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413B1 - 접이식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접이식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413B1
KR102262413B1 KR1020200064032A KR20200064032A KR102262413B1 KR 102262413 B1 KR102262413 B1 KR 102262413B1 KR 1020200064032 A KR1020200064032 A KR 1020200064032A KR 20200064032 A KR20200064032 A KR 20200064032A KR 102262413 B1 KR102262413 B1 KR 102262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folding
steering wheel
gea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철
송형석
이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모스
Priority to KR102020006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접이식 스티어링 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은, 제1 림부 및 제2 림부로 분할된 림,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 중 하나 이상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동작시키는 폴딩부 및 상기 폴딩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스티어링 휠{FOLDABLE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접이식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을 접어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접이식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직경이 큰 림이 운전석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림의 형태와 배치 위치로 인해,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취할 수 있는 자세가 제한되고, 자유로운 자세 변환이 어렵다. 이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휴식을 취할 때, 운전자는 편한 자세를 가질 수 없어, 충분히 피로를 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림의 고정된 형태와 배치로 인해, 자율주행 자동차 주행 시 운전자의 운신 폭을 좁게 하여 운전석에서의 운전자의 활동을 한정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24649 B1 (2019. 09. 1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자동주행 상태 여부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자동으로 접거나 펼쳐지는 접이식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동력원의 크기로 인한 설치 공간 제약을 회피할 수 있는 접이식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은, 제1 림부 및 제2 림부로 분할된 림(Rim);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 중 하나 이상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동작시키는 폴딩부; 및 상기 폴딩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로우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폴딩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 중 하나 이상에, 스포크와 연결되는 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스포크에 대하여 상기 림이 접이가 가능하도록 회전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고정 결합되는 림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림기어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상기 로우커버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컬럼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스포크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폴딩부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림기어는 베벨기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에 각각에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폴딩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구동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은, 제1 림부 및 제2 림부로 분할된 림(Rim); 상기 제1 림부를 접거나 펼치도록, 상기 제1 림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스포크를 연결하는 제1 폴딩부; 상기 제2 림부를 접거나 펼치도록, 상기 제2 림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스포크를 연결하는 제2 폴딩부; 및 상기 제1 폴딩부 및 상기 제2 폴딩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로우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폴딩부 및 상기 제2 폴딩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폴딩부 및 상기 제2 폴딩부 각각은, 상기 스포크와 연결되는 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스포크에 대하여 상기 제1 림 및 상기 제2림 각각이 접이가 가능하도록 회전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제1 림기어 및 제2 림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림기어 및 상기 제2 림기어에 함께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상기 로우커버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컬럼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스포크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1 폴딩부 및 상기 제2 폴딩부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제1 림기어 및 상기 제2 림기어는 베벨기어이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제1 림기어 및 상기 제2 림기어는 반대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림기어 및 상기 제2 림기어의 기어 치수는, 상기 제1 림부와 상기 제2 림부가 동일한 시간에 접이가 완료되도록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의 각각의 길이에 대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은, 상기 모터의 과전류를 감지하는 과전류 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전류 탐지 모듈은 상기 모터의 과전류를 탐지하면, 상기 폴딩부의 동작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1 림부 또는 상기 제2 림부가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휠을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운전석의 공간이 넓어지므로 운전자의 운신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자동주행 상태 여부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자동으로 접거나 펼쳐지므로 운전자는 차량의 자동주행 시 운전자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동력원의 크기로 인한 설치 공간 제약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폴딩부 및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후측면에서 바라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림부와 제2 림부의 높이가 다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폴딩부 및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은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접이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은 림(100), 폴딩부(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림(100)은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로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림부(110) 및 제2 림부(120)는 폴딩부(200)에 의해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를 이뤄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폴딩부(200)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1 림부(110) 및 제2 림부(120)를 연결하고, 구동부(300)의 기동으로 제1 림부(110) 및 제2 림부(120)가 소정의 각도로 접히거나 펼치도록 마련된 것이다. 폴딩부(200)는 제1 림부(110) 및 제2 림부(120) 중 하나 이상에, 스포크(12)와 연결되는 부위에 마련되어 스포크(12)에 대하여 림(100)이 접이가 가능하도록 회전 결합되는 결합부(210) 및 결합부(210)에 고정 결합되는 림기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210)는 일단이 제1 림부(110)에서 연장 형성된 제1 연결부(111)와 고정 결합하고, 타단이 림기어(220)와 고정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제2 림부(120)와는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폴딩부(200)를 작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구동부(300)는 모터(320)와 모터(320)에 연결된 구동기어(3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310)와 림기어(220)는 서로 맞물려 구동기어(310)의 동력이 림기어(220)로 전달될 수 있다. 모터(320)가 동작하여 구동기어(310)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310)에 맞물린 림기어(220)도 회전하며, 제1 림부(110)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모터(320)는 제어부(500)에 제어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차량에 구비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과 통신을 수행하며, 차량의 운행 조건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터(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를 체크하여, 자율 주행 상태로 진입되면 림(100)을 접도록 모터(320)를 제어하거나, 자율 주행이 해제되면, 자율 주행이 완전히 해제되기 전에 림(100)을 펼쳐 운전자가 림(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모터(3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은 과전류 탐지 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전류 탐지 모듈(400)은 모터(320)의 과전류를 탐지할 수 있다. 림(100)이 펼쳐지거나 접힐 때, 림(100)의 이동 반경 내에 장애물이 있어 림(100)의 이동을 방해하면, 모터(320)에 과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과전류 탐지 모듈(400)은 상기 과전류를 탐지할 수 있다. 과전류 탐지 모듈(400)이 상기 과전류를 탐지하면, 과전류 탐지 모듈(400)은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폴딩부(200)의 동작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림(100)이 운동하고자 했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모터(320)를 제어할 수 있다. 과전류 탐지 모듈(400)은 림(100)이 접히거나 펼쳐질 때,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장치가 될 수 있으며, 폴딩부(200)를 장애물로 인한 손상에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후측면에서 바라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림(100)을 접거나 펼치기 위해선, 동력원의 동력이 커야 하므로, 일반적인 소형 모터는 사용이 어렵다. 허브에는 에어백과 혼 등이 설치되고 림(100)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서 모터의 설치가 어렵다. 또한, 폴딩부(200) 주변의 림(100) 내부에 설치하기에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모터(320)의 설치가 어렵다. 또한, 림(100)의 외부에 폴딩부(200)의 주변부에 모터(330)를 설치하는 것은 안전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320)는 로우커버(11)에서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의 컬럼의 중심축선(S)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스포크(12)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소정의 각도(a)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터(320)가 소정의 각도(a)를 유지한 상태로 폴딩부(200)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기어(310) 및 림기어(220)는 베벨기어 또는 웜기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에서, 모터(320)의 배치 위치와 베벨기어를 이용한 구동기어(310) 및 림기어(220)는 림(100)을 자동식으로 접거나 펼치도록 하며,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조작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공간상의 제약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림부(110)에 림기어(220)가 고정되어, 제1 림부(11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의 경우에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은 폴딩부(200)가 제1 림부(110) 및 제2 림부(120)에 각각 마련되고, 각각의 폴딩부(200)에 대응하는 한 쌍의 구동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구동부(300)와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폴딩부(200)는 제1 림부(110)과 제2 림부(120)을 동시 또는 각각 접거나 펼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한 쌍의 구동부(300)와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폴딩부(200)는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의 로우커버(11) 한쪽 측면과 림(100)의 분할 부위에 상하 한조로 위치하거나, 로우커버(11)의 양 측면과 림(100) 양 측에 위치한 분할 부위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은 하나의 구동부(300)를 이용해 제1 폴딩부(200a)와 제2 폴딩부(200b)를 동작시켜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를 접거나 펼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폴딩부(200a)의 제1 결합부(210a)는 제1 림부(110)에서 연장 형성된 제1 연결부(111)와 고정 결합하고, 제2 폴딩부(200b)의 제2 결합부(210b)는 제2 림부(120)에서 연장 형성된 제2 연결부(121)와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10a)와 제2 결합부(210b)에는 각각 제1 림기어(220a)와 제2 림기어(220b)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림기어(220a)와 제2 림기어(220b)는 구동부(300)의 구동기어(310)와 함께 맞물려 모터(320)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310)와 제1 림기어(220a) 및 제2 림기어(220b)는 베벨기어 또는 웜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림기어(220a)와 제2 림기어(220b)는 구동기어(3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되, 제1 림기어(220a) 및 제2 림기어(220b)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림기어(220a) 및 제2 림기어(220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림(100)이 접힐 때는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가 운전자의 전방으로 접히도록 운동하며, 림(100)이 펼쳐질 때는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가 운전자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구동부(300)로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공간 제약상의 문제를 더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를 같이 운동시킴으로써 림(100)을 접고 펴는 동작의 동기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림(100)을 완전히 접을 수 있어, 운전자 주위의 공간을 더욱 창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림부와 제2 림부의 높이가 다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의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10)은 제1 림부(110)의 제1 높이(h1)와 제2 림부(120)의 제2 높이(h2)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의 접히거나 펼쳐지는 시간이 동일하게 하기 위해, 제1 림기어(220a) 및 제2 림기어(220b)의 기어 치수는, 제1 림부(110)와 제2 림부(120)의 각각의 길이에 대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이식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휠을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운전석의 공간이 넓어지므로 운전자의 운신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자동주행 상태 여부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자동으로 접거나 펼쳐지므로 운전자는 차량의 자동주행 시 운전자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접이식 스티어링 휠 100: 림
110: 제1 림부 120: 제2림 부
200: 폴딩부 210: 결합부
220: 림기어 300: 구동부
310: 구동기어 320: 모터
400: 과전류 탐지 모듈 500: 제어부

Claims (9)

  1.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제1 림부 및 제2 림부로 분할된 림(Rim);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 중 하나 이상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동작시키는 폴딩부; 및
    상기 폴딩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로우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폴딩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에 마련되고,
    상기 폴딩부는,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 중 하나 이상에, 스포크와 연결되는 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스포크에 대하여 상기 림이 접이가 가능하도록 회전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고정 결합되는 림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림기어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로우커버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컬럼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스포크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폴딩부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림기어는 베벨기어인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에 각각에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폴딩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구동부가 마련되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5.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제1 림부 및 제2 림부로 분할된 림(Rim);
    상기 제1 림부를 접거나 펼치도록, 상기 제1 림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스포크를 연결하는 제1 폴딩부;
    상기 제2 림부를 접거나 펼치도록, 상기 제2 림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스포크를 연결하는 제2 폴딩부; 및
    상기 제1 폴딩부 및 상기 제2 폴딩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로우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폴딩부 및 상기 제2 폴딩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폴딩부 및 상기 제2 폴딩부 각각은,
    상기 스포크와 연결되는 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스포크에 대하여 상기 제1 림 및 상기 제2림 각각이 접이가 가능하도록 회전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제1 림기어 및 제2 림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림기어 및 상기 제2 림기어에 함께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로우커버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컬럼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스포크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1 폴딩부 및 상기 제2 폴딩부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제1 림기어 및 상기 제2 림기어는 베벨기어이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제1 림기어 및 상기 제2 림기어는 반대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림기어 및 상기 제2 림기어의 기어 치수는, 상기 제1 림부와 상기 제2 림부가 동일한 시간에 접이가 완료되도록 상기 제1 림부 및 상기 제2 림부의 각각의 길이에 대응하게 설정되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과전류를 감지하는 과전류 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전류 탐지 모듈은, 상기 모터의 과전류를 탐지하면, 상기 폴딩부의 동작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1 림부 또는 상기 제2 림부가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인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1020200064032A 2020-05-28 2020-05-28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102262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032A KR102262413B1 (ko) 2020-05-28 2020-05-28 접이식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032A KR102262413B1 (ko) 2020-05-28 2020-05-28 접이식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413B1 true KR102262413B1 (ko) 2021-06-09

Family

ID=7641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032A KR102262413B1 (ko) 2020-05-28 2020-05-28 접이식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315A (ko) * 2020-07-14 2022-01-24 주식회사 코모스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20230030430A (ko) * 2021-08-25 2023-03-0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20230037363A (ko) * 2021-09-09 2023-03-1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0149A1 (de) * 2015-10-09 2017-04-13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Umklappbares lenkrad und dessen verwendung
JP2019006306A (ja) * 2017-06-27 2019-01-17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90073749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KR102024649B1 (ko) 2019-03-04 2019-09-24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전도성 플라스틱을 활용한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US10562558B1 (en) * 2019-04-09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ldable steering wheel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0149A1 (de) * 2015-10-09 2017-04-13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Umklappbares lenkrad und dessen verwendung
JP2019006306A (ja) * 2017-06-27 2019-01-17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90073749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KR102024649B1 (ko) 2019-03-04 2019-09-24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전도성 플라스틱을 활용한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US10562558B1 (en) * 2019-04-09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ldable steering wheel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315A (ko) * 2020-07-14 2022-01-24 주식회사 코모스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102456466B1 (ko) 2020-07-14 2022-10-21 주식회사 코모스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20230030430A (ko) * 2021-08-25 2023-03-0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102601024B1 (ko) * 2021-08-25 2023-11-1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20230037363A (ko) * 2021-09-09 2023-03-1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102613408B1 (ko) * 2021-09-09 2023-12-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413B1 (ko) 접이식 스티어링 휠
JP6942893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9834121B2 (en) Tray table, steering wheel having tray table, and vehicle having steering wheel
US9821726B2 (en) Steering wheel with keyboard
WO2013080886A1 (ja) 自動車
TWI611978B (zh) 車輛
JP2003154951A (ja) 車両用操舵装置
JP2007076531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CN111017001A (zh) 一种可折叠式无人驾驶车辆方向盘总成机构和控制方法
KR102266551B1 (ko) 접이식 스티어링 휠
JP5393741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502392B1 (ko) 자율 주행 차량의 조향 휠 및 그 제어 방법
US9216776B2 (en) Foldable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H11342819A (ja) エアバッグ装置
CN214112672U (zh) 车辆转向系统和具有其的车辆
JP2001328501A (ja) エアーバッグモジュール
KR102456466B1 (ko)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102601024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CN216102343U (zh) 一种方向盘和车辆
WO2013080905A1 (ja) 自動車
KR20210125930A (ko)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WO2015146803A1 (ja) 走行モードの切り替え制御方法及び車両
KR102632529B1 (ko) 접이식 스티어링 휠
JP2008114704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613408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