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930A -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5930A KR20210125930A KR1020210045490A KR20210045490A KR20210125930A KR 20210125930 A KR20210125930 A KR 20210125930A KR 1020210045490 A KR1020210045490 A KR 1020210045490A KR 20210045490 A KR20210045490 A KR 20210045490A KR 20210125930 A KR20210125930 A KR 202101259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steering wheel
- coupled
- wheel assembly
- ri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3—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etween in-use and out-of-use positions, e.g. to improve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향휠을 차체 내 수납할 수 있어 특히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하고 조향휠이 신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쾌적한 거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운전자가 조향에 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향휠의 접힘구조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공간 및 원가적으로 유리하다.
Description
본 실시예들은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향휠을 차체 내 수납할 수 있어 특히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하고 조향휠이 신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쾌적한 거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운전자가 조향에 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향휠의 접힘구조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공간 및 원가적으로 유리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운전자가 핸들과 가속페달, 브레이크 등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갈 수 있는 자동차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모드에는 운전자가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자 주행모드와 자율주행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운전을 수행하는 자율주행모드가 존재하는데, 자율주행 중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려는 요구가 있다.
특히,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한 조향휠을 차체 내에 수납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공간적으로 큰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 주행모드 또는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므로 운전자 주행모드에서는 일반적인 차량과 같이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이 가능하되 자율주행모드에서는 차체 수납이 용이한 조향휠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조향휠을 차체 내 수납할 수 있어 특히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하고 조향휠이 신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쾌적한 거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운전자가 조향에 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향휠의 접힘구조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공간 및 원가적으로 유리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향컬럼에 결합되는 고정부, 조향컬럼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일단이 고정부에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 제 1 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는 림 세그먼트, 이동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제 1 로드에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제 2 로드를 포함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향휠을 차체 내 수납할 수 있어 특히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하고 조향휠이 신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쾌적한 거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운전자가 조향에 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향휠의 접힘구조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공간 및 원가적으로 유리하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100)는, 조향컬럼(101)에 결합되는 고정부(110), 조향컬럼(101)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120), 일단이 고정부(110)에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130), 제 1 로드(130)의 타단에 결합되는 림 세그먼트(150), 이동부(12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제 1 로드(130)에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제 2 로드(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100)는 조향컬럼(101)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부(110), 조향컬럼(101)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120) 및 조향휠의 림의 일부인 림 세그먼트(15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고정부(110) 및 이동부(120)는 조향컬럼(101)에 결합되고 제 1 로드(130) 및 제 2 로드(14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에 의해 고정부(110)와 연결되어 있다.
고정부(110)는 조향축(102)에 결합되고 이동부(120)는 어퍼튜브(103)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10)에는 조향축(102)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홀이 형성되어 조향축(102)과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120)는 어퍼튜브(103)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의 홀이 형성되어 어퍼튜브(103)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120)는 어퍼튜브(103)의 외주면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부(110)는 이동부(120)의 이동 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100)는 림 세그먼트(150)가 제 1 로드(130)에 대해 회전하는 동작 및 이동부(120)가 조향컬럼(101)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제 1 로드(130) 및 제 2 로드(140)가 각각 고정부(110) 및 이동부(120)에 대해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전개상태(도 5의 (A) 참조) 또는 접힘상태(도 5의 (C) 참조)로 전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20)는 조향컬럼(101) 상에서 고정부(110)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조향휠을 전개상태 또는 접힘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이동부(120)가 이동될 때 이동부(120)는 조향컬럼(101) 상에서만 이동되고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향휠의 상태가 전환될 때 운전석의 공간을 침범하지 않아 운전자의 불편을 야기하지 않는다.
접힘상태로 전환된 조향휠은, 예를 들어 조향컬럼에 구비되는 텔레스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텔레스 인 되며 차체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이하, 우선 림 세그먼트(15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 후 이동부(120)의 이동에 의한 제 1 로드(130) 및 제 2 로드(14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100)의 전개상태에서 림 세그먼트(150)는 조향휠의 림을 형성한다. 림 세그먼트(150)는 림의 일부분으로써 조향휠의 림은 복수개의 림 세그먼트(150)로 분할되며, 각각의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에 힌지결합된다. 도면에는 림이 네 개의 림 세그먼트로 분할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네 개의 림 세그먼트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제 1 로드(130)의 타단에는 한 쌍의 림 세그먼트(150)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의 상측 및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데, 제 1 로드(130)의 상측 및 하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한 쌍의 림 세그먼트(150)는 각각의 타단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로드(1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전개상태에서 접힘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제 1 로드(130)에 대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에 결합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제 1 로드(13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3의 (A)는 림 세그먼트(150)가 제 1 로드(130)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된 상태를, 도 3의 (B)는 림 세그먼트(150)가 제 1 로드(130)와 가까워지게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 1 로드(130)와 림 세그먼트(150)는 브라켓(160)에 의하여 힌지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로드(130)와 림 세그먼트(150)는 제 1 로드(130)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161) 및 림 세그먼트(150)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162)를 포함하고 제 1 결합부(161)와 제 2 결합부(162)가 힌지결합되는 브라켓(16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도 1 참조). 제 1 결합부(161) 및 제 2 결합부(162)는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생략되었으나 예를 들어 볼팅에 의해 각각 제 1 로드(130)와 림 세그먼트(15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1 로드(130)의 일단이 고정부(110)에 힌지결합되어 제 1 로드(130)는 고정부(110)에 결합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조향컬럼(101)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고정부(110)에는 제 1 로드(130)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부(111)에는 제 1 로드(130)의 일단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111)의 슬릿에 삽입된 제 1 로드(130)의 일단은, 도면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생략되었으나 예를 들어 핀에 의해 힌지부(111)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10)의 힌지부(111)에 형성된 슬릿은 전방으로는 개구되되 후방으로는 폐쇄됨으로써, 제 1 로드(130)가 힌지부(111)에 결합되어 회전될 때 후방으로의 회전이 스토핑될 수 있다.
제 1 로드(1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일단이 고정부(11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1 로드(130)는 고정부(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휠의 전개상태에서 한 쌍의 제 1 로드(130)는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1 로드(130)의 타단에는 각각 림 세그먼트(150)가 결합되므로, 각 제 1 로드(130)에 결합된 림 세그먼트(150)는 전개상태에서 서로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 2 로드(140)는 양단이 각각 이동부(120)와 제 1 로드(130)에 힌지결합된다. 이동부(120)에는, 고정부(110)와 마찬가지로, 제 2 로드(140)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부(121)에는 제 2 로드(140)의 일단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로드(130)에는 제 2 로드(140)의 타단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121)의 슬릿에 삽입된 제 2 로드(140)의 일단 및 제 1 로드(130)의 슬릿에 삽입된 제 2 로드(140)의 타단은 예를 들어 핀에 의해 힌지부(121)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은 이동부(120)의 이동에 의해 수행된다. 이동부(120)가 고정부(110)보다 조향컬럼(101) 상에서 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므로, 이동부(120)가 이동될 때 제 1 로드(130)의 타단에 결합된 림 세그먼트(15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림 세그먼트(150)의 제 1 로드(130)에 대한 회전동작 및 이동부(120)의 이동에 의한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조향휠은 전개상태 또는 접힘상태로 전환된다.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과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조향휠이 전개상태에서 접힘상태로 또는 접힘상태에서 전개상태로 전환될 때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과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이 수행되는 순서는 제한되지 않으며,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먼저 수행되거나 또는 각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전개상태에서 접힘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이 먼저 수행된 후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반대순서로, 접힘상태에서 전개상태에서 전환되는 과정에서는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이 먼저 수행된 후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전개상태에서 접힘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이 먼저 수행된 후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반대순서로, 접힘상태에서 전개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는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이 먼저 수행된 후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전개상태에서 접힘상태로 전환되는 과정 및 접힘상태에서 전개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 및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은 동시에 수행되거나, 혹은 일부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림 세그먼트(150)의 회전동작 및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은 운전자의 조작 또는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는 림 세그먼트(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또는 이동부(12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림 세그먼트(150)의 제 1 로드(130)에 대한 회전동작은, 운전자가 각 림 세그먼트(150)에 가하는 토크에 의해 또는 림 세그먼트(150)에 토크를 가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림 세그먼트(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모터 및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로드(130)와 제 2 로드(140)의 회전동작은, 운전자가 제 1 로드(130)에 가하는 토크에 의해 또는 이동부(120)를 조향컬럼(101) 상에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이동부(120)의 이동은 이동부(120)에 결합된 볼트크스큐(610) 및 볼트크스큐(610)와 맞물리는 너트스크류(미도시)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동부(120)에는 볼트크스큐(610)가 결합되며, 액추에이터에 의한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볼트크스큐(610)가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부(120)가 이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에 의하면, 조향휠을 차체 내 수납할 수 있어 특히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석의 공간을 확보하고 조향휠이 신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쾌적한 거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운전자가 조향에 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향휠의 접힘구조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공간 및 원가적으로 유리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 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101: 조향컬럼
102: 조향축 103: 어퍼튜브
110: 고정부 111: 힌지부
120: 이동부 121: 힌지부
130: 제 1 로드 140: 제 2 로드
150: 림 세그먼트 160: 브라켓
161: 제 1 결합부 162: 제 2 결합부
610: 볼트스크류
102: 조향축 103: 어퍼튜브
110: 고정부 111: 힌지부
120: 이동부 121: 힌지부
130: 제 1 로드 140: 제 2 로드
150: 림 세그먼트 160: 브라켓
161: 제 1 결합부 162: 제 2 결합부
610: 볼트스크류
Claims (13)
- 조향컬럼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조향컬럼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
상기 제 1 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는 림 세그먼트;
상기 이동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1 로드에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제 2 로드;
를 포함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향컬럼의 조향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조향컬럼의 어퍼튜브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조향컬럼 상에서 상기 고정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상기 조향컬럼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로드는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림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로드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의 타단에는 한 쌍의 림 세그먼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림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로드의 상측 및 하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림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로드에 결합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상기 제 1 로드를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와 림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로드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림 세그먼트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가 힌지결합되는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 제 1 항에 따른 접힘방식 조향휠을 포함하는 조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110377459.3A CN113511255A (zh) | 2020-04-09 | 2021-04-08 | 折叠式方向盘组件及包括折叠式方向盘组件的转向装置 |
DE102021203504.3A DE102021203504A1 (de) | 2020-04-09 | 2021-04-09 | Faltbare lenkradanordnung und lenkvorrichtung mit dieseranordnung |
US17/226,261 US11325635B2 (en) | 2020-04-09 | 2021-04-09 | Foldable steering wheel assembly an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43388 | 2020-04-09 | ||
KR1020200043388 | 2020-04-0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5930A true KR20210125930A (ko) | 2021-10-19 |
Family
ID=7822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5490A KR20210125930A (ko) | 2020-04-09 | 2021-04-07 |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2593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5772A1 (ko) * | 2022-04-06 | 2023-10-12 | 유승구 |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
-
2021
- 2021-04-07 KR KR1020210045490A patent/KR2021012593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5772A1 (ko) * | 2022-04-06 | 2023-10-12 | 유승구 |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25635B2 (en) | Foldable steering wheel assembly an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CA2680005C (en) | Actuator for vehicle | |
US11318983B2 (en) | Steering column having foldable steering wheel structure | |
KR20210030575A (ko) | 자동차의 조향컬럼 | |
US4557493A (en) | Steering device for vehicles | |
TWI611978B (zh) | 車輛 | |
US20210316777A1 (en) | Foldable steering wheel assembly an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US20110163525A1 (en) | Steering-force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20210125930A (ko) |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 |
EP3623272B1 (en) | Folding mechanism and scooter | |
KR20210133870A (ko) | 접이식 조향휠 구조를 갖는 조향컬럼 | |
CN117622315A (zh) | 具有自锁功能的可伸缩折叠线控转向路感模拟装置 | |
KR20210125929A (ko) | 접힘방식 조향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 |
JPS58170666A (ja) | ラツ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 |
JP5262592B2 (ja) | 車両用操舵力伝達装置 | |
JPH04262971A (ja) | 操舵装置 | |
JP2008174056A (ja) | 操舵輪用車輪懸架装置 | |
JP5212137B2 (ja) | ステアリング操作装置 | |
KR20220124405A (ko) |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 |
JP5374695B2 (ja) | 車両用操舵力伝達装置 | |
KR20240146735A (ko) | 자동차의 조향장치 | |
KR102565548B1 (ko) | 초소형 차량용 조향 시스템 | |
JP2020075638A (ja) | 操舵装置 | |
US20240326895A1 (en) | Steering device of vehicle | |
KR102632529B1 (ko) | 접이식 스티어링 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