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747B1 -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747B1
KR102034747B1 KR1020180027060A KR20180027060A KR102034747B1 KR 102034747 B1 KR102034747 B1 KR 102034747B1 KR 1020180027060 A KR1020180027060 A KR 1020180027060A KR 20180027060 A KR20180027060 A KR 20180027060A KR 102034747 B1 KR102034747 B1 KR 102034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hole
shock absorb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090A (ko
Inventor
전종백
전현주
오도석
김동군
이재현
Original Assignee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8002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74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를 제안한다. 본 완충 장치는, 피트 바닥면에 고정되는 피트 고정 지지대와; 피트 고정 지지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설치되는 통형상의 고정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통형상의 가동지지대, 그리고 고정된 상태의 고정지지대에 대하여 특정 위치에서 가동지지대를 고정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는 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수단은, 고정지지대에서 대향하도록 성형되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구멍과, 제1구멍과 90도 각도를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 성형되는 한 쌍의 제2구멍을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체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A buffering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런바이(RUN-BY)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강기의 검사 기준을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서 종래의 구조부터 살펴보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건축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승강로(2)의 면적을 축소하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 하에서는 카(4)의 하한 위치와 승강로의 바닥 사이의 간격 또는 틈새를 의미하는 피트(PIT)와 카(4)의 상한 위치와 승강로의 천정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는 오버헤드(OVERHEAD)가 축소되기 때문에, 카(4) 또는 카운터웨이트(6)와 완충기와의 틈새(런바이)를 규격 또는 원하는 설계 의도대로 맞추는 것이 상당히 어렵게 되는 단점이 지적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 예에서, 완충장치(8A,8B)와 카(4) 및 카운터웨이트(6)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는 런바이는, 완충장치(8A,8B)의 설계 조건에 따라서 달라진다. 여기서 승강로는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서 상이한 수치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게 다양한 치수의 승강로에 대하여, 완충장치의 지지대의 높이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런바이를 적절한 조건으로 만족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과 같이, 승강로의 설계에 따라서 피트에 설치되는 완충장치의 런바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완충장치의 지지대를 다른 규격의 것으로 교환하는 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이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완충장치는, 피트 바닥면에 고정되는 피트 고정 지지대와; 피트 고정 지지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설치되는 통형상의 고정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통형상의 가동지지대, 그리고 고정된 상태의 고정지지대에 대하여 특정 위치에서 가동지지대를 고정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는 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지지수단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하나의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고정지지대에서 대향하도록 성형되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구멍과, 다른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제1구멍과 90도 각도를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 성형되는 한 쌍의 제2구멍과; 상기 고정지지대의 제1구멍 및 제2구멍과 동일한 배치를 가지나 높이가 각각 상이하게 설정되는 가동지지대의 제1구멍 및 제2구멍; 그리고 고정지지대의 제1구멍과 가동지지대의 제1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하는 제1볼트 및 너트와 고정지지대의 제2구멍과 가동지지대의 제2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하는 제2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피트 고정 지지대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피트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면에는 공급공이 형성된 가로고정부와, 상기 가로고정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세로고정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지지대에 대하여 가동지지대가 원하는 높이에서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동지지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완충기와 카 사이의 간격이라고 할 수 있는 런바이를 원하는 치수대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완충장치의 설치를 설명하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완충장치의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완충장치의 분해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완충장치는, 피트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피트 고정 지지대(10)와, 상기 피트 고정 지지대(10)의 상면에서 직립 설치되는 지지대(20), 그리고 상기 지지대(20) 상에 설치되는 완충기(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지지대(20)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피트에서 런바이를 충분히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피트 고정 지지대(10)는, 피트의 저면에 고정되기 위한 가로 고정부(12)와, 상기 가로 고정부(12)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레일 클립 볼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레일에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 고정부(14)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피트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로고정부(12)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내부공간을 위에서 시멘트를 공급하여 채우기 위한 공급공(12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세로 고정부(14)는 직립한 측벽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레일에 고정된다.
이러한 피트 고정 지지대(10)의 상면에는, 완충기(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0)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지지대(20)는, 통형상으로 성형되는데,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20)는, 상술한 피트 고정 지지대(1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대(22)와, 상기 고정지지대(22)의 내측에 삽입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가동지지대(24)로 구성되고 있다.
고정지지대(22)는 그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 형상의 플랜지부(22f)를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피트 고정 지지대(10)의 가로 고정부(12) 상면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나, 고정지지대(22)를 피트 고정 지지대(10)의 상면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가동지지대(24)는 고정지지대(22)의 내측에 근접한 상태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지지대(22) 및 가동지지대(24)에는 다수의 구멍이 성형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고정지지대(22)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성형되는 한 쌍의 제1구멍(22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다수 성형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고정지지대(22)에는 상기 제1구멍(22a)과 90도 간격을 가지고 만들어지는 한 쌍의 제1구멍(22b)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대(22)의 내부로 삽입되는 가동지지대(24)에도 동일한 배치를 가지는 제1구멍(24a) 및 제2구멍(24b)이 성형되어 있음을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지지대(22)의 구멍(22a,22b)과 가동지지대(24)의 구멍(24a,24b)은 각각 일정한 높이차이를 가지도록 배열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두 개의 볼트 및 너트(Ba,Bb)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충분한 강도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가동지지대(24)의 상면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완충기(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완충기(30)는 카 또는 카운터웨이트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가동지지대(24)의 상단에 설치되는 플랜지부(24f)를 통하여 완충기(30)가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완충장치에 의하면, 가동지지대(24)를 고정지지대(22)의 내측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지지대(22)의 제1구멍(22a)과 가동지지대(24)의 제1구멍(24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1볼트(Ba)를 관통시키고 그 단부에 너트를 체결함과 같이, 고정지지대(22)의 제2구멍(22b)과 가동지지대(24)의 제2구멍(24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2볼트(Bb)를 관통시키고 그 단부에 너트를 체결시킨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고정지지대(22)의 정해진 높이에 대하여, 가동지지대(22)의 높이가 정해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구멍 및 제2구멍은, 고정지지대(22) 및 가동지지대(24)에 다수 개가 정해진 간격을 가지고 상하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제1구멍 및 제2구멍을 선택하여 볼트 및 너트(Ba,Bb)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고정하면 완충기(30)는 원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가동지지대(24)를 적절한 높이에서 볼트 및 너트(Ba,Bb)로 고정함으로써, 완충기(30)의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도면 부호 Ba 및 Bb는 볼트를 지시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고, 위 설명에서도 볼트라고도 설명되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가동지지대(24)를 고정상태로 체결하기 위한 볼트 및 너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동지지대 및 고정지지대를 통하여 완충기(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등록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피트 고정 지지대
12 ..... 가로고정부
12a ..... 공급공
14 ..... 세로고정부
20 ..... 지지대
22 ..... 고정지지대
24 ..... 가동지지대
22a, 24a ..... 제1구멍
22b, 24b ..... 제2구멍
22f ..... 플랜지부
24f ..... 플랜지부
30 ..... 완충기
Ba, Bb ..... 볼트 및 너트

Claims (3)

  1. 피트 바닥면에 고정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시멘트를 공급하여 채우기 위한 공급공이 상면에 형성된 가로고정부와, 상기 가로고정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레일에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고정부로 구성되는 피트 고정 지지대와;
    피트 고정 지지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설치되는 통형상의 고정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통형상의 가동지지대, 그리고 고정된 상태의 고정지지대에 대하여 특정 위치에서 가동지지대를 고정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는 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기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하나의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고정지지대에서 대향하도록 성형되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구멍과, 다른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제1구멍과 90도 각도를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 성형되는 한 쌍의 제2구멍과;
    상기 고정지지대의 제1구멍 및 제2구멍과 동일한 배치를 가지나 높이가 각각 상이하게 설정되는 가동지지대의 제1구멍 및 제2구멍; 그리고
    고정지지대의 제1구멍과 가동지지대의 제1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하는 제1볼트 및 너트와 고정지지대의 제2구멍과 가동지지대의 제2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하는 제2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27060A 2018-03-07 2018-03-07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KR102034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060A KR102034747B1 (ko) 2018-03-07 2018-03-07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060A KR102034747B1 (ko) 2018-03-07 2018-03-07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090A KR20190106090A (ko) 2019-09-18
KR102034747B1 true KR102034747B1 (ko) 2019-10-22

Family

ID=6807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060A KR102034747B1 (ko) 2018-03-07 2018-03-07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396B1 (ko) 2020-11-13 2021-07-02 (주)우주공업사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3279A (ja) * 2008-07-07 2010-01-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JP2011153012A (ja) * 2010-01-28 2011-08-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ピッ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7880U (ko) * 1981-03-11 1982-09-17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3279A (ja) * 2008-07-07 2010-01-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JP2011153012A (ja) * 2010-01-28 2011-08-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ピッ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090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7528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ccess floor panel
KR101482082B1 (ko)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JP2007284222A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振れ止め装置
US11105093B2 (en)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floor panel and access floor system including support structure
KR102034747B1 (ko)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KR100982474B1 (ko)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1833293B1 (ko)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포스트
KR101445767B1 (ko) 제진 테이블
KR200470336Y1 (ko) 간격유지 및 소음 방지용 서포터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JP4675094B2 (ja) エレベータレールの底部受装置
JP5639766B2 (ja) 床構造
KR101059944B1 (ko) 랙의 내진장치
JP6002063B2 (ja) エレベーター
CN210029677U (zh) 一种电梯轿底装置
JP7168442B2 (ja) 壁体取付用インパクトダンパ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壁体
JP6024605B2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床装置
JP3191428U (ja) 免震装置
KR102213646B1 (ko)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JP3208452U (ja) 免震装置
EP3859187A1 (en) Pendulum vibration damper
JP2015205768A (ja) エレベーターレールの底部受け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052419B1 (ko) 천장판넬 내진장치
KR102239103B1 (ko) 전기 공사용 배관 지지 장치
JP6848932B2 (ja) 免震ダンパー及び該免震ダンパーを用いた免震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