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540B1 - 케이블 클리트 - Google Patents

케이블 클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540B1
KR102077540B1 KR1020170177602A KR20170177602A KR102077540B1 KR 102077540 B1 KR102077540 B1 KR 102077540B1 KR 1020170177602 A KR1020170177602 A KR 1020170177602A KR 20170177602 A KR20170177602 A KR 20170177602A KR 102077540 B1 KR102077540 B1 KR 102077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able
cover member
cables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760A (ko
Inventor
진정운
정경종
김회점
김제훈
임익순
유병희
김현주
신희덕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7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5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5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having bracket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of a common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 결합되되, 3개의 케이블의 각각의 횡단면 중심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중앙 지지부, 상기 3개의 케이블 중, 중간에 위치하는 제1 케이블의 일측 외주면과 제2 케이블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 커버 부재, 상기 제1 케이블의 타측 외주면과 제3 케이블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 커버 부재,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중앙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탄성 조절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중앙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탄성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클리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클리트{CABLE CLEAT}
본 발명은 케이블 클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충격 흡수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클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을 송전 선로에 포설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클리트(cable cleat)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고정해야 한다.
초고압 케이블용 클리트는 내경이 반원인 상부 케이블 클리트 및 하부 케이블 클리트를 상호 체결하여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결합되며, 몸체를 관통하는 구멍에 케이블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케이블을 구속하게 된다.
송전 선로에 포설된 초고압 케이블은 실제 운전 시에 열에 의한 축력이 발생하여 외경 방향으로 열팽창을 하게 된다.
송전 선로에 포설된 초고압 케이블은 선로 전류 인가에 의한 발열로 케이블 외경이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초고압 케이블용 클리트는 케이블의 팽창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 수단이 요구된다.
완충 수단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케이블의 찌그러짐, 크리트의 피로파괴 또는 크리프에 의한 소성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01842(2012.01.05.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이 기후 변화에 의해서 열 팽창 또는 수축 등 가혹한 조건에서도 케이블 구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 크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 결합되되, 3개의 케이블의 각각의 횡단면 중심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중앙 지지부, 상기 3개의 케이블 중, 중간에 위치하는 제1 케이블의 일측 외주면과 제2 케이블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 커버 부재, 상기 제1 케이블의 타측 외주면과 제3 케이블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 커버 부재,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중앙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탄성 조절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중앙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탄성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클리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조절 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탄성 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이 상기 제1 탄성 조절 부재의 헤드에 지지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1 커버 부재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에 지지되며, 상기 제2 탄성 조절 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 탄성 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일단은 제2 탄성 조절 부재의 헤드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커버 부재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조절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 일부가 상기 중앙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 일부가 상기 중앙 지지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조절 부재 및 제2 탄성 조절 부재는 각각 상호 평행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2 탄성 부재의 탄성 계수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부는, 상기 제2, 3 케이블의 사분면의 하측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에 볼트 결합되는 하측 지지부 및 상기 제2, 3 케이블의 사분면의 상측 일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케이블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상측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지지부와 하측 지지부는 수직 볼트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부재, 상기 제2 커버 부재 및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호 인접하는 단부 간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는 틈새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이 기후 변화로 인하여 냉각되거나 열에 의해 팽창되더라도 적절한 면압력으로 파지력을 유지하여 케이블 내부의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케이블 포설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는 베이스(110), 중앙 지지부(120), 제1, 2 커버 부재(130, 140) 및 제1, 2 탄성 조절 부재(131, 14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평탄한 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 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의 상면은 중앙 지지부(120)의 바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평탄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 지지부(120)는 베이스(110) 상에 면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지지부(120)는 3면을 갖도록 형성되되, 각각의 면은 3개의 케이블(c1, c2, c3)의 각각의 외주면 일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3개의 케이블(c1, c2, c3)의 각각의 외주면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c1, c2, c3)의 각각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케이블의 길이 방향의 양단을 절단한 상태이며, c1, c2, c3은 각각 내부에 복수의 배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피복을 의미할 수 있다.
케이블은 단상 케이블 또는 삼상용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그 외의 다양한 케이블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중앙 지지부(120)를 살펴보면, 중앙 지지부(120)는 3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3개의 케이블(c1, c2, c3)의 각각의 횡단면 중심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커버 부재(130)는 3개의 케이블(c1, c2, c3) 중, 중간에 위치하는 제1 케이블(c1)의 일측 외주면과 제2 케이블(c2)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커버 부재(140)는 제1 케이블(c1)의 타측 외주면과 제3 케이블(c3)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2 커버 부재(130, 140)의 전체적인 형상은 3개의 케이블(c1, c2, c3)의 외주면을 감싸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지지부(120)는 제2, 3 케이블(c2, c3)의 각각의 사분면의 하측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되, 베이스(110)에 볼트 결합되는 하측 지지부(121)를 구비하고, 제2, 3 케이블(c2, c3)의 각각의 사분면의 상측 일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1 케이블(c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상측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122)와 하측 지지부(121)는 수직 볼트(111)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탄성 조절 부재(131)는 제1 커버 부재(130)를 관통한 상태로 중앙 지지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탄성 조절 부재(131)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탄성 부재(13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33)의 일단은 제1 탄성 조절 부재(131)의 헤드(132)에 지지되고, 제1 탄성 부재(133)의 타단은 제1 커버 부재(130)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134)에 지지됨으로써 탄성 지지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 탄성 조절 부재(141)는 제2 커버 부재(140)를 관통한 상태에서 중앙 지지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탄성 조절 부재(141)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 탄성 부재(14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143)의 일단은 제2 탄성 조절 부재(141)의 헤드(142)에 지지되고, 제2 탄성 부재(143)의 타단은 제2 커버 부재(140)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144)에 지지됨으로써 탄성 지지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1 탄성 조절 부재(13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 일부가 중앙 지지부(120)의 나사부(122a)에 나사 결합되고, 제2 탄성 조절 부재(13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 일부가 중앙 지지부(120)의 나사부(122b)에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제1 탄성 조절 부재(131)가 제1 탄성 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커버 부재(13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2 탄성 조절 부재(141)가 제2 탄성 부재(143)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커버 부재(14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3개의 케이블(c1, c2, c3)의 각각의 외경이 외부 환경의 기온 변화에 의해 팽창되거나 수축될 경우, 제1, 2 탄성 부재(133, 143)는 압축되거나, 신장되며 제1, 2 커버 부재(130, 140)는 제1, 2 탄성 부재(133, 143)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c1, c2, c3)의 외경 변화에 따라 제1, 2 탄성 부재(133, 143)가 압축 또는 신장됨으로써 케이블(c1, c2, c3)을 파지 고정하기 위한 일정 이상의 면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게 된다.
이때, 제1 커버 부재(130), 제2 커버 부재(140) 및 하부 지지부(121)의 상호 인접하는 단부 간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는 틈새(d1, d2, d3)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각각의 틈새(d1, d2, d3)가 형성됨으로써 제1 커버 부재(130) 및 제2 커버 부재(140)가 각각 제1, 2 탄성 부재(133, 143)에 의해 탄성 변형하며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제1 커버 부재(130), 제2 커버 부재(140) 및 하측 지지부(121)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여유 공차를 두기 위함이다.
한편, 제1 탄성 조절 부재(131) 및 제2 탄성 조절 부재(141)는 각각 하나로 구비되어 제1 커버 부재(130) 및 제2 커버 부재(140)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케이블의 직경 또는 환경 변화 정도에 따라 제1 탄성 조절 부재(131) 및 제2 탄성 조절 부재(141)를 각각 한 쌍씩 구비하게 되면 탄성 복원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1 탄성 부재(133) 및 제2 탄성 부재(143)의 탄성 계수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케이블(c1, c2, c3) 간의 온도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2 탄성 부재(133, 143)의 탄성 계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케이블(c1, c2, c3)의 열 신축에 따라 제1, 2 탄성 부재의 압축 또는 신장으로 인하여 제1, 2 커버 부재(130, 140)가 유동적으로 배치되므로 케이블(c1, c2, c3)의 외주면에 대한 면압을 일정하게 가해줌으로써 일정한 면압력으로 파지력을 유지하여 케이블 내부의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케이블 클리트
110: 베이스
120: 중앙 지지부
130: 제1 커버 부재
131: 제1 탄성 조절 부재
140: 제2 커버 부재
141: 제2 탄성 조절 부재

Claims (7)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 결합되되, 3개의 케이블의 각각의 횡단면 중심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중앙 지지부;
    상기 3개의 케이블 중, 중간에 위치하는 제1 케이블의 일측 외주면과 제2 케이블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 커버 부재;
    상기 제1 케이블의 타측 외주면과 제3 케이블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 커버 부재;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중앙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탄성 조절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중앙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탄성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지지부는, 상기 제2, 3 케이블의 사분면의 하측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에 볼트 결합되는 하측 지지부; 및 상기 제2, 3 케이블의 사분면의 상측 일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케이블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상측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지지부와 하측 지지부는 수직 볼트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 커버 부재, 상기 제2 커버 부재 및 상기 하측 지지부의 상호 인접하는 단부 간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는 틈새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3개의 케이블 각각의 외경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탄성 조절 부재 및 제2 탄성 조절 부재가 각각 압축 또는 신장됨으로써 상기 3개의 케이블을 일정한 면압력으로 파지력을 유지하여 상기 3개의 케이블 내부의 스트레스를 저감시키도록 이루어진 케이블 클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조절 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탄성 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이 상기 제1 탄성 조절 부재의 헤드에 지지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1 커버 부재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에 지지되며, 상기 제2 탄성 조절 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 탄성 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일단은 제2 탄성 조절 부재의 헤드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커버 부재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클리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조절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 일부가 상기 중앙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 일부가 상기 중앙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클리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조절 부재 및 제2 탄성 조절 부재는 각각 상호 평행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클리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탄성 부재의 탄성 계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클리트.
  6. 삭제
  7. 삭제
KR1020170177602A 2017-12-21 2017-12-21 케이블 클리트 Active KR102077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602A KR102077540B1 (ko) 2017-12-21 2017-12-21 케이블 클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602A KR102077540B1 (ko) 2017-12-21 2017-12-21 케이블 클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760A KR20190075760A (ko) 2019-07-01
KR102077540B1 true KR102077540B1 (ko) 2020-02-14

Family

ID=6725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602A Active KR102077540B1 (ko) 2017-12-21 2017-12-21 케이블 클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448B1 (ko) 2021-06-02 2022-06-02 금오이엔씨(주) 지중케이블용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3581B (zh) * 2019-07-18 2021-02-05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仿生软体机械臂及抓持系统
US11677220B2 (en) 2020-07-29 2023-06-13 Panduit Corp. Low profile cable cleat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038B1 (ko) * 2005-10-20 2006-01-31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지중배전시설용 난연시일구조
JP2017128260A (ja) * 2016-01-21 2017-07-27 Ntn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09B1 (ko) * 2002-11-28 2005-03-10 엘지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
KR101101842B1 (ko) 2010-08-23 2012-01-05 주식회사 상원 케이블 크리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038B1 (ko) * 2005-10-20 2006-01-31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지중배전시설용 난연시일구조
JP2017128260A (ja) * 2016-01-21 2017-07-27 Ntn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448B1 (ko) 2021-06-02 2022-06-02 금오이엔씨(주) 지중케이블용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760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540B1 (ko) 케이블 클리트
US9972982B2 (en) Apparatus for relieving tension of electric cable
KR101784922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방진형 행거장치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트레이
US5201155A (en) Seismic isolating bearing
US2442754A (en) Combined support, separable fastener, and vibration insulator
JP6344836B2 (ja) 橋梁の耐震構造に用いるダンパーおよびその耐震構造の復旧方法。
US7216859B2 (en) Damping arrangement
US9140328B2 (en) Vehicle vibration device, vehicle seat and vehicle cab
KR101103983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KR101488596B1 (ko) 3지점 토글식 고집적 제진댐퍼 장치
KR102454872B1 (ko) 스프링을 이용한 내진용 외장재 고정장치
CN105209698A (zh) 用于将面板连接到梁的抗震连接装置
WO2017074175A1 (en) A nonlinear spring bracing device
JP2014231897A (ja) 引張ブレース制振システム
KR20180070999A (ko) 좌굴방지 휨형 강재댐퍼
KR101575743B1 (ko) 쐐기를 이용한 진동 저감장치
US20200181931A1 (en) Damper for reinforcing earthquake resistance
EA036543B1 (ru) Упругое соединение
JP2007531851A (ja) 発電機セットのエンジンの熱膨張を可能にする取付け用システム
US10274036B2 (en) Energy management jounce bumper assembly
KR101487134B1 (ko) 베어링을 사용한 캔틸레버형 제진장치
JP2007263341A (ja) 防振装置
KR101230459B1 (ko)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
JP6275978B2 (ja) 防振支持装置
EP3088226B1 (en) Engine apparatus support structure, and engine apparatus install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