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021B1 -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 Google Patents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021B1
KR100959021B1 KR1020090099506A KR20090099506A KR100959021B1 KR 100959021 B1 KR100959021 B1 KR 100959021B1 KR 1020090099506 A KR1020090099506 A KR 1020090099506A KR 20090099506 A KR20090099506 A KR 20090099506A KR 100959021 B1 KR100959021 B1 KR 10095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horizontal
horizontal arm
coupled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하
Original Assignee
박성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하 filed Critical 박성하
Priority to KR1020090099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에 관한 것이다.
<목 적>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재를 목격한 사람이나 구조대원이 아파트 경비실, 관리실, 소방차 등에 보관하던 그물망을 화재발생 호실의 아래층 호실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여 구조 요청자로 하여금 아랫층 난간에 설치된 그물로 뛰어내리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별도의 와이어와 힌지를 이용하여 난간 바깥측으로 분기된 수평암(그물망)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지탱하는 힘을 보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안전성을 배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암과 연결봉의 결합 고정시 체결구로써, 나비볼트를 사용하도록 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해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 성>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난간(10)에 대해 직교되어 지주 역활을 도모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봉(100)과; 상기 지주봉의 상측단과 난간의 상부 수평봉(11)을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제1난간 고정구(200)와; 상기 지주봉의 선단 하부측과 난간의 하부 수평봉(12)을 체결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별도의 통공을 갖는 가이드(310)가 형성되는 제2난간 고정구(300)와; 상기 제2난간 고정구의 가이드(310) 통공에 끼움 결합되어 복수의 지주봉(10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형 성되는 보강바(400)와; 상기 지주봉의 하단과 직교되도록 조인트(510)에 의해 결합되어 난간의 외측 전방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수평암(500)과; 상기 수평암(500)의 외부측 단부에 조립구(610)로 하여금 결합되되, 좌우 폭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봉(600)과; 상기 보강바(400), 수평암(500) 및 연결봉(600)의 선단에 결합되되, 서로 마주보는 사각면 내측을 향해 개구홈(710) 및 고정핀(720)이 구비되는 체결구(700)와; 상기 체결구의 개구홈(710)과 고정핀(720)을 통해 외주면이 고정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그물망(8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효 과>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 그물망에 있어서, 난간과 결합되는 지주봉을 기준으로 복수의 수평암과 연결봉이 그물망을 펼쳐 거치시키도록 하되, 상기 수평암과 연결봉은 전후방향으로 길이조절이 되거나 좌우 폭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어 간편한 작업성으로 하여금 화재 발생시 입주자의 탈출을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아이들이 있는 집에서 간혹 아이들이 호기심에 베란다에서 놀다가 떨어지는 사고들이 있는데 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난간, 안전 그물망, 지주봉, 보강바, 수평암, 연결봉, 체결구, 조립구, 조인트

Description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Fold-up type safety net}
본 발명은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재를 목격한 사람이나 구조대원이 아파트 경비실, 관리실, 소방차 등에 보관하던 그물망을 화재발생 호실의 아래층 호실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여 구조 요청자로 하여금 아랫층 난간에 설치된 그물로 뛰어내리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안전그물망에 관한 것으로, 이에, 본 발명은 별도의 와이어와 힌지를 이용하여 난간 바깥측으로 분기된 수평암(그물망)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지탱하는 힘을 보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안전성을 배가시키도록 함은 물론 수평암과 연결봉의 결합 고정시 체결구로써, 나비볼트를 사용하도록 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해체가 용이하여 화재시 구조요청자의 신속한 탈출을 도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을 사용하는 사람이 화재를 당한 사람이 아니고, 소방관이나 화재를 목격한 사람이며, 설치하는 장소도 화재가 난 아파트 호실 베란다가 아니고, 바로 아래쪽 아파트 호실 베란다로서, 아파트 화재시 주거민의 탈출을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최근의 아파트, 오피스텔은 일조권과 조망권 및 녹지의 확보를 위하여 초고층으로 시공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초고층으로 시공된 아파트, 오피스텔은 화재시 대량의 인명피해를 초래하게 되므로 건물에는 화재에 대한 안전시설을 최우선으로 설비하고 있다.
그러나 초고층 아파트, 오피스텔에 화재에 대한 안전시설을 최우선으로 설치하여 시공하여도 화재가 출입문으로 번질 경우 탈출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안전시설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결국에는 베란다 쪽으로 나갈 수밖에 없으며 베란다 쪽에서 구조를 기다리게 된다.
한편, 화재발생시 화재가 목격되고 소방서에 신고된 후 구조대가 올 때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구조대가 오더라도 고가사다리 전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화단 등으로 인하여 안전투신망 또는 안전투신매트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베란다로 대피한 사람들이 지상으로 뛰어내려 사망하거나 중상을 입는 경우가 허다하다.
최근에 아파트, 상업용 건물 등 도시지역의 건물은 고층화 추세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 상기와 같이 지상으로 뛰어내려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히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재를 목격한 사람이나 구조대원이 아파트 경비실, 관리실, 소방차 등에 보관하던 그물망을 화재발생 호실의 아래층 호실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여 구조 요청자로 하여금 아랫층 난간에 설치된 그물로 뛰어내리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안전그물망에 관한 것으로, 이에, 본 발명은 별도의 와이어와 힌지를 이용하여 난간 바깥측으로 분기된 수평암(그물망)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지탱하는 힘을 보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안전성을 배가시키도록 함은 물론 수평암과 연결봉의 결합 고정시 체결구로써, 나비볼트를 사용하도록 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해체가 용이하여 화재시 구조요청자의 신속한 탈출을 도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난간(10)에 대해 직교되어 지주 역활을 도모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봉(100)과; 상기 지주봉의 상측단과 난간의 상부 수평봉(11)을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제1난간 고정구(200)와; 상기 지주봉의 선단 하부측과 난간의 하부 수평봉(12)을 체결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별도의 통공을 갖는 가이드(310)가 형성되는 제2난간 고정구(300)와; 상기 제2난간 고정구의 가이드(310) 통공에 끼움 결합되어 복수의 지주봉(10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보강바(400)와; 상기 지주봉의 하단과 직교되도록 조인트(510)에 의해 결합되어 난간의 외측 전방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수평암(500) 과; 상기 수평암(500)의 외부측 단부에 조립구(610)로 하여금 결합되되, 좌우 폭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봉(600)과; 상기 보강바(400), 수평암(500) 및 연결봉(600)의 선단에 결합되되, 서로 마주보는 사각면 내측을 향해 개구홈(710) 및 고정핀(720)이 구비되는 체결구(700)와; 상기 체결구의 개구홈(710)과 고정핀(720)을 통해 외주면이 고정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그물망(8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주봉의 상부에 결합된 제1고정구의 일측단과 수평암의 외측단에 형성된 일측단에 연결용 와이어(900)를 이용하여 수평암 및 그물망의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또한, 상기 수평암과 연결봉의 조립시에는 나비볼트(1000)를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 그물망에 있어서, 난간과 결합되는 지주봉을 기준으로 복수의 수평암과 연결봉이 그물망을 펼쳐 거치시키도록 하되, 상기 수평암과 연결봉은 전후방향으로 길이조절이 되거나 좌우 폭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어 간편한 작업성으로 하여금 화재 발생시 입주자의 탈출을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아이들이 있는 집에서 간혹 아이들이 호기심에 베란다에서 놀다가 떨어지는 사고들이 있는데 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와이어와 힌지를 이용하여 난간 바깥측으로 분기된 수평암(그물망)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지탱하는 힘을 보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안전성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암과 연결봉의 결합 고정시 체결구로써, 나비볼트를 사용하도록 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해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그물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명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봉, 제1난간 고정구, 제2난간 고정구, 보강바, 수평암, 연결봉, 체결구, 그물망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주봉(100)은 난간(10)에 대해 직교되어 지주 역활을 도모하도록 설치된다.
즉, 복수의 지주봉이 난간의 상부 수평봉과 하부 수평봉에 각각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바, 이러한 고정은 후술되는 제1,2난간 고정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제1난간 고정구(200)는 상기 지주봉의 상측단과 난간의 상부 수평봉(11)을 체결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난간 고정구는 일측이 개구된 클램프 형태의 고정구로써, 난간의 수평봉과 체결된 후 볼트에 의해 견고하게 조임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난간 고정구(300)는 상기 지주봉의 선단 하부측과 난간의 하부 수평봉(12)을 체결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별도의 통공을 갖는 가이드(3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난간 고정구 역시 지주봉을 난간에 안정적으로 지지 결합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 역시 일측이 개구된 클램프 형태의 고정구로써, 난간의 수평봉과 체결된 후 볼트에 의해 견고하게 조임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보강바(400)는 상기 제2난간 고정구의 가이드(310) 통공에 끼움 결합되어 복수의 지주봉(10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에 결합된 보강바는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후술되는 수평바나 연결봉 및 그물망이 출렁이거나 유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복수의 수평암(500)은 상기 지주봉의 하단과 직교되도록 조인트(510)에 의해 결합되어 난간의 외측 전방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암은 건물의 외측으로 나란히 분기되어 후술되는 그물망의 양측단을 고정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암은 안테나와 같이 인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중공관이 서로 다른 직경에 의해 결합되었다가 필요시 내측에 삽입된 소형 중공관을 빼내어 길이 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봉(600)은 상기 수평암(500)의 외부측 단부에 조립구(610)로 하여금 결합되되, 좌우 폭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봉은 수평암과 직교되는 측에 대해서 그물망의 안정적인 지지 고정을 도모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연결봉 역시 수평암처럼 안테나와 같이 인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중공관이 서로 다른 직경에 의해 결합되었다가 필요시 내측에 삽입된 소형 중공관을 빼내어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체결구(700)는 상기 보강바(400), 수평암(500) 및 연결봉(600)의 선단에 결합되되, 서로 마주보는 사각면 내측을 향해 개구홈(710) 및 고정핀(72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체결구는 클램프 형태로 이루어져 절개된 개구홈으로 그물망의 외측단을 물린 뒤 고정핀으로 하여금 체결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그물망(800)은 상기 체결구의 개구홈(710)과 고정핀(720)을 통해 외주면이 고정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그물망은 일반적인 메쉬 형태의 그물망으로써, 직물 또는 합성수지 및 금속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주봉의 상부에 결합된 제1고정구의 일측단과 수평암의 외측단을 연결용 와이어(900)로 결속 구성하여 난간 바깥측으로 분기된 수평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지탱하는 힘을 보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안전성을 배가시키는 것이다.
삭제
이에, 상기 수평암과 연결봉의 조립시에는 나비볼트(1000)를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수평암과 연결봉의 결합 고정시 체결구로써, 나비볼트(1000)를 사용하도록 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해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 본 발명을 사용하는 사람이 화재를 당한 사람이 아니고, 소방관이나 화재를 목격한 사람이며, 설치하는 장소도 화재가 난 아파트 호실 베란다가 아니고, 바로 아래쪽 아파트 호실 베란다로서, 아파트 화재시 주거민의 탈출을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그물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명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주봉 200 ... 제1난간 고정구
300 ... 제2난간 고정구 400 ... 보강바
500 ... 수평암 600 ... 연결봉
700 ... 체결구 800 ... 그물망
900 ... 와이어 1000 ... 나비볼트

Claims (3)

  1. 난간(10)에 대해 직교되어 지주 역활을 도모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봉(100)과;
    상기 지주봉의 상측단과 난간의 상부 수평봉(11)을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제1난간 고정구(200)와;
    상기 지주봉의 선단 하부측과 난간의 하부 수평봉(12)을 체결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별도의 통공을 갖는 가이드(310)가 형성되는 제2난간 고정구(300)와;
    상기 제2난간 고정구의 가이드(310) 통공에 끼움 결합되어 복수의 지주봉(10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보강바(400)와;
    상기 지주봉의 하단과 직교되도록 조인트(510)에 의해 결합되어 난간의 외측 전방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수평암(500)과;
    상기 수평암(500)의 외부측 단부에 조립구(610)로 하여금 결합되되, 좌우 폭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봉(600)과;
    상기 보강바(400), 수평암(500) 및 연결봉(600)의 선단에 결합되되, 서로 마주보는 사각면 내측을 향해 개구홈(710) 및 고정핀(720)이 구비되는 체결구(700)와;
    상기 체결구의 개구홈(710)과 고정핀(720)을 통해 외주면이 고정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그물망(8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의 상부에 결합된 제1고정구의 일측단과 수평암의 외측단을 연결용 와이어(900)로 결속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암과 연결봉의 조립시에는 나비볼트(1000)를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KR1020090099506A 2009-10-20 2009-10-20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KR10095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06A KR100959021B1 (ko) 2009-10-20 2009-10-20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06A KR100959021B1 (ko) 2009-10-20 2009-10-20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021B1 true KR100959021B1 (ko) 2010-05-24

Family

ID=4228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06A KR100959021B1 (ko) 2009-10-20 2009-10-20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6523B1 (ko) 2023-10-10 2024-07-19 대한민국 투척 방지용 가변형 그물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62Y1 (ko) 2001-04-30 2001-10-12 (주)유원아이디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JP2003041727A (ja) * 2001-07-31 2003-02-13 Chubu Bussan Boeki Kk ベランダ用日除け装置
KR100892955B1 (ko) 2008-01-18 2009-04-09 (주)엠에스 엔지니어링 건축물의 낙하물 방지장치용 고정 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62Y1 (ko) 2001-04-30 2001-10-12 (주)유원아이디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JP2003041727A (ja) * 2001-07-31 2003-02-13 Chubu Bussan Boeki Kk ベランダ用日除け装置
KR100892955B1 (ko) 2008-01-18 2009-04-09 (주)엠에스 엔지니어링 건축물의 낙하물 방지장치용 고정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6523B1 (ko) 2023-10-10 2024-07-19 대한민국 투척 방지용 가변형 그물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9781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US9528285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US8833520B2 (en) Fall safety barrier
KR100817326B1 (ko) 갱폼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방법
JP2014510213A (ja) 防護柵とその組立て方法
KR100599003B1 (ko)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KR100959021B1 (ko) 길이 및 면적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안전그물망
KR100885110B1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200467252Y1 (ko)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CN211229470U (zh) 一种多点悬挂脚手架
KR200339868Y1 (ko)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KR102114006B1 (ko) 공동주택 난간의 고정부위 확대 보강시설
KR100522241B1 (ko) 건축물 발코니 안전 난간
KR20080045595A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JP7443279B2 (ja) 外部枠組み足場の養生用屋根枠及び外部枠組み足場の養生用屋根枠を用いた外部枠組み足場用雨除け装置
KR20060088083A (ko) 낙하물 방지망 구조
CN221502640U (zh) 电梯井道钢梁安装用施工平台
KR200459397Y1 (ko) 갱 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지지브라켓 구조
JP5393510B2 (ja) 仮設足場における屋根からの落下防止設備
KR100814043B1 (ko) 좌우설치가 가능한 완강기 설치대
KR20090109174A (ko) 아파트 발코니 브래킷
JP7122080B2 (ja) 仮設足場
RU156000U1 (ru) Аварийно-эвакуационная площад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