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587B1 -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587B1
KR102670587B1 KR1020200054398A KR20200054398A KR102670587B1 KR 102670587 B1 KR102670587 B1 KR 102670587B1 KR 1020200054398 A KR1020200054398 A KR 1020200054398A KR 20200054398 A KR20200054398 A KR 20200054398A KR 102670587 B1 KR102670587 B1 KR 102670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 prevention
frame
tubular column
un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326A (ko
Inventor
홍진하
권혁수
박정철
신근호
조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5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58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형주의 둘레에 고정되고,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하측에 배치된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관형주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추락방지부와, 상측에 배치된 고정부와 추락방지부에 연결되어 추락방지부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키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ACCIDENT OF ELECTRIC POLE}
본 발명은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형주의 승탑 작업시 낙하물 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형주의 승탑 작업시 작업공간이 협소함에 따라 작업자가 관형주에 설치된 발판 볼트를 헛디뎌 미끄러지거나, 안전 허리띠를 부주의하게 착용하는 등의 이유로 작업자가 관형주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지속적으로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추락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망 등을 관형주에 설치하고 있으나, 기존의 보호망의 경우 각각의 부품을 개별적으로 관형주에 조립시킴에 따라 설치 및 해체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보호망은 작업자가 보호망이 아닌 보호망을 지지하는 지선로프에 추락하여 충돌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할 수 없는 지선로프에 의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거나, 작업자가 보호망의 외측으로 튕겨나가게 되는 등 보호망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5611호(2012.11.21 등록, 발명의 명칭: 전주용 안전 네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관형주의 둘레에 고정되고,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 하측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관형주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추락방지부; 및 상측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추락방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락방지부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키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형주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부몸체; 및 상기 고정부몸체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몸체를 상기 관형주의 둘레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임부는, 상기 고정부몸체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는 조임부몸체;
상기 조임부몸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몸체의 일단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제1조임부; 및 상기 고정부몸체의 타단과 상기 조임부몸체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몸체의 타단과 상기 조임부몸체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2조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조임부는, 상기 고정부몸체의 타단에 연결되는 삽입부; 상기 조임부몸체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관형주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부; 한 쌍의 상기 제1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는 추락방지부재; 상기 추락방지부재의 양측에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제1프레임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제2프레임부를 상기 제1프레임부에 연결시키고, 상기 추락방지부재가 상기 제1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사행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행방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부의 일측 둘레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의 타측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안착부를 상기 제1프레임부에 고정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제2프레임부를 연결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장공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프레임부의 슬라이드 경로를 마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상기 제1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이웃하는 상기 추락방지부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는, 하측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이웃하는 상기 추락방지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1프레임부를 나란하게 고정시키는 제1간격유지부; 및 상기 제1간격유지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추락방지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1프레임부를 연결시켜 이동을 제한하는 제2간격유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간격유지부는, 상기 관형주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장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간격유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연결부;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부; 및 양단이 각각 상기 탄성부의 타측과 상기 추락방지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락방지부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고정부가 다양한 둘레의 관형주에 장착될 수 있음에 따라 관형주의 서로 다른 규격에 의한 장치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지지부가 탄성복원력을 가짐에 따라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충격을 다중으로 흡수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간격유지부에 의해 각각의 추락방지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연결됨에 따라 지탱력이 강화되어 추락에 따른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사행방지부에 의해 추락방지부재가 제1프레임부에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조립상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간격유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간격유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와 추락방지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관형주(1) 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하방에 설치되어 공구 등과 같은 낙하물, 또는 작업자의 추락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관형주(1)에 설치되나, 가로등 및 통신주와 같은 관형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고정부(100), 추락방지부(200),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관형주(1)의 둘레에 고정된다. 고정부(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관형주(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고정부(100)는 관형주(1)의 둘레 전체에 걸쳐 고정될 수 있고, 관형주(1)의 둘레 일부에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100)는 관형주(1)의 둘레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술할 추락방지부(200), 지지부(300)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100)는 추락방지부(200), 지지부(300) 등의 구성을 지지함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잘 견딜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은 높은 강성을 가진 재료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는 고정부몸체(110), 조임부(120)를 포함한다.
고정부몸체(110)는 곡률의 변경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다양한 둘레의 관형주(1)를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몸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고리가 상호 연결되어 연장되는 사슬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고정부몸체(110)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형주(1)의 곡률에 대응되어 변형 가능한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조임부(120)는 고정부몸체(110)의 양단에 연결되어 고정부몸체(110)를 관형주(1)의 둘레에 고정시킨다. 조임부(120)는 고정부몸체(110)의 양단에 장력을 가해줌으로써 고정부몸체(110)를 관형주(1)의 둘레에 가압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120)는 조임부몸체(121), 제1조임부(122), 제2조임부(123)를 포함한다.
조임부몸체(121)는 양단이 각각 고정부몸체(110)의 양단과 마주보도록 고정부몸체(110)의 양단 사이에 배치된다. 조임부몸체(121)는 고정부몸체(110)와 마찬가지로 관형주(1)의 둘레에 밀착될 수 있게 다양한 곡률로 휘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임부몸체(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몸체(110)와 동일한 사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조임부(122)는 조임부몸체(121)의 일단에 연결되고, 고정부몸체(110)의 일단이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고정부몸체(110)의 일단을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임부(1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부몸체(121)의 일단(도 4 기준 우측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일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조임부(122)는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고정부몸체(110)의 일단이 인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조임부(122)는 고정부몸체(110)의 일단이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고정부몸체(110)를 관형주(1)의 둘레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제1조임부(122)는 내주면이 고정부몸체(110)의 둘레에 가압 고정되도록 내주의 직경이 고정부몸체(1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정부몸체(110)의 일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조임부(123)는 고정부몸체(110)의 타단과 조임부몸체(121)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부몸체(110)의 타단과 조임부몸체(121)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임부(123)는 삽입부(123a), 이동부(123b), 조절부(123c)를 포함한다.
삽입부(123a)는 고정부몸체(110)의 타단(도 4기준 좌측단)에 연결되어 조임부몸체(121)의 타단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삽입부(123a)에는 삽입부(123a)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후술할 이동부(123b)가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삽입부(123a)의 관통홀의 형상은 하나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동부(123b)는 조임부몸체(121)의 타단에 연결되고, 삽입부(123a)를 통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23b)는 조임부몸체(121)의 타단으로부터 삽입부(123a)를 향해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123a)의 관통홀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123b)의 단면 형상은 삽입부(123a)의 관통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동부(123b)는 조임부몸체(121)의 타단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연결부재(123d)에 의해 조임부몸체(121)의 타단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동부(123b)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조절부(123c)의 회전작동을 안내하고, 조절부(123c)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123c)는 이동부(123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작동에 의해 이동부(123b)가 삽입부(123a)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23c)는 중공형의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삽입부(12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삽입부(123a)에 삽입된 이동부(123b)의 외주면에 나사결합 등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부(123c)는 이동부(123b)의 외주면 상에서 회전됨에 따라 이동부(123b)를 삽입부(123a)의 관통홀을 통해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부(123b)가 삽입부(123a)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한다.
추락방지부(200)는 하측에 배치된 고정부(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관형주(1)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추락방지부(200)는 관형주(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형주(1)의 상부에서 낙하되는 낙하물, 작업자가 지면으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추락방지부(200)는 고정부(100)에 직접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후술할 간격유지부(400)에 의해 간접적으로 고정부(10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추락방지부(200)의 개수는 도 1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형주(1)의 둘레의 길이,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부(200)는 제1프레임부(210), 추락방지부재(220), 제2프레임부(221), 사행방지부(230)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부(210)는 관형주(1)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부(21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고정부(100)에 직,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관형주(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관형주(1)가 곡률을 가짐에 따라 한 쌍의 제1프레임부(210)는 관형주(1)의 둘레에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1프레임부(210)는 낙하물, 작업자의 추락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관형주(1)의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추락방지부(200)가 복수개로 배치됨에 따라, 이웃한 추락방지부(200)에 구비되는 제1프레임부(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추락방지부재(220)는 한 쌍의 제1프레임부(210) 사이에 펼쳐지게 배치되어 제1프레임부(210)의 사이로 낙하물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한다. 추락방지부재(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의 양단이 각각의 제1프레임부(210)에 연결됨에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된 한 쌍의 제1프레임부(210) 사이에서 대략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도록 설치된다. 추락방지부재(220)는 탄성의 재질을 포함하여 낙하물 등의 추락 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신축됨에 따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추락방지부재(220)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물망의 형상 등 낙하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2프레임부(221)는 상기 추락방지부재(220)의 양측에 연결되고, 한 쌍의 제1프레임부(21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부(2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추락방지부재(220)의 폭방향으로의 양측에 연결된다. 제2프레임부(221)는 한 쌍의 제1프레임부(210)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각각 한 쌍의 제1프레임부(210)와 마주보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제2프레임부(221)는 추락방지부재(220)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추락방지부재(220)의 형상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행방지부(230)는 제2프레임부(221)를 제1프레임부(210)에 연결시키고, 상기 추락방지부재(220)가 제1프레임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 즉 사행을 방지한다. 사행방지부(2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추락방지부재(220)의 폭방향 양측에 연결된 제2프레임부(221)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사행방지부(230)는 추락방지부재(220)에 폭방향으로의 장력을 부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추락방지부재(220)가 제1프레임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부(230)는 안착부(231), 가압부(232), 가이드부(233)를 포함한다.
안착부(231)는 대략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이 제1프레임부(210)의 일측 둘레에 안착된다. 안착부(231)는 제1프레임부(210)로부터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제1프레임부(210) 둘레의 절반 이하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31)는 추락방지부재(220)의 크기, 탄성계수등에 의해 제1프레임부(210)의 둘레에 안착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가압부(232)는 안착부(231)에 연결되고, 제1프레임부(210)의 타측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안착부(231)를 상기 제1프레임부(210)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3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부(231)가 감싸는 제1프레임부(210)의 나머지 둘레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231)는 내주면이 제1프레임부(210)의 타측 둘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함몰형성될 수 있다. 가입부(232)는 안착부(231)와 나사 등에 의해 볼팅 결합되어 제1프레임부(210)의 타측 둘레를 가압함으로써 안착부(231)를 제1프레임부(210)에 고정시킨다. 가압부(232)는 안착부(23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안착부(231)에 연결될 수 있고, 안착부(231)의 일측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부(233)는 가압부(232)와 제2프레임부(221)를 연결시키도록 가압부(232)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33)는 가압부(23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제2프레임부(221)에 연결되어 돌출되는 나사 등이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가이드부(233)는 장공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프레임부(221)의 슬라이드 경로를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33)는 안착부(231)가 제1프레임부(210)에 연결되는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2프레임부(221)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어 안착부(231)의 위치조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지지부(300)는 상측에 배치된 고정부(100)와 상기 추락방지부(200)에 연결되어 추락방지부(200)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킨다. 지지부(300)는 복수개의 추락방지부(200)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어 각각의 추락방지부(200)에 연결된다. 지지부(300)는 추락방지부(200)가 관형주(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단부에 연결되어 상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결합된 추락방지부(200)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킨다. 지지부(300)는 추락방지부(2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후술할 제2간격유지부(420) 등에 의해 추락방지부(200)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300)는 낙하물 등의 추락에 따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0)는 연결부(310), 탄성부(320), 지지부재(330)를 포함한다.
연결부(310)는 고정부(100)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10)는 관형주(1)와 고정부(100)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면이 관형주(1)에 접하며, 타측면이 고정부(100)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탄성부(320)는 일측이 연결부(310)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20)는 코일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구비되는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부(310)에 연결된다. 탄성부(320)는 차단방지부(200) 또는 지지부재(330)에 낙하물의 추락에 따른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탄성계수를 갖도록 구비된다. 탄성부(320)는 도 6에 도시된 코일스프링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지지부재(330)는 양단이 각각 탄성부(320)의 타측과 추락방지부(200)의 단부에 연결되어 추락방지부(200)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330)는 끈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탄성부(320)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고리에 연결되고, 타단이 추락방지부(200)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간격유지부(420)의 걸림부(423)에 연결된다. 지지부재(330)는 낙하물 등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폴리머 등 가요성의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간격유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400)는 제1프레임부(210)에 연결되어 이웃하는 추락방지부(200)간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간격유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간격유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와 추락방지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400)는 제1간격유지부(410), 제2간격유지부(420)를 포함한다.
제1간격유지부(410)는 하측에 배치된 고정부(100)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이웃하는 추락방지부(200)에 각각 구비되는 제1프레임부(210)를 나란하게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간격유지부(410)는 결합부(411), 장착부(412)를 포함한다.
결합부(411)는 관형주(1)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부(100)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411)는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오목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로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411a)와, 수용부(411a)의 개구된 측을 가로막아 고정부(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용부(411a)를 관통하는 이탈방지부(411b)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412)는 결합부(411)에 연결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추락방지부(200)에 구비되는 각각의 제1프레임부(21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412)는 결합부(411)의 하방에 연결되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격벽(412a)과, 한 쌍의 격벽(412a) 사이에 배치되어 제1프레임부(2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장착공간(412b)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412a)에는 제1프레임부(210)가 장착부(412)에 삽입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격벽(412a)을 관통하는 삽입공(412c)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2간격유지부(420)는 제1간격유지부(41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웃하는 추락방지부(200)에 각각 구비되는 제1프레임부(210)를 연결시켜 이동을 제한한다. 제2간격유지부(420)는 제1프레임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1간격유지부(410)에 의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프레임부(21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간격유지부(420)는 제1클램프부(421), 제2클램프부(422), 걸림부(423)를 포함한다.
제1클램프부(421)는 나란하게 배치된 제1프레임부(210)의 일측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클램프부(421)는 길이방향이 제1프레임부(210)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제1프레임부(210)의 둘레에 안착되는 한 쌍의 홈이 내부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클램프부(422)는 제1클램프부(42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1프레임부(410)의 타측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클램프부(422)는 제1클램프부(42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홈이 형성된 면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2클램프부(422)는 제1클램프부(421)와 볼팅 결합 등으로 결합되어 제1프레임부(410)에 고정될 수 있다.
걸림부(423)는 제1클램프부(421) 또는 제2클램프부(422)로부터 돌출되어 지지부재(3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걸림부(423)는 제1프레임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클램프부(421) 또는 제2클램프부(422) 중 제1프레임부(410)의 단부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제1클램프부(421) 또는 제2클램프부(422)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지상에서 한 쌍의 제1프레임부(210)에 추락방지부재(220)를 연결시키고, 추락방지부재(220)의 폭방향 단부에 연결된 제2프레임부(221)를 사행방지부(230)에 연결시켜 하나의 추락방지부(200)를 조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추락방지부재(220)의 길이방향 양측을 각각 한 쌍의 제1프레임부(210)에 연결시킨다.
이후 안착부(231)를 가압부(232)에 의해 제1프레임부(210)에 고정시킨 뒤, 제2프레임부(221)의 단부에 연결되어 돌출된 나사를 가이드부(233)에 삽입하고, 나사에 너트를 결합시켜 제2프레임부(221)를 가압부(232)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차단방지부재(220)의 폭방향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제2프레임부(221)의 단부를 모두 가압부(232)에 고정시킨다.
이후 고정부몸체(110)를 관형주(1)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시킨다. 이 경우, 지지부(300)의 연결부(310)와 간격유지부(400)의 제1간격유지부(410)를 관형주(1)의 둘레를 따라 상,하로 배치시킨 후 고정부몸체(110)를 관형주(1)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관형주(1)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고정부몸체(110)의 일단을 제1조임부(122)로 충분한 길이로 인입시켜 고정한다. 이어서 고정부몸체(110)의 타단에 구비된 삽입부(123a)로 이동부(123b)를 삽입시키고, 조절부(123c)를 회전시켜 이동부(123b)의 삽입길이를 조절하여 고정부(100)를 관형주(1)의 둘레에 완전히 고정시킨다.
고정부(100)의 고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지상에서 조립을 완료한 추락방지부(200)의 제1프레임부(210)를 각각 제1간격유지부(410)의 장착부(412)로 삽입시키고, 장착부(412)의 격벽(411a)에 구비된 삽입공(411c)을 통해 고정핀을 삽입시킴으로써 추락방지부(20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복수개의 추락방지부(200)가 관형주(1)의 둘레를 따라 모두 배치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후 이웃한 추락방지부(200)에 각각 구비되고, 제1간격유지부(410)에 의해 나란하게 배치된 제1프레임부(210)에 제2간격유지부(420)를 결합시켜 복수개의 추락방지부(200)를 일체로 연결시킨다.
이어서 상측에 배치된 고정부(10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연결부(310)에 탄성부(320)의 일측을 연결시키고, 탄성부(320)의 타측에 지지부재(330)의 일측을 연결한다. 지지부재(330)의 일측이 탄성부(320)의 타측에 연결되면, 지지부재(330)의 타측을 추락방지부(200)의 단부에 결합된 제2간격유지부(420)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423)에 연결시킨다. 이후 지지부재(3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 추락방지부(200)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의 조립을 완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의 조립과정은 상술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의 작업 편의 등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관형주(1)의 상방에서 낙하된 공구 등의 낙하물 또는 작업자는 관형주(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추락방지부(200)로 낙하되어 지면과의 충돌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낙하물 등이 추락방지부재(220)로 낙하하게 되면 추락방지부재(220)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추락방지부재(220)에 연결된 제1프레임부(210)에 전달된다. 제1프레임부(210)는 고정부(10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제1간격유지부(410)에 의해 1차적으로 지탱된다. 이 경우, 이웃한 추락방지부(200)에 구비되는 제1프레임부(210)가 제2간격유지부(42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추락방지부(200)에 가해지는 충력력은 모든 추락방지부(200)로 분산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제1프레임부(2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된다.
또한, 지지부(300)가 추락방지부(200)의 단부에 연결됨에 따라 제1프레임부(210)는 상측에 배치된 고정부(10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연결부(310)에 의해 2차적으로 지탱된다.
추락에 따른 충격의 흡수과정을 살펴보면, 추락된 낙하물 등에 접촉되는 추락방지부재(22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신축됨에 따라 추락에 의한 충격을 흡수한다. 이후 추락방지부재(220)에 의해 제1프레임부(210)로 전달된 충격력은 지지부재(330)를 따라 탄성부(320)로 전달되어 탄성부(320)를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킨다. 탄성부(320)로 전달된 충격은 탄성부(320)가 다시 원래의 길이로 복귀하고자 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추가로 흡수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공구 등의 낙하물 또는 작업자가 지지부(300)를 향해 낙하하여 지지부(300)와 충돌되는 경우, 지지부재(330)가 가요성의 재질을 포함함에 따라 지지부재(330)가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추락에 따른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한다. 지지부재(330)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탄성부재(320)로 전달되고, 탄성부재(320)는 길이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연장되면서 낙하물의 추락에 따른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한다. 탄성부(320)에 가해지는 장력은 연결부(310)로 전달되고, 충격력은 최종적으로 연결부(310)에 연결된 고정부(100)로 전달되어 분산된다.
상술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추락방지부를 지상에서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관형주에 설치시킬 수 있어 조립 및 설치과정이 간소화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고정부가 다양한 둘레의 관형주에 장착될 수 있음에 따라 관형주의 서로 다른 규격에 의한 장치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지지부가 탄성복원력을 가짐에 따라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충격을 다중으로 흡수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간격유지부에 의해 각각의 추락방지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연결됨에 따라 지탱력이 강화되어 추락에 따른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는 사행방지부에 의해 추락방지부재가 제1프레임부에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조립상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관형주 100 : 고정부
110 : 고정부몸체 120 : 조임부
121 : 조임부몸체 122 : 제1조임부
123 : 제2조임부 123a : 삽입부
123b : 이동부 123c : 조절부
123d : 연결부재 200 : 추락방지부
210 : 제1프레임부 220 : 추락방지부재
221 : 제2프레임부 230 : 사행방지부
231 : 안착부 232 : 가압부
233 : 가이드부 300 : 지지부
310 : 연결부 320 : 탄성부
330 : 지지부재 400 : 간격유지부
410 : 제1간격유지부 411 : 결합부
411a : 수용부 411b : 이탈방지부
412 : 장착부 412a : 격벽
412b : 장착공간 412c : 삽입공
420 : 제2간격유지부 421 : 제1클램프부
422 : 제2클램프부 423 : 걸림부

Claims (12)

  1. 관형주의 둘레에 고정되고,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
    하측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관형주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추락방지부; 및
    상측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추락방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락방지부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키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관형주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부;
    한 쌍의 상기 제1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는 추락방지부재;
    상기 추락방지부재의 양측에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제1프레임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제2프레임부를 상기 제1프레임부에 연결시키고, 상기 추락방지부재가 상기 제1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사행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행방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부의 일측 둘레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의 타측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안착부를 상기 제1프레임부에 고정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제2프레임부를 연결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형주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부몸체; 및
    상기 고정부몸체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몸체를 상기 관형주의 둘레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상기 고정부몸체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는 조임부몸체;
    상기 조임부몸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몸체의 일단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제1조임부; 및
    상기 고정부몸체의 타단과 상기 조임부몸체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몸체의 타단과 상기 조임부몸체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2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임부는,
    상기 고정부몸체의 타단에 연결되는 삽입부;
    상기 조임부몸체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장공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프레임부의 슬라이드 경로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8. 삭제
  9. 관형주의 둘레에 고정되고,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
    하측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관형주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추락방지부; 및
    상측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추락방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락방지부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키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관형주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부;
    한 쌍의 상기 제1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는 추락방지부재;
    상기 추락방지부재의 양측에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제1프레임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제2프레임부를 상기 제1프레임부에 연결시키고, 상기 추락방지부재가 상기 제1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사행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이웃하는 상기 추락방지부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하측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이웃하는 상기 추락방지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1프레임부를 나란하게 고정시키는 제1간격유지부; 및
    상기 제1간격유지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추락방지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1프레임부를 연결시켜 이동을 제한하는 제2간격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유지부는,
    상기 관형주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유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연결부;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부; 및
    양단이 각각 상기 탄성부의 타측과 상기 추락방지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락방지부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KR1020200054398A 2020-05-07 2020-05-07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KR10267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98A KR102670587B1 (ko) 2020-05-07 2020-05-07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98A KR102670587B1 (ko) 2020-05-07 2020-05-07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326A KR20210136326A (ko) 2021-11-17
KR102670587B1 true KR102670587B1 (ko) 2024-05-31

Family

ID=7870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398A KR102670587B1 (ko) 2020-05-07 2020-05-07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05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790Y1 (ko) * 2002-08-13 2002-11-13 자영건설 주식회사 낙하물 방호 선반
JP2014045647A (ja) * 2012-07-31 2014-03-13 Sanyo Engineer & Construction Inc 電柱作業落下物防止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489A (ko) * 2017-11-08 2019-05-16 한국전력공사 송전철탑 건설 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이동통로 및 추락방지 장치
KR102000570B1 (ko) * 2017-12-05 2019-07-17 김재교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보호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790Y1 (ko) * 2002-08-13 2002-11-13 자영건설 주식회사 낙하물 방호 선반
JP2014045647A (ja) * 2012-07-31 2014-03-13 Sanyo Engineer & Construction Inc 電柱作業落下物防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326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560B2 (en) Impact protection device
US7883135B2 (en)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CN110036212B (zh) 螺钉保持装置和螺钉保持组件
KR20090084420A (ko) 가드레일
KR102670587B1 (ko) 관형주 추락 방지 장치
KR101259766B1 (ko)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KR20190032021A (ko) 다중 완충 기능을 갖는 도로 방호 펜스
KR102053653B1 (ko) 캐노피 장치
US10391812B2 (en) Elastomeric fastener system for wheel devices
KR102077540B1 (ko) 케이블 클리트
JP4456509B2 (ja) 砂防ダム
EP0677615B1 (en) Variable configuration road barrier with energy dissipating means
JP4837773B2 (ja) 砂防ダム
EP2942168B1 (en) Chopping aid
AU2012371726B2 (en) A flexible impact protection
KR200487805Y1 (ko) 운전자용 보호격벽 장치
KR20160135475A (ko) 케이블 체인 받침바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체인 가이드 시스템
KR100970934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GB2522278A (en) Improved barrier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EP2650558A1 (en) Energy dissipation device for protecting structures or the like
KR101738314B1 (ko) 가드레일
KR102670591B1 (ko) 전주용 발판 장치
CN220433633U (zh) 一种泄压锚绳及边坡防护网
KR102677471B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연결장치
KR102690402B1 (ko) 점탄성패드가 구비된 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