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288B1 - 차량의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288B1
KR102641288B1 KR1020230152092A KR20230152092A KR102641288B1 KR 102641288 B1 KR102641288 B1 KR 102641288B1 KR 1020230152092 A KR1020230152092 A KR 1020230152092A KR 20230152092 A KR20230152092 A KR 20230152092A KR 102641288 B1 KR102641288 B1 KR 102641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door
door panel
vehicl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전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30152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55/50Features essential to rope pull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의 도어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는 윈도우 글래스를 고정하고, 도어패널에 마련된 케이블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며, 도어패널에 마련된 가이드레일로부터 승강경로를 안내받는 홀더; 및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풀리 및 풀리와 도어패널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풀리 조립체; 및 도어패널과 결합되는 도어트림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고,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패널과 풀리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VEHICLE DOOR}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윈도우 글래스를 승강시키기 위해 풀리가 사용되는 차량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에는 윈도우 글래스가 마련되는데, 윈도우 글래스를 홀더가 고정하고, 이러한 홀더가 풀리의 안내를 받는 케이블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되 가이드레일로부터 승강경로를 안내받아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윈도우 글래스는 홀더에 고정되어 홀더와 함께 승강하게 된다.
특히, 풀리는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리는 케이블을 감을 수 있고, 도어패널에 마련된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 글래스의 승강에 문제가 생긴 경우(예를 들어, 도어패널에 마련된 모터가 고장난 경우)에 탑승자가 윈도우 글래스를 열 수 있는 다른 방안이 모색된다.
삭제
본 실시 예는 탑승자의 차량에서의 탈출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의 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는, 윈도우 글래스를 고정하고, 도어패널에 마련된 케이블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며, 상기 도어패널에 마련된 가이드레일로부터 승강경로를 안내받는 홀더;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와 상기 도어패널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풀리 조립체; 및 상기 도어패널과 결합되는 도어트림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고,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풀리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풀리와 결합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개구되어 타단을 향해 파인 파인공간이 마련되는 풀리축 및 상기 풀리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리축은 상기 도어패널을 기준으로 위치가 고정된 걸림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파인공간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도어패널을 기준으로 위치가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걸림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파인공간에 수용한 상기 풀리축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상기 스프링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풀리축은 상기 걸림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파인공간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해재부는 상기 도어트림 상에서 노출되고, 상기 풀리에 대해 축방향에 위치하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눌러져 상기 풀리를 향해 이동 가능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풀리와 결합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는 풀리축 및 상기 풀리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도어패널을 기준으로 위치가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에서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돌출대응부와 상기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상이할 때, 상기 풀리축은 상기 도어패널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도어트림 상에서 노출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풀리축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레버와 상기 회전축에 걸쳐지는 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레버와 상기 회전축에 걸쳐지는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틱이 상기 풀리축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홀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돌출대응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도어패널에서 상기 풀리에 대해 반대편으로 멀게 경사지는 경사부에 미끄러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는 탑승자의 차량에서의 탈출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도어에 포함되는 홀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의 도어에 포함되는 풀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풀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의 도어에 포함되는 고정해재부에 포함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의 도어에 포함되는 풀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5의 풀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풀리가 도어패널과 고정이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차량의 도어에 포함되는 고정해재부에 포함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차량의 도어에 포함되는 풀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풀리 및 고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고정부에 포함되는 풀리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1의 구성의 회전에 따라 도 13의 풀리축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어패널과 도 12의 풀리가 고정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도어에 포함되는 홀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차량의 도어에 포함되는 풀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풀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차량의 도어에 포함되는 고정해재부에 포함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1000A)는 홀더(100), 풀리 조립체(200A) 및 고정해제부(300A)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00)는 윈도우 글래스(WG)를 고정하고, 도어패널(DP)에 마련된 케이블(C)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며, 도어패널(DP)에 마련된 가이드레일(GD)로부터 승강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홀더(100)가 상승한 상태와 하강한 상태를 동시에 도시하고 있다.
풀리 조립체(200A)는 풀리(210A) 및 고정부(220A)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리(210A)는 케이블(C)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리(210A)는 케이블(C)을 감을 수 있고, 도어패널(DP)에 마련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여 케이블(C)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3은 풀리(210A)가 케이블(C)의 이동을 안내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부(220A)는 풀리(210A)와 도어패널(DP)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고정해제부(300A)는 도어패널(DP)과 결합되는 도어트림(DT)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고,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패널(DP)과 풀리(210A)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의 차량의 도어에 포함되는 풀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220A)는 풀리축(AX) 및 스프링(S)을 포함할 수 있다.
풀리축(AX)은 일단이 풀리(210A)와 결합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개구되어 타단을 향해 파인공간(SP)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S)은 풀리축(AX)에 대해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풀리축(AX)이 도어패널(DP)과 일체를 이루거나 도어패널(DP)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대응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걸림프레임(F)의 적어도 일부)을 파인공간(SP)에 수용한 상태에서 스프링(S)이 풀리축(AX)에 대해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면, 풀리(210A)와 도어패널(DP)을 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부(220A)는 풀리(210A)와 도어패널(DP)을 서로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패널(DP)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홀(H)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풀리축(AX)은 이러한 관통홀(H)을 통해 도어패널(DP)을 관통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5의 풀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풀리가 도어패널과 고정이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고정해제부(300B)가 도어패널(DP)과 풀리(210A)의 고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풀리축(AX)은 도어패널(DP)을 기준으로 위치가 고정된 걸림프레임(F)의 적어도 일부를 파인공간(SP)에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프레임(F)은 도어패널(DP)과 일체를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걸림프레임(F)은 도어패널(DP)과 별도로 마련되어 도어패널(DP)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S)은 도어패널(DP)을 기준으로 위치가 고정된 지지프레임(F’)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F’)은 도어패널(DP)과 일체를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F’)은 도어패널(DP)과 별도로 마련되어 도어패널(DP)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걸림프레임(F)의 적어도 일부를 파인공간(SP)에 수용한 풀리축(210A)이 지지프레임(F’)에 지지된 스프링(S)을 향해 이동할 때, 풀리축(210A)은 걸림프레임(F)의 적어도 일부를 파인공간(SP)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5를 기준으로 풀리축(210A)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즉, 스프링(S)을 도 5를 기준으로 압축시키게 되면), 걸림프레임(F)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도 5는 걸림프레임(F)의 적어도 일부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를 파인공간(SP)의 왼쪽 경사에 의해 파인공간(SP) 외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풀리축(AX)의 상술한 안내에 따라 풀리(210A)는 도어패널(DP)과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풀리축(AX)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7은 도 6의 풀리축(AX)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풀리축(AX)이 걸림프레임(F)의 적어도 일부를 파인공간(SP) 외측으로 안내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해제부(300)는 버튼(B)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B)은 도어트림(DT) 상에서 노출될 수 있고, 풀리(210A)에 대해 축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어트림(DT) 상에서 노출된 버튼(B)을 도시하고 있고, 도 6 내지 도 8은 풀리(210A)에 대해 축방향에 위치한 버튼(B)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버튼(B)의 위치는 도 4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버튼(B)은 원형일 수 있고, 원형의 버튼(B)은 풀리축(AX)과 동축일 수 있으며, 풀리(210A) 및 풀리축(AX)이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풀리축(AX) 중 어느 하나와 동축일 수 있다.
한편, 도어트림(DT)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홀(H’)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버튼(B)은 이러한 관통홀(H’)을 통해 도어트림(DT)을 관통할 수 있다.
버튼(B)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눌러져 풀리(210A)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풀리(210A)는 버튼(B)과 접하게 되고, 스프링(S)을 더 압축시킬 수 있게 된다.
버튼(B)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눌려진 후 작업자가 버튼(B)을 놓게 되면, 이미 풀리축(AX)은 걸림프레임(F)의 적어도 일부를 파인공간(SP) 외측으로 안내한 후이므로, 스프링(S)의 복귀동작에 따라 풀리축(AX)은 도어패널(DP)과 분리되게 된다. 도 8은 스프링(S)의 복귀동작에 따라 풀리축(AX)이 도어트패널(DP)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도어패널(DP)과 분리된 풀리축(AX)이 케이블(예를 들어, 도 8의 케이블(C))의 장력에 의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1000A)는 홀더(100), 풀리 조립체(200A) 및 고정해제부(30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더(100)는 윈도우 글래스(WG)를 고정하고, 도어패널(DP)에 마련된 케이블(C)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며, 도어패널(DP)에 마련된 가이드레일(GD)로부터 승강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또한, 풀리 조립체(200A)는 케이블(C)의 이동을 안내하는 풀리(210A) 및 풀리(210A)와 도어패널(DP)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22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해제부(300A)는 도어패널(DP)과 결합되는 도어트림(DT)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고,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패널(DP)과 풀리(210A)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 글래스(WG)의 승강에 문제가 생긴 경우(예를 들어, 도어패널(DP)에 마련된 모터(미도시)가 고장난 경우)에 탑승자는 도어패널(DP)과 풀리(210A)의 고정을 해제시켜, 윈도우 글래스(WG)를 개폐하기 쉬운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1000A)는 탑승자의 차량에서의 탈출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차량의 도어에 포함되는 고정해재부에 포함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에에 따른 차량의 도어(1000B)는 홀더(100), 풀리 조립체(200B) 및 고정해제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00)는 윈도우 글래스(WG)를 고정하고, 도어패널(DP)에 마련된 케이블(C)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며, 도어패널(DP)에 마련된 가이드레일(GD)로부터 승강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도 10은 홀더(100)가 상승한 상태와 하강한 상태를 동시에 도시하고 있다.
풀리 조립체(200B)는 풀리(210B) 및 고정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리(210B)는 케이블(C)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리(210B)는 케이블(C)을 감을 수 있고, 도어패널(DP)에 마련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여 케이블(C)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고정부(220B)는 풀리(210B)와 도어패널(DP)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고정해제부(300B)는 도어패널(DP)과 결합되는 도어트림(DT)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고,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패널(DP)과 풀리(210B)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2는 도 10의 차량의 도어에 포함되는 풀리 조립체에 포함되는 풀리 및 고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부(220B)는 풀리축(AX’) 및 스프링(S)을 포함할 수 있다.
풀리축(AX’)은 일단이 풀리(210B)와 결합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돌출된 돌출부(AX’_P)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S)은 풀리축(AX)에 대해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S)은 도어패널(DP)을 기준으로 위치가 고정된 지지프레임(예를 들어, 도 6의 지지프레임(F’))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고정부에 포함되는 풀리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1의 레버의 회전에 따라 도 13의 풀리축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도어패널과 도 12의 풀리가 고정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고정부(220B)가 풀리(210B)와 도어패널(DP)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해제부(300B)는 도어패널(DP)과 결합되는 도어트림(DT)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고,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패널(DP)과 풀리(210B)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어패널(DP)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홀(H’’)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H’’)은 풀리축(AX’)에 마련된 돌출부(AX’_P)에 대응하는 돌출대응부(H’’_P)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3은 풀리축(AX’) 및 풀리축(AX’)에 마련된 돌출부(AX’_P)를 우측에 도시하면서, 관통홀(H’’) 및 관통홀(H’’)에 마련된 돌출대응부(H’’_P)을 좌측에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14는 관통홀(H’’)의 돌출대응부(H’’_P)와 풀리축(AX’)의 돌출부(AX’_P)가 원주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상이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15는 관통홀(H’’)의 돌출대응부(H’’_P)와 풀리축(AX’)의 돌출부(AX’_P)가 원주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일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를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4의 경우에는 도 12의 스프링(S)이 제공하는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풀리축(AX’)은 돌출부(AX’_P)에 의해 도어패널(DP)에 걸리게되고(즉, 고정부(220B)는 풀리(210B)와 도어패널(DP)를 서로 고정시키게 된다.), 도 15의 경우에는 풀리축(AX’)은 돌출부(AX’_P)에도 불구하고 도어패널(DP)에 걸리지 않고 도 12의 스프링(S)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도어패널(DP)에서 이탈되게 된다. 특히, 도 16은 풀리축(AX’)이 도어패널(DP)에서 이탈됨으로써 도어패널(DP)과 풀리(210B)가 고정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 도 11,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해제부(300B)는 레버(L) 및 스틱(L)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L)는 도어트림(예를 들어, 도 11의 도어트림(DT)) 상에서 노출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스틱(ST)은 레버(L)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AX’’)이 마련되고, 회전축(AX’’)과 함께 회전하여 풀리축(AX’)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해제부(300B)는 체인(C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인(CA)은 레버(L)와 회전축(AX’’)에 걸쳐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AX’’)은 레버(L)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해제부(300B)는 벨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는 레버(L)와 회전축(AX’’)에 걸쳐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AX’’)은 레버(L)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해제부(300B)는 레버(L)에 마련되는 제1 기어(미도시) 및 상기 회전축(AX’’)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AX’’)은 레버(L)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어패널(DP)에는 경사부(SL)가 마련될 수 있다. 경사부(SL)는 관통홀(H’’)의 돌출대응부(H’’_P)에 가까워질수록 도어패널(DP)에서 풀리(210B)에 대해 반대편으로 멀게 경사질 수 있다.
레버(L)가 회전하면 스틱(ST)이 풀리축(AX’)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이 경우, 돌출부(AX’_P)는 경사부(SL)에 미끄러질 수 있다.
즉, 도어패널(DP)의 경사부(SL)는 풀리(210B)가 케이블(C)의 이동을 안내함에 따라 풀리축(AX’)이 간접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면서도, 고정해제부(300B)가 도어패널(DP)과 풀리(210B)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1000B)는 홀더(100), 풀리 조립체(200B) 및 고정해제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더(100)는 윈도우 글래스(WG)를 고정하고, 도어패널(DP)에 마련된 케이블(C)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며, 도어패널(DP)에 마련된 가이드레일(GD)로부터 승강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또한, 풀리 조립체(200B)는 케이블(C)의 이동을 안내하는 풀리(210B) 및 풀리(210B)와 도어패널(DP)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해제부(300B)는 도어패널(DP)과 결합되는 도어트림(DT)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고,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패널(DP)과 풀리(210B)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 글래스(WG)의 승강에 문제가 생긴 경우(예를 들어, 도어패널(DP)에 마련된 모터(미도시)가 고장난 경우)에 탑승자는 도어패널(DP)과 풀리(210B)의 고정을 해제시켜, 윈도우 글래스(WG)를 개폐하기 쉬운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1000B)는 탑승자의 차량에서의 탈출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0A, 1000B: 차량의 도어 DP: 도어패널
DT: 도어트림 100: 홀더
200A, 200B: 풀리 조립체 210A, 210B: 풀리
220A, 220B: 고정부 300A, 300B: 고정해제부

Claims (12)

  1. 윈도우 글래스를 고정하고, 도어패널에 마련된 케이블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며, 상기 도어패널에 마련된 가이드레일로부터 승강경로를 안내받는 홀더;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와 상기 도어패널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풀리 조립체; 및
    상기 도어패널과 결합되는 도어트림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고,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풀리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풀리와 결합되는 풀리축 및
    상기 풀리축의 타단에 대해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축은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개구되어 타단을 향해 파인 파인공간이 마련되는 차량의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축은
    상기 도어패널을 기준으로 위치가 고정된 걸림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파인공간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도어패널을 기준으로 위치가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차량의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파인공간에 수용한 상기 풀리축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상기 스프링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풀리축은
    상기 걸림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파인공간 외측으로 안내하는 차량의 도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도어트림 상에서 노출되고, 상기 풀리에 대해 축방향에 위치하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눌러져 상기 풀리를 향해 이동 가능한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축은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는 차량의 도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도어패널을 기준으로 위치가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차량의 도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에서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돌출대응부와 상기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상이할 때,
    상기 풀리축은
    상기 도어패널에 걸리는 차량의 도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도어트림 상에서 노출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풀리축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틱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레버와 상기 회전축에 걸쳐지는 체인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레버와 상기 회전축에 걸쳐지는 벨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이 상기 풀리축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홀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돌출대응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도어패널에서 상기 풀리에 대해 반대편으로 멀게 경사지는 경사부에 미끄러지는 차량의 도어.
KR1020230152092A 2023-11-06 2023-11-06 차량의 도어 KR102641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2092A KR102641288B1 (ko) 2023-11-06 2023-11-06 차량의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2092A KR102641288B1 (ko) 2023-11-06 2023-11-06 차량의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288B1 true KR102641288B1 (ko) 2024-02-29

Family

ID=9004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2092A KR102641288B1 (ko) 2023-11-06 2023-11-06 차량의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53100A1 (en) * 2019-08-06 2022-05-19 Brose Fah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Door module of a vehicle door and vehicle door having the door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756A (ja) * 1998-04-06 1999-10-26 Shiroki Corp ワイヤ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756A (ja) * 1998-04-06 1999-10-26 Shiroki Corp ワイヤ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53100A1 (en) * 2019-08-06 2022-05-19 Brose Fah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Door module of a vehicle door and vehicle door having the door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1288B1 (ko) 차량의 도어
US20020005652A1 (en) Lift gate for a motor vehicle
KR10094649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 도어 구조
JP3514261B2 (ja) ガイドレールを備えたケーブル式窓リフタ
CN107849887B (zh) 用于机动车的窗升降器组件
EP0470708B1 (en) A movable window assembly
JP6266342B2 (ja) キャリアプレートおよ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20230038501A1 (en) Armrest apparatus for vehicles
KR100461473B1 (ko)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중장비용 전면유리창 개폐장치
JP2017172240A (ja) 車両用フードロック装置
JP2007313942A (ja) 索条体連結構造及び車両用自動開閉装置並びに車両用自動開閉装置の組み付け方法
KR101252200B1 (ko) 슬라이드 도어용 도어 글라스 세이프티 홀더 록 장치
JP7339931B2 (ja) 移動体駆動装置および前記移動体駆動装置を備えた窓ガラス昇降装置
KR101466451B1 (ko)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
KR100521795B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 윈도우 하강 높이 제한장치
JP4803870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JP4927524B2 (ja) スライドドア
KR100530133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방 장치
KR100872933B1 (ko) 도어의 윈도우 리프팅 장치
JP2005248514A (ja) 車両用開閉装置
CN118029815A (zh) 车窗升降装置
JP3571130B2 (ja) ウィンドガラスの昇降案内装置
KR100410852B1 (ko) 자동차용 엔진후드의 지지장치
KR200147491Y1 (ko)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취부구조
KR20230099045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