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385A -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385A
KR20160085385A KR1020150001974A KR20150001974A KR20160085385A KR 20160085385 A KR20160085385 A KR 20160085385A KR 1020150001974 A KR1020150001974 A KR 1020150001974A KR 20150001974 A KR20150001974 A KR 20150001974A KR 20160085385 A KR20160085385 A KR 20160085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wheel
electric bicycle
lever
lock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135B1 (ko
Inventor
이승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0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1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8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B62H5/142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by means of pivoting, or pivoting and sliding 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9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by restraining wheel rotation, e.g. wheel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은 핸들 및 전륜이 마련되는 프론트 프레임과, 후륜이 마련되는 리어 프레임과, 안장 및 페달이 마련되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에 있어서, 전륜 또는 후륜은 휠스포크를 포함하고, 프론트 프레임 또는 리어 프레임은 휠스포크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락킹레버 및 락킹레버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전기 자전거의 잠김모드 설정되면 락킹레버를 휠스포크를 가로지르도록 회동시키고, 잠김모드가 유지되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며, 잠김모드 해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락킹레버가 휠스포크와 나란히 위치하도록 회동시키고 잠김모드 해제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전기 자전거의 구동모터를 록킹한다.

Description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Locking Device for Electric Bicycle}
본 발명은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 모드 시 휠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락킹하여 자전거의 도난 및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전거는 바퀴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즉, 발전기가 장착되거나 또는 Series Hybrid 형태의 전기 자전거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가 바퀴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주행하고, 배터리의 충전은 페달과 연결된 발전기를 페달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자전거는 기본적으로 두 발로 페달을 밟아서 움직이고, 페달을 밟아서 돌리는 사람의 힘을 바퀴에 전달하는 것이 체인이다. 체인은 스프로켓과 치합하는 체인핀을 다수개 연결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자전거의 점유면적이 크며, 또한 바퀴에서 이탈하거나 탑승자의 옷자락이 끼여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체인이 없는 전기 자전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체인 없는 전기 자전거는 핸들에 위치한 버튼을 조작하거나 또는 페달을 밟으면 모터가 동작하면서 앞으로 나간다.
또한, 체인 없는 전기 자전거는 사용자가 페달을 밟을 때 마치 체인이 있는 것처럼 페달감을 느낄 수 있도록 페달 부하를 조절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페달 회전 시 페달에 답력이 형성되어 페달감을 느낄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38024호(2014.03.28.) 상기 문헌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전륜 및 핸들이 마련되는 프론트 프레임과, 후륜이 마련되는 리어 프레임과, 페달 및 안장 마련되도록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는 잠금 모드 시 휠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락킹하여 자전거의 도난 및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핸들 및 전륜이 마련되는 프론트 프레임과, 후륜이 마련되는 리어 프레임과, 안장 및 페달이 마련되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에 있어서, 전륜 또는 후륜은 휠스포크를 포함하고, 프론트 프레임 또는 리어 프레임은 잠금모드 시 휠스포크를 가로질러 휠의 회전을 방지하고 잠금모드 해제 시 휠스포크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락킹레버 및 락킹레버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레버는 프론트 프레임 또는 리어 프레임에 돌출 마련되는 레버지지구에 축핀에 의해 회전 가능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버지지구는 락킹레버가 회동 시 접촉하는 수평지지면과 수직지지면을 포함하며, 수평지지면과 수직지지면에는 락킹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전기 자전거를 구동하는 전자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터와, 모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어와, 감속기어와 치합하도록 레버지지구의 축핀에 마련되어 락킹레버를 회동시키는 회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 자전거의 잠김모드를 설정하여 자전거 프레임에 휠스포크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락킹레버를 휠스포크를 가로지르도록 회동시키고, 잠김모드가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며, 잠김모드 해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락킹레버는 휠스포크와 나란히 위치하도록 회동하고 잠김모드 해제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전기 자전거의 구동모터를 록킹하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레버가 휠스포크와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를 감지하는 제1리미터스위치와, 휠스포크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한 상태를 감지하는 제2리미터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잠김모드의 지속 판단은 상기 제2리미터스위치가 온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잠김모드 해제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적인 잠김모드 해제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1리미터스위치 및 제2리미터스위치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는 자전거 본체에 락킹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별도 휴대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며 잠금모드 시 리어 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된 락킹레버가 후륜의 휠스포크 사이로 돌출되면서 휠 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에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은 비정상적으로 잠금모드가 해제되면, 전자제어유닛이 이를 감지하여 휠 구동모터의 동작을 정지시켜 휠 회전이 정지되기 때문에 전기 자전거의 무단 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킹장치가 마련된 전기 자전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 락킹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킹장치가 적용된 전기 자전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기 자전거는 프런트 프레임(10), 미들 프레임(20), 리어 프레임(30), 및 새들 프레임(40)을 포함한다.
프런트 프레임(10)과 미들 프레임(20)과 리어 프레임(30)은 미도시된 힌지 축에 의해 축 결합되어 있으며,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 가능하게 결합된다. 참조부호 11은 각 프레임(10,20,3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플레이트이다.
프런트 프레임(10)은 앞바퀴(12)와, 핸들부(13)가 연결되는 핸들스테이(14)를 포함한다.
핸들부(13)는 핸들스테이(14)의 하단에 결합되는 핸들 스템(15)과, 이 핸들스테이(14)에 결합되는 핸들바(16)와, 이 핸들바(16)에 설치되는 핸들 그립(17)을 포함한다.
핸들 스템(15)은 핸들부(13)의 높이 조절을 위해 마련되며, 핸들바(16)는 자전거의 조향을 결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핸들 그립(17)에는 전기 자전거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해주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후술할 전자제어유닛(50)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18)가 마련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18)는 전자제어유닛(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핸들스테이(14)의 하단 일측에는 앞바퀴(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미들 프레임(20)의 일단에는 발전기(21)가 마련되고, 이 발전기(21)의 양 측에는 페달(2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사용자가 페달(22)을 회전시키면 이 페달(22)의 회전력을 발전기(21)에서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발전기(21)의 전기적 에너지는 후술할 리어 프레임(30)에 마련되는 배터리(23)에 축전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30)의 일측 단부에는 후륜(3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후륜(32)에는 이 후륜(32)을 회전시켜 자전거를 전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4)가 장착된다. 구동모터(34)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18)의 조작으로 인해 후륜(32)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변속기가 포함될 수 있다.
후륜(32)은 원형의 림(32a)과, 림(32a)과 결합하는 휠스포크(32b)를 포함한다. 림(32)은 강성의 향상을 위해 금속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 타이어(32c)가 설치된다. 휠스포크(32b)는 후륜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경량화를 위해 합성수재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휠스포크(32b)는 삼각형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우산 살 형태로도 마련될 수도 있다.
락킹장치(60)는 리어 프레임(30)의 모터(34)와 인접한 내측면에 설치되며, 잠금모드 설정 시 락킹장치(60)의 락킹레버(62)가 휠스포크(32b) 사이를 통과하면서 후륜(32)의 회전을 막는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한편, 리어 프레임(30)에는 발전기(21)를 통해 변환된 전기적 에너지를 축전시키는 배터리(23)와 전자제어유닛(50)이 내장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23)는 리어 프레임(30) 뿐만 아니라 내부에 여유 공간인 형성될 수 있다면 프런트 프레임(10)이나 미들 프레임(20)에도 내장될 수도 있다.
새들 프레임(40)은 미들 프레임(2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새들 프레임(40)의 일측은 미들 프레임(20)의 후방에 돌출 마련되는 시트튜브(26)의 후방에 결합된다. 새들 프레임(40)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안착되는 안장(42)이 장착되며, 미들 프레임(20)과 시트튜브(26)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락킹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60)는 후륜(32)의 휠스포크(32b)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되는 락킹레버(62)와, 락킹레버(6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락킹레버(6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부재(68)를 포함한다.
락킹레버(62)는 바 형상으로 리어 프레임(30)에 마련된다. 락킹레버(62)는 비동작 시에는 리어 프레임(30)과 나란하게 위치하여 후륜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동작 시에는 리어 프레임(30)으로부터 직교 하도록 회동하여 후륜의 회전을 방지한다.
락킹레버(62)는 리어 프레임(30)에 돌출 마련되는 레버지지구(61)에 축핀(63)에 의해 회전 가능 가능하게 결합된다. 레버지지구(61)는 락킹레버(62)가 회동 시 접촉하는 수평지지면(61a)과 수직지지면(61b)을 포함한다. 수평지지면(61a)은 리어 프레임(30)과 수평한 방향이며, 수직지지면(61b)은 리어 프레임(30)과 수직한 방향 구체적으로는 락킹레버(62)가 휠스포크(32b)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후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이다.
구동부는 전자제어유닛(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터(64)와, 모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 속도를 감속하기 위해 다수의 기어(65a,65b,65c)로 이루어진 감속기어(65)와, 감속기어(65)와 치합하도록 레버지지구(61)의 축핀(63)에 마련되는 회동기어(65)를 포함한다. 감속기어(65)는 도시된 웜기어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도 채용가능하며, 회동기어(65)는 도시한 바와 같이 락킹레버(62)의 단부에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축핀(63)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위치감지부재(68a,68b)는 락킹레버(62)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위치감지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위치감지부재는 레버지지구(61)에 서로 직각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리미트스위치(68a)와, 제2리미트스위치(68b)를 포함한다. 제1리미트스위치(68a)는 락킹레버(62)가 리어 프레임(30)과 수평하게 위치하는 수평지지면(61a)에 마련되고, 제2리미트스위치(68b)는 락킹레버(62)가 리어 프레임(30)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레버지지구의 수직지지면(61b)에 마련된다. 제1리미트스위치(68a)와 제2리미트스위치(68b)의 온/오프 신호는 전자제어유닛(50)으로 전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전기 자전거는 전자제어유닛(50)과, 전자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51) 및 레버위치감지부(53)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51)는 전기 자전거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해주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버튼을 통하여 전자제어유닛(50)으로 전달하는 상술한 인터페이스(18)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8)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전기 자전거의 상태로는 사용자 인증, 주행 속도, 위치 추적, 배터리 잔량 등이 있으며, 버튼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으로는 속도 조절, 주행 조건 조절, 잠김모드 설정 및 해제 등이 있다.
레버위치감지부(53)는 락킹레버(6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제1리미트스위치(68a) 및 제2리미트스위치(68b)와 락킹레버(62)가 선택적으로 접촉할 때 발생하는 온/오프 신호를 전자제어유닛(50)으로 전달한다. 전자제어유닛(50)은 제1리미트스위치(68a)로부터 출력 신호가 전달되면 잠금모드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하며, 제2리미트스위치(68b)로부터 출격 신호가 전달되면 잠금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인식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18)를 이용하여 잠금모드를 설정하면(S10), 전자제어유닛(50)은 락킹장치(60)를 구동한다. 즉, 전자제어유닛(50)은 락킹레버(62)를 후륜(32)의 휠스포크(32b) 사이를 통과하도록 리어 프레임(30)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어서, 전자제어유닛(50)은 지속적으로 잠금모드가 실행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고(S20), 잠금모드인 경우 락킹레버(62)의 위치를 감지한다(S30).
잠금모드 상태에서는 락킹레버(62)가 제2리미트스위치(68b)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전자제어유닛(50)은 제2리미트스위치(68b)로부터 출력 신호를 지속적으로 입력받는다(S40).
제2리미트스위치(68b)의 출력 신호가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잠금모드 해제가 요청되면(S50), 전자제어유닛(50)은 잠금모드를 해제하여 전기 자전거를 주행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한다(S60).
한편, 도난과 같이 외력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잠김모드가 해제되면, 전자제어유닛(50)은 도난모드를 작동한다(S70).
비정상적인 잠김모드의 해제는 인터페이스(18)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잠금모드 설정 신호와, 리미트스위치(68)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여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제어유닛(50)은 잠김모드 해제를 입력받지 않았을 경우 제2리미터스위치(68b)의 출력 신호를 받아야 하지만, 강제적으로 외력이 작용한 경우 락킹레버(62)가 제1리미터스위치(68a)에 접촉되면서 제1리미터스위치(68a)의 출력 신호를 받게 되므로, 이를 통해 비정상 잠김모드의 해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리미트스위치의 신호가 변경되면, 전자제어유닛(50)은 도난모드를 작동시켜 모터를 록킹한다. 모터 록킹은 락킹장치가 정상적으로 해제되기 전까지 전기 자전거의 구동 모터(34)가 동작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인터페이스(18)나 스로틀(미도시)을 조작하더라도 모터는 회전하지 않는다. 나아가, 비정상적인 잠김모드의 해제 시 전자제어유닛(50)은 구동모터(34)를 제어하여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자기장이 인력만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휠의 회전을 강제로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상, 본 실시 예에서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가 후륜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프론트 프레임에 적절한 수정 및 변경을 통해 적용할 수도 있다.
10..프론트 프레임 20..미들 프레임
30..리어 프레임 32..후륜
32b..휠스포크 40..새들 프레임
50..전자제어유닛 51..인터페이스부
53..레버위치감지부 60..락킹장치
61..레버지지구 62..락킹레버
64..모터 68..위치감지부재

Claims (6)

  1. 핸들 및 전륜이 마련되는 프론트 프레임과, 후륜이 마련되는 리어 프레임과, 안장 및 페달이 마련되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륜 또는 후륜은 휠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 또는 리어 프레임은 잠금모드 시 휠스포크를 가로질러 휠의 회전을 방지하고 잠금모드 해제 시 휠스포크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락킹레버와, 락킹레버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레버는 프론트 프레임 또는 리어 프레임에 돌출 마련되는 레버지지구에 축핀에 의해 회전 가능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버지지구는 락킹레버가 회동 시 접촉하는 수평지지면과 수직지지면을 포함하며, 수평지지면과 수직지지면에는 락킹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재가 더 마련되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기 자전거를 구동하는 전자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터와, 모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어와, 감속기어와 치합하도록 레버지지구의 축핀에 마련되어 락킹레버를 회동시키는 회동기어를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4. 전기 자전거의 잠김모드를 설정하여 자전거 프레임에 휠스포크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락킹레버를 휠스포크를 가로지르도록 회동시키고,
    잠김모드가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며,
    잠김모드 해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락킹레버는 휠스포크와 나란히 위치하도록 회동하고,
    잠김모드 해제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전기 자전거의 구동모터를 록킹하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레버가 휠스포크와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를 감지하는 제1리미터스위치와, 휠스포크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한 상태를 감지하는 제2리미터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잠김모드의 지속 판단은 상기 제2리미터스위치가 온 상태인 전기 자전거의 락킹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잠김모드 해제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적인 잠김모드 해제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1리미터스위치 및 제2리미터스위치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전기 자전거의 락킹 방법.
KR1020150001974A 2015-01-07 2015-01-07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 KR102321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74A KR102321135B1 (ko) 2015-01-07 2015-01-07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74A KR102321135B1 (ko) 2015-01-07 2015-01-07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385A true KR20160085385A (ko) 2016-07-18
KR102321135B1 KR102321135B1 (ko) 2021-11-05

Family

ID=56679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974A KR102321135B1 (ko) 2015-01-07 2015-01-07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1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4527A (zh) * 2017-08-18 2017-12-08 太仓宏璟瑞远物业管理有限公司 一种电动车智能防盗系统
EP3480089A1 (en) * 2017-11-06 2019-05-08 LINKA Group Ltd. Electronic security device for a bicycl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8672A (ja) * 1990-03-09 1991-11-18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の車輪ロック装置
JP3101792B2 (ja) * 1994-07-13 2000-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三輪車の盗難防止装置
KR20060086919A (ko) * 2006-07-10 2006-08-01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인증수단을 이용한 실린더형 도어락의 시/해정 제어장치 및그 방법
KR100935998B1 (ko) * 2008-12-03 2010-01-08 윤기석 모터 싸이클 잠금장치 및 방법
KR20110037036A (ko) * 2009-10-05 2011-04-13 이현직 자전거 잠금 장치
KR20140038024A (ko) 2012-09-19 2014-03-28 주식회사 만도 전기 자전거
KR101383213B1 (ko) * 2012-05-25 2014-04-09 주식회사 만도 전기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KR101615680B1 (ko) * 2014-10-31 2016-04-26 이아림 자전거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8672A (ja) * 1990-03-09 1991-11-18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の車輪ロック装置
JP3101792B2 (ja) * 1994-07-13 2000-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三輪車の盗難防止装置
KR20060086919A (ko) * 2006-07-10 2006-08-01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인증수단을 이용한 실린더형 도어락의 시/해정 제어장치 및그 방법
KR100935998B1 (ko) * 2008-12-03 2010-01-08 윤기석 모터 싸이클 잠금장치 및 방법
KR20110037036A (ko) * 2009-10-05 2011-04-13 이현직 자전거 잠금 장치
KR101383213B1 (ko) * 2012-05-25 2014-04-09 주식회사 만도 전기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38024A (ko) 2012-09-19 2014-03-28 주식회사 만도 전기 자전거
KR101615680B1 (ko) * 2014-10-31 2016-04-26 이아림 자전거용 잠금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상기 문헌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전륜 및 핸들이 마련되는 프론트 프레임과, 후륜이 마련되는 리어 프레임과, 페달 및 안장 마련되도록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를 개시하고 있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4527A (zh) * 2017-08-18 2017-12-08 太仓宏璟瑞远物业管理有限公司 一种电动车智能防盗系统
EP3480089A1 (en) * 2017-11-06 2019-05-08 LINKA Group Ltd. Electronic security device for a bi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135B1 (ko)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1284B1 (en) Electric bicycle and control method therof
US10293882B2 (en) Electrically power assisted bicycle
RU2682945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елосипед
KR101079755B1 (ko) 핸즈프리형 전동스쿠터
KR101527487B1 (ko) 전기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US9550489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gulating an energy recovery in a pedal-driven vehicle
EP3296190B1 (en) Electrically power assisted bicy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ly power assisted bicycle
JP6669422B1 (ja) 自己充電で走行可能な電動自転車
JP2004149001A (ja) 電動自転車
US11731723B2 (en) Rider recognition device for human-powered vehicle and control system of human-powered vehicle
JP2010120599A (ja) 電動車
KR102321135B1 (ko) 전기 자전거의 락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락킹 방법
KR102278027B1 (ko) 전동 휠체어 및 그 제어방법
JP2011230664A (ja) 電動アシスト自転車
KR20130114959A (ko) 급발진 방지 기능이 제공된 전동 자전거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1042181A (ja) 車両
KR101473183B1 (ko) 전기 자전거
JP2015204873A (ja) 電動車椅子及びその駆動方法
JP7373793B2 (ja) 電動アシスト自転車
KR101074080B1 (ko) 기어 자전거
JP7137664B1 (ja) 乗物
KR101810401B1 (ko) 전기 자전거의 잠금 장치
JP2002085477A (ja) 電動カート
JP2019123476A (ja) 電動自転車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9093849A (ja) 制御装置、人力駆動車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