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700B1 - 공간 온도 스캐너 및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 온도 스캐너 및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700B1
KR102640700B1 KR1020217003342A KR20217003342A KR102640700B1 KR 102640700 B1 KR102640700 B1 KR 102640700B1 KR 1020217003342 A KR1020217003342 A KR 1020217003342A KR 20217003342 A KR20217003342 A KR 20217003342A KR 102640700 B1 KR102640700 B1 KR 102640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temperature
space temperature
scanner
thermocou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905A (ko
Inventor
다케시 야지마
아키라 하나후사
이사오 나카야마
가쓰히코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도쿄 덴료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 덴료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 덴료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2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6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arrangements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s, e.g. by multiplex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01K7/023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provided with specially adapted conn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4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01K7/021Particular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13/00Temperature map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과제] 번잡한 장치 설치 작업이나,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공간 내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공간 온도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온도 스캐너(스캐너(100))의 구성은, 봉형의 가반식의 지지 부재(110)와, 지지 부재(110)에 직선형으로 복수 배치되는 장착부(120)와, 장착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열전대 유닛(130)을 구비하고, 복수의 장착부(120)의 일부 또는 전부에 열전대 유닛(130)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온도를 측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간 온도 스캐너 및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
본 발명은, 공간 내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공간 온도 스캐너 및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등의 내부의 공간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종래부터, 온도계를 복수 설치하는 방법, 열용량이 작은 검지판과 방사 온도계를 이용한 방법, 음파나 초음파의 전반(傳搬) 속도를 이용한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검지판 및 방사 온도계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공간 온도 측정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온도에 대응하는 적외선을 발하는 복수의 온도 검출체를 공간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고, 이러한 온도 검출체의 온도를 적외선 양으로 파악함으로써, 공간의 온도를 검출하고 있다.
음파나 초음파의 전반 속도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의 공간 온도 측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서는, 측정 대상 공간의 중심 위치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방향에 있는 2개의 상이한 교차점의 각각에 초음파 발진기를 배치하고, 2개의 초음파 발진기로부터의 초음파의 차음을 검출기에 있어서 검출한다. 그리고, 초음파의 도달 시간 및 소리의 전반 경로 차에 의거하여 공간 온도를 산출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 10-3869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10-139251호 공보
그러나, 온도계를 복수 설치하는 방법이라면, 온도계를 실내의 천장이나 풍선 등에 의해 매다는 경우에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검지판 및 방사 온도계를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도, 검지체의 설치가 어렵고, 검지체가 공간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저해해 버리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음파나 초음파의 전반 속도를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는, 발신기와 수신기의 설치가 곤란하고, 신호 처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번잡한 장치 설치 작업이나,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공간 내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공간 온도 스캐너, 및 측정된 공간 온도를 표시하는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온도 스캐너의 대표적인 구성은, 봉형의 가반식의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직선형으로 복수 배치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열전대 유닛을 구비하고, 복수의 장착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열전대 유닛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온도를 측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봉형의 지지 부재의 장착부에 복수의 열전대 유닛을 장착하고, 이러한 지지 부재를 공간 내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열전대 유닛을 한 번에 공간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열전대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행하지 않고 공간 내의 온도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번잡한 장치 설치 작업이나,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공간 내의 온도 분포를 측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장착부는 직선형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공간 내 중 특히 상방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지지 부재의 상부의 장착부에 열전대 유닛을 배치하는 등, 측정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공간 온도를 보다 상세하게 측정하고 싶은 높이에 열전대 유닛을 많이 배치하는 등, 측정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전대 유닛은, 장착부에 접속되는 커넥터와, 커넥터로부터 돌출하는 2선식의 세선 열전대를 가지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를 장착부에 접속함으로써, 열전대 유닛을 지지 부재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세선 열전대는 열응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공간 내의 온도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를, 이음, 힌지, 또는 슬라이드 레일에 의해서 연결 가능하면 좋다. 이에 의해, 복수의 지지 부재를 연결하여, 보다 높은 위치에서의 공간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연결 가능하다는 것은, 환언하면 분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 부재를 분해한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어, 가반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열전대 유닛은, 모션 캡처용의 반사재를 가지면 좋다. 이에 의해, 공간 내에 있어서의 공간 온도 스캐너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내의 온도 분포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지지 부재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면 좋다. 이에 의해서, 공간 내에 있어서의 공간 온도 스캐너의 위치 정보를 취득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 내의 온도 분포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내부에 열전대 유닛을 수용 가능하면 좋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에 장착한 열전대 유닛 중, 공간 온도의 측정에 사용하지 않는 열전대 유닛을 지지 부재에 수용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열전대 유닛의 떼어냄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고, 작업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열전대 유닛의 떼어냄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열전대 유닛의 세선 열전대와 주변의 물체의 접촉 기회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떼어냄 작업 시의 세선 열전대의 손상을 적절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공간 온도 스캐너는, 지지 부재의 하단에 고정되는 차륜을 더 구비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의 하단에 고정된 차륜을 측정 공간의 저면에서 굴리면서 공간 온도 스캐너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륜을 구비하지 않고, 지지 부재를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공간 온도 스캐너를 이동시켰을 경우에 비해, 상하 방향의 흔들림을 적절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공간 온도 스캐너는, 온도에 따라 발광색이 변화하는 LED를 더 구비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간 온도를 측정하고 있을 때의 LED를 관찰함으로써, 이러한 공간 온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의 대표적인 구성은, 소정의 공간의 공간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공간 온도의 온도 분포를 색별하여 표시한 타일 화상을, 공간 온도를 측정한 공간의 2D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간 온도를 측정한 공간(이하, 측정 공간으로 칭한다)의 2D 화상을 참조함으로써, 측정 공간 내의 각 개소의 공간 온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의 다른 구성은, 소정의 공간의 공간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공간 온도의 온도 분포를 색별하여 표시한 커튼 화상을, 공간 온도를 측정한 공간의 3D 모델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측정 공간의 3D 모델을 참조함으로써, 측정 공간 전체의 각 개소의 공간 온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의 다른 구성은, 소정의 공간의 공간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공간 온도의 온도 분포를 색별하여 표시한 커튼 화상을, VR 공간의 화면 내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VR 공간의 화면을 참조함으로써, VR 공간 내를 이동하면서 측정 공간 전체의 각 개소의 공간 온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번잡한 장치 설치 작업이나,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공간 내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공간 온도 스캐너, 및 측정된 공간 온도를 표시하는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간 온도 스캐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열전대 유닛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캐너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캐너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캐너를 이용한 공간 온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열전대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공간 온도 스캐너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공간 온도 스캐너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의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의 제4 실시형태 및 제5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그 외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며, 또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간 온도 스캐너(이하, 스캐너(100)로 칭한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캐너(100)는, 봉형의 가반식의 지지 부재(110)를 구비하고, 이러한 지지 부재(110)에는 복수의 장착부(120a~120h)가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110)로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관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장착부(120a~120h)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장착부(120)로 칭한다.
복수의 장착부(120)에는, 복수의 열전대 유닛(13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열전대 유닛(130)에 있어서 공간의 온도가 측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장착부(120)의 전체에 열전대 유닛(130)을 장착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장착부(120)의 일부에 열전대 유닛(130)을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장착부(120a~120h)의 간격은 각각 상이한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장착부(120a~120h)의 간격은,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모두 등간격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간의 상방의 영역의 온도 분포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지지 부재(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120a~120c의 간격을 좁게 하여, 열전대 유닛(130)을 조밀하게 배치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장착부(120)를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했는데, 이에 있어서도 한정되지 않고, 장착부(120)의 수는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열전대 유닛(130)의 상세도이다. 도 2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전대 유닛(130)은, 커넥터(132) 및 2선식의 세선 열전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선 열전대(134)는 커넥터(132)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0)에 설치되는 장착부(120)는 소켓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소켓 형상의 장착부(120)에 커넥터(132)를 접속함으로써, 도 2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전대 유닛(130)이 지지 부재(110)에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로거(140)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캐너(100)에서는, 열전대 유닛(130)을 지지 부재(1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전대로서 세선 열전대(134)를 이용하고 있다. 세선 열전대(134)는, 열용량이 작고 응답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열응답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공간 온도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세선 열전대(134)는, 열응답성 즉 공간 온도에 대한 추종성이 높기 때문에, 보정이나 보상의 번잡한 데이터 처리를 행할 필요 없이 공간 온도를 취득 가능하다.
도 3은, 도 1의 스캐너(100)의 확대도이다. 도 1의 복수의 장착부(120)에는, 각각 배선(142)(도 1에서는 도시 생략)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142)은, 지지 부재(110)에 형성된 구멍(110a)으로부터 지지 부재(110)의 외측에 노출되고, 타단이 로거(140)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열전대 유닛(130)에 있어서 측정된 공간의 온도의 데이터가 로거(140)에 보존된다.
도 4는, 도 1의 스캐너(100)의 분해도이다. 도 1의 스캐너(100)는, 분해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상세하게는, 지지 부재(110)는, 상측 지지 부재(112) 및 하측 지지 부재(114)에 의해서 구성된다. 상측 지지 부재(112) 및 하측 지지 부재(114)는, 각각 연결부(112a·114a)를 갖는다. 그리고, 이들 연결부(112a·114a)에 있어서 상측 지지 부재(112) 및 하측 지지 부재(114)를 연결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일체의 지지 부재(110)가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지지 부재인 상측 지지 부재(112) 및 하측 지지 부재(114)를 연결함으로써, 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서의 공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 지지 부재(110)를 상측 지지 부재(112) 및 하측 지지 부재(114)로 분해함으로써, 운반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가반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112a·114a)를 수나사 및 암나사에 의한 이음으로 하는 구성을 예시했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연결 방법으로서는, 삽입 이음, 분리하지 않고 접을 수 있는 힌지, 또는 분리하지 않고 신축 가능한 슬라이드 레일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캐너(100)를 이용한 공간 온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공간 온도의 측정을 행할 때에는, 먼저 봉형의 지지 부재(110)의 장착부(120)에 복수의 열전대 유닛(130)을 장착한다. 그리고, 작업자(도시 생략)는, 지지 부재(110)를 파지하면서 공간(102) 내를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열전대 유닛(130)에 있어서 공간 온도가 측정되고, 그 데이터가 로거(140)에 보존된다. 그리고, 공간 온도의 데이터를 축적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32℃ 존이나 18℃ 존과 같이 단면에서의 온도 분포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캐너(100)에 의하면, 복수의 장치를 측정 개소에 설치하지 않고, 스캐너(100)를 가진 작업자가 공간 내를 이동함으로써 공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작업자의 부담이 되어 있던 장치의 장착 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측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스캐너(100)에서는, 지지 부재(110)의 높이 방향에 복수의 열전대 유닛(130)을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온도를 측정하고 싶은 높이에 따라 열전대 유닛(130)을 바꾸어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전대 유닛(130)을 이용하여 공간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행하지 않고 공간 온도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공간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예시했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스캐너(100)를 정점(定点)에 설치한 상태에서 공간 온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데, 예를 들면 지지 부재(110)의 하단에 차륜을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면,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스캐너(10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측정 높이도 안정되므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스캐너(100)를 정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지 부재(110)의 하단에 받침대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열전대 유닛(130)의 세선 열전대(134)는, 선 직경이 25μm 이하이면 좋고, 길이는 100mm 이상이면 좋다. 이에 의해, 작업원이 이동하면서 측정할 때의 공간 온도에 대한 추종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로거(140)에 대한 데이터의 보존 간격, 즉 공간 온도의 측정 간격은 100msec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열전대 유닛(130)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먼저 설명한 열전대 유닛(130)과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전대 유닛(130a)은, 커넥터(132)의 측면에 부착된 모션 캡처용의 반사재(136)를 더 갖는다.
도 6 (b)는, 공간(102)을 모션 캡처용 카메라로 촬영하고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대 유닛(130a)이 모션 캡처용의 반사재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공간 내를 이동하고 있는 모습을 캡처용 카메라(도시 생략)로 촬영하면, 도 6 (b)의 타원 E 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전대 유닛(130a)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휘점(흑점으로 도시)이 관찰된다. 이에 의해, 공간(102) 내에 있어서의 스캐너(10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캡처용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위치 정보의 로그와, 열전대 유닛(130)에 의해서 측정된 공간 온도 정보의 로그를 매칭함으로써, 공간 내의 온도 분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공간의 실내 사진에 온도 분포를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 온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표시 방법의 제1 실시형태).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모션 캡처용의 반사재(136)를 이용한 위치 정보의 취득 방법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110)에 가속도 센서(도시 생략)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지지 부재(11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공간 온도 스캐너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a)는, 열전대 유닛(130)을 사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7 (b)는, 열전대 유닛(130)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먼저 설명한 공간 온도 스캐너(스캐너(100))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a) 및 (b)에 나타내는 공간 온도 스캐너(이하, 스캐너(200)로 칭한다)는, 스캐너(100)의 장착부(120) 대신에, 지지 부재(1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장착부(220)를 구비한다. 장착부(220)는, 열전대 유닛(13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 중심(P)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장착부(220)의 단부에는 돌기(2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세선 열전대(134)는 외부에 배치된 상태이다. 이에 의해, 열전대 유닛(130)에 의해서 공간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 7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장착부(220)를 회전시키면, 장착부(220)의 단부의 돌기(222)가 지지 부재(110)의 벽면에 있어서 걸려, 열전대 유닛(130)이 지지 부재(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110)에 장착한 복수의 열전대 유닛(130) 중, 공간 온도의 촬영에 사용하지 않는 열전대 유닛(130)을 지지 부재(110)에 수용해 둘 수 있다. 이에 의해, 열전대 유닛(130)의 세선 열전대(134)를 적절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열전대 유닛(130)의 떼어냄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 효율의 향상을 모도할 수 있다. 게다가, 열전대 유닛(130)의 떼어냄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열전대 유닛(130)의 세선 열전대(134)와 주변의 물체의 접촉 기회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떼어냄 작업 시의 세선 열전대(134)의 손상을 적절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장착부(220)는, 열전대 유닛(130)의 세선 열전대(134)의 주위에 위치하는 개소에 가드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간 온도를 측정하고 있을 때의 장애물과 세선 열전대(134)의 접촉을 방지하여, 세선 열전대(134)의 손상을 적절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 (a)는, 공간 온도 스캐너(이하, 스캐너(300)로 칭한다)의 전체도이며, 도 8 (b)는, 도 8 (a)의 스캐너(300)를 이용한 공간 온도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캐너(300)는, 온도에 따라 발광색이 변화하는 LED(302)가 지지 부재(110)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간 온도를 측정하고 있을 때의 LED(302)의 발광색을 관찰함으로써, 이러한 공간 온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지지 부재(110)의 상하 방향의 중도 위치에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것이 가능한 핸들(304)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핸들(304)을 파지하여 스캐너(300)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300)에서는, 지지 부재(110)의 하단에 고정된 차륜(306)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110)의 하단에 고정된 차륜(306)을 측정 공간의 저면에서 굴리면서 스캐너(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륜(306)을 구비하지 않고, 지지 부재(110)를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스캐너(300)를 이동시켰을 경우에 비해, 상하 방향의 흔들림을 적절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 (a)에 나타내는 스캐너(300)를 이용하여 공간 온도를 측정할 때에는, 작업자는, 핸들(304)을 파지한 상태에서 차륜(306)을 굴리면서 이동하여 공간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시의 스캐너(300)의 정지 화상을 소정 간격마다 촬영한다. 그리고, 촬영한 복수의 정지 화상 중 지지 부재(110) 및 LED 부분을 겹침으로써, 도 8 (b)에 나타내는 화상이 생성된다(표시 방법의 제2 실시형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8 (b)에 나타내는 화상을 참조함으로써, LED(302)의 발광색에 의해서 공간 온도(위치에 따른 온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예를 들면, 일 개소에 머물며 스캐너(300)의 동화상을 촬영하면, LED(302)의 발광색에 의해서 시계열로의 온도 변화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공간 온도의 다른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의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3 실시형태의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에서는, 먼저 작업원은, 스캐너(100)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도 9 (a)에 나타내는 소정의 공간(이하, 소정 공간(400)으로 칭한다)의 공간 온도를 측정한다. 도 9 (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공간 온도를 측정하고 있다.
공간 온도를 측정하면, 측정한 공간 온도의 값을 로거(140)(도 1 참조)로부터 취득하여, 도 9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한 공간 온도의 온도 분포를 색별하여 표시한 타일 화상(402)을 생성한다. 도 9 (b)에 나타내는 타일 화상(402)은, 상하 방향은, 측정 시의 높이이며, 좌우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을 향함에 따라 시각이 새로운 시계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일 화상을 생성하면, 도 9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일 화상(402)을, 소정 공간(공간 온도를 측정한 공간)의 2D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상세하게는, 도 9 (b)에 나타내는 타일 화상(402)을 소정 공간(400)의 2D 화상(사진)의 크기에 맞추어 확대/축소하고, 확대/축소한 타일 화상을 2D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9 (c)에 나타내는 2D 화상을 참조함으로써, 측정 공간 내의 각 개소의 온도 분포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특히, 타일 화상(402)을 2D 화상의 크기에 맞추어 확대/축소하여 중첩함으로써, 측정 위치와 측정 온도를 일치시킬 수 있다. 즉, 위치 정보를 취득하지 않고, 위치에 따른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장치가 불필요하고, 또한 위치 정보의 처리도 불필요하다.
도 10은,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의 제4 실시형태 및 제5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a)는,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의 제4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b)는,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의 제5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제1~제3 실시형태의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과 공통되는 처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에서는, 소정의 공간의 공간 온도를 측정하면, 도 10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한 공간 온도의 온도 분포를 색별하여 표시한 커튼 화상(404)을, 공간 온도를 측정한 공간의 3D 모델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측정 공간의 3D 모델을 참조함으로써, 측정 공간 전체의 각 개소의 공간 온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특히, 3D 모델 내에 커튼 화상(404)을 배치함으로써, 3D 모델의 시점을 변경함으로써(Pan이나 회전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의 공간 온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에서는, 소정의 공간의 공간 온도를 측정하면, 도 10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한 공간 온도의 온도 분포를 색별하여 표시한 커튼 화상(404)을, VR 공간의 화면 내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VR 공간의 화면을 참조함으로써, VR 공간 내를 이동하면서 측정 공간 전체의 각 개소의 공간 온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이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본 발명은, 공간 내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공간 온도 스캐너로서 이용할 수 있다.
100…스캐너
102…공간
110…지지 부재
110a…구멍
112…상측 지지 부재
112a…연결부
114…하측 지지 부재
114a…연결부
120…장착부
120a~120h…장착부
130…열전대 유닛
130a…열전대 유닛
132…커넥터
134…세선 열전대
140…로거
142…배선
200…스캐너
220…장착부
222…돌기
224…가드부
300…스캐너
302…LED
304…핸들
306…차륜
400…소정 공간
402…타일 화상
404…커튼 화상

Claims (11)

  1. 봉형의 가반식의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직선형으로 복수 배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열전대 유닛과,
    상기 복수의 열전대 유닛이 측정한 온도의 판독 및 기록 중 어느 하나를 행하는 계측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전대 유닛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계측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부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계측부와 분리되며,
    상기 복수의 장착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상기 열전대 유닛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온도를 측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온도 스캐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 유닛은,
    상기 장착부에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로부터 돌출하는 2선식 열전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온도 스캐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지지 부재를, 이음, 힌지, 또는 슬라이드 레일에 의해서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온도 스캐너.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 유닛은, 모션 캡처용의 반사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온도 스캐너.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온도 스캐너.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내부에 열전대 유닛을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온도 스캐너.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하단에 고정되는 차륜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온도 스캐너.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온도에 따라 발광색이 변화하는 LED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온도 스캐너.
  9. 청구항 1의 공간 온도 스캐너에 의해 소정의 공간의 공간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공간 온도의 온도 분포를 색별하여 표시한 타일 화상을, 당해 공간 온도를 측정한 공간의 2D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
  10. 청구항 1의 공간 온도 스캐너에 의해 소정의 공간의 공간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공간 온도의 온도 분포를 색별하여 표시한 커튼 화상을, 당해 공간 온도를 측정한 공간의 3D 모델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
  11. 청구항 1의 공간 온도 스캐너에 의해 소정의 공간의 공간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공간 온도의 온도 분포를 색별하여 표시한 커튼 화상을, VR 공간의 화면 내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
KR1020217003342A 2018-08-28 2018-08-28 공간 온도 스캐너 및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 KR102640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1747 WO2020044436A1 (ja) 2018-08-28 2018-08-28 空間温度スキャナおよび空間温度の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905A KR20210042905A (ko) 2021-04-20
KR102640700B1 true KR102640700B1 (ko) 2024-02-27

Family

ID=6964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342A KR102640700B1 (ko) 2018-08-28 2018-08-28 공간 온도 스캐너 및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70680A1 (ko)
JP (1) JP7452426B2 (ko)
KR (1) KR102640700B1 (ko)
CN (1) CN112513597A (ko)
WO (1) WO2020044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09242B2 (ja) 2020-07-09 2024-01-09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空間温度スキャナ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0569A (ja) 1999-04-27 2000-11-07 Ando Electric Co Ltd 温度測定装置
JP4275792B2 (ja) * 1999-02-25 2009-06-10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環境測定装置
JP2009222657A (ja) * 2008-03-18 2009-10-01 Ntt Facilities Inc 環境計測装置、および環境計測方法
CN105043572A (zh) * 2015-08-10 2015-11-11 北京工业大学 一种用于扫描电镜真空环境的高温测试装置
JP2016038277A (ja) 2014-08-07 2016-03-22 株式会社東光高岳 電気設備温度監視装置および電気設備温度監視システム
JP2016118434A (ja) * 2014-12-19 2016-06-30 富士通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6847B2 (ja) * 1990-04-25 1997-04-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熱解析caeシステム
US5202843A (en) * 1990-04-25 1993-04-13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CAE system for automatic heat analysis of electronic equipment
JPH0611394A (ja) * 1992-06-26 1994-01-21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室内の温度分布測定装置
JP2601558Y2 (ja) * 1993-12-24 1999-11-22 日本原子力研究所 真空容器内温度測定用コネクタセット
JPH1038698A (ja) 1996-07-17 1998-02-13 Nec Eng Ltd 空間温度測定、監視システム
JPH1038701A (ja) * 1996-07-26 1998-02-13 Sekisui House Ltd 温度分布測定用センサーの保持具
JP2001041825A (ja) * 1999-05-24 2001-02-16 Sony Corp 温度表示装置及び電気機器、並びに情報処理機器
CN1991320A (zh) * 2005-12-30 2007-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热管温度量测装置
CN100573126C (zh) * 2006-01-16 2009-12-23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热管性能检测装置
JP2008145249A (ja) * 2006-12-08 2008-06-26 Horiba Ltd 放射温度計
KR101204442B1 (ko) * 2007-08-30 2012-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감지모듈과 온도감지모듈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및온도감지모듈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3143366U (ja) * 2008-03-07 2008-07-24 株式会社イーテック 温度検出部と発光ダイオードからなる温度表示器
JP5375061B2 (ja) 2008-12-09 2013-12-25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空間温度測定方法および空間温度測定装置
JP5729993B2 (ja) 2010-12-08 2015-06-03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撮像対象装置および温度分布計測方法
DE102010055511B4 (de) * 2010-12-22 2014-10-16 Fissler Gmbh Elektronikmodul für eine temperaturüberwachte Zubereitung von Gargut in einem Kochgefäß
US9157812B1 (en) * 2012-03-16 2015-10-13 DCIM Solutions, LLC Temperature monitoring and display system for data centers
US20140172392A1 (en) * 2012-12-18 2014-06-1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imultaneous mapping and registering thermal images
JP2015187798A (ja) * 2014-03-27 2015-10-29 株式会社土佐電子 無人搬送台車
JP2015190765A (ja) * 2014-03-27 2015-11-02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測定システム、測定装置、測定プログラム
EP2990531A1 (de) * 2014-08-27 2016-03-02 Joseph Vögele AG System für Straßenfertiger mit einer Temperaturmessvorrichtung,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Abkühlverhaltens und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CN205138659U (zh) * 2015-08-10 2016-04-06 北京工业大学 一种用于扫描电镜真空环境的高温测试装置
CN105222911A (zh) * 2015-10-26 2016-01-06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应用于大空间火灾实验的热电偶支架装置
US10043288B2 (en) * 2015-11-10 2018-08-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monitoring combustion process equipment
KR101950359B1 (ko) * 2016-11-30 2019-02-20 (주)코어센스 하이브리드 모션캡쳐 시스템의 위치 추정 방법
JP6686950B2 (ja) * 2017-03-27 2020-04-22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空間温度スキャナ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5792B2 (ja) * 1999-02-25 2009-06-10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環境測定装置
JP2000310569A (ja) 1999-04-27 2000-11-07 Ando Electric Co Ltd 温度測定装置
JP2009222657A (ja) * 2008-03-18 2009-10-01 Ntt Facilities Inc 環境計測装置、および環境計測方法
JP2016038277A (ja) 2014-08-07 2016-03-22 株式会社東光高岳 電気設備温度監視装置および電気設備温度監視システム
JP2016118434A (ja) * 2014-12-19 2016-06-30 富士通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
CN105043572A (zh) * 2015-08-10 2015-11-11 北京工业大学 一种用于扫描电镜真空环境的高温测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044436A1 (ja) 2021-08-10
JP7452426B2 (ja) 2024-03-19
US20210270680A1 (en) 2021-09-02
KR20210042905A (ko) 2021-04-20
WO2020044436A1 (ja) 2020-03-05
CN112513597A (zh)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8600B1 (en) Multi-camera pipe inspec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JP5127820B2 (ja) カメラ利用標的座標計測方法
US4331975A (en) Instrumentation for surveying underground cavities
CN101299288B (zh) 火灾探测系统及其方法
US20170084052A1 (en) Ground track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201502548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patial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
JP2011082598A (ja) 広角撮像装置及び測定システム
JP2019036269A (ja) 無人小型飛行体の飛行制御方法、内部空間の状況及びその壁面状況の点検方法
KR102640700B1 (ko) 공간 온도 스캐너 및 공간 온도의 표시 방법
US11949989B2 (en) Multiple camera imager for inspection of large diameter pipes, chambers or tunnels
US10267725B2 (en) Surface profile measurement system
JP6686950B2 (ja) 空間温度スキャナ
US20170167986A1 (en) Cosmetic Evaluation Box for Used Electronics
US20190178717A1 (en) Remote monitoring
JP6895733B2 (ja) 光ファイバ障害点特定システムとその光ファイバ障害点特定方法
KR20200024335A (ko) 작업 공간 내에서 원격 조작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원격 검사 시스템
KR101794554B1 (ko) 온도 프로파일 구현 장치
JPH0511847B2 (ko)
JP4714078B2 (ja) 移動物体検知システム
WO2016027740A1 (ja) 照度測定システム
JP3433320B2 (ja) 地下水流動測定方法とその装置
JP2009199247A (ja) 対象物認識装置、指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203929125U (zh) 通信资源采集和通信局站环境勘测一体化装置
JP6909604B2 (ja) 空間温度測定装置及び空間温度測定方法
JPH088730B2 (ja) 電力ケ−ブルの保守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