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551B1 - 접이식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접이식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551B1
KR102266551B1 KR1020200062461A KR20200062461A KR102266551B1 KR 102266551 B1 KR102266551 B1 KR 102266551B1 KR 1020200062461 A KR1020200062461 A KR 1020200062461A KR 20200062461 A KR20200062461 A KR 20200062461A KR 102266551 B1 KR102266551 B1 KR 102266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folding
unit
steering whee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모스
Priority to KR102020006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접이식 스티어링 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은, 제1 림부 및 제2 림부로 분할된 림(Rim),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동작하는 폴딩부, 상기 폴딩부를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스티어링 휠{FOLDABLE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접이식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을 접어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접이식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직경이 큰 림이 운전석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림의 형태와 배치 위치로 인해,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취할 수 있는 자세가 제한되고, 자유로운 자세 변환이 어렵다. 이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휴식을 취할 때, 운전자는 편한 자세를 가질 수 없어, 충분히 피로를 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림의 고정된 형태와 배치로 인해, 자율주행 자동차 주행 시 운전자의 운신 폭을 좁게 하여 운전석에서의 운전자의 활동을 한정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24649 B1 (2019. 09. 1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자동주행 상태 여부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자동으로 접거나 펼쳐지는 접이식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동력원의 크기로 인한 설치 공간 제약을 회피할 수 있는 접이식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은, 제1 림부 및 제2 림부로 분할된 림(Rim);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동작하는 폴딩부; 상기 폴딩부를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모터; 상기 모터와 상기 폴딩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음으로써, 상기 폴딩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부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와이어가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회전하는 와이어 풀리; 및 상기 와이어 풀리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림부 또는 제2 림부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림부 또는 상기 제2 림부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안내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제1 림부와 상기 제2 림부가 펼쳐진 제1 상태와 상기 제1 림부와 상기 제2 림부가 접힌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과전류를 감지하는 과전류 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탐지 모듈이 상기 모터의 과전류를 탐지하면, 상기 폴딩부의 동작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폴딩부가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림이 펼쳐진 제1 위치 또는 상기 림이 접힌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를 고정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잠금핀; 및 상기 잠금핀을 전후로 운동시키는 잠금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회전축에 상기 잠금핀이 삽입되는 잠금홀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홀은,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 각각에서 상기 잠금핀이 삽입되도록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잠금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부를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스티어링 컬럼과 연결된 허브와 상기 림을 연결하는 스포크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휠을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운전석의 공간이 넓어지므로 운전자의 운신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자동주행 상태 여부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자동으로 접거나 펼쳐지므로 운전자는 차량의 자동주행 시 운전자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동력원의 크기로 인한 설치 공간 제약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은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접이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은 림(100), 폴딩부(200), 액추에이터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림(100)은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로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림부(110) 및 제2 림부(120)는 폴딩부(200)에 의해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를 이뤄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폴딩부(200)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1 림부(110) 및 제2 림부(120)를 연결하고, 액추에이터부(300)의 기동으로 제1 림부(110) 및 제2 림부(120)가 소정의 각도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폴딩부(200) 구조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액추에이터부(300)는 폴딩부(200)를 작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부(300)는 모터(310)와 모터(310)에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310)에 연결되어 모터(3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스크류(320)가 마련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330)가 스크류(320)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와이어(330)가 감기면, 와이어(330)가 당겨지므로, 와이어(330)의 장력으로 폴딩부(200)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액추에이터부(300)는 스티어링 컬럼(미도시)과 연결된 허브(11)와 림(100)을 연결하는 스포크(12)에 마련될 수 있다. 림(100)을 접거나 펼치기 위해선, 동력원의 동력이 커야 하므로, 일반적인 소형 모터는 사용이 어렵다. 허브(11)에는 에어백과 혼 등이 설치되고 림(100)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서 모터의 설치가 어렵다. 또한, 폴딩부(200) 주변의 림(100) 내부에 설치하기에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모터(310)의 설치가 어렵다. 또한, 림(100)의 외부에 폴딩부(200)의 주변부에 모터(310)를 설치하는 것은 안전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부(300)는 스포크(12)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부(300)의 동력 전달을 위해 와이어(330)를 사용하며, 와이어(330)의 방향 전환을 위한 롤러부(60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부(300)는 모터(31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320)가 회전하며 와이어(330)를 감아서 와이어(330)를 당기는 실시예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스크류(320) 대신, 와이어(330)가 고정된 바가 마련되고, 상기 바는 기어들과 연결되어, 모터(310)의 회전으로 상기 바가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와이어(330)가 당겨지거나 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액추에이터부(3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일례로, 제어부(400)는 차량의 다른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과 통신을 수행하며, 차량의 운행 조건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액추에이터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를 체크하여, 자율 주행 상태이면, 림(100)을 접도록 액추에이터부(300)를 제어하거나, 자율 주행이 해제되면, 상기 해제가 수행되기 전에 운전자가 림(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림(100)이 펼쳐지도록 액추에이터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의 림(100)은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로 나누어지되, 폴딩부(20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폴딩부(200)는 소정의 각도로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딩부(200)는 와이어 풀리(210), 회전축(220) 및 스프링(23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20)의 외주면은, 제1 림부(110)에서 연장 형성된 제1 결합부(111), 제2 림부(120)에서 연장 형성된 제2 결합부(121), 와이어 풀리(210) 및 스프링(230)에 의해 각각 감싸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 풀리(210)는 회전축(220)과 상대 회전되지 않도록 서로 고정될 수 있고, 회전축(220)과 제1 결합부(111) 및 제1 림부(110) 또한 서로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풀리(210)가 와이어(330)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제1 림부(110)는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21)는 관통홀(122)을 포함하고, 관통홀(122)로 회전축(220)이 관통하므로 제2 결합부(121)는 회전축(220)의 회전에 독립적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220)의 회전에 의해 제1 림부(110)는 제2 림부(1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할 수 있다.
폴딩부(200)의 동작은 모터(310)에 연결된 와이어(330)의 장력과 상기 장력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와이어(330)는 일단이 스크류(320)에 타단이 와이어 풀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크류(320)가 회전하면, 와이어(330)가 감기며, 와이어(330)에 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와이어(330)의 장력은 와이어 풀리(210)를 회전축(22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스프링(230)은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가 펼쳐진 제1 상태와,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가 접힌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를 서로 탄성 바이어스 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230)이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모터(310)가 회전하여 스크류(320)가 와이어(330)를 감음으로써, 와이어(330)를 당길 수 있다. 이어(330)의 장력이 스프링(230)링의 탄성력 이상으로 커지면, 와이어 풀리(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와이어 풀리(210)가 시계방향으로 전하면, 와이어 풀리(210)와 결합된 회전축(220)이 회전하고, 회전축(220)의 회전으로 제1 결합부(111) 및 제1 림부(110)가 회전할 수 있고, 림(100)은 상기 제2 상태가 될 수 있다. 스크류(320)가 와이어(330)를 풀면 와이어(330)의 장력이 작아지게 되고, 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림(100)은 다시 상기 제1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230)이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가 펼쳐진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액추에이터부(300)의 작동에 따라 스프링(230)의 탄성력 이상의 힘으로 접히는 것 실시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대의 경우에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은 잠금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500)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제1 림부(110) 및 제2 림부(12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림(100)이 임의로 접히거나 펼쳐지지 않도록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림(100)이 펼쳐진 상태인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제1 림부(110) 및 제2 림부(120)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 림(100)이 접힌 상태인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제1 림부(110) 및 제2 림부(120)의 위치가 상기 제2 위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부(500)는 제2 림부(120)에 마련되고, 잠금핀(510) 및 잠금 모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핀(510)은 회전축(220)에 마련된 잠금홀(221)에 삽입되어, 회전축(22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잠금 모터(520)는 잠금핀(510)을 전후로 운동시켜 잠금핀(510)을 잠금홀(221)에 삽입할 수 있거나 추출할 수 있다.
잠금홀(221)은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잠금핀(510)이 삽입되도록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홀(221)의 단면은 원 또는 사각 형태일 수 있으며, 잠금핀(510)은 잠금홀(221)의 형태에 따라,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잠금핀(510)은 원뿔대 또는 사각뿔대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잠금홀(221)의 형태도 잠금핀(510)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원뿔대 또는 사각뿔대 형태일 수 있다. 잠금핀(510) 또는 잠금홀(221)이 원뿔대 또는 사각뿔대 형태인 경우, 잠금핀(510)과 잠금홀(221)의 결합이 용이하게 하면서도, 결합이 된 상태에서 잠금핀(510)과 잠금홀(221)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림부(110)과 제2 림부(120)는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과전류 탐지 모듈(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과전류 탐지 모듈(700)은 모터(310)의 과전류를 탐지할 수 있다. 림(100)이 펼쳐지거나 접힐 때, 림(100)의 이동 반경 내에 장애물이 있어, 림(100)의 이동을 방해하면, 스크류(320)를 회전시키려 하는 모터(310)에 과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과전류 탐지 모듈(700)은 상기 과전류를 탐지할 수 있다. 과전류 탐지 모듈(700)이 상기 과전류를 탐지하면, 제어부(400)는 림(100)을 접거나 펼치는 폴딩부(200)의 동작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림(100)이 이동하고자 했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액추에이터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과전류 탐지 모듈(700)은 림(100)이 접히거나 펼쳐질 때,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장치가 될 수 있으며, 폴딩부(200)를 장애물로 인한 손상에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휠을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운전석의 공간이 넓어지므로 운전자의 운신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자동주행 상태 여부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자동으로 접거나 펼쳐지므로 운전자는 차량의 자동주행 시 운전자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접이식 스티어링 휠 100: 림
110: 제1 림부 111: 제1 결합부
120: 제2 림부 121: 제2 결합부
200: 폴딩부 210: 와이어 풀리
220: 회전축 230: 스프링
300: 액추에이터부 310: 모터
320: 스크류 330: 와이어
400: 제어부 500: 잠금부
600: 롤러부 700: 과전류 탐지 모듈

Claims (11)

  1.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제1 림부 및 제2 림부로 분할된 림(Rim);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동작하는 폴딩부;
    상기 폴딩부를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상기 폴딩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음으로써, 상기 폴딩부를 동작시키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와이어가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회전하는 와이어 풀리; 및
    상기 와이어 풀리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림부 또는 제2 림부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림부 또는 상기 제2 림부가 같이 회전하는 접이식 스티어링 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를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안내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제1 림부와 상기 제2 림부가 펼쳐진 제1 상태와 상기 제1 림부와 상기 제2 림부가 접힌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과전류를 감지하는 과전류 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탐지 모듈이 상기 모터의 과전류를 탐지하면, 상기 폴딩부의 동작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폴딩부가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부를 제어하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이 펼쳐진 제1 위치 또는 상기 림이 접힌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를 고정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잠금핀; 및
    상기 잠금핀을 전후로 운동시키는 잠금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회전축에 상기 잠금핀이 삽입되는 잠금홀이 마련되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홀은,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 각각에서 상기 잠금핀이 삽입되도록 복수개 마련되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잠금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부를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부를 작동시키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스티어링 컬럼과 연결된 허브와 상기 림을 연결하는 스포크에 마련되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1020200062461A 2020-05-25 2020-05-25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102266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461A KR102266551B1 (ko) 2020-05-25 2020-05-25 접이식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461A KR102266551B1 (ko) 2020-05-25 2020-05-25 접이식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551B1 true KR102266551B1 (ko) 2021-06-18

Family

ID=7662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461A KR102266551B1 (ko) 2020-05-25 2020-05-25 접이식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315A (ko) * 2020-07-14 2022-01-24 주식회사 코모스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20230086839A (ko) * 2021-12-08 2023-06-16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646A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접이식 조향핸들
KR20050034286A (ko) * 2003-10-09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티어링 휠 시스템
JP2019006306A (ja) * 2017-06-27 2019-01-17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90098857A (ko) * 2018-02-01 2019-08-23 주식회사 만도 자율 주행 차량의 조향 휠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4649B1 (ko) 2019-03-04 2019-09-24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전도성 플라스틱을 활용한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JP2019182041A (ja) * 2018-04-03 2019-10-2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075346B1 (ko) * 2019-02-13 2020-02-10 주식회사 코모스 가변식 스티어링 휠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US10562558B1 (en) * 2019-04-09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ldable steering wheel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646A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접이식 조향핸들
KR20050034286A (ko) * 2003-10-09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티어링 휠 시스템
JP2019006306A (ja) * 2017-06-27 2019-01-17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90098857A (ko) * 2018-02-01 2019-08-23 주식회사 만도 자율 주행 차량의 조향 휠 및 그 제어 방법
JP2019182041A (ja) * 2018-04-03 2019-10-2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075346B1 (ko) * 2019-02-13 2020-02-10 주식회사 코모스 가변식 스티어링 휠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024649B1 (ko) 2019-03-04 2019-09-24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전도성 플라스틱을 활용한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US10562558B1 (en) * 2019-04-09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ldable steering wheel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315A (ko) * 2020-07-14 2022-01-24 주식회사 코모스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102456466B1 (ko) 2020-07-14 2022-10-21 주식회사 코모스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20230086839A (ko) * 2021-12-08 2023-06-16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37394B1 (ko) 2021-12-08 2024-02-1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스티어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551B1 (ko)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102262413B1 (ko) 접이식 스티어링 휠
JP4521798B2 (ja) シートベルト巻き取り装置
JP3465519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EP1690757B1 (en)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apparatus, and vehicle with a seat belt apparatus
JP2002509052A (ja) タイミングクラッチ機構付き自動ロッキングリトラクタ
GB2294630A (en) Seat belt locking apparatus
KR20180112296A (ko)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US8695911B2 (en) Webbing take-up device
JP5393741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8174629B2 (en) Display system equipped with untwisting function and return function for unfolding state
US8662538B2 (en) Belt retractor for a vehicle safety belt
JP5473792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2502392B1 (ko) 자율 주행 차량의 조향 휠 및 그 제어 방법
JP4414174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8789786B2 (en) Gas flow structure and webbing take-up device
JP3886088B2 (ja) 乗員拘束保護装置
KR102456466B1 (ko) 접이식 스티어링 휠
US11724649B2 (en) Camer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WO2017213186A1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4054916A (ja) 操舵装置
JP4474220B2 (ja) 補助輪付き自動二輪車
JP2003191822A (ja) Alr付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の動作状態検出装置、alr付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alr付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の動作状態表示装置、及びエアバッグ展開制御装置
KR102649499B1 (ko) 전동 사이드스텝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사이드스텝 구조체
JP2008531364A (ja) エアバッグ拘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