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790Y1 - 낙하물 방호 선반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호 선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4790Y1 KR200294790Y1 KR2020020024213U KR20020024213U KR200294790Y1 KR 200294790 Y1 KR200294790 Y1 KR 200294790Y1 KR 2020020024213 U KR2020020024213 U KR 2020020024213U KR 20020024213 U KR20020024213 U KR 20020024213U KR 200294790 Y1 KR200294790 Y1 KR 20029479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 pipe
- short pipe
- wall
- support means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작업자의 추락이나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하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낙하물 방호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설물을 단순 조립식으로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가 짧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간단하고,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충돌시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완충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한 낙하물 방호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물의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지지수단; 내외측단부에 일체로 부착된 상·하단 클램프(21)(22)를 구비하면서 건물의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프레임부재(20); 상기 프레임부재(20)들의 하단 클램프(22)에 체결되어 건물의 벽체를 따라 설치되는 내측 단관파이프 (30); 상기 프레임부재(20)들의 상단 클램프(21)에 체결되어 상기 내측 단관파이프 (30)와 대향하는 외측 단관파이프(40); 상기 프레임부재(20)들 및 내·외측 단관파이프(30)(40)에 씌워지는 안전망(60); 안전망(60)이 씌워진 틀체를 지지수단에 매달아 주는 행거용 와이어 로프(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작업자의 추락이나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하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낙하물 방호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설물을 단순 조립식으로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가 짧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간단하고,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충돌시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완충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한 낙하물 방호 선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공사현장에는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공사 기자재들이 낙하하는 경우 중대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공사중인 건물의 외벽 주위에 낙하물 방호 선반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의 낙하물 방호 선반은 금속 파이프를 종횡으로 엮어서 만든 틀체의 외측에 안전망, 안전시트, 합판 또는 금속판 등을 씌워서 건물의 외측으로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설치한다.
종래 이와 같은 낙하물 방호 선반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32853에 개시된 바 있다.
이 종래의 방호 선반은 도1a 및 도1b의 도시와 같이, 건축물의 상하층 발코니턱(1)에 고정설치되며 고정클램프(2a)(3a)를 각각 구비하는 상·하층 지지브래킷 (2)(3)과; 상기 하층 브래킷(3)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좌우로 이동가능한 다수개의 결착링(4a)이 구비된 하부 단관파이프(4)와; 상기 하부 단관파이프(4)에 결합되면서 하층 지지브래킷(3)의 고정클램프(3a)에 체결되어 건물의 바깥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내면양측에 다수의 결착고리(5a)를 구비하는 프레임(5)과; 상기 프레임(5)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좌우로 이동가능한 다수개의 결착링(6a)을 구비하는 상부 단관파이프(6)와; 상기 상부 단관파이프(6)와 상층 브래킷(2)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경사 버팀재(7)와; 상기 결착링(4a)(6b)들에 걸어 고정되는 로프(8a)를 상·하부에 구비하고, 양측단은 상기 결착고리(5b)에 걸어 고정되는 안전망(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방호 선반은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5)과 상·하부 단관파이프(6)(4)에 의해 형성되는 4각틀체에 설치되는 안전망(8)이 별도의 고정장치에 의해 체결되지 않고, 프레임(5)과 상·하부 단관파이프(6)(4)에 구비되어 있는 결착고리(5a) 또는 결착링(6a)(4a)들을 이용해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안전망(8)의 조립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낙하물 방호 선반은 그 틀체의 구성자재의 수가 많고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층 발코니 및 하층 발코니 등 2군데에 브래킷을 고정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작업이 더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부위가 많아 설치후 용접부위의 부식으로 인해 내구성, 안전성 면에서 구조적인 하자가 발생하고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전용회수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시설물의 견고성에만 중점을 둔 나머지 프레임부재 및 버팀재의 강도를 불필요하게 강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하여 프레임부재 또는 버팀재와 충돌하는 경우 중대한 상해를 입힐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낙하물 또는 추락하는 사람이 버팀재와 충돌할 경우 경사각에 의해 안전망 밖으로 튕겨져 나가 2차 재해가 발생될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틀체를 이루는 프레임부재의 강도를 한 단계 낮추고 행거재 및 버팀재로서 와이어 로프 종류를 사용함으로써, 낙하물 또는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충돌시 시설물이 완전히 파손되지 않으면서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완충작용을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하여 주고 낙하물의 리바운드로 인한 2차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낙하물 방호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설물의 구성부재를 단순화하고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적어 자재관리가 용이하고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설치할 수 있는 낙하물 방호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자재들의 용접부위를 가능한 적게 둠으로써,설치후 용접부위의 부식으로 인한 폐단을 최소화하고 전용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낙하물 방호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낙하물 방호 선반의 설치상태 일측면도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낙하물 방호 선반의 요부발췌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 선반의 설치상태 일측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호 선반의 요부발췌 사시도
도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방호 선반에서 적용되는 지지수단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일측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방호 선반에서 적용되는 지지수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방호 선반에서 적용되는 지지수단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10b,10c:지지수단 11:브래킷 11a:전방다리
11b:후방다리 11c:가로대 11d:안내너트
12:압착구 12a:볼트봉 12b:원반형 판
13:연결볼트 14:볼트봉 15:나비형 너트
16:채널재 17:고정볼트 18:죠인트볼트
19:환형고리 20:프레임부재 21:상단 클램프
22:하단 클램프 23:중단클램프 30:내측 단관파이프
40:외측 단관파이프 50:보조 단관파이프 60:안전망
70:행거용 와이어 로프 71:수직줄 72:경사줄
73,74,75:클립 76,77:결박링부 100:벽체
101:발코니턱 102:콘구멍 103:매설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낙하물 방호 선반은, 건물의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건물의 벽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수단; 내외측단부에 일체로 부착된 상·하단 클램프를 구비하면서 건물의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들의 하단 클램프에 체결되어 건물의 벽체를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는 내측 단관파이프; 상기 프레임부재들의 상단 클램프에 체결되어 상기 내측 단관파이프와 대향하는 외측 단관파이프; 상기 프레임부재들 및 내·외측 단관파이프에 의해 형성되는 틀체에 씌워지는 안전망; 상기 지지수단에 결속되어 하측으로 수직하게 내려가 상기 내측 단관파이프를 현수하는 수직줄을 가지며 상기 외측 단관파이프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수단에 결속되어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측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경사줄을 갖는 다수의 행거용 와이어 로프;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프레임부재가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충돌시 휘어지면서 완충되도록 가로50㎜×세로30㎜×두께1.5t의 단면 조건을 갖는 4각의 강재 파이프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지상에서 클램프와 단관파이프들을 체결하기만 하면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틀체 조립이 완료되므로 제작이 간단하며, 지상에서 완전 조립한 후 설치위치로 인양하여 거치하므로 시공이 용이하다.
그리고, 구조적으로 용접부위가 클램프 부착부위로 한정되므로 부식에 의한 내구성 저하가 최소화되어 전용회수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치후 기능시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건설 기자재들이 낙하하여 프레임 부재 또는 경사줄과 부딪히는 경우 프레임부재 또는 경사줄이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충격을 완화시켜 주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완충작용을 통해 낙하물이 리바운드되어 아래로 떨어지는 일이 없으므로 2차 재해를 완전하게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에서 본 고안에 의한 방호 선반은, 건물의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수단과, 상호 결합되어 선반 틀체를 이루는 프레임부재(20)·내측 단관파이프(30)·외측 단관파이프(40) 및 보조 단관파이프(50)와, 선반 틀체에 씌워지는 안전망(60)과, 안전망(60)이 씌워진 선반 틀체를 지지수단에 매달아 주는 행거용 와이어 로프(70)로 구성된다.
지지수단은 건물의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벽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서 본 고안에 의한 시설물의 하중을 건물의 벽체(100)로 전달하여 지지시키는 구성부이다.
이러한 지지수단은 본 고안의 설치위치 또는 건물의 설계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도4a 및 도4b에는 본 고안이 건물의 발코니 부근에 설치될 때 적합한 지지수단(10a)을 도시하고 있다.
이 지지수단(10a)은 건물의 발코니턱(101)에 끼워지는 브래킷(11)과, 상기 브래킷(11)에 나사결합되어 나사돌림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브래킷(11)과 함께 건물의 발코니턱(101)을 압박하면서 고정되는 압착구(12)와, 상기 브래킷(11)에 결합되는 연결볼트(13)와, 상기 연결볼트(143)와 나사결합되는 환형고리(19)로구성되고, 상기 환형고리(19)에 상기 행거용 와이어 로프(70)의 중간부가 끼워져 결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래킷(11)은 전·후방 다리(11a)(11b)와 그 다리들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가로대(11c)로 형성되어 건물의 발코니턱(101)에 끼워진다. 후방 다리 (11b)에는 상기 압착구의 나사돌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너트(11d)가 부착된다.
상기 압착구(12)는 상기 브래킷(11)의 후방 다리(11b)를 관통하면서 상기 안내너트(11d)와 나사결합되는 볼트봉(12a)과 볼트봉(12a)의 선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발코니턱(101)에 밀착되는 원반형 판(1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볼트(13)는 선단이 상기 브래킷(11)의 가로대(11c)를 아래에서 위로 수직하게 관통하면서 환형고리(19)와 나사 결합된다.
상기 환형고리(19)는 상기 행거용 와이어 로프(70)를 구속하여 주는 링부와 그 링부의 상부로 돌출되어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수직봉부를 가지며, 그 암나사부에 상기 연결볼트(13)가 나사결합된다.
도5에는 건물의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설치로 인해 벽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콘구멍(102)을 이용해 본 고안을 지지시키는 지지수단(10b)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지지수단(10b)은,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콘구멍(102)을 관통하면서 고정되는 볼트봉(14)과, 상기 볼트봉(14)의 실내측 단부에 체결되는 나비형 너트(15)와, 상기 볼트봉(14)의 실외측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환형고리(19)로 구성되고, 상기 환형고리(19)에 상기 행거용 와이어 로프(70)가 끼워져 결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6에는 건물의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설치로 인해 벽체(100)에 매설되어 있는 매설너트(103)를 이용해 본 고안을 지지시키는 지지수단(10c)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지지수단(10c)은, 건물의 벽체(100)에 심어져 있는 매설너트(103)의 외측에 대어지는 채널재(16)와, 상기 채널재(16)를 벽면측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매설너트(103)와 결합되어 채널재(16)를 벽면측으로 밀어붙여 고정하는 고정볼트(17)와, 상기 고정볼트(17)와 반대방향으로 채널재(16)를 관통하면서 나사부가 벽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죠인트볼트(18)와, 상기 죠인트볼트(18)와 나사결합되는 환형고리 (19)로 구성되고, 상기 환형고리(19)에 상기 행거용 와이어 로프(70)가 끼워져 결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부재(20)는 선반 틀체의 분해 조립을 가능케 하면서 추락자의 안전을 고려해 설계한 본 고안의 중요한 구성부이다.
이 프레임부재는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충돌시 휘어지면서 완충되도록 그 단면이 가로50㎜×세로30㎜×두께1.5t의 조건을 갖는 4각의 강재 파이프가 사용되며, 건물의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부재(20)의 내외측단부에는 상·하단 클램프(21)(22)가 일체로부착되며, 또한 상단 클램프(21)의 부근의 내측에는 중단 클램프(23)가 부착된다. 상기한 클램프들은 회전 개폐식으로 구성되어서 원형 파이프를 고정하여 주는 일반적인 것이 사용된다.
내측 단관파이프(30)는 상기 프레임부재(20)들의 하단 클램프(22)에 체결되어 건물의 벽체를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관파이프(40)는 상기 프레임부재(20)들의 상단 클램프(21)에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부재(20)와 함께 4각의 선반 틀체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재(20)의 중단 클램프(23)에 보조 단관파이프(50)가 체결되어서 선반 틀체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고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선반 틀체의 개구부에는 안전망(60)이 씌워진다.
안전망(60)은 내부식성, 조립성 및 경제성 등을 감안할 때 나이론사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금속선으로 엮어서 만든 것도 무방하고, 굳이 망체가 아닌 금속제 다공판 또는 합성수지제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행거용 와이어 로프(70)는 안전망(60)이 설치된 선반 틀체를 매달아 상기 지지수단에 매달아 주는 구성부이다.
이러한 행거용 와이어 로프(70)는 일연체로 계속 이어지는 금속제 와이어 로프를 상기 환형고리(19)에 끼우고 환형고리(19)를 중심으로 양측을 접어 상호 겹치도록 한 다음, 겹친 2줄을 함께 클립(73)으로 집어서 구획한 수직줄(71)과 경사줄 (72)로 구성된다.
또한, 수직줄(71)과 경사줄(72)의 단부들에는 일정부분을 원형으로 말고 클립(74)(75)으로 각각 고정하여서 된 결박링부(76)(77)를 형성하여서, 그 결박링부 (76)(77)들에 상기 내·외측 단관파이프(30)(40)를 각각 끼워서 매달 수 있게 하고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지상에서 조립을 완료한 후 인양한 후 최종적으로 지지수단을 건물의 벽체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설치후에는 도2의 일점쇄선과 같이 낙하물이 프레임부재(20)에 충돌하는 경우 프레임부재가 휘면서 완충시켜 주고, 낙하물이 행거용 와이어 로프(70)에 충돌할 경우에는 와이어 로프가 유연하게 구부러지면서 완충하여 주는 동시에 수평하게 변형되면서 낙하물이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낙하물 방호 선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지상에서 완전 조립한 후 인양하여 지지수단을 벽체에 조립하는 방법을 통해 설치하므로 방호 선반을 설치하기 위한 고소작업이 대폭 줄어들어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가 짧을 뿐만 아니라, 공사중 위험에 노출될 위험이 없다.
선반 틀체를 이루는 프레임부재의 강도를 한 단계 낮추고 행거재로서 와이어 로프를 사용함으로써, 낙하물 또는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충돌시 시설물이 완전히 파손되지 않으면서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완충작용을 통해 작업자의 신변을 최대한 보호하여 주고 낙하물의 리바운드로 인한 2차 재해를 최대한 방지한다.
시설물의 구성부재를 단순화하고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적어 자재관리가 용이하고,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공기가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설치할 수 있고 외관이 수려한 방호 선반을 얻을 수 있다.
구성자재들의 용접부위가 프레임부재와 클램프들의 부착부위로 한정됨으로써, 설치후 용접부위의 부식으로 인한 폐단을 최소화하고 전용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설치 해체가 용이하고 공기 및 공사비가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 건물의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건물의 벽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수단;내외측단부에 일체로 부착된 상·하단 클램프(21)(22)를 구비하면서 건물의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부재(20);상기 프레임부재(20)들의 하단 클램프(22)에 체결되어 건물의 벽체를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는 내측 단관파이프(30);상기 프레임부재(20)들의 상단 클램프(21)에 체결되어 상기 내측 단관파이프 (30)와 대향하는 외측 단관파이프(40);상기 프레임부재(20)들 및 내·외측 단관파이프(30)(40)에 의해 형성되는 틀체에 씌워지는 안전망(60);상기 지지수단에 결속되어 하측으로 수직하게 내려가 상기 내측 단관파이프 (30)를 현수하는 수직줄(71)을 가지며 상기 외측 단관파이프(40)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수단에 결속되어 상기 프레임부재(20)의 외측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경사줄(72)을 갖는 다수의 행거용 와이어 로프(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 선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건물의 발코니턱(101)에 끼워지는 브래킷 (11)과, 상기 브래킷(11)에 나사결합되어 나사돌림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브래킷(11)과 함께 건물의 발코니턱(101)을 압박하면서 고정되는 압착구(12)와, 상기 브래킷(11)에 결합되는 연결볼트(13)와, 상기 연결볼트(13)와 나사결합되는 환형고리(19)로 구성되고, 상기 환형고리(19)에 상기 행거용 와이어 로프(70)의 중간부가 끼워져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 선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건물의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설치로 인해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콘구멍(102)을 관통하면서 고정되는 볼트봉(14)과, 상기 볼트봉(14)의 실내측 단부에 체결되는 나비형 너트(15)와, 상기 볼트봉(14)의 실외측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환형고리(19)로 구성되고, 상기 환형고리(19)에 상기 행거용 와이어 로프(70)의 중간부가 끼워져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 선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건물의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설치로 인해 벽체에 심어져 있는 매설너트(103)의 외측에 대어지는 채널재(16)와, 상기 채널재(16)를 벽면측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매설너트(103)와 결합되어 채널재(16)를 벽면측으로 밀어붙여 고정하는 고정볼트(17)와, 상기 고정볼트(17)와 반대방향으로 채널재(16)를 관통하면서 나사부가 벽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죠인트볼트(18)와, 상기 죠인트볼트(18)와 나사결합되는 환형고리(19)로 구성되고, 상기 환형고리(19)에 상기 행거용 와이어 로프(70)의 중간부가 끼워져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 선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20)는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충돌시 휘어지면서 완충되도록 그 단면이 가로50㎜×세로30㎜×두께1.5t의 조건을 갖는 4각의 강재 파이프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 선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20)에는 하단 클램프(22)의 부근의 내측에 중단 클램프(23)가 더 구비되고, 그 중단 클램프(23)에 보조 단관파이프(50)가 체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 선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4213U KR200294790Y1 (ko) | 2002-08-13 | 2002-08-13 | 낙하물 방호 선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4213U KR200294790Y1 (ko) | 2002-08-13 | 2002-08-13 | 낙하물 방호 선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7798A Division KR100466602B1 (ko) | 2002-08-13 | 2002-08-13 | 낙하물 방호 선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4790Y1 true KR200294790Y1 (ko) | 2002-11-13 |
Family
ID=7307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4213U KR200294790Y1 (ko) | 2002-08-13 | 2002-08-13 | 낙하물 방호 선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4790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6467B1 (ko) | 2006-11-20 | 2007-06-08 | 류순모 |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
KR20210089834A (ko) * | 2020-01-09 | 2021-07-19 | 조동주 | 철탑용 클램프 장치 |
KR20210136326A (ko) * | 2020-05-07 | 2021-11-17 | 한국전력공사 |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
CN115263006A (zh) * | 2022-06-08 | 2022-11-01 |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 折叠式水平安全网支撑系统及其安装、拆卸方法 |
-
2002
- 2002-08-13 KR KR2020020024213U patent/KR20029479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6467B1 (ko) | 2006-11-20 | 2007-06-08 | 류순모 |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
KR20210089834A (ko) * | 2020-01-09 | 2021-07-19 | 조동주 | 철탑용 클램프 장치 |
KR102450554B1 (ko) * | 2020-01-09 | 2022-09-30 | 조동주 | 철탑용 클램프 장치 |
KR20210136326A (ko) * | 2020-05-07 | 2021-11-17 | 한국전력공사 |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
KR102670587B1 (ko) * | 2020-05-07 | 2024-05-31 | 한국전력공사 |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
CN115263006A (zh) * | 2022-06-08 | 2022-11-01 |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 折叠式水平安全网支撑系统及其安装、拆卸方法 |
CN115263006B (zh) * | 2022-06-08 | 2023-09-26 |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 折叠式水平安全网支撑系统及其安装、拆卸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30752A (en) | Highway fencing | |
US20100012427A1 (en) | Mobile anchoring and fall prevention device | |
JP6393850B1 (ja) | 防護柵における支柱の立設構造 | |
JP2009228409A (ja) | 歩道設置型防災シェルター | |
JP4462441B2 (ja) | 足場・支保工兼用機材 | |
KR101263002B1 (ko) | 낙하방지용 안전망장치 | |
KR100466602B1 (ko) | 낙하물 방호 선반 | |
US8459409B2 (en) | Post anchor extension for a horizontal lifeline system | |
JP2013019126A (ja) | 足場/養生ユニットおよびその連結装置 | |
JP2916633B2 (ja) | 落石防護ネツトの工法及び落石防護ネツトのポケツト形成用の支柱装置 | |
KR200294790Y1 (ko) | 낙하물 방호 선반 | |
CN110206329B (zh) | 一种土木工程用施工防护装置 | |
JP6928383B2 (ja) | 防護ネット張設構造 | |
JP2019078162A5 (ko) | ||
JP4629806B1 (ja) | 防護柵及びその嵩上げ方法 | |
KR200436224Y1 (ko) | 낙하방지망 고정구조 | |
KR200386867Y1 (ko) | 안전방호망장치 | |
KR20050033313A (ko) |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 |
JP2000273828A (ja) | 衝撃吸収防護柵 | |
JP7300907B2 (ja) | 簡易設置型の日除け | |
KR102558801B1 (ko) |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 |
US6698142B2 (en) | Netting system for use with bleachers and grandstands | |
KR200445692Y1 (ko) | 지지구조가 견고한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낙하물방지장치 | |
KR20020041267A (ko) | 건축용 낙하추락 겸용 안전 구조체 | |
KR100959021B1 (ko) |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031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