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848B1 - 다단식 철근받침대 - Google Patents

다단식 철근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848B1
KR101973848B1 KR1020170042143A KR20170042143A KR101973848B1 KR 101973848 B1 KR101973848 B1 KR 101973848B1 KR 1020170042143 A KR1020170042143 A KR 1020170042143A KR 20170042143 A KR20170042143 A KR 20170042143A KR 101973848 B1 KR101973848 B1 KR 101973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einforcing bar
bracket
roo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330A (ko
Inventor
김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원
Priority to KR102017004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84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식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브 시공시 내부에 격자형태로 배근되는 상부근과 하부근을 상호 적정한 간격을 조절 후 받쳐 고정하고, 더불어 콘크리트를 적정한 높이로 고르게 타설될 수 있도록 바닥받침부와 그 바닥받침부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와 그 서포트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브라켓과 그 하부브라켓 전방에 안착되어 하부근을 지지하는 하부근받침구와 상기 서포트 상측에 배치되어 상부근을 지지하는 상부브라켓으로 구성된 은 다단식 철근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단식 철근받침대{Multi-stage supporter for reinforcing bar}
본 발명은 다단식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브 시공시 내부에 격자형태로 배근되는 상부근과 하부근을 상호 적정한 간격을 조절 후 받쳐 고정하고, 더불어 콘크리트를 적정한 높이로 고르게 타설되도록 하는 다단식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유로폼)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외부의 하중을 콘크리트 슬라브 벽체가 버틸 수 있도록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해당층을 형성하고, 이 과정을 반복하여 건물을 완공하게 된다.
상기 철근은 대체로 한 쌍을 교차시켜 격자형태를 이루게 구비되고, 이렇게 교차된 철근은 거푸집 중앙에 배열되는 상부근이거나, 또는 거푸집 상부에 배열되는 상부근과 적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에 배열되는 하부근으로 각각 구비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에 매립시킴으로써, 슬라브의 뼈대역할을 수행하여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철근은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철근이 거푸집 바닥면과 닿지 않고 이격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 지지하도록 하는 철근받침대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철근을 받치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철근받침대는 특허등록번호 제1220235호(명칭: 철근받침대)와 같이 상부에 교차한 상부근을 지지하는 구성이 공개되었고, 또는 상부근과 하부근을 동시에 지지하는 구성으로 특허등록번호 제914045호(명칭:철근 받침대)가 공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철근받침대의 재질은 화학소재인 합성수지(플라스틱)로 이루어져 콘크리트와 친화력부재로 인한 콘크리트 건물에 크랙을 발생시키고, 또한 열에 취약하여 화제 시 철근받침대가 녹으면서 발생하는 검은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와 더불어 나아가 지구촌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주범이 되고 있다.
또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철근받침대는 경량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압력에 의해 전복된 경우 작업중에는 이를 바로 세우기가 매우 곤란하여 그 상태로 시공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와의 친화력부재로 인한 크랙은 현재 세계각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진의 작은 리히터 규모에도 쉽게 건물을 붕괴시키게 됨으로써, 건축물의 내구성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대에는 건축물의 사용처에 따라 내진성 및 층간소음 방지를 위하여 슬라브의 두께를 달리 구성되는데 종래의 철근받침대는 정해진 위치에서만 상,하부근을 지지하게 구성되어 사용에 한계가 따르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하부근의 고정 높이를 달리 형성한 별도의 철근받침대를 생산해야 함으로써,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적정한 높이를 작업자가 파악하기 위해서 별도의 레벨봉을 상부근에 고정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도 동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철근받침대를 고열에 견딜 수 있도록 하여 화재 시 유해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고, 배근되는 상,하부근을 슬라브의 두께 따라 간격을 적절히 조절가능하게 하며, 콘크리트의 타설높이를 작업자 쉽게 파악하여 평탄한 콘크리트 슬라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환봉을 사각형으로 형성시켜 이루어진 바닥받침부와, 상기 바닥받침부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를 관통하는 구멍이 양측에 각각 형성된 베이스와,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에 하단이 각각 삽입 설치되고, 상기 나선에 체결되는 너트가 베이스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고정되는 서포트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서포트가 각각 관통하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하부에 제1승강너트가 배치되며, 상부에 제1고정너트가 배치되고, 일단 상부에 오목한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하부브라켓과, 상기 이탈방지홈에 안착되어 하부근을 받치도록 구비된 하부근받침구와, "ㄴ"형상으로 형성되어 높은 일단 상면에 상부근을 받치도록 상부근받침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상기 한 쌍의 서포트가 관통하도록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그 구멍 상부에 제2승강너트가 배치되고, 하부에 제2고정너트가 배치되는 상부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는 상하로 분할시켜 상부서포트와 하부서포트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서포트와 나선 체결되는 연결소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받침부의 네모서리에는 나선체결 되는 수평조절볼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브라켓의 양측에는 상부근이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브라켓의 바닥면에는 너트와 체결되는 나선에 의해 승강 고정되는 레벨봉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받침대를 금속으로 형성시켜 고열에 강하면서도 자체 중량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시 임의로 전복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근만을 상부브라켓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부근과 하부근을 동시에 설치가능함으로써, 슬라브의 내구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서포트의 나선을 따라 승강하는 상,하부브라켓에 의해 상,하부근의 적정한 간격으로 조절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받침부의 네모서리 부분에 수평조절볼트를 구성함으로써, 불규칙한 바닥면에 설치되는 철근받침대를 수평조절볼트로 조절하여 수평상태를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브라켓 양측에 스토퍼를 구성함으로써, 상부근이 양측으로 벗어나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브라켓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벨봉을 구성함으로써, 작업시간은 단축하고 동일한 콘크리트 타설 높이로 평탄한 수평을 이루는 레벨링공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철근받침대를 환봉으로 제작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철근받침대 전체를 감싼 매립시킴으로써, 친화력에 의해 견고한 접착력으로 콘크리트의 크랙 발생을 예방하여 내진설계에 적합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받침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근을 받쳐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근을 받쳐 지지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근을 받쳐 지지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준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철근받침대(1)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크게, 바닥받침부(10)와, 그 바닥받침부(10)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20)와, 그 베이스(20)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30)와, 그 서포트(30) 하측에 나선체결되는 하부브라켓(40)과, 그 하부브라켓(40) 전방에 안착되는 하부근받침구(50)와, 상기 서포트(30) 상측에 나선체결되는 상부브라켓(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받침부(10)는 철근받침대(1)를 거푸집 바닥에서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원형의 환봉을 사각형상으로 형성시켜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환봉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외부와 내부로 흘러들어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받침부(10)의 네모서리에는 나사구멍(12)이 형성된 판체를 용접으로 고정하고, 그 나사구멍(12)과 수평조절볼트(11)가 나선 체결된다. 이렇게 설치된 수평조절볼트(11)를 회전시키면 바닥받침부(10)로 수평조절볼트(11)의 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거푸집 바닥면이 평탄하지 않을 경우 밸런스를 맞춰 철근받침대(1)의 수평상태를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20)는 바닥받침부(10) 상부에 고정되어 바닥받침부(10)의 하부와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받침부(10)의 상부 중앙에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지지봉(21)을 용접으로 고정한 후, 그 지지봉(21)의 상부와 베이스(20)를 용접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내부에 공간이 있는 바닥받침부(10)로부터 베이스(20)가 이격 설치되어 후술할 서포트(30)를 고정하는 하부측 너트(34)가 수용되는 공간 확보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봉(21)에 베이스의 전,후방이 각각 걸려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전,후방을 하방향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20)의 상부에는 관통하는 한 쌍의 구멍(22)이 적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서포트(30)가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30)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원형의 봉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베이스(20)의 양측 구멍에 한 쌍의 서포트(30)의 하단이 각각 삽입한 후, 베이스(20) 하부와 상부를 밀착하는 너트(34)가 체결되어 베이스(20)에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30)가 길게 형성될 수 있지만 그렇게 형성되면 후술할 상,하부브라켓(40)(60)의 설치 및 고정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소요되고, 또한 서포트(30)의 길이를 확장 및 축소 불가능함으로써,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포트(30)를 상부와 하부로 분할시켜 상부서포트(31)와 하부서포트(3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분할된 상부서포트(31)와 하부서포트(32)를 연결하기 위해서 비교적 길이를 갖는 몸체 내부에 나선이 형성된 연결소켓(33)이 구성된다.
상기 길이를 갖는 연결소켓(33)에 상,하부서포트(31)(32)가 나선 체결되면 그 길이만큼 내부에서 승강 가능함으로써, 전체 서포트(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하부브라켓(40)은 한 쌍의 서포트(30)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써, 상면에 상기 서포트(30)가 삽입 관통하도록 구멍(42)이 형성되고, 그 구멍(42)의 하부에 서포트(30)와 나선체결되는 제1승강너트(43)가 배치되어 하부브라켓(40)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는 동시에 임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며, 상부에는 제1승강너트(43)로 하부브라켓(40)을 밀착 고정하는 제1고정너트(44)가 서포트(30)와 나선 체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브라켓(40)은 일단에 상부가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이탈방지홈(41)이 형성되어, 그 이탈방지홈(41)에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원형봉으로 형성된 하부근받침구(50)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하부근받침구(50)의 중앙에 하부근(110)이 안착됨으로써, 거푸집 바닥면으로부터 하부근(110)을 이격된 상태로 배근할 수 있고, 특히 양측에 배치되는 하부브라켓(40) 사이를 하부근(110)이 관통하여 하부근받침구(50)에 안착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외력이 하부근(110)을 밀어내더라도 한 쌍의 하부브라켓(50)에 걸려서 벗어나 이탈되지 않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이렇게 구성된 하부브라켓(40)은 서포트(30)와 나선 체결된 제1승강너트(43)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켜 하부브라켓(40)을 배치한 후 제1고정너트(44)로 고정됨으로써, 격자형태로 결속된 하부근(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상기 상부브라켓(60)은 한 쌍의 서포트(30)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부근(120)을 받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그 형상을 "ㄴ"형상으로 형성시켜 일단 높은 상면 상부근받침면(61)를 형성하여 격자형태로 결속된 상부근(120)이 안착되고, 바닥면에는 한 쌍의 서포트(30)가 관통하도록 구멍(62)이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브라켓(60)은 하부브라켓(40)의 승강 및 고정방식과 동일하게 구멍 하부에 제2승강너트(63)가 서포트(30)와 체결되고, 상부에 제2고정너트(64)가 체결되어 상부브라켓(60)이 서포트(30)에 따라 적정한 위치로 승강될 수 있고, 그러함으로써 상부근(120)의 배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근(120)을 폭이 좁은 상부근받침면(61)에 안착시키는 이유는 상부근(120)이 상부브라켓(60)의 넓은 바닥면과 접촉되면 그 면적이 넓게 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접착력이 저하됨으로써, 이를 극복하도록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부브라켓(60)의 양측에는 스토퍼(70)가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70)는 상부근받침면(61)에 안착된 상부근(120)과 접촉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압력에 의해 상부근(120)이 외측방향으로 이탈되어 벗어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속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브라켓(60)의 중앙 부분에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봉(80)이 설치된다.
상기 레벨봉(80)은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고, 그 나선과 체결되는 상부브라켓(60)의 중앙에 레벨구멍(65)을 형성하며, 그 레벨구멍(65)에는 레벨봉(80)과 체결되는 레벨봉고정너트(66)가 고정되어 레벨봉(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6과 같이, 상기 베이스(20) 또는 상부브라켓(60)의 바닥면에는 철근받침대(1)의 수평상태를 기포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파악하여 확인할 수 있는 수준기(9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준기(90)를 확인한 결과 철근받침대(1)가 수평하지 않으면 바닥받침부(10) 네모서리에 구비된 수평조절볼트(11)를 각각 승강시켜 수평상태를 맞춰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근받침대(1)는 중량을 갖고 고열에 강한 금속으로 형성시켜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임의로 전복됨을 방지하는 동시에 화재시 유독가스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가 철근받침대(1) 구석구석으로 침투 가능하도록 환봉을 이용하여 공간을 형성시켜 콘크리트와의 접착력(친화력)에 의해 건축물에 크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격자형태로 결속되어 거푸집에 배근되는 상,하부근(110)(12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철근받침대(1)에 장착된 레벨봉(80)에 맞춰 일괄적인 높이를 갖출 수 있으며, 더욱이 상,하부근(110)(1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슬라브의 두께와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상,하부브라켓(60)(40) 사이에 철근을 받칠 수 있는 하부브라켓(40)을 더 설치 가능함으로써, 건축물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다단으로 철근을 배근할 수 있는 유용한 다단식 철근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철근받침대: 1 바닥받침부: 10
수평조절볼트: 11 베이스: 20
지지봉:21 서포트: 30
상부서포트: 31 하부서포트: 32
연결소켓: 33 하부브라켓: 40
이탈방지홈: 41 제1승강너트: 43
제1고정너트: 44 하부근받침구: 50
상부브라켓: 60 상부근받침면: 61
제2승강너트: 63 제2고정너트: 64
스토퍼: 70 레벨봉: 80
수준기: 90

Claims (5)

  1. 환봉을 사각형으로 형성시켜 이루어진 바닥받침부;
    상기 바닥받침부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를 관통하는 구멍이 양측에 각각 형성된 베이스;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에 하단이 각각 삽입 설치되고, 상기 나선에 체결되는 너트가 베이스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고정되는 서포트;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서포트가 각각 관통하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하부에 제1승강너트가 배치되며, 상부에 제1고정너트가 배치되고, 일단 상부에 오목한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하부브라켓;
    상기 이탈방지홈에 안착되어 하부근을 받치도록 구비된 하부근받침구;
    "ㄴ"형상으로 형성되어 폭이 좁은 높은 일단 상면에 상부근을 받치도록 상부근받침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상기 한 쌍의 서포트가 관통하도록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그 구멍 상부에 제2승강너트가 배치되고, 하부에 제2고정너트가 배치되며, 양측에 안착된 상부근이 콘크리트 타설시 압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이탈되어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성된 상부브라켓;
    상기 베이스 또는 상부브라켓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기포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파악하여 철근받침대의 수평상태를 확인하는 수준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철근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하로 분할시켜 상부서포트와 하부서포트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서포트와 나선 체결되는 연결소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철근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받침부의 네모서리에는 나선체결 되는 수평조절볼트가 구성되어 바닥받침부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철근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의 양측에는 상부근이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철근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의 바닥면에는 너트와 체결되는 나선에 의해 승강 고정되는 레벨봉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철근받침대.


KR1020170042143A 2017-03-31 2017-03-31 다단식 철근받침대 KR101973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143A KR101973848B1 (ko) 2017-03-31 2017-03-31 다단식 철근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143A KR101973848B1 (ko) 2017-03-31 2017-03-31 다단식 철근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330A KR20180111330A (ko) 2018-10-11
KR101973848B1 true KR101973848B1 (ko) 2019-08-26

Family

ID=6386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143A KR101973848B1 (ko) 2017-03-31 2017-03-31 다단식 철근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8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446A (ja) * 1999-07-27 2001-02-06 J P S:Kk 上筋用スペーサ
JP2002364122A (ja) * 2001-06-08 2002-12-18 Ryowa Techno:Kk 耐圧版用鉄筋受け架台
JP2010236182A (ja) * 2009-03-30 2010-10-21 Tetsuya Sayama 梁用配筋工法及びこの工法に用いる架台
JP2017031584A (ja) * 2015-07-29 2017-02-09 大成建設株式会社 鉄筋支持具およびインバートコンクリート用鉄筋の設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962A (ko) * 1994-08-20 1996-03-22 최훈 철근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446A (ja) * 1999-07-27 2001-02-06 J P S:Kk 上筋用スペーサ
JP2002364122A (ja) * 2001-06-08 2002-12-18 Ryowa Techno:Kk 耐圧版用鉄筋受け架台
JP2010236182A (ja) * 2009-03-30 2010-10-21 Tetsuya Sayama 梁用配筋工法及びこの工法に用いる架台
JP2017031584A (ja) * 2015-07-29 2017-02-09 大成建設株式会社 鉄筋支持具およびインバートコンクリート用鉄筋の設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330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35554B (zh) 超高层建筑框架柱的型钢柱支撑架施工方法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CN105544762A (zh) 隔震层的安装方法
CN102383617A (zh) 古建筑的临时加固方法及装置
KR101309564B1 (ko) 피난사다리의 설치 구조
KR101973848B1 (ko) 다단식 철근받침대
KR200425806Y1 (ko) 갱폼 추락방지 브라켓
KR101572245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KR101766453B1 (ko) 측뇌용 피뢰침
KR101553609B1 (ko) 바람에 강한 외벽 작업용 작업대
JP5473066B2 (ja) 足場構造
KR20090113042A (ko) 갱폼 어셈블리
KR102218166B1 (ko) 철근받침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60426B1 (ko) 갱폼 추락방지구
CN108797626B (zh) 一种建筑桩基防偏装置
CN211173006U (zh) 用于结构边缘构造柱的施工构件
KR101126342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200375139Y1 (ko) 갱폼의 하부 체결구조
KR102157520B1 (ko) 안전발판 및 이의 설치방법
CN215484527U (zh) 一种安全稳定脚手架
JP2012127106A (ja) 高層構造物の近傍に存在している下部設備の養生施設と、下部設備の養生施設の構築方法
JP3172718U (ja) 耐震シェ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