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394B1 -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394B1
KR102637394B1 KR1020210174503A KR20210174503A KR102637394B1 KR 102637394 B1 KR102637394 B1 KR 102637394B1 KR 1020210174503 A KR1020210174503 A KR 1020210174503A KR 20210174503 A KR20210174503 A KR 20210174503A KR 102637394 B1 KR102637394 B1 KR 102637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device
main body
wheel housing
handle
dr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6839A (ko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394B1/ko
Priority to US18/076,885 priority patent/US11952033B2/en
Publication of KR2023008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Preparing f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1Handover processes from occupants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8War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4Vehicle s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휠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일측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휠 하우징에 고정되는 케이블; 및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면서 회전되는 아이들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STEE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 보호와 운행 보조 및 승차감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 중 자율주행 제어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선을 인식하고 자동 조향을 행하는 기술로서, 카메라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기반으로 차선 폭, 차선상의 차량의 횡방향 위치, 양측 차선까지의 거리 및 차선의 형태, 도로의 곡률 반경이 측정된다.
이와 같이 얻어진 차량의 위치와 도로의 정보를 사용하여 차량의 주행 궤적을 추정하고, 추정된 주행 궤적을 따라 차선을 변경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파지하지 않고서도 안전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스티어링 휠은 저면에 스티어링 컬럼이 결합되는 아마추어 베이스로서의 허브, 상기 허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림 및 상기 림과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스티어링 휠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자율주행 모드로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원래 설치된 위치에 그대로 배치되어 있어 운전자에게 여유공간을 제공하지 못하여 공간활용이 취약하다.
이에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일 때에는 차량 내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운전자 주행 모드일 때에는 운전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실용 제1998-033787호
본 발명은 차량의 자율주행 모드 시에는 수납되어 있다가 운전자 모드 시에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일부만 돌출 가능하게 작동되는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휠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일측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휠 하우징에 고정되는 케이블; 및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면서 회전되는 아이들 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휠 하우징은, 메인 몸체부; 및 상기 메인 몸체부와 연결되며, 운전자를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 몸체부에 대해 회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휠 하우징은, 상기 메인 몸체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영역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메인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휠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은 상기 메인 몸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는 강성보강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강성보강유닛은, 상기 메인 몸체부에 구비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일측은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는 보강 회전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티어링 장치의 작동을 감지하는 단계;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의 주행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휠 하우징은, 메인 몸체부 및 상기 메인 몸체부에 힌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메인 몸체부에 대해 회전되어 돌출된 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일측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는 케이블; 및 상기 메인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며 회전되는 아이들러 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구동부재의 전원이 공급 여부, 상기 구동부재의 작동 여부 및 상기 케이블의 연결 여부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하여 판단한다.
또한,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가 정상 상태이며,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가 운전자 주행 모드이면, 상기 손잡이부의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가 정상 상태이며,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가 자율주행 모드이면,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메인 몸체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위치를 복귀시키고 경고 알람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며,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가 자율주행 모드이면, 경고 알람을 실행하고, 상기 자율주행 모드를 유지하여 상기 차량을 정차시키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며,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가 운전자 주행 모드이면, 경고 알람을 실행하고, 상기 운전자 주행 모드를 유지하여 상기 차량을 정차시키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경고 알람은 상기 차량의 실내 계기판에 팝업창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에서 운전자 주행 모드로 전환되더라도 대시보드에 수납된 스티어링 휠을 전부 돌출시킬 필요없이 스티어링 휠의 일부 영역만 돌출시켜 작동할 수 있어 운전석의 여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의 강성보강유닛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 시 경고 알람(계기판의 팝업 화면)이 실행된 예가 도시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는 휠 하우징(110), 구동부재(130), 케이블(150) 및 아이들 롤러(170)를 포함한다.
차량 내부 전방에는 계기판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대시보드(1)가 마련된다. 상기 대시보드(1)에는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휠 하우징(110)은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3)에 구비된다. 상기 휠 하우징(110)은 메인 몸체부(111) 및 손잡이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몸체부(111)에는 상기 구동부재(130), 상기 아이들 롤러(170)가 구비되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구비될 수 있는 충분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부(113)는 상기 메인 몸체부(111)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손잡이부(113)와 상기 메인 몸체부(111) 사이에 플렉시블(flexible) 영역(112)이 구비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113)와 상기 메인 몸체부(111)는 상기 플렉시블 영역(112)에 의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113)는 상기 메인 몸체부(111)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손잡이부(113)는 하나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메인 몸체부(111)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113)는 상기 메인 몸체부(111)에 대해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113)가 상기 메인 몸체부(111)와 교차하도록 회전된다. 상기 손잡이부(113)는 회전됨으로써 운전자를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113)가 상기 수납공간(미도시)에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 영역(112)은 상기 손잡이부(113)가 상기 메인 몸체부(111)에 대해 회전될 때 유연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플렉시블 영역(112)은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플렉시블 영역(112)은 가죽, 직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플렉시블 영역(112)은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므로 상기 손잡이부(113)가 상기 몸체부(111)에 대해 회전될 때 늘어나거나 구부러지게 변형되었다가 상기 손잡이부(113)가 상기 수납공간(미도시)에 수납된 상태가 되면 복원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13)가 상기 메인 몸체부(111)에 대해 회전하는 동작은 상기 구동부재(130), 상기 케이블(150) 및 상기 아이들 롤러(17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재(130)는 상기 휠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인 몸체부(111)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재(130)는 상기 손잡이부(113)가 회전 작동을 할 수 있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구동부재(130)는 모터로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재(130)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상기 케이블(150)은 상기 구동부재(130)와 상기 손잡이부(111)를 연결한다. 상기 케이블(150)은 일측이 상기 구동부재(130)의 구동축(13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111)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축(131)은 모터의 회전축을 의미한다.
상기 구동부재(130)은 상기 전원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 회전을 한다. 즉, 상기 구동축(131)이 회전된다. 상기 구동축(131)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구동축(131)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150)의 일측은 상기 구동축(131)에 감겨진다.
상기 케이블(150)의 일측이 상기 구동축(131)에 감겨지면 상기 손잡이부(113)가 연결된 상기 케이블(150)의 타측이 당겨진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113)가 상기 메인 몸체부(111)에 대해 회전되면서 운전자를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구동부재(130)가 역회전을 하면 상기 구동축(131)에 감겨있던 상기 케이블(150)의 일측이 풀리면서 상기 손잡이부(113)는 다시 상기 메인 몸체부(111)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메인 몸체부(111)와 나란하게 정렬되고 상기 수납공간(3)에 삽입된다.
상기 아이들러 롤러(170)는 상기 구동부재(130)와 상기 케이블(150)의 타측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아이들러 롤러(170)는 상기 케이블(15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모터(130)가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블(150)이 상기 구동축(131)에 감겨지거나 풀어질 때 상기 케이블(150)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블(150)을 지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150) 및 상기 아이들러 롤러(170)는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113)는 상기 메인 몸체부(111)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므로 하나의 상기 손잡이부(113)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케이블(150)이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150)을 지지하는 상기 아이들러 롤러(17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상기 손잡이부(113)에 두 개의 상기 케이블(150)이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케이블(150)을 지지하도록 두 개의 상기 아이들러 롤러(170)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상기 케이블(150) 및 상기 아이들러 롤러(17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는 강성보강유닛(19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강성보강유닛(190)는 상기 플렉시블 영역(112)의 강성을 보강한다. 상기 플렉시블 영역(1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운전자 주행 모드에서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를 회전 조작할 때 상기 플렉시블 영역(112)은 구부러지는 등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한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의 조작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강성보강유닛(190)을 구비하여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을 조작할 때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보강한다.
상기 강성보강유닛(190)은 제1 고정부재(191) 및 보강 회전축(19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재(191)는 상기 메인 몸체부(111)에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부재(191)는 특정한 형상을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 회전축(193)은 일측이 상기 제1 고정부재(19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113)에 연결된다. 상기 보강 회전축(193)이 배치되는 방향은 상기 손잡이부(113)가 상기 메인 몸체부(111)에 대해 회전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보강 회전축(193)의 일측은 상기 제1 고정부재(191)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회전축(193)의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113)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13)가 상기 메인 몸체부(111)에 대해 회전될 때 상기 보강 회전축(193)의 일측도 회전되며, 상기 보강 회전축(193)의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113)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도 4 참조)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보강 회전축(193)의 타측을 고정하기 위해 제2 고정부재(195) 및 체결부재(19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재(195)는 상기 손잡이부(113)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재(197)는 상기 보강 회전축(193)의 타측을 상기 제2 고정부재(195)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197)는 예시적으로 볼트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회전축(193)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고정부재(195)에 체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 회전축(193)의 타측을 상기 제2 고정부재(195)와 상기 체결부재(197)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113)와 연결시키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고정부재(195) 및 상기 체결부재(197) 없이 상기 보강 회전축(193)이 상기 손잡이부(113)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강성보강유닛(190)이 구비됨으로써 차량이 운전자 주행 모드일 때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플렉시블 영역(112)이 구부러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정확하게 회전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의 작동을 감지한다. (S205 단계)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이 시작되면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에 구비된 컨트롤러(미도시)는 차량의 주행 시작 여부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의 작동을 감지하면, 상기 휠 하우징(110)의 폴더블(foldable) 상태가 정상 작동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210 단계) 상기 폴더블 상태란 상기 손잡이부(113)가 상기 메인 몸체부(111)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손잡이부(113)가 운전자를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즉, 상기 손잡이부(113)가 회전된 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에 대해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미도시)는 상기 구동부재(130)로 전원이 제대로 공급되는지 또는 상기 구동부재(130)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상기 구동부재(130)와 상기 손잡이부(113)를 연결하는 상기 케이블(150)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여 상기 휠 하우징(110)의 폴더블 상태가 정상 작동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휠 하우징(110)이 폴더블 상태이더라도 상기 구동부재(130)로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상기 폴더블 상태에서 언폴더블 상태로 전환하고자 할 때 상기 구동부재(130)가 작동하지 않거나 상기 케이블(150)이 끊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S210 단계에서 상기 휠 하우징(110)의 폴더블 상태가 정상 작동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를 판단한다. (S215 단계) 즉,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인지 운전자 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미도시)는 상기 손잡이부(113)의 위치를 복귀시키고 계기판에 경고 알람을 실행한다. (S220 단계) 상기 손잡이부(113)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것은 상기 구동부재(130)가 역회전을 하면서 상기 케이블(150)이 풀어지고 상기 손잡이부(113)를 회전되면서 상기 메인 몸체부(111)와 나란하도록 정렬시켜, 상기 수납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의 (a)는 계기판에 팝업된 경고 알람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으로 경고 메시지를 띄워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를 만지지 않도록 유도하고,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는 상기 수납공간에 위치시킨다.
한편, 상기 차량은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의 작동을 감지하고(S205 단계), 상기 휠 하우징(110)의 폴더블(foldable) 상태가 정상 작동 상태인지를 판단하여(S210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가 운전자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휠 하우징(110)의 폴더블 상태를 유지한다. (S225 단계)
즉, 상기 손잡이부(113)가 상기 메인 몸체부(111)에 대해 회전되어 운전자를 향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를 이용한 주행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의 작동을 감지한 후(S205 단계), 상기 휠 하우징(110)의 폴더블(foldable) 상태가 정상 작동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10 단계)에서 상기 휠 하우징(110)의 폴더블 상태가 비정상 작동 상태로 판단될 수도 있다.
상기 휠 하우징(110)의 폴더블 상태가 비정상 작동 상태로 판단된 후에도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가 자율주행 모드인지 운전자 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S230 단계)
상기 S230 단계에서 차량의 주행 모드가 자율주행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은 경고 알람을 실행하고 자율주행 모드를 유지하면서 차량을 갓길에 정차시킨다. (S235 단계)
도 6의 (b)에는 경고 알람의 일 예로 실내 계기판에 경고 메시지 팝업이 띄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으로 경고 메시지를 띄워 운전자에게 상기 휠 하우징(110)의 폴더블 시스템이 고장인 것을 인식시키고,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를 만지지 않도록 유도하며 안전을 위해 계속 주행하지 않고 차량을 갓길에 정차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S230 단계에서 차량의 주행 모드가 운전자 주행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은 경고 알람을 실행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갓길로 정차시키도록 유도한다. (S240 단계)
도 6의 (c)에는 폴더블 상태가 비정상 작동 상태이고 차량이 운전자 주행 모드일 때 경고 알람의 일 예로 실내 계기판에 경고 메시지 팝업이 띄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으로 경고 메시지를 띄워 운전자에게 상기 휠 하우징(110)의 폴더블 시스템이 고장인 것을 인식시키고, 안전을 위해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장치(100)을 직접 조작하여 차량을 갓길에 정차시키도록 안내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대시보드
3: 수납공간
100: 스티어링 장치
110: 휠 하우징
111: 메인 몸체부
112: 플렉시블 영역
113: 손잡이부
130: 구동부재
150: 케이블
170: 아이들 롤러
190: 강성보강유닛
191: 제1 고정부재
193: 보강 회전축
195: 제2 고정부재
195: 체결부재

Claims (14)

  1.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휠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일측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휠 하우징에 고정되는 케이블; 및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면서 회전되는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휠 하우징은 메인 몸체부 및 상기 메인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메인 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메인 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는, 스티어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하우징은,
    상기 메인 몸체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영역을 더 포함하는 스티어링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은 상기 메인 몸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는 강성보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스티어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보강유닛은,
    상기 메인 몸체부에 구비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일측은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는 보강 회전축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장치.
  7.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스티어링 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휠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일측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휠 하우징에 고정되는 케이블; 및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면서 회전되는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휠 하우징은 메인 몸체부 및 상기 메인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메인 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메인 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스티어링 장치의 작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의 주행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메인 몸체부에 대해 회전되어 돌출된 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구동부재의 전원이 공급 여부, 상기 구동부재의 작동 여부 및 상기 케이블의 연결 여부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하여 판단하는 것인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가 정상 상태이며,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가 운전자 주행 모드이면,
    상기 손잡이부의 위치를 유지하는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가 정상 상태이며,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가 자율주행 모드이면,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메인 몸체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위치를 복귀시키고 경고 알람을 실행하는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며,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가 자율주행 모드이면,
    경고 알람을 실행하고, 상기 자율주행 모드를 유지하여 상기 차량을 정차시키도록 유도하는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 하우징의 폴더블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며,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가 운전자 주행 모드이면,
    경고 알람을 실행하고, 상기 운전자 주행 모드를 유지하여 상기 차량을 정차시키도록 유도하는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알람은 상기 차량의 실내 계기판에 팝업창을 노출시키는 것인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174503A 2021-12-08 2021-12-08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37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03A KR102637394B1 (ko) 2021-12-08 2021-12-08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8/076,885 US11952033B2 (en) 2021-12-08 2022-12-07 Stee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03A KR102637394B1 (ko) 2021-12-08 2021-12-08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839A KR20230086839A (ko) 2023-06-16
KR102637394B1 true KR102637394B1 (ko) 2024-02-19

Family

ID=8660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503A KR102637394B1 (ko) 2021-12-08 2021-12-08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52033B2 (ko)
KR (1) KR1026373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9799B2 (en) 2016-04-13 2020-02-25 Faraday & Future Inc. Automatically retracting and extending a vehicle steering wheel
KR102266551B1 (ko) 2020-05-25 2021-06-18 주식회사 코모스 접이식 스티어링 휠
CN113335365A (zh) 2021-06-09 2021-09-03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方向盘以及车辆
CN113581275A (zh) * 2021-08-31 2021-11-02 北方工业大学 一种折叠智能方向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7369A (en) * 1947-05-16 1949-07-26 Edwin A Goodwyn Steering apparatus
JPH053070U (ja) * 1991-07-03 1993-01-19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0256358B1 (ko) 1996-11-01 2000-05-15 유광윤 철규소계 소결 연자성합금의 제조방법
US20070295151A1 (en) * 2006-05-16 2007-12-27 Boris Kentor Steering wheel having pivoting rim
US9333913B1 (en) * 2015-09-04 2016-05-10 Steven D. Elders Real time vehicle safety alert system
KR20180026243A (ko) * 2016-09-02 2018-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0800441B2 (en) * 2017-09-01 2020-10-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tractable steering wheel
KR20190073754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모듈
KR20190081517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모듈
DE102018200436A1 (de) * 2018-01-11 2019-07-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Lenkrad eines Kraftfahrzeugs
WO2020172411A1 (en) * 2019-02-22 2020-08-27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Retractable steering wheel
US10562558B1 (en) * 2019-04-09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ldable steering wheel system
KR20220068300A (ko) * 2020-11-18 2022-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안정화 시스템
DE102021200644A1 (de) * 2021-01-26 2022-07-28 Thyssenkrupp Ag Lenkrad für eine Kraftfahrzeuglenk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9799B2 (en) 2016-04-13 2020-02-25 Faraday & Future Inc. Automatically retracting and extending a vehicle steering wheel
KR102266551B1 (ko) 2020-05-25 2021-06-18 주식회사 코모스 접이식 스티어링 휠
CN113335365A (zh) 2021-06-09 2021-09-03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方向盘以及车辆
CN113581275A (zh) * 2021-08-31 2021-11-02 北方工业大学 一种折叠智能方向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839A (ko) 2023-06-16
US11952033B2 (en) 2024-04-09
US20230174136A1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79402A (zh) 可收缩转向柱系统、具有该可收缩转向柱系统的车辆和方法
JP6981244B2 (ja) 車両用表示装置及び車両
CN106256651A (zh) 可缩回转向柱组件及方法
JP6912952B2 (ja) 車両操作装置
US10730467B2 (en) Vehicle input-operation assistance device
JP2005153684A (ja) 車載機器操作装置
US6804593B2 (en) Steering system for mobile unit
KR102637394B1 (ko)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6273139A (ja)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CN112722056A (zh) 车辆转向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324815B1 (ko) 차량용 비상상황 표시장치
WO2021251058A1 (ja) 衝撃吸収装置
JP2006273137A (ja)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4784911B2 (ja) 車両用表示装置
CN215245079U (zh) 用于车辆的方向盘模块
KR20230120829A (ko) 콘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활용한 콘솔 디스플레이 시스템
JP4894792B2 (ja) 車両
CN111942295A (zh) 一种商用车上车踏板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30090160A (ko) 자동차의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160085385A (ko)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
KR100692154B1 (ko) 차량용 조향장치 충격시험 시 혼커버 이탈 방지구조
US20240227719A9 (en) Airbag integra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30249551A1 (en) Vehicle display device
JP5681543B2 (ja) 自動車における車載機器の操作装置
JP2008044516A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