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473B1 - 콤바인 및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 및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473B1
KR102639473B1 KR1020160075543A KR20160075543A KR102639473B1 KR 102639473 B1 KR102639473 B1 KR 102639473B1 KR 1020160075543 A KR1020160075543 A KR 1020160075543A KR 20160075543 A KR20160075543 A KR 20160075543A KR 102639473 B1 KR102639473 B1 KR 10263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vesting
guide
shaft
input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269A (ko
Inventor
마코토 미야자키
히로야 야마모토
요오헤이 시모다
유우키 후쿠이
고오지 사카이
하루카 데라조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72069A external-priority patent/JP66248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72178A external-priority patent/JP655598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70027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회전 센서가 예취부용의 유압 무단 변속 장치의 진동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주행 중에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연장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한다.
포장의 작물을 예취하여 기체 후방으로 반송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와,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변속하여 예취부에 전달하는, 예취부용의 예취 HST와, 예취부의 승강 기단부에 설치되어, 예취 HST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이 입력되는 기체 횡 방향의 예취 입력축(19)과, 예취 입력축(19)을 지지하는 구동 케이스(43)와, 예취 HST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회전 센서(87)가 구비되고, 회전 센서(87)는 구동 케이스(43)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를 주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갖는 무단의 크롤러 벨트(1037)와, 트랙 프레임(1036)의 후방측 단부에 설치하는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을 구비하고,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은,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를 타고 넘어 크롤러 벨트(1037)의 좌우 양 단부측을 안내하는 복수의 고정식 외측 전륜(轉輪)(1057)과, 복수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에 걸친 전후 길이를 갖고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를 구비하고,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는,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의 맨 앞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보다도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가이드부(1058A)를 갖고,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좌우 양 단부가, 그 후방에 위치하는 주 가이드부(1058B)의 좌우 양 단부보다도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좌우 중심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및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COMBINE AND CRAWLER TRAVELING DEVICE OF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포장의 작물을 예취하여 기체 후방으로 반송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와,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변속하여 예취부에 전달하는, 예취부용의 유압 무단 변속 장치와, 예취부의 승강 기단부에 설치되어, 유압 무단 변속 장치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이 입력되는 기체 횡 방향의 예취 입력축이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설치하는 트랙 프레임과,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를 주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갖는 무단의 크롤러 벨트와, 상기 트랙 프레임의 후방측 단부에 설치하는 고정식 가이드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예취부의 예취 속도나 반송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압 무단 변속 장치(문헌에서는 「예취용 HST」)로부터 예취 입력축에 입력되는 회전 동력의 회전수를 회전 센서에 의하여 계측하고 있다. 이 회전 센서는 유압 무단 변속 장치의 케이스에 지지되어 있다.
작업차의 일례인 자탈형 콤바인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구비하는 고정식 가이드 유닛으로서는, 좌우의 코어 금속 돌기를 넘어 크롤러 벨트의 좌우 양 단부측을 안내하는 전후의 고정식 외측 전륜(轉輪)과, 전후의 고정식 외측 전륜에 걸친 전후 길이를 갖고 좌우의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를 구비함과 함께, 전후의 고정식 외측 전륜과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를 트랙 프레임에 조립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참조).
상기와 같은 자탈형 콤바인을 이랑을 따라 주행시키는 주위 예취 작업에 있어서는, 이랑의 코너부에서 차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에, 이랑의 코너부에 도달한 차체를 이랑측으로 후진 선회시킴으로써 다음의 주행 경로를 향하게 하는 전환 조작(소위 α턴)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에 의하여, 이랑의 코너부에서 차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크롤러 주행 장치가 그 후방측 단부측을 이랑에 올라앉도록 하면서 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그 때문에,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방측 단부측에 있어서는, 그 후방측 단부측이 이랑에 올라앉을 때 지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들려 올라감으로써, 크롤러 벨트의 하방으로의 휨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이랑으로부터의 반력으로 크롤러 주행 장치가 차체 전방을 향하여 가압되는 상태로 됨으로써, 크롤러 벨트가 하방으로 휘기 쉬워진다. 그리고 크롤러 주행 장치는, 선회 주행 시에는 지면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하여 크롤러 벨트가 선회 외측으로 변위되기 쉬워진다.
즉, 이랑의 코너부에서 차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고정식 가이드 유닛의 안내 영역을 향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고정식 가이드 유닛의 안내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탈락하기 쉽고, 또한 선회 외측으로 변위되기 쉬워지는 점에서, 좌우 어느 한쪽 코어 금속 돌기가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하방으로 파고드는 문제를 초래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이 파고들기가 발생한 상태에서 차체를 다음의 주행 경로를 따라 전진시키면,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는, 고정식 가이드 유닛 바로 앞에 위치하는 외측 전륜으로 안내되어, 그 외측 전륜과 고정식 가이드 유닛의 전방측의 고정식 외측 전륜과의 사이로 이동한 후, 그 동안,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하방에 파고든 코어 금속 돌기를 향하여 변위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좌우 일측방으로 완전히 탈락하는 탈륜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로서, 고정식 가이드 유닛의 전방측의 고정식 외측 전륜보다도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가이드부를 갖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에 있어서는, 연장 가이드부를, 그 전방측 단부 부분을 제외한 연장 가이드부의 대략 전체가, 연장 가이드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주 가이드부의 좌우 폭과 동일한 좌우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이러한 연장 가이드부를 갖는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를 채용하면, 이랑의 코너부에서 차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의 이랑측으로의 후진 선회에 의하여, 좌우 어느 한쪽 코어 금속 돌기가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하방에 파고드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후진 선회 후에 차체를 다음의 주행 경로를 따라 전진시킨 경우에는, 이 전진에 수반하여,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고정식 가이드 유닛 바로 앞에 위치하는 외측 전륜으로 안내되어, 그 외측 전륜과 고정식 가이드 유닛의 전방측의 고정식 외측 전륜과의 사이로 이동해 오면,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연장 가이드부가 즉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들어가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를 차례로 고정식 가이드 유닛의 안내 영역으로 안내하는 점에서, 상술한 탈륜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1311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78771호 공보(단락 번호 0019, 0027, 0033, 0035, 도 1, 도 2, 도 4, 도 7) 일본 특허 공개 제2014-97731호 공보(도 2, 도 4)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회전 센서가 유압 무단 변속 장치의 케이스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원인 유압 무단 변속 장치의 영향에 의하여 계측 오차가 발생하거나 회전 센서가 파손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이 우려된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회전 센서가 예취부용의 유압 무단 변속 장치의 진동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에 있어서는, 주 가이드부의 안내 영역에 위치하는 전후의 고정식 외측 전륜이, 주 가이드부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의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점에서, 주행 중에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주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문제를 초래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러나 연장 가이드부의 안내 영역에는, 연장 가이드부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의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외측 전륜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주행 중에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연장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문제를 초래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연장 가이드부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연장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데 기인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연장 가이드부가 손모되며, 선회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즉, 주행 중에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연장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여, 그 접촉에 기인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포장의 작물을 예취하여 기체 후방으로 반송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와,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변속하여 상기 예취부에 전달하는, 상기 예취부용의 유압 무단 변속 장치와,
상기 예취부의 승강 기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 무단 변속 장치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이 입력되는 기체 횡 방향의 예취 입력축과,
상기 예취 입력축을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 장치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회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센서는 상기 지지 케이스에 지지되어 있는 데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회전 센서가 유압 무단 변속 장치와는 다른 지지 케이스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센서가 유압 무단 변속 장치의 진동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것에 의하여, 진동원인 유압 무단 변속 장치의 영향에 의하여 계측 오차가 발생하거나 회전 센서가 파손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지지 케이스를 회전 센서의 지지 부재로서 이용함으로써, 회전 센서 전용의 지지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케이스에, 상기 예취 입력축과 인접하는 상태에서 평행으로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예취 입력축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예취 입력축의 회전 동력을 증속하여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기어 증속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센서는, 상기 기어 증속 기구 중 상기 회전축측의 기어의 회전수를 계측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이 예취 입력축보다도 고속으로 회전하고, 기어 증속 기구 중 회전축측의 기어의 회전수가 회전 센서에 의하여 계측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펄스 수가 증가하여 계측의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어 증속 기구에, 상기 예취 입력축에 설치된 구동 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와 교합함과 함께, 상기 구동 기어보다도 소직경의 종동 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상기 종동 기어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상기 종동 기어보다도 대직경의 계측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센서는 상기 계측 기어의 회전수를 계측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구동 기어보다도 소직경의 종동 기어가 구동 기어와 교합하여 회전축이 예취 입력축보다도 고속으로 회전하고, 종동 기어보다도 대직경의 계측 기어의 회전수가 회전 센서에 의하여 계측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펄스 수가 더 증가하여 계측의 분해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예취 입력축에, 상기 유압 무단 변속 장치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 회전체와,
상기 예취 입력축에 입력된 회전 동력을, 상기 예취부 중 예취 작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 회전체와 상기 출력 회전체 사이에 상기 기어 증속 기구가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입력 회전체와 출력 회전체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기어 증속 기구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케이스에, 상기 예취 입력축과 평행인 상태에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출력 회전체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입력됨과 함께, 상기 출력 회전체로부터 입력된 회전 동력을 상기 반송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축이 구비되고,
상기 예취 입력축 및 상기 회전축은, 상기 예취 입력축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출력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한 원주 상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예취 입력축, 회전축 및 출력축의 배치가, 출력축을 정점으로 하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으로 되어, 예취 입력축, 회전축 및 출력축을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는,
차체 프레임에 설치하는 트랙 프레임과,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를 주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갖는 무단의 크롤러 벨트와, 상기 트랙 프레임의 후방측 단부에 설치하는 고정식 가이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식 가이드 유닛은, 좌우 1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를 넘어 상기 크롤러 벨트의 좌우 양 단부측을 안내하는 복수의 고정식 외측 전륜과, 복수의 상기 고정식 외측 전륜에 걸친 전후 길이를 갖고 좌우 1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를 구비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고정식 외측 전륜과 상기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를 상기 트랙 프레임에 조립하고,
상기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는, 상기 고정식 가이드 유닛의 맨 앞의 고정식 외측 전륜보다도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연장 가이드부의 좌우 양 단부가, 상기 연장 가이드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주 가이드부의 좌우 양 단부보다도 상기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좌우 중심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수단에서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의 복수를 주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갖는 무단의 크롤러 벨트에 있어서는, 주 가이드부의 안내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정식 외측 전륜이, 주 가이드부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의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함으로써, 이 규제보다는 완화되지만, 연장 가이드부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의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도 규제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장 가이드부의 좌우 폭을, 연장 가이드부의 좌우 양 단부가 주 가이드부의 좌우 양 단부보다도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좌우 중심측에 위치하는 협폭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연장 가이드부의 안내 영역에, 연장 가이드부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의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외측 전륜이 존재하고 있지 않더라도, 연장 가이드부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연장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주행 중에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연장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데 기인한 소음의 발생, 연장 가이드부의 손모, 선회성의 저하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과제를 보다 적합하게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연장 가이드부의 저면이 전방측으로 상승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연장 가이드부의 하방을 통과하는 크롤러 벨트를 연장 가이드부의 저면에 접촉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주행 중에 크롤러 벨트가 연장 가이드부의 저면에 접촉하는 데 기인하여 크롤러 벨트 또는 연장 가이드부가 손모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과제를 보다 적합하게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트랙 프레임의 전방부측에 설치하는 가동식 가이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식 가이드 유닛은, 좌우 1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를 넘어 상기 크롤러 벨트의 좌우 양 단부측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동식 외측 전륜과, 복수의 상기 가동식 외측 전륜에 걸친 전후 길이를 갖고 좌우 1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가동식 크롤러 가이드와, 좌우 방향의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천칭 요동하는 천칭 아암을 구비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가동식 외측 전륜과 상기 가동식 크롤러 가이드를, 상기 천칭 아암을 개재하여 상기 트랙 프레임에 조립하고,
상기 연장 가이드부는, 해당 연장 가이드부의 후방부측에 저면의 구배가 작은 완경사 가이드 부분을 갖고, 또한 상기 연장 가이드부의 전방부측에 저면의 구배가 큰 급경사 가이드 부분을 갖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적어도 완경사 가이드 부분의 저면을, 완경사 가이드 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완경사 가이드 부분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의 상단부보다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완경사 가이드 부분에 의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의 안내를 완경사 가이드 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랑의 코너부에서 차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의 이랑측으로의 후진 선회에 있어서, 좌우 어느 한쪽 코어 금속 돌기가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하방에 파고드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후진 선회 후에 차체를 다음의 주행 경로를 따라 전진시키면, 완경사 가이드 부분이, 고정식 가이드 유닛 바로 앞에 위치하는 가동식 외측 전륜에서 안내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들어가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를 고정식 가이드 유닛의 안내 영역으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급경사 가이드 부분의 저면이, 그 전방측일수록 크롤러 벨트의 접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크게 이격되는 점에서, 예를 들어 고정식 가이드 유닛의 맨 앞의 고정식 외측 전륜과 그 바로 앞의 가동식 외측 전륜에 걸친 크롤러 벨트의 벨트 부분이 포장의 융기부에 올라앉은 경우에는, 그 벨트 부분이, 융기부에의 올라앉음에 따라 상방으로 변위되는 가동식 외측 전륜과, 급경사 가이드 부분의 저면을 따라, 상방으로 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벨트 부분에 위치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에 대해서는, 상방으로 변위되는 가동식 외측 전륜과 급경사 가이드 부분이 안내 작용함으로써, 그 상방으로 휜 벨트 부분의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랑의 코너부에서 차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탈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 가이드부를 갖는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를 채용하면서도,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의 연장 가이드부의 배치 개소가 포장의 융기부에 올라앉은 경우에는, 그 배치 개소에 위치하는 크롤러 벨트의 벨트 부분에 대하여 연장 가이드부를 적절히 작용시킬 수 있어, 그 올라앉은 상태에서의 차체의 안정성 등을 확보할 수 있다.
과제를 보다 적합하게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완경사 가이드 부분은, 일정한 좌우 폭을 갖고 상기 고정식 가이드 유닛의 맨 앞의 상기 고정식 외측 전륜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정폭 안내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주행 중에 크롤러 벨트가 좌우로 변위되어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완경사 가이드 부분에 접촉하더라도, 예를 들어 완경사 가이드 부분의 전체를, 전방측일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완경사 가이드 부분에 의한 좌우의 코어 금속 돌기의 안내를 크롤러 벨트의 회전 방향으로 저저항으로 원활히 행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코어 금속 돌기와의 접촉에 기인한 완경사 가이드 부분의 손모를 억제할 수 있다.
과제를 보다 적합하게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전방측 단부를, 전방측일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전방측 단부를, 고정식 가이드 유닛 바로 앞에 위치하는 외측 전륜에서 안내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보다 원활하고도 확실히 들어가게 할 수 있어,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를,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연장 가이드부에 의하여 보다 원활하고도 확실히 고정식 가이드 유닛의 안내 영역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예취부를 작업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예취부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예취부를 메인터넌스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우측 베어링부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우측 베어링부를 도시하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공급 반송 장치와 구동 케이스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콤바인의 동력 전달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구동 케이스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구동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구동 케이스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센서를 예취 HST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센서를 예취 HST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센서를 예취 HST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자탈형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17는 크롤러 주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자탈형 콤바인에 있어서의 하부측의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크롤러 주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자탈형 콤바인에 있어서의 좌측 하부측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9는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방부측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자탈형 콤바인에 있어서의 후방측 하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20는 고정식 가이드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의 후방측 하부측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21은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좌측면도이다.
도 22은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가동식 가이드 유닛에서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가동식 가이드 유닛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24는 규제 기구가 제1 전방측 아암의 후방으로의 요동을 허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25은 규제 기구가 제1 전방측 아암의 후방으로의 요동을 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26은 규제 기구 및 제1 전방측 아암에 핀 연결된 힌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27는 규제 기구 및 제1 전방측 아암에 핀 연결된 힌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화살표 F의 방향을 「기체 전방측」, 화살표 B의 방향을 「기체 후방측」, 도 3에 나타내는 화살표 L의 방향을 「기체 좌측」, 화살표 R의 방향을 「기체 우측」으로 한다.
〔자탈(自脫)형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에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고 있다. 이 콤바인에는, 기체 프레임(1)과, 주행 기체를 자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1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2)가 구비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의 전방부에는, 포장의 곡간을 예취하여 기체 후방으로 반송하는 예취부(3)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3)의 후방에는 운전 캐빈(4)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4)의 하방에는 엔진(5)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 1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2) 사이에는 미션 케이스(6)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4)의 후방에는,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7)와,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8)가, 기체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7)의 좌측부에는, 예취한 곡간을 탈곡 장치(7)로 반송하는 피드 체인(9)이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7)는, 피드 체인(9)으로 반송되는, 예취한 곡간을 급동(10)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고, 탈곡 처리물을 선별부(11)에 의하여 선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8)에는, 그레인 탱크(8)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12)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3)에는, 포장의 곡간을 일으켜 세우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6개)의 일으켜 세움 장치(13), 일으켜 세움 장치(13)에 일으켜 세워진 곡간을 절단하는, 바리캉식의 예취 장치(14), 예취한 곡간을 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15), 반송 장치(15)로부터의 예취한 곡간을 피드 체인(9)에 공급 반송하는 공급 반송 장치(16)(본 발명에 관한 「반송 장치」에 상당함) 등이 구비되어 있다.
예취부(3)는, 기체 좌우 방향의 축심 X1 주위로 요동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3)에는, 기체 좌우 방향의 예취 입력 케이스(17)와, 예취 입력 케이스(17)로부터 전방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예취 주 프레임(18)이 구비되어 있다. 예취 입력 케이스(17)의 내부에는 기체 좌우 방향의 예취 입력축(19)이 설치되어 있다. 예취 주 프레임(18)의 내부에는 전방측 하 방향의 예취 전동(傳動)축(20)이 설치되어 있다.
예취 입력 케이스(17)는, 좌측 베어링부(21) 및 우측 베어링부(22)에 축심 X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취 주 프레임(18)과 기체 프레임(1)에 걸쳐 유압 실린더(23)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23) 중 예취 주 프레임(18)측의 단부는, 예취 주 프레임(18)에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23)를 신축 조작함으로써, 예취 주 프레임(18)이 예취 입력 케이스(17)와 일체적으로 축심 X1 주위로 요동하여, 예취부(3)가 승강하게 된다.
예취 입력 케이스(17)의 하방에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오일 탱크(24)가 설치되어 있다. 오일 탱크(24)의 좌측부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변속하여 예취부(3)에 전달하는, 예취부(3)용의 유압 무단 변속 장치(이하, 「예취 HST」라 함)(25)(본 발명에 관한 「유압 무단 변속 장치」에 상당함)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오일 탱크(24)의 좌측부에는, 예취부(3)를 상하 방향의 축심 Y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6)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 베어링부(21)에는, 좌측 홀더(27)와, 좌측 리테이너(28)가 구비되어 있다. 좌측 홀더(27)는 지지축(29)을 개재하여 지지 프레임(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좌측 리테이너(28)가 좌측 홀더(27)에 볼트(30)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예취 입력 케이스(17)가 좌측 베어링부(21)에 보유 지지되게 된다.
우측 베어링부(22)에는, 우측 홀더(31)와, 우측 리테이너(32)가 구비되어 있다. 우측 홀더(31)는 브래킷(33)을 개재하여 오일 탱크(24)에 지지되어 있다. 우측 리테이너(32)는, 그 후단부가 우측 홀더(31)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측 리테이너(32)가 우측 홀더(31)에 볼트(34)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예취 입력 케이스(17)가 우측 베어링부(22)에 보유 지지되게 된다.
예취부(3)는, 축심 Y1 주위로 요동하여 작업 위치(도 3 참조)와 메인터넌스 위치(도 5 참조)로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예취부(3)를 작업 위치로부터 메인터넌스 위치로 요동 조작하기 위해서는, 유압 실린더(23)와 예취 주 프레임(18)의 연결을 해제함과 함께, 볼트(34)의 고정을 해제하여 우측 리테이너(32)를 개방하여, 우측 베어링부(22)의 보유 지지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하여, 예취부(3)를 축심 Y1 주위로 요동 조작하여 작업 위치로부터 메인터넌스 위치로 위치 변경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베어링부(22)에는, 예취 입력 케이스(17)의 우측 단부가 부시(35)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부시(35)는, 예취 입력 케이스(17)의 우측 단부에 외감된 상태에서 칼라(36) 및 리테이닝 링(37)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부시(35)는, 그 내주면이 예취 입력 케이스(17)와의 미끄럼 이동면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부시(35)로서, 예를 들어 드라이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부시(35)의 교환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우측 베어링부(22)의 보유 지지를 해제하면, 칼라(36) 및 리테이닝 링(37)을 제거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칼라(36)의 길이(기체 좌우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면, 예취 입력 케이스(17) 중 칼라(36)와 리테이닝 링(37) 사이의 간극에 대응하는 부분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예취 입력 케이스(17)의 우측 단부 중 우측 베어링부(22)보다도 기체 횡 내측의 부분(우측의 부분)에는, 예취 입력 케이스(17)의 내부에 그리스를 주입하는 그리스 니플(3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스 니플(38)로부터의 그리스는, 예취 입력 케이스(17)의 내주면과 예취 입력축(19)의 외주면 사이에서, 예취 입력 케이스(17)의 그리스 구멍(17a)을 통하여 부시(35)의 미끄럼 이동면에 공급되게 된다.
〔공급 반송 장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반송 장치(16)에는, 구동 스프로킷(39)과, 가이드 롤러(40)와, 텐션 롤러(41)와, 구동 스프로킷(39), 가이드 롤러(40) 및 텐션 롤러(41)에 권취된 반송 체인(42)이 구비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39)은, 예취 입력축(19)의 회전 동력이 구동 케이스(43)(본 발명에 관한 「지지 케이스」에 상당함)를 개재하여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39)은 반송 구동축(39a)(본 발명에 관한 「출력축」에 상당함)을 개재하여 구동 케이스(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텐션 롤러(41)는 스프링(44)에 의하여 후방으로 가압되어, 반송 체인(42)에 텐션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40) 및 텐션 롤러(41)는 지지 부재(45)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45)는 구동 케이스(43)의 좌측부에 볼트(4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45)의 상부에는, 반송 체인(42)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47)이 설치되어 있다.
〔콤바인의 동력 전달 경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5)의 출력축(5a)의 회전 동력은 벨트 전동(傳動) 기구(48)에 의하여 미션 케이스(6)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6)에는 유압 무단 변속 장치(도시 생략) 등이 구비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6)에 전달된 회전 동력은 상기 유압 무단 변속 장치 등에 의하여 변속되어, 좌우 1쌍의 차축(2a)을 통하여 좌우 1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2)에 전달된다.
또한 엔진(5)의 출력축(5a)의 회전 동력은 벨트 전동 기구(49)에 의하여 카운터 축(50)에 전달된다. 카운터 축(50)은 전동(傳動) 케이스(51)의 내부에 기체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운터 축(50)의 회전 동력은 베벨 기어(52)에 의하여 전동축(53)에 전달된다. 전동축(53)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동축(53)의 회전 동력은 벨트 전동 기구(54)에 의하여 급동(10)에 전달된다.
또한 카운터 축(50)의 회전 동력은 기어 전동 기구(55)에 의하여 선별부(11)측과 예취부(3)측으로 분기되어 전달된다. 기어 전동 기구(55)에는, 전동(傳動) 기어(56·57·58·59)가 전후 방향으로 순차 교합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전동 기어(56·57·58·59)는 전동 케이스(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전동 기어(58)의 회전 동력은 전동축(60)으로부터 벨트 전동 기구(61)에 의하여 선별부(11)에 전달된다.
또한 전동 기어(59)의 회전 동력은 전동축(62)으로부터 벨트 전동 기구(63)에 의하여 예취 HST(25)의 입력축(25a)에 전달된다. 벨트 전동 기구(63)에는, 전동축(62)측의 출력 풀리(64)와, 예취 HST(25)의 입력축(25a)측의 입력 풀리(65)와, 출력 풀리(64) 및 입력 풀리(65)에 권취된 전동 벨트(66)와, 전동 벨트(66)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기구(6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예취 HST(25)의 출력축(25b)의 회전 동력은 벨트 전동 기구(68)에 의하여 예취 입력축(19)에 전달된다. 벨트 전동 기구(68)에는, 예취 HST(25)의 출력축(25b)측의 출력 풀리(69)와, 예취 입력축(19)측의 입력 풀리(70)(본 발명에 관한 「입력 회전체」에 상당함)와, 출력 풀리(69) 및 입력 풀리(70)에 권취된 전동 벨트(71)와, 전동 벨트(71)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기구(7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예취 입력축(19)의 회전 동력은 기어 전동 기구(73)에 의하여 반송 구동축(39a)에 전달된다. 기어 전동 기구(73)에는, 예취 입력축(19)측의 전동 기어(74)(본 발명에 관한 「출력 회전체」에 상당함)와, 반송 구동축(39a) 측의 전동 기어(75)가 구비되어 있다. 전동 기어(74·75)는 구동 케이스(4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예취 입력축(19)의 회전 동력은 베벨 기어(76)에 의하여 반송 장치(15)에 전달됨과 함께, 베벨 기어(77)에 의하여 예취 전동축(20)으로부터 일으켜 세움 장치(13)나 예취 장치(14)에 전달된다.
〔구동 케이스〕
도 4,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케이스(43)는 공급 반송 장치(16)와 좌측 베어링부(21) 사이에, 축심 X1을 중심으로 하는 후방으로 전도된 경사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구동 케이스(43)는 브래킷(78·79)을 개재하여 좌측 베어링부(21)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 케이스(43)는 브래킷(78·79)에 볼트(8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78·79)은 좌측 리테이너(28)와 함께 좌측 홀더(27)에 볼트(3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구동 케이스(43){우측의 보스부(85)}는 예취 입력 케이스(17)의 좌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예취부(3)가 승강하더라도 그 동작이 구동 케이스(43)에 의하여 저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볼트(80)의 고정을 해제하면 구동 케이스(43)를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케이스(43)는 좌측 분할 케이스체(82)와 우측 분할 케이스체(83)가 연결면 S에서 볼트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구동 케이스(43)에는, 좌측 분할 케이스체(82)와 우측 분할 케이스체(83)를 볼트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부(84)(도 10 참조)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구동 케이스(43)에는 좌우 1쌍의 보스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 1쌍의 보스부(85)에는, 예취 입력축(19)이 좌우 1쌍의 베어링(86)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취 입력축(19)은 좌측의 보스부(85)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 부분에 입력 풀리(7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케이스(43)에는, 예취 HST(25)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의 회전수{계측 기어(97)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회전 센서(87)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케이스(43)에는, 반송 구동축(39a)이 좌우 1쌍의 베어링(88)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반송 구동축(39a)은 예취 입력축(19)과 평행인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반송 구동축(39a)은, 전동 기어(74)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전동 기어(75)를 통하여 입력됨과 함께, 전동 기어(74)로부터 입력된 회전 동력을 공급 반송 장치(16)에 출력한다. 반송 구동축(39a)은 구동 케이스(43)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 부분에 구동 스프로킷(39)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케이스(43)에는, 가이드 롤러(89)가 지지축(89a)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89)는, 반송 체인(42)의 하측 경로에 있어서, 반송 체인(42)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반송 체인(42)의 외주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89)는, 구동 케이스(43)의 기체 횡 외측(좌측)에 있어서, 구동 스프로킷(39)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축〕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케이스(43)의 내부에는, 기체 좌우 방향의 회전축(90)이, 예취 입력축(19)과 인접하는 상태에서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90)은, 그 좌측 단부가 좌측 분할 케이스체(82)에 좌우 1쌍의 베어링(91)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좌우 1쌍의 베어링(91)은 리테이닝 링(92·9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90)은, 좌우 1쌍의 베어링(91)측으로부터 연결면 S보다도 우측의 위치까지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예취 입력축(19)과 회전축(90) 사이에는, 예취 입력축(19)의 회전 동력을 증속하여 회전축(90)에 전달하는 기어 증속 기구(9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입력축(19) 및 회전축(90)은, 예취 입력축(19)의 축 방향(축심 X1 방향)에서 보아, 반송 구동축(39a)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한 원주 R 상에 위치하고 있다. 즉, 반송 구동축(39a)의 축심 X2와 예취 입력축(19)의 축심 X1을 연결하는 직선 L1과, 반송 구동축(39a)의 축심 X2와 회전축(90)의 축심 X3을 연결하는 직선 L2와, 예취 입력축(19)의 축심 X1과 회전축(90)을 연결하는 직선 L3에 의하여, 직선 L1과 직선 L2의 길이가 대략 동등한 삼각형{반송 구동축(39a)을 정점으로 하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이 형성되어 있다.
예취 입력축(19), 회전축(90) 및 반송 구동축(39a)은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으로부터 예취 입력축(19), 회전축(90) 및 반송 구동축(39a)의 순으로 위치하고 있다. 즉, 회전축(90)은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예취 입력축(19)과 반송 구동축(39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예취 입력축(19), 회전축(90) 및 반송 구동축(39a)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반송 구동축(39a), 예취 입력축(19) 및 회전축(90)의 순으로 위치하고 있다. 즉, 회전축(90)은 반송 구동축(39a)보다도 하측이고, 또한 예취 입력축(19)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기어 증속 기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증속 기구(94)는, 전동 기어(74)와 입력 풀리(70) 사이에 있어서, 전동 기어(74)측에 치우쳐서 위치하고 있다. 즉, 기어 증속 기구(94)는 공급 반송 장치(16)보다도 기체 횡 내측(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기어 증속 기구(94)에는, 서로 교합하는 구동 기어(95) 및 종동 기어(96)와, 계측 기어(97)가 구비되어 있다.
구동 기어(95)는 예취 입력축(19)에 있어서, 전동 기어(74)의 좌측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전동 기어(74) 및 구동 기어(95)는 좌우 1쌍의 칼라(98)에 의하여 좌우 양측으로부터 협지 고정되어 있다.
종동 기어(96) 및 계측 기어(97)는, 좌측에 계측 기어(97), 우측에 종동 기어(96)가 위치하도록, 회전축(90)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종동 기어(96) 및 계측 기어(97)는 회전축(90)에 플랫 와셔(99), 스프링 와셔(100) 및 너트(10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90) 중 종동 기어(96)와 계측 기어(97) 사이의 부분에는 칼라(102)가 외감되어 있다.
종동 기어(96) 및 계측 기어(97)는 구동 케이스(43) 중 수용실(103)에 수용되어 있다. 수용실(103)은, 구동 케이스(43) 중 인접하는 플랜지부(84) 사이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종동 기어(96)는 구동 기어(95)보다도 소직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측 기어(97)는 종동 기어(96)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90)에 설치되어 있다. 계측 기어(97)는 종동 기어(96)보다도 대직경이고, 또한 잇수가 많게 구성되어 있다.
〔회전 센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센서(87)는 계측 기어(97)의 회전수를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센서(87)는, 예를 들어 비접촉식 픽업 센서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전 센서(87)는, 검출부(87a)가 수용실(103) 내에 노출되고 계측 기어(97)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회전 센서(87) 중 검출부(87a)의 선단부와 계측 기어(97)의 외주부 사이에는, 검출에 적합한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회전 센서(87)는 입력 풀리(70)보다도 기체 횡 내측(우측)에 위치하며, 측면에서 보아 입력 풀리(70)와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회전 센서(87)의 존재 범위는 계측 기어(97)와 반송 구동축(39a)의 각 존재 범위와 중복되어 있다. 회전 센서(87)는 계측 기어(97)의 후방측 하방에 위치하며, 검출부(87a)가 전방측으로 상승하는 경사 자세로 되는 상태에서 좌측 분할 케이스체(82)에 지지되어 있다. 좌측 분할 케이스체(82)에는, 회전 센서(87)를 삽입 지지하는 보스형의 지지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82A)는, 좌측 분할 케이스체(82) 중 수용실(103)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82A)는, 측면에서 보아, 그 축심 Z1이 회전축(90)의 축심 X3을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82A)에는, 회전 센서(87)를 설치하기 위한 플랜지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센서(87) 중 검출부(87a)가 지지부(82A)에 삽입 관통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센서(87) 중 설치부(87b)가 지지부(82A) 중 플랜지부(82a)에 볼트(10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센서(87)가 예취 HST(25)에 설치 브래킷(105)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예취 HST(25)의 출력축(25b)에는 계측 기어(108)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센서(87)는 계측 기어(108)의 회전수를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치 브래킷(105)은 예취 HST(25)의 HST 케이스(25A)의 후방측부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설치 브래킷(105)에는, HST 케이스(25A)에 설치되는, 상하 방향으로 긴 제1 설치판체(106)와, 회전 센서(87)가 설치되는 제2 설치판체(107)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설치판체(106)는, 그 상부가 예취 HST(25)의 HST 케이스(25A)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1 설치판체(106)의 하부에는, 제2 설치판체(107)가 방진(防振) 고무(109)(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2개)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방진 고무(109)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1쌍의 인서트 볼트(110)가 설치되어 있다. 1쌍의 인서트 볼트(110) 중 한쪽이 제1 설치판체(106)에 너트(111)에 의하여 고정되고, 1쌍의 인서트 볼트(110) 중 다른 쪽이 제2 설치판체(107)에 너트(11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취 HST(25)의 진동이 방진 고무(109)에 의하여 저감되어, 회전 센서(87)에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센서(87)가 예취 HST(25)의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예취 HST(25)의 HST 케이스(25A)를 회전 센서(87)의 지지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센서(87)가 계측 기어(97)의 회전수를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계측 기어(97)를 설치하지 않고 회전 센서(87)가 종동 기어(96)의 회전수를 계측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또는 기어 증속 기구(94)을 설치하지 않고 회전 센서(87)가 전동 기어(74)의 회전수를 계측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예취 입력축(19)에, 전동 기어(74)와는 다른 기어이며 전동 기어(74)보다도 대직경이고 또한 잇수가 많은 기어를 설치하고, 회전 센서(87)가 당해 기어의 회전수를 계측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계측의 분해능을 향상시키면서 회전 센서(87)를 구동 케이스(43)의 원하는 개소에 설치할 수 있다. 즉, 회전 센서(87)의 계측 대상은, 회전 센서(87)가 예취 HST(25)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의 회전수를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어 증속 기구(94)가 전동 기어(74)와 입력 풀리(70) 사이에 있어서, 전동 기어(74)측에 치우쳐서 위치하고 있지만, 입력 풀리(70)측에 치우쳐서 위치하고 있어도 되고, 또는 전동 기어(74)와 입력 풀리(70)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기어 증속 기구(94)가 입력 풀리(70)보다도 기체 횡 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되고, 또는 전동 기어(74)보다도 기체 횡 내측(우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예취 입력축(19) 및 회전축(90)은, 예취 입력축(19)의 축 방향(축심 X1 방향)에서 보아, 반송 구동축(39a)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한 원주 R 상에 위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반송 구동축(39a)을 중심으로 하여 예취 입력축(19)을 통과하는 원주보다도 내측에 회전축(90)이 위치하고 있어도 되고, 또는 당해 원주보다도 외측에 회전축(90)이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센서(87)가 비접촉식 픽업 센서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와전류 센서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를 작업차의 일례인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6에 기재한 부호 F의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이 자탈형 콤바인의 전방측이고, 부호 U의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이 자탈형 콤바인의 상측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자탈형 콤바인은, 차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차체 프레임(1001), 차체 프레임(1001)의 하부에 설치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2), 작업 주행 시에 식립(植立)한 곡간을 예취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는 예취 반송 장치(1003), 예취 반송 장치(1003)로부터의 예취한 곡간에 탈곡·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 장치(1004), 탈곡·선별 처리에서 얻은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1005),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을 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류 반송식의 곡립 배출 장치(1006), 탑승 운전용의 조종부(1007), 조종부(1007)의 후방측 하부에 위치하는 엔진(도시되지 않음), 및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유닛(도시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6 내지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001)은, 탈곡 장치(1004) 및 곡립 탱크(1005) 등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008), 및 메인 프레임(1008)의 하부에 연접한 하부 프레임(1009)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7 내지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009)은, 각(角)파이프제의 좌우의 사이드 멤버(1010), 좌우의 사이드 멤버(1010)의 전방부에 연접한 좌우의 전방측 지지 부재(1011), 좌우의 사이드 멤버(1010)의 후방부에 연접한 좌우의 후방측 지지 부재(1012), 좌우의 전방측 지지 부재(1011)에 걸친 각파이프제의 전방측 크로스 멤버(1013), 좌우의 사이드 멤버(1010)에 걸친 각파이프제의 중간 크로스 멤버(1014), 및 좌우의 후방측 지지 부재(1012)에 걸친 각파이프제의 후방측 크로스 멤버(10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전방측 지지 부재(1011)는, 변속 유닛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된 좌우의 구동축 케이스(1016)를 지지하는 지지부(1011A)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크로스 멤버(1014)는, 그 좌우 양 단부에 좌우 방향의 지지축(1014A)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프레임(1009)은,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2)를 대략 일정한 자세로 승강 구동하는 좌우의 유압식 승강 장치(1017)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유압식 승강 장치(1017)는 각각, 전방측 지지 부재(10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전방측 지지축(1018), 전방측 지지축(1018)의 차체 내측 단부에 고정된 제1 전방측 아암(1019), 전방측 지지축(1018)의 차체 외측 단부에 고정된 제2 전방측 아암(1020), 후방측 지지 부재(10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후방측 지지축(1021), 후방측 지지축(1021)의 차체 내측 단부에 고정된 제1 후방측 아암(1022), 후방측 지지축(1021)의 차체 외측 단부에 고정된 제2 후방측 아암(1023), 제2 후방측 아암(1023)의 자유 단부에 좌우 방향의 지지축(1024)을 개재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캔슬 링크(1025), 제1 전방측 아암(1019)과 제1 후방측 아암(1022)을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계 기구(1026), 및 중간 크로스 멤버(1014)의 지지축(1014A)과 제1 후방측 아암(1022)에 걸친 유압 실린더(1027) 등을 구비하고 있다.
각 유압식 승강 장치(1017)에 있어서, 유압 실린더(1027)는 유압 제어 유닛(도시되지 않음)의 제어 작동에 기초하여 전후 방향으로 신축 작동한다. 제1 후방측 아암(1022)은 유압 실린더(1027)의 신축 작동에 연동하여 후방측 지지축(1021)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 요동한다. 제2 후방측 아암(1023)은 제1 후방측 아암(1022)의 전후 요동에 연동하여 후방측 지지축(1021)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요동한다. 제1 전방측 아암(1019)은 제1 후방측 아암(1022)의 전후 요동에 연동하여 전방측 지지축(1018)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 요동한다. 제2 전방측 아암(1020)은 제1 전방측 아암(1019)의 전후 요동에 연동하여 전방측 지지축(1018)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요동한다.
각 유압식 승강 장치(1017)는, 제2 전방측 아암(1020)의 자유 단부를, 대응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1002)의 전방부측에 핀 연결하고, 또한 캔슬 링크(1025)의 자유 단부를, 대응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1002)의 후방부측에 핀 연결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2)를, 좌우의 유압 실린더(1027)의 신축 작동에 의하여 차체 프레임(1001)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승강 변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승강 변위에 의하여 차체의 지상 높이 및 차체의 대지(對地) 롤링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7 내지 19 및 도 24 내지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연계 기구(1026)는, 암나사부(1028A)를 좌우의 연결부(1028B) 사이에 갖는 전후의 힌지(1028), 및 암나사부(1028A)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1029A)를 양 단부에 갖고 전후의 힌지(1028)에 걸친 로드(102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의 힌지(1028)는 제1 전방측 아암(1019)의 자유 단부에 연결 핀(1030)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후방측의 힌지(1028)는 제1 후방측 아암(1022)의 자유 단부에 연결 핀(1030)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각 연결 핀(1030)은 그들의 헤드부에 그리스 니플(1031)을 구비함과 함께, 그리스 니플(1031)로부터 주입되는 그리스를, 연결 핀(1030)과 제1 전방측 아암(1019) 또는 제1 후방측 아암(1022)과의 접촉 개소로 안내하는 내부 유로(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연결 핀(1030)과 제1 전방측 아암(1019) 또는 제1 후방측 아암(1022)과의 상대 미끄럼 이동에 기인한 연결 핀(1030) 및 제1 전방측 아암(1019) 또는 제1 후방측 아암(1022)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각 연결 핀(1030)은, 각 힌지(1028)에 있어서의 차체 내측의 연결부(1028B)에 볼트 연결되는 탈락 방지 부재(1032)에 의하여 탈락 방지되어 있다. 각 탈락 방지 부재(1032)는, 연결 핀(1030)의 헤드부와의 접촉 개소에, 연결 핀(1030)의 헤드부에의 그리스 니플(1031)의 설치를 허용하는 개구(1032A)를 갖고 있다. 또한 각 탈락 방지 부재(1032)는, 차체 내측의 연결부(1028B)에 차체 내측으로부터 외감됨으로써, 힌지(1028)에 대한 회전 방지를 행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좌우의 유압식 승강 장치(1017)를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후진 시에 좌우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2)가 후방의 이랑 등의 다른 것에 충돌하면, 충돌 시에 발생하는 후방으로부터의 가압력이 크롤러 주행 장치(1002)로부터 제2 전방측 아암(1020), 제1 전방측 아암(1019), 연계 기구(1026) 및 제1 후방측 아암(1022) 등을 통하여 유압 실린더(1027)에 전달됨으로써, 유압 실린더(1027)가 신장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때의 신장 작동에 의하여 유압 실린더(1027)가 신장 한계에 도달한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1027)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요동이 저지된 제1 후방측 아암(1022)과, 충돌 시의 가압력에 의하여 후방에 요동하고자 하는 제1 전방측 아암(1019)에 걸친, 연계 기구(1026)의 로드(1029)가 좌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18 및 도 24 내지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자탈형 콤바인은, 유압 실린더(1027)가 신장 한계에 도달한 경우에, 제1 전방측 아암(1019)의 후방으로의 요동을 저지하는 좌우의 규제 기구(1033)를 차체 프레임(1001)에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후진 시에 좌우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2)가 후방의 이랑 등의 다른 것에 충돌하는 데 기인하여, 충돌한 크롤러 주행 장치(1002)를 승강 구동하는 유압식 승강 장치(1017)의 유압 실린더(1027)가 신장 한계에 도달한 경우에는, 그 유압식 승강 장치(1017)에 구비한 제1 전방측 아암(1019)의 후방으로의 요동을 규제 기구(1033)에 의하여 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후진 시에 크롤러 주행 장치(1002)가 후방의 이랑 등의 다른 것에 충돌하는 데 기인하여, 충돌한 크롤러 주행 장치(1002)를 승강 구동하는 유압식 승강 장치(1017)에 구비한 로드(1029)가 좌굴할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각 규제 기구(1033)는, 제1 전방측 아암(1019)의 자유 단부에 핀 연결된 전방측의 힌지(1028)를 후방으로부터 캐치함으로써, 제1 전방측 아암(1019)의 후방으로의 요동을 저지하고 있다.
즉, 크롤러 주행 장치(1002)의 승강 구동 시에 요동함으로써 규제 기구(1033)에 대한 자세의 변화량이 커지는 제1 전방측 아암(1019)이 아니라, 크롤러 주행 장치(1002)의 승강 구동 시에 대략 평행으로 이동함으로써 규제 기구(1033)에 대한 자세의 변화량이 작은 연계 기구(1026)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힌지(1028)를 규제 기구(1033)에 의하여 캐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1027)의 개체 차 등에 기인하여, 유압 실린더(1027)가 신장 한계에 도달했을 때의 제1 전방측 아암(1019) 및 연계 기구(1026) 등의 작동 위치에 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작동 위치의 차에 따라 규제 기구(1033)의 캐치 자세를 변경하는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규제 기구(1033)가 전방측의 힌지(1028)를 캐치할 때의 접촉 면적을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규제 기구(1033)의 조립에 필요한 수고를 경감하면서, 규제 기구(1033)에 의한 제1 전방측 아암(1019)의 후방으로의 요동 저지를, 규제 기구(1033)에 의한 접촉 면적이 큰 전방측의 힌지(1028)의 캐치로써, 높은 안정성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규제 기구(1033)는, 제1 전방측 아암(1019)을 직접적으로 캐치함으로써, 제1 전방측 아암(1019)의 후방으로의 요동을 저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각 규제 기구(1033)는, 상술한 전방측 크로스 멤버(1013)에 있어서의 제1 전방측 아암(1019)의 후방 개소에 용접한 블록형의 암나사 부재(1034), 및 암나사 부재(1034)에 나사 결합하는 캐치 볼트(103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1027)의 개체 차 등에 기인하여, 유압 실린더(1027)가 신장 한계에 도달했을 때의 전방측 힌지(1028)의 작동 위치에 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차에 따라, 암나사 부재(1034)에 대한 캐치 볼트(1035)의 나사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캐치 볼트(1035)의 위치를 전방측의 힌지(1028)에 대한 적절한 캐치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을 행함으로써, 유압 실린더(1027)의 개체 차 등에 관계없이, 유압 실린더(1027)가 신장 한계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방측의 힌지(1028)를 규제 기구(1033)에 의하여 확실히 캐치할 수 있어, 제1 전방측 아암(1019)의 후방으로의 요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후진 시에, 크롤러 주행 장치(1002)가 후방의 이랑 등의 다른 것에 충돌하는 데 기인하여, 충돌한 크롤러 주행 장치(1002)를 승강 구동하는 유압식 승강 장치(1017)에 구비한 로드(1029)가 좌굴할 우려를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도 24 내지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암나사 부재(1034)는 그들의 후방측 하부에, 전방측 크로스 멤버(1013)의 상면(1013A)과 전방면(1013B)에 면 접촉하는 오목부(1034A)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전방측의 힌지(1028)를 후방으로부터 캐치하는 규제 기구(1033)를 전방측 크로스 멤버(1013)에 의하여 후방으로부터 캐치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압 실린더(1027)가 신장 한계에 도달한 경우의 규제 기구(1033)에 의한 전방측의 힌지(1028)의 캐치를 보다 높은 강도에서 적절히 행할 수 있고, 따라서 후진 시에 크롤러 주행 장치(1002)가 후방의 이랑 등의 다른 것에 충돌하는 데 기인하여, 충돌한 크롤러 주행 장치(1002)를 승강 구동하는 유압식 승강 장치(1017)에 구비한 로드(1029)가 좌굴할 우려를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전방측의 각 힌지(1028)는 규제 기구(1033)와의 대향 개소에, 암나사 부재(1034)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1028C)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각 암나사 부재(1034)를, 상기와 같이 암나사 부재(1034)의 오목부(1034A)를 이용하여 전방측 크로스 멤버(1013)에 조립함으로써, 각 암나사 부재(1034)의 후방부가 전방측 크로스 멤버(1013)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각 암나사 부재(1034)와 전방측의 각 힌지(1028) 사이에, 캐치 볼트(1035)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압 실린더(1027)가 신장 한계에 도달한 경우의 규제 기구(1033)에 의한 제1 전방측 아암(1019)의 캐치를 보다 높은 강도에서 적절히 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캐치 볼트(1035)의 위치를 전방측의 힌지(1028)에 대한 적절한 캐치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방측의 각 힌지(1028)는 차체 내측의 연결부(1028B)를, 규제 기구(1033)가 캐치하는 캐치부로 설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방측의 각 힌지(1028)는 차체 내측의 연결부(1028B)에 상술한 오목부(1028C)를 갖고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규제 기구(1033)는 암나사 부재(1034)의 후방측 하부에 상술한 오목부(1034A)를 구비하지 않고, 암나사 부재(1034)의 저면을 전방측 크로스 멤버(1013)의 상면(1013A)에 면 접촉시킨 상태에서, 암나사 부재(1034)를 전방측 크로스 멤버(1013)에 용접해도 된다.
이 경우, 각 암나사 부재(1034)에 오목부(1034A)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데다, 전방측의 각 힌지(1028)에 오목부(1028C)를 구비할 필요도 없는 점에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6 내지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크롤러 주행 장치(1002)는, 차체 프레임(1001)에 설치하는 트랙 프레임(1036),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를 주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갖는 무단의 크롤러 벨트(1037), 크롤러 벨트(1037)를 구동하는 구동륜(1038), 크롤러 벨트(1037)의 후방측 단부를 안내하는 유동륜(1039), 트랙 프레임(1036)의 전방부측에 설치하는 3개의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 트랙 프레임(1036)의 후방측 단부에 설치하는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 및 크롤러 벨트(1037)의 상부를 안내하는 전후의 보조 외측 전륜(1042) 등을 구비하고 있다. 각 유동륜(1039)에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 사이로 하여 크롤러 벨트(1037)의 좌우 중앙측을 안내하는 내측 전륜을 채용하고 있다.
각 트랙 프레임(1036)은, 제2 전방측 아암(1020)의 자유 단부에 좌우 방향의 제1 연결 핀(1043)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제1 연결부(1036A), 캔슬 링크(1025)의 자유 단부에 좌우 방향의 제2 연결 핀(1044)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제2 연결부(1036B), 및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을 천칭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방향의 3개의 지지축(1036C)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트랙 프레임(1036)은, 유동륜(1039)을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크롤러 벨트(1037)의 장력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력 조정 기구(1045)를 구비하고 있다. 각 트랙 프레임(1036)에 있어서, 제2 연결부(1036B)는,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과 그 바로 앞에 위치하는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각 장력 조정 기구(1045)는, 유동륜(103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1046), 제1 지지 부재(1046)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각파이프제의 피지지 부재(1047), 피지지 부재(1047)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1048), 제2 지지 부재(1048)에 고정된 암나사 부재(1049), 및 암나사 부재(1049)에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후방측 단부가 제1 지지 부재(104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수나사 부재(105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각 장력 조정 기구(1045)는, 그들에 구비한 수나사 부재(1050)를 나사 결합 조작하여, 암나사 부재(1049)에 대한 수나사 부재(1050)의 나사 결합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크롤러 벨트(1037)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각 제2 지지 부재(1048)는, 대응하는 트랙 프레임(1036)의 후방부로부터 차체 횡 외측으로 연장되는 각파이프제의 전후의 지지 부재(1036D, 1036E)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2 지지 부재(1048)는, 피지지 부재(1047)에 상방으로부터 외감되는 하향 U자형의 가이드 부재(1048A), 전방측의 지지 부재(1036D)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가이드 부재(1048A)의 전방측의 저면을 형성하는 제1 가이드판(1048B), 가이드 부재(1048A)의 후방측 단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제2 가이드판(1048C), 및 트랙 프레임(1036)의 후방부로부터 차체 횡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 가이드판(1048C)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판(1048D) 등을 용접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 17 내지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크롤러 벨트(1037)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를 갖는 복수의 코어 금속(1037A), 및 고무를 주재로 하는 벨트 본체(1037B)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크롤러 벨트(1037)는, 복수의 코어 금속(1037A)을 벨트 본체(1037B)의 주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는 배치이고, 또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가 벨트 본체(1037B)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벨트 본체(1037B)에 매설되어 있다.
각 벨트 본체(1037B)는, 그 내주면에 있어서의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의 횡 외측 부위에, 전후의 보조 외측 전륜(1042) 등으로 회전 안내되는 좌우의 피안내면(1037b)을 내주면의 전체 주위에 걸쳐 갖고 있다. 또한 벨트 본체(1037B)는, 그 내주면에 있어서의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 사이의 좌우 중앙 부위에, 구동륜(1038) 및 유동륜(1039) 등이 들어가게 되는 홈부(1037c)를 내주면의 전체 주위에 걸쳐 갖고 있다.
도 16 내지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은,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를 타고 넘어 크롤러 벨트(1037)의 좌우 양 단부측의 피안내면(1037b)을 안내하는 전후의 가동식 외측 전륜(1051) 전후의 가동식 외측 전륜(1051)에 걸친 전후 길이를 갖고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 사이에 위치하는 가동식 크롤러 가이드(1052), 및 좌우 방향의 지지축(1036C)을 지지점으로 하여 천칭 요동하는 천칭 아암(1053) 등을 구비함과 함께, 전후의 가동식 외측 전륜(1051)과 가동식 크롤러 가이드(1052)를 천칭 아암(1053)을 개재하여 트랙 프레임(1036)에 조립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각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을, 주행 중인 포장의 기복에 따라, 지지축(1036C)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천칭 요동시킬 수 있어, 포장의 기복에 따른 크롤러 벨트(1037)의 변형을 허용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장에서의 차체의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 가동식 크롤러 가이드(1052)는, 전후의 가동식 외측 전륜(1051)으로부터 전후로 연장되지 않는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각 가동식 크롤러 가이드(1052)는, 그들의 전후 양 단부가 상향으로 만곡되고, 또한 그들의 전후 양 단부를, 단부측일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도 18, 도 19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가동식 외측 전륜(1051)은, 좌우 방향의 회전축(1051A), 및 회전축(1051A)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좌우의 전륜(1051B) 등을 구비하고 있다. 각 회전축(1051A)은, 축 단부측일수록 직경이 짧아지는, 외측으로 가늘어지는 형상의 좌우의 테이퍼 축부(1051a)를 갖고 있다. 각 전륜(1051B)은, 테이퍼 축부(1051a)에 밀접하는, 외측으로 가늘어지는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보스부(1051b)를 전륜(1051B)의 회전 중심부에 갖고 있다. 각 천칭 아암(1053)은, 좌우의 베어링(1054)을 개재하여 가동식 외측 전륜(1051)의 회전축(1051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스부(1053A)를, 천칭 아암(1053)의 전후 양 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각 천칭 아암(1053)은 전후의 보스부(1053A)에, 보스부(1053A)와 가동식 외측 전륜(1051)의 회전축(1051A)과의 사이에의 그리스의 주입을 가능하게 하는 그리스 니플, 및 그리스 업에 수반하는 각 보스부(1053A)에서의 내압의 상승을 방지하는 브리더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은, 가동식 외측 전륜(1051)의 회전축(1051A)과 천칭 아암(1053)의 보스부(1053A)와의 사이에 주입한 그리스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는 오일 시일(1055)을, 전륜(1051B)의 보스부와 천칭 아암(1053)의 보스부(1053A) 사이에 압입하고 있다.
각 보스부(1053A)는, 좌우 양 단부의 외주면에 연마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좌우 양 단부의 외주면에서의 표면 정밀도를 높이고 있다. 각 전륜(1051B)은, 보스부(1053A)의 좌우 양 단부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내주면을 갖는 오목부(1051c)를 구비하고 있다.
각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은, 가동식 외측 전륜(1051)의 좌우의 전륜(1051B)과 천칭 아암(1053)의 보스부(1053A)와의 간극으로부터의 흙탕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시일 부재(1056)를, 각 전륜(1051B)에 있어서의 오목부(1051c)의 내주면과 보스부(1053A)에 있어서의 좌우 양 단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압입하고 있다.
도 16 내지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은,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를 타고 넘어 크롤러 벨트(1037)의 좌우 양 단부측의 피안내면(1037b)을 안내하는 전후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 및 전후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에 걸친 전후 길이를 갖고 좌우의 코어 금속 돌기(1037a)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 등을 구비함과 함께, 전후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과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를 트랙 프레임(1036)에 조립하고 있다.
각 트랙 프레임(1036)은, 전후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의 지지축(1036F)을, 트랙 프레임(1036)의 후방부에, 트랙 프레임(1036)으로부터 차체 횡 외측으로 연장되는 좌우 방향 자세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트랙 프레임(1036)에 대한 후방측의 지지축(1036F)의 설치 위치를 전방측의 지지축(1036F)의 설치 위치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전후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에 의하여 회전 안내되는 크롤러 벨트(1037)의 접지측 후방부에서의 이동 자세를 후방측으로 상승하는 자세로 설정하고 있다. 각 트랙 프레임(1036)은,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블록형의 전후의 암나사부(1036G, 1036H)를, 트랙 프레임(1036)에 있어서의 후방부의 외측면에 구비하고 있다.
각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는,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의 전방측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보다도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가이드부(1058A)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차체를 이랑을 따라 주행시키는 주위 예취 작업에 있어서, 이랑의 코너부에서 차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에, 이랑의 코너부에 도달한 차체를 이랑측으로 후진 선회시킴으로써 다음의 주행 경로를 향하게 하는 방향 꺾기 조작(소위 α턴)을 행함으로써, 이랑측으로의 후진 선회 시에 좌우 어느 한쪽 코어 금속 돌기(1037a)가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하방으로 파고드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후진 선회 후에 차체를 다음의 주행 경로를 따라 전진시킨 경우에는, 이 전진에 수반하여,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가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 바로 앞의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으로 안내되어, 그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과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의 전방측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과의 사이로 이동해 오면,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연장 가이드부(1058A)가 즉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 사이에 들어가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를 차례로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의 안내 영역으로 안내한다.
그 결과, 후진 선회 후의 전진 주행 시에,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가,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의 전방측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과 그 바로 앞의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 사이에 있어서,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하방으로 파고든 코어 금속 돌기(1037a)를 향하여 차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그 이동에 기인하여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가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좌우 일측방으로 완전히 탈락하는 탈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에 있어서는,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좌우 양 단부가, 연장 가이드부(1058A)의 후방에 위치하는 주 가이드부(1058B)의 좌우 양 단부보다도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좌우 중심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의 복수를 주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갖는 무단의 크롤러 벨트(1037)에 있어서는, 주 가이드부(1058B)의 안내 영역에 위치하는 전후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이, 주 가이드부(1058B)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의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함으로써, 이 규제보다는 완화되지만,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의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도 규제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좌우 폭을,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좌우 양 단부가 주 가이드부(1058B)의 좌우 양 단부보다도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좌우 중심측에 위치하는 협폭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안내 영역에,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의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외측 전륜이 존재하고 있지 않더라도,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가 연장 가이드부(1058A)에 접촉하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주행 중에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가 연장 가이드부(1058A)에 접촉하는 데 기인한 소음의 발생,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손모, 선회성의 저하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내지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는, 연장 가이드부(1058A)와 주 가이드부(1058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가이드부(1058C)가, 전방측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을 지지하는 전방측의 지지축(1036F)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각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는, 중간 가이드부(1058C)의 저면이 수평 자세로 전방측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중간 가이드부(1058C)의 저부를 크롤러 벨트(1037)의 홈부(1037c)에 들어가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 사이에의 중간 가이드부(1058C)의 침입 깊이를 보다 깊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랑의 코너부에서 차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의 이랑측으로의 후진 선회에 있어서, 좌우 어느 한쪽 코어 금속 돌기(1037a)가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하방에 파고드는 문제를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9 내지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는, 주 가이드부(1058B)의 저면이, 후방측으로 상승하는 자세로 후방측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중간 가이드부(1058C)의 저부를 크롤러 벨트(1037)의 홈부(1037c)에 들어가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 사이에의 주 가이드부(1058B)의 침입 깊이를 보다 깊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랑의 코너부에서 차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의 이랑측으로의 후진 선회에 있어서, 좌우 어느 한쪽 코어 금속 돌기(1037a)가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하방에 파고드는 문제를 더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6, 도 17,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에 있어서는,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저면이 전방측으로 상승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연장 가이드부(1058A)의 하방을 통과하는 크롤러 벨트(1037)를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저면에 접촉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주행 중에 크롤러 벨트(1037)가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저면에 접촉하는 데 기인하여 크롤러 벨트(1037) 또는 연장 가이드부(1058A)가 손모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연장 가이드부(1058A)는, 연장 가이드부(1058A)의 후방부측에 저면의 구배가 작은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을 갖고, 또한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전방부측에 저면의 구배가 큰 급경사 가이드 부분(1058b)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적어도 각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의 저면을,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의 전체 길이에 걸쳐,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의 상단부보다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에 의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의 안내를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의 전체 길이에 걸쳐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랑의 코너부에서 차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의 이랑측으로의 후진 선회에 있어서, 좌우 어느 한쪽 코어 금속 돌기(1037a)가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하방에 파고드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후진 선회 후에 차체를 다음의 주행 경로를 따라 전진시키면,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이,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 바로 앞에 위치하는 가동식 외측 전륜(1051)에서 안내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 사이에 들어가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를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의 안내 영역으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각 급경사 가이드 부분(1058b)의 저면이, 그 전방측일수록 크롤러 벨트(1037)의 접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크게 이격되는 점에서, 예를 들어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의 전방측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과 그 바로 앞의 가동식 외측 전륜(1051)에 걸친 크롤러 벨트(1037)의 벨트 부분이 포장의 융기부에 올라앉은 경우에는, 그 벨트 부분이, 융기부에의 올라앉음에 따라 상방으로 변위되는 가동식 외측 전륜(1051)과, 급경사 가이드 부분(1058b)의 저면을 따라, 상방으로 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벨트 부분에 위치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에 대해서는, 상방으로 변위되는 가동식 외측 전륜(1051)과 급경사 가이드 부분(1058b)이 안내 작용함으로써, 그 상방으로 휜 벨트 부분의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랑의 코너부에서 차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탈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 가이드부(1058A)를 갖는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를 채용하면서도, 크롤러 주행 장치(1002)에 있어서의 연장 가이드부(1058A)의 배치 개소가 포장의 융기부에 올라앉은 경우에는, 그 배치 개소에 위치하는 크롤러 벨트(1037)의 벨트 부분에 대하여 연장 가이드부(1058A)를 적절히 작용시킬 수 있어, 그 올라앉은 상태에서의 차체의 안정성 등을 확보할 수 있다.
각 연장 가이드부(1058A)는,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과 급경사 가이드 부분(1058b)의 경계를, 트랙 프레임(1036)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캔슬 링크 연결용의 제2 연결부(1036B)와 동일한 위치에 설정하고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은, 일정한 좌우 폭을 갖고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의 전방측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정폭 안내 영역 A1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주행 중에 크롤러 벨트(1037)가 좌우로 변위되어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가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에 접촉하더라도, 예를 들어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의 전체를, 전방측일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에 의한 좌우의 코어 금속 돌기(1037a)의 안내를 크롤러 벨트(1037)의 회전 방향으로 저저항으로 원활히 행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코어 금속 돌기(1037a)와의 접촉에 기인한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의 손모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7, 도 19,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에 있어서, 주 가이드부(1058B)는, 그 후방측 단부가 상향으로 만곡되고, 또한 그 후방측 단부를, 후방측일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주 가이드부(1058B)는, 그 후방측 단부 이외에 있어서는 일정한 좌우 폭을 갖고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에 있어서, 중간 가이드부(1058C)는, 주 가이드부(1058B)의 후방측 단부 이외의 좌우 폭과 동일한 좌우 폭을 갖고 있다. 각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은, 정폭 안내 영역 A1과 중간 가이드부(1058C) 사이에, 정폭 안내 영역 A1로부터 중간 가이드부(1058C)를 향하여 좌우 폭을 서서히 넓게 하는 폭 확대 안내 영역 A2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각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좌우를 통과하는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를, 각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에 의하여 크롤러 벨트(1037)의 회전 방향으로 저저항으로 원활히 안내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전방측 단부(1058D)를, 전방측일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각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전방측 단부(1058D)를,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 바로 앞에 위치하는 가동식 외측 전륜(1051)에서 안내된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 사이에 보다 원활하고도 확실히 들어가게 할 수 있어, 좌우 1쌍의 코어 금속 돌기(1037a)를,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연장 가이드부(1058A)에 의하여 보다 원활하고도 확실히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의 안내 영역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7 내지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트랙 프레임(1036)은, 전방측의 암나사부(1036G)에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연장 가이드부(1058A)를 2개의 볼트(1059)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또한 각 트랙 프레임(1036)은, 후방측의 암나사부(1036H)에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주 가이드부(1058B)를 3개의 볼트(1059)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의 각 암나사부(1036G)는, 트랙 프레임(1036)에 있어서의 캔슬 링크 연결용의 제2 연결부(1036B)와,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 바로 앞에 위치하는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의 후방측 가동식 외측 전륜(1051)과의 사이의 위치에, 고정식 외측 전륜 지지용의 전후의 지지축(1036F)과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용접하고 있다. 후방측의 각 암나사부(1036H)는, 트랙 프레임(1036)에 있어서의 전후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 사이의 위치에, 고정식 외측 전륜 지지용의 전후의 지지축(1036F)과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용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각 트랙 프레임(1036)에 대한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착탈을, 가동식 외측 전륜(1051) 및 고정식 외측 전륜(1057) 등이 방해로 되는 문제를 초래하지 않고 차체의 횡 외측으로부터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후의 각 암나사부(1036G, 1036H)를, 고정식 외측 전륜 지지용의 전후의 지지축(1036F)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각 연장 가이드부(1058A)는, 급경사 가이드 부분(1058b)의 저면 전방측 단부의 높이 위치를, 트랙 프레임(1036)에 있어서의 가동식 가이드 유닛용의 지지축(1036C)의 높이 위치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설정하고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다른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1〕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은 3개 이상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2〕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는,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저면이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전체에 걸쳐 일정한 구배로 전방측으로 상승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3〕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는,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저면이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전체에 걸쳐 전방측으로 상승하도록 만곡하고 있어도 된다.
〔4〕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는,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저면이 연장 가이드부(1058A)의 전체에 걸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5〕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는, 완경사 가이드 부분(1058a)의 전체를, 전방측일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6〕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는, 급경사 가이드 부분(1058b)의 저면 전방측 단부의 높이 위치를, 트랙 프레임(1036)에 있어서의 가동식 가이드 유닛용의 지지축(1036C)의 높이 위치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해도 되고, 또한 가동식 가이드 유닛용의 지지축(1036C)의 높이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설정해도 된다.
〔7〕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를 연장 가이드부(1058A)와 주 가이드부(1058B)로 분리 가능한 2분할 구조로 해도 된다.
〔8〕 트랙 프레임(1036)의 후방측 단부에 있어서의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고정 개소, 및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고정에 사용하는 볼트의 개수 등은, 트랙 프레임(1036)의 구성 및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연장 가이드부(1058A)를 고정하는 전방측의 암나사부(1036G)를, 트랙 프레임(1036)에 있어서의 캔슬 링크 연결용의 제2 연결부(1036B)와, 고정식 가이드 유닛(1041)의 전방측의 고정식 외측 전륜(1057)과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연장 가이드부(1058A)를 트랙 프레임(1036)의 전방측 암나사부(1036G)에 3개의 볼트(1059)를 사용하여 고정해도 된다. 또한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1058)의 주 가이드부(1058B)를 트랙 프레임(1036)의 후방측 암나사부(1036H)에 4개의 볼트(1059)를 사용하여 고정해도 된다.
〔9〕 크롤러 주행 장치(1002)에 있어서의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의 수량은, 차체의 전체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크롤러 주행 장치(1002)에 2개 이하의 가동식 외측 전륜(1051)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크롤러 주행 장치(1002)에 4개 이상의 가동식 외측 전륜(1051)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10〕 가동식 가이드 유닛(1040)은 3개 이상의 가동식 외측 전륜(1051)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보통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보통형(전간 투입형) 콤바인, 트랙터, 운반차 등의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3: 예취부
5: 엔진
16: 공급 반송 장치(반송 장치)
19: 예취 입력축
25: 예취 HST(유압 무단 변속 장치)
39a: 반송 구동축(출력축)
43: 구동 케이스(지지 케이스)
70: 입력 풀리(입력 회전체)
74: 전동 기어(출력 회전체)
87: 회전 센서
90: 회전축
94: 기어 증속 기구
95: 구동 기어
96: 종동 기어
97: 계측 기어
R: 원주
1001: 차체 프레임
1036: 트랙 프레임
1036C: 지지축
1037: 크롤러 벨트
1037a: 코어 금속 돌기
1040: 가동식 가이드 유닛
1041: 고정식 가이드 유닛
1051: 가동식 외측 전륜
1052: 가동식 크롤러 가이드
1053: 천칭 아암
1057: 고정식 외측 전륜
1058: 고정식 크롤러 가이드
1058A: 연장 가이드부
1058a: 완경사 가이드 부분
1058b: 급경사 가이드 부분
1058B: 주 가이드부
1058D: 전방측 단부
A1: 정폭 안내 영역

Claims (10)

  1. 포장의 작물을 예취하여 기체 후방으로 반송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와,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변속하여 상기 예취부에 전달하는, 예취부용의 유압 무단 변속 장치와,
    상기 예취부의 승강 기단부에 있어서 상기 유압 무단 변속 장치의 출력축과 평행인 상태에서 설치되어, 상기 유압 무단 변속 장치의 출력축으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이 입력되는 기체 횡 방향의 예취 입력축과,
    상기 예취 입력축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유압 무단 변속 장치와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지지 케이스와,
    상기 예취 입력축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회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센서는 상기 지지 케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 케이스에, 상기 예취 입력축과 인접하는 상태에서 평행으로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예취 입력축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예취 입력축의 회전 동력을 증속하여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기어 증속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센서는, 상기 기어 증속 기구 중 상기 회전축측의 기어의 회전수를 계측하고,
    상기 지지 케이스에, 상기 예취 입력축과 평행인 상태에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예취 입력축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입력되어, 입력된 회전 동력을 상기 예취부 중 예취 작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에 출력하는 반송 구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예취 입력축 및 상기 회전축은, 상기 예취 입력축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반송 구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한 원주 상에 위치하고 있는, 콤바인.
  2. 포장의 작물을 예취하여 기체 후방으로 반송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와,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변속하여 상기 예취부에 전달하는, 예취부용의 유압 무단 변속 장치와,
    상기 예취부의 승강 기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 무단 변속 장치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이 입력되는 기체 횡 방향의 예취 입력축과,
    상기 예취 입력축을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와,
    상기 예취 입력축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회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센서는 상기 지지 케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 케이스에, 상기 예취 입력축과 인접하는 상태에서 평행으로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예취 입력축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예취 입력축의 회전 동력을 증속하여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기어 증속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센서는, 상기 기어 증속 기구 중 상기 회전축측의 기어의 회전수를 계측하고,
    상기 예취 입력축에, 상기 유압 무단 변속 장치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 회전체와,
    상기 예취 입력축에 입력된 회전 동력을 상기 예취부 중 예취 작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 회전체와 상기 출력 회전체 사이에, 상기 기어 증속 기구가 위치하고 있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증속 기구에, 상기 예취 입력축에 설치된 구동 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와 교합함과 함께, 상기 구동 기어보다도 소직경의 종동 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상기 종동 기어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상기 종동 기어보다도 대직경의 계측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센서는 상기 계측 기어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콤바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75543A 2015-09-01 2016-06-17 콤바인 및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 KR102639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2069A JP6624856B2 (ja) 2015-09-01 2015-09-01 コンバイン
JPJP-P-2015-172178 2015-09-01
JPJP-P-2015-172069 2015-09-01
JP2015172178A JP6555988B2 (ja) 2015-09-01 2015-09-01 作業車のクローラ走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269A KR20170027269A (ko) 2017-03-09
KR102639473B1 true KR102639473B1 (ko) 2024-02-23

Family

ID=5840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543A KR102639473B1 (ko) 2015-09-01 2016-06-17 콤바인 및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6035B (zh) * 2023-07-19 2023-09-19 忻州市畜牧产业发展中心 一种用于畜牧业的青贮饲料收割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422A (ja) 2001-03-14 2002-09-25 Iseki & Co Ltd 走行装置
US20030159416A1 (en) 2002-02-28 2003-08-28 Pierce Johann H. Reverser control for a combine
JP2011092106A (ja) * 2009-10-30 2011-05-1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4837207B2 (ja) 2001-09-27 2011-12-1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4113111A (ja) * 2012-12-11 2014-06-26 Kubota Corp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7207B1 (ko) * 1969-07-23 1973-11-09
JPH0422303Y2 (ko) * 1985-12-06 1992-05-21
KR101114885B1 (ko) * 2003-12-19 2012-03-08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2009078771A (ja) 2007-09-27 2009-04-16 Kubota Corp 作業機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5951452B2 (ja) 2012-11-14 2016-07-13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422A (ja) 2001-03-14 2002-09-25 Iseki & Co Ltd 走行装置
JP4837207B2 (ja) 2001-09-27 2011-12-1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US20030159416A1 (en) 2002-02-28 2003-08-28 Pierce Johann H. Reverser control for a combine
JP2011092106A (ja) * 2009-10-30 2011-05-1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4113111A (ja) * 2012-12-11 2014-06-26 Kubota Corp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269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4434B2 (en) Continuous longitudinal flow root crop harvesting
CN108202776B (zh) 履带行驶装置
KR20030022383A (ko) 이동농기
KR102060841B1 (ko) 크롤러 주행 장치
BR102019010054A2 (pt) Espigadeira de máquina colheitadeira agrícola
KR102639473B1 (ko) 콤바인 및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
US3380313A (en) Reel drive mechanism
US1668157A (en) Beet harvester
JP6257492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
JP6308057B2 (ja) 苗移植機
JP2020058381A (ja) 苗移植機
JP6555988B2 (ja) 作業車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6624856B2 (ja) コンバイン
JP7421701B2 (ja) コンバイン
JP4033091B2 (ja) 汎用コンバインのロ−クロップ装置
JP7336083B1 (ja) コンバイン
JP2533445Y2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スライド装置
JP2020068679A (ja) コンバイン
BR102017017068A2 (pt) Mecanismo atuador do tambor rotativo de sistemas extratores de limpeza e máquina colhedora
BR202017017068Y1 (pt)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mecanismo atuador do tambor rotativo de sistemas extratores de limpeza
SU296300A1 (ru) Само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S5984677A (ja) 刈取収穫機
JP2019118274A (ja) コンバイン
JP2005151906A (ja) 刈取収穫機
JP2010220552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