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930A -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930A
KR20210125930A KR1020210045490A KR20210045490A KR20210125930A KR 20210125930 A KR20210125930 A KR 20210125930A KR 1020210045490 A KR1020210045490 A KR 1020210045490A KR 20210045490 A KR20210045490 A KR 20210045490A KR 20210125930 A KR20210125930 A KR 20210125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teering wheel
coupled
wheel assembly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봉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CN202110377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511255A/zh
Priority to US17/226,261 priority patent/US11325635B2/en
Priority to DE102021203504.3A priority patent/DE102021203504A1/de
Publication of KR20210125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3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etween in-use and out-of-use positions, e.g. to improve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향휠을 차체 내 수납할 수 있어 특히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하고 조향휠이 신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쾌적한 거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운전자가 조향에 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향휠의 접힘구조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공간 및 원가적으로 유리하다.

Description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FOLDABLE STEERING WHEEL ASSEMBLY AN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실시예들은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향휠을 차체 내 수납할 수 있어 특히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하고 조향휠이 신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쾌적한 거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운전자가 조향에 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향휠의 접힘구조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공간 및 원가적으로 유리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운전자가 핸들과 가속페달, 브레이크 등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갈 수 있는 자동차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모드에는 운전자가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자 주행모드와 자율주행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운전을 수행하는 자율주행모드가 존재하는데, 자율주행 중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려는 요구가 있다.
특히,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한 조향휠을 차체 내에 수납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공간적으로 큰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 주행모드 또는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므로 운전자 주행모드에서는 일반적인 차량과 같이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이 가능하되 자율주행모드에서는 차체 수납이 용이한 조향휠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조향휠을 차체 내 수납할 수 있어 특히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하고 조향휠이 신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쾌적한 거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운전자가 조향에 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향휠의 접힘구조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공간 및 원가적으로 유리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향컬럼에 결합되는 고정부, 조향컬럼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일단이 고정부에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 제 1 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는 림 세그먼트, 이동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제 1 로드에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제 2 로드를 포함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향휠을 차체 내 수납할 수 있어 특히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하고 조향휠이 신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쾌적한 거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운전자가 조향에 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향휠의 접힘구조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공간 및 원가적으로 유리하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100)는, 조향컬럼(101)에 결합되는 고정부(110), 조향컬럼(101)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120), 일단이 고정부(110)에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130), 제 1 로드(130)의 타단에 결합되는 림 세그먼트(150), 이동부(12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제 1 로드(130)에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제 2 로드(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100)는 조향컬럼(101)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부(110), 조향컬럼(101)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120) 및 조향휠의 림의 일부인 림 세그먼트(15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고정부(110) 및 이동부(120)는 조향컬럼(101)에 결합되고 제 1 로드(130) 및 제 2 로드(14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에 의해 고정부(110)와 연결되어 있다.
고정부(110)는 조향축(102)에 결합되고 이동부(120)는 어퍼튜브(103)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10)에는 조향축(102)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홀이 형성되어 조향축(102)과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120)는 어퍼튜브(103)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의 홀이 형성되어 어퍼튜브(103)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120)는 어퍼튜브(103)의 외주면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부(110)는 이동부(120)의 이동 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100)는 림 세그먼트(150)가 제 1 로드(130)에 대해 회전하는 동작 및 이동부(120)가 조향컬럼(101)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제 1 로드(130) 및 제 2 로드(140)가 각각 고정부(110) 및 이동부(120)에 대해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전개상태(도 5의 (A) 참조) 또는 접힘상태(도 5의 (C) 참조)로 전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20)는 조향컬럼(101) 상에서 고정부(110)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조향휠을 전개상태 또는 접힘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이동부(120)가 이동될 때 이동부(120)는 조향컬럼(101) 상에서만 이동되고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향휠의 상태가 전환될 때 운전석의 공간을 침범하지 않아 운전자의 불편을 야기하지 않는다.
접힘상태로 전환된 조향휠은, 예를 들어 조향컬럼에 구비되는 텔레스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텔레스 인 되며 차체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이하, 우선 림 세그먼트(15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 후 이동부(120)의 이동에 의한 제 1 로드(130) 및 제 2 로드(14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100)의 전개상태에서 림 세그먼트(150)는 조향휠의 림을 형성한다. 림 세그먼트(150)는 림의 일부분으로써 조향휠의 림은 복수개의 림 세그먼트(150)로 분할되며, 각각의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에 힌지결합된다. 도면에는 림이 네 개의 림 세그먼트로 분할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네 개의 림 세그먼트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제 1 로드(130)의 타단에는 한 쌍의 림 세그먼트(150)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의 상측 및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데, 제 1 로드(130)의 상측 및 하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한 쌍의 림 세그먼트(150)는 각각의 타단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로드(1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전개상태에서 접힘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제 1 로드(130)에 대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에 결합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제 1 로드(13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3의 (A)는 림 세그먼트(150)가 제 1 로드(130)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된 상태를, 도 3의 (B)는 림 세그먼트(150)가 제 1 로드(130)와 가까워지게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 1 로드(130)와 림 세그먼트(150)는 브라켓(160)에 의하여 힌지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로드(130)와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161) 및 림 세그먼트(150)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162)를 포함하고 제 1 결합부(161)와 제 2 결합부(162)가 힌지결합되는 브라켓(16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도 1 참조). 제 1 결합부(161) 및 제 2 결합부(162)는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생략되었으나 예를 들어 볼팅에 의해 각각 제 1 로드(130)와 림 세그먼트(15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1 로드(130)의 일단이 고정부(110)에 힌지결합되어 제 1 로드(130)는 고정부(110)에 결합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조향컬럼(101)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고정부(110)에는 제 1 로드(130)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부(111)에는 제 1 로드(130)의 일단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111)의 슬릿에 삽입된 제 1 로드(130)의 일단은, 도면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생략되었으나 예를 들어 핀에 의해 힌지부(111)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10)의 힌지부(111)에 형성된 슬릿은 전방으로는 개구되되 후방으로는 폐쇄됨으로써, 제 1 로드(130)가 힌지부(111)에 결합되어 회전될 때 후방으로의 회전이 스토핑될 수 있다.
제 1 로드(1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일단이 고정부(11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1 로드(130)는 고정부(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휠의 전개상태에서 한 쌍의 제 1 로드(130)는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1 로드(130)의 타단에는 각각 림 세그먼트(150)가 결합되므로, 각 제 1 로드(130)에 결합된 림 세그먼트(150)는 전개상태에서 서로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 2 로드(140)는 양단이 각각 이동부(120)와 제 1 로드(130)에 힌지결합된다. 이동부(120)에는, 고정부(110)와 마찬가지로, 제 2 로드(140)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부(121)에는 제 2 로드(140)의 일단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로드(130)에는 제 2 로드(140)의 타단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121)의 슬릿에 삽입된 제 2 로드(140)의 일단 및 제 1 로드(130)의 슬릿에 삽입된 제 2 로드(140)의 타단은 예를 들어 핀에 의해 힌지부(121)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은 이동부(120)의 이동에 의해 수행된다. 이동부(120)가 고정부(110)보다 조향컬럼(101) 상에서 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므로, 이동부(120)가 이동될 때 제 1 로드(130)의 타단에 결합된 림 세그먼트(15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림 세그먼트(150)의 제 1 로드(130)에 대한 회전동작 및 이동부(120)의 이동에 의한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조향휠은 전개상태 또는 접힘상태로 전환된다.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과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조향휠이 전개상태에서 접힘상태로 또는 접힘상태에서 전개상태로 전환될 때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과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이 수행되는 순서는 제한되지 않으며,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먼저 수행되거나 또는 각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전개상태에서 접힘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이 먼저 수행된 후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반대순서로, 접힘상태에서 전개상태에서 전환되는 과정에서는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이 먼저 수행된 후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전개상태에서 접힘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이 먼저 수행된 후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반대순서로, 접힘상태에서 전개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는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이 먼저 수행된 후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전개상태에서 접힘상태로 전환되는 과정 및 접힘상태에서 전개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 및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은 동시에 수행되거나, 혹은 일부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 및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은 운전자의 조작 또는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는 림 세그먼트(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또는 이동부(12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림 세그먼트(150)의 제 1 로드(130)에 대한 회전동작은, 운전자가 각 림 세그먼트(150)에 가하는 토크에 의해 또는 림 세그먼트(150)에 토크를 가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림 세그먼트(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모터 및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은, 운전자가 제 1 로드(130)에 가하는 토크에 의해 또는 이동부(120)를 조향컬럼(101) 상에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이동부(120)의 이동은 이동부(120)에 결합된 볼트크스큐(610) 및 볼트크스큐(610)와 맞물리는 너트스크류(미도시)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동부(120)에는 볼트크스큐(610)가 결합되며, 액추에이터에 의한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볼트크스큐(610)가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부(120)가 이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에 의하면, 조향휠을 차체 내 수납할 수 있어 특히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하고 조향휠이 신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쾌적한 거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운전자가 조향에 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향휠의 접힘구조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공간 및 원가적으로 유리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 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101: 조향컬럼
102: 조향축 103: 어퍼튜브
110: 고정부 111: 힌지부
120: 이동부 121: 힌지부
130: 제 1 로드 140: 제 2 로드
150: 림 세그먼트 160: 브라켓
161: 제 1 결합부 162: 제 2 결합부
610: 볼트스크류

Claims (13)

  1. 조향컬럼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조향컬럼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
    상기 제 1 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는 림 세그먼트;
    상기 이동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1 로드에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제 2 로드;
    를 포함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향컬럼의 조향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조향컬럼의 어퍼튜브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조향컬럼 상에서 상기 고정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상기 조향컬럼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로드는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림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로드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의 타단에는 한 쌍의 림 세그먼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림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로드의 상측 및 하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림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로드에 결합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상기 제 1 로드를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와 림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로드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림 세그먼트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가 힌지결합되는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13. 제 1 항에 따른 접힘방식 조향휠을 포함하는 조향장치.
KR1020210045490A 2020-04-09 2021-04-07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KR20210125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377459.3A CN113511255A (zh) 2020-04-09 2021-04-08 折叠式方向盘组件及包括折叠式方向盘组件的转向装置
US17/226,261 US11325635B2 (en) 2020-04-09 2021-04-09 Foldable steering wheel assembly an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E102021203504.3A DE102021203504A1 (de) 2020-04-09 2021-04-09 Faltbare lenkradanordnung und lenkvorrichtung mit dieseranordn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3388 2020-04-09
KR1020200043388 2020-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930A true KR20210125930A (ko) 2021-10-19

Family

ID=7822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490A KR20210125930A (ko) 2020-04-09 2021-04-07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59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72A1 (ko) * 2022-04-06 2023-10-12 유승구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72A1 (ko) * 2022-04-06 2023-10-12 유승구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5635B2 (en) Foldable steering wheel assembly an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A2680005C (en) Actuator for vehicle
US11318983B2 (en) Steering column having foldable steering wheel structure
KR20210030575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US4557493A (en) Steering device for vehicles
TWI611978B (zh) 車輛
JP2010083327A (ja) 車両用操舵力伝達装置
KR20210125930A (ko)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US20210316777A1 (en) Foldable steering wheel assembly an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107097883B (zh) 一种折叠机构及滑板车
KR20210133870A (ko) 접이식 조향휠 구조를 갖는 조향컬럼
KR20200110205A (ko) 자동차 조향컬럼
KR20210125929A (ko)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JPS58170666A (ja) ラツ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5262592B2 (ja) 車両用操舵力伝達装置
JP2008174056A (ja) 操舵輪用車輪懸架装置
JP5212137B2 (ja) ステアリング操作装置
KR20220124405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JP5374695B2 (ja) 車両用操舵力伝達装置
KR102071400B1 (ko) 전동 틸트 구조를 가지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487319B1 (ko) 변형식 조향 휠,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20075638A (ja) 操舵装置
JP200507511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281353B2 (ja) 車両用操舵力伝達装置
KR20230021932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