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의 (A) 상태는 낙하물이 낙하하지 않은 평상시 상태이며, 완충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로프(20)는 지주(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낙하물의 충돌시 도 3과 도 4의 (B) 상태와 같이 낙하물의 충돌 하중에 의해 완충스프링(50)이 탄성 변형되어 완충봉(40)이 완충 채널(30) 및 로프(20)와 함께 뒤쪽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완충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충돌에너지가 감쇄되고 낙하물의 낙하가 지연된다. 따라서, 지주(10)에는 낙하물의 충돌에너지가 거의 전달되지 않으므로 지주(10)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 완충 볼트(41)가 유볼트로 구성되지 않고 통상적인 직선형 볼트이다. 완충볼트(41)는 하나의 완충스프링(50)에 각각 관통되면서 지주(10)에 너트(41)로 체결되는데, 너트(42)는 제2수평부(12)의 뒤쪽에서 체결되어 완충구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도 10과 도 11처럼, 낙하물 지지망(1-1,1-2)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2단으로 설치되어 완충 능력을 배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나의 완충볼트(41)에 지주(10)에서부터 제1완충스프링(50-1), 제1완충채널(30-1), 제1로프(20-1), 제1낙하물 지지망(1-1), 제2완충스프링(50-2), 제2완충채널(30-2), 제2로프(20-2), 제2낙하물 지지망(1-2)이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2완충스프링(50-1,50-2)과 제1,2낙하물 지지망(1-1,1-2) 등의 구성을 통해 2단으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낙석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실시예 2>
도 12 내지 도 1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는, 완충스프링(50)이 판형 스프링으로서 완충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행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양측이 각각 체결구(51,52)를 통해 지주(10)와 완충채널(30)에 고정되는데 특징이 있고,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은 완충볼트(41)가 완충스프링(50)을 관통하여 조립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지만, 본 실시예는, 완충스프링(50)이 지주(10)와 완충채널(30)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4와 도 15에서 보이는 것처럼, 낙하물 지지망(1-1,1-2)이 2단으로 설치될 수 있고, 제1,2완충스프링(50-1,50-2)은 각각 지주(10)와 제1완충채널(30-1)의 사이, 제1,2완충채널(30-1,30-2)의 사이에 개재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고정된다.
10 : 지주, 11,12 : 제1,2수평부
13 : 연결부, 14,15 : 관통공
20 : 로프, 21 : 후크볼트
22 : 너트, 30 : 완충 채널
40 : 완충봉, 41 : 완충볼트
42 : 너트, 50 : 완충스프링

Claims (10)

  1. 전후방의 제1,2수평부(11,12), 상기 제1,2수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진 H 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수평부 중에서 사면을 향하는 제1수평부에 다단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사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10)와;
    상기 지주에 각각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다단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로프(20)와;
    상기 지주들의 사이에 종방향을 배열되면서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처짐방지구(60)와;
    상기 로프에 고정되는 낙하물 지지망(1)과;
    상기 로프를 상기 지주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하여 낙하물의 충돌시 상기 로프가 뒤로 밀리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지주의 사면측에 다단으로 배치되면서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로프를 지지하는 다수의 완충 채널(30),
    상기 지주와 상기 완충 채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채널을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낙석으로부터 전가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스프링,
    상기 지주에 너트(42)로 체결되어 상기 완충 채널과 상기 완충스프링을 상기 지주에 고정하는 완충볼트(41)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채널(30)은 상기 완충볼트(41)가 관통되는 체결공(31a)이 구비된 판상의 본체(31), 상기 본체(31)의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로프(20)가 삽입 지지되는 로프홈(32a)이 구비된 로프 지지턱(32)으로 구성되고,
    상기 로프는 상기 완충 채널의 로프홈에 삽입되면서 후크볼트(21)와 너트(22)를 통해 상기 완충 채널에 텐션 조정이 가능하도록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 채널 및 로프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이 설치되어, 상기 낙하물 지지망이 상기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 채널 및 로프를 통해 2단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17177A 2013-02-18 2013-02-18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 KR101329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177A KR101329631B1 (ko) 2013-02-18 2013-02-18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177A KR101329631B1 (ko) 2013-02-18 2013-02-18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631B1 true KR101329631B1 (ko) 2013-11-14

Family

ID=4985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177A KR101329631B1 (ko) 2013-02-18 2013-02-18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6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7494A1 (fr) * 2016-02-09 2017-08-11 Geotechnique Et Travaux Speciaux Barriere pare-avalanche
KR102641969B1 (ko) * 2023-04-18 2024-02-28 수성건설(주)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5Y1 (ko) * 2002-09-27 2003-01-06 최복환 도로용 가이드 레일
KR20090084420A (ko) * 2008-02-01 2009-08-05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가드레일
KR101141365B1 (ko) * 2009-03-20 2012-05-03 최희택 충격 흡수부재가 구비된 낙석 방지책 및 가드 케이블
KR101198710B1 (ko) * 2012-01-30 2012-11-16 고주재 충격흡수형 낙석방지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5Y1 (ko) * 2002-09-27 2003-01-06 최복환 도로용 가이드 레일
KR20090084420A (ko) * 2008-02-01 2009-08-05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가드레일
KR101141365B1 (ko) * 2009-03-20 2012-05-03 최희택 충격 흡수부재가 구비된 낙석 방지책 및 가드 케이블
KR101198710B1 (ko) * 2012-01-30 2012-11-16 고주재 충격흡수형 낙석방지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7494A1 (fr) * 2016-02-09 2017-08-11 Geotechnique Et Travaux Speciaux Barriere pare-avalanche
KR102641969B1 (ko) * 2023-04-18 2024-02-28 수성건설(주) 건설현장 추락방지용 안전망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795B1 (ko) 압축식 충격흡수형 와이어 결속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90176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의 완충형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공법
KR101209897B1 (ko) 도로 가이드레일의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이드 레일 조립체
KR101329631B1 (ko) 낙하물 차단 흡수형 네트
JP6934768B2 (ja) 防護柵
JP5830747B2 (ja) 防護柵
JP2020117930A (ja) 防護柵
JP5557166B2 (ja) 防護柵
KR102149111B1 (ko)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JP3668964B2 (ja) 防護柵
JP5414555B2 (ja) 防護柵
JP2014227745A (ja) 落石等の防護装置
CN111997071A (zh) 一种主被动网结合柔性防护装置
JP4213839B2 (ja) 緩衝装置およびこの緩衝装置を備えた防護柵
KR101149807B1 (ko) 낙석 차단용 와이어로프의 충격흡수를 위한 결속장치
KR100610391B1 (ko) 충격에너지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JP2001107321A (ja) ポケット式覆網落石防止工法
RU174996U1 (ru) Барьерное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автодорог
KR20150031259A (ko) 파이프형 에너지 소산 장치가 부설된 낙석방지 울타리
KR101475733B1 (ko) 에너지 소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 울타리
CN212270977U (zh) 一种主被动网结合柔性防护装置
KR100471375B1 (ko) 완충식 낙석 방지 공법, 낙석 방지망, 및 단부 완충구
JP2002322616A (ja) 防護ネット及び防護柵
JP6979838B2 (ja) 緩衝装置及び落石防護装置
JP2019085692A (ja) 防護施設及びエネルギー吸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